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 KCI등재

        판소리 공연학 총론

        전신재 ( Shin Jae Jeon ) 한국공연문화학회(구 한국고전희곡학회) 2011 공연문화연구 Vol.0 No.23

        판소리는 연극성과 음악성을 공유하고 있는 공연예술이다. 판소리의 전성기였던 19세기에 판소리는 연극성과 음악성이 균형을 갖추고 있었다. 그러나 19세기 말기 이후로 연극성이 약화되고 음악성이 강화되어 판소리는 음악 중심의 공연예술로 변모하였다. 이것은 원래 하류계층의 공연예술이었던 판소리를 상류계층에서 수용하면서 일어난 현상이다. 우리나라 상류계층에서는 연극을 천시하고 음악을 존숭하였다. 발림은 노래할 때에 곁들이는 가벼운 율동적 동작이고, 너름새는 연극적 행동이다. 판소리의 너름새는 시각과 청각을 모두 동원하고, 변화가 무쌍하고, 표출력이 강렬하여 청관중을 순식간에 울게 하고, 또 순식간에 웃게 한다. 19세기의 판소리는 판소리 고유의 너름새를 풍족하게 가지고 있었다. 그것은 연극적 약속에 따라 정교한 상징체계를 이루고 있었다. 그러나 요즈음의 판소리 창우들은 너름새를 하지 않고 발림을 한다. 세련된 판소리 공연에서 추임새는 창우와 청관중의 경쟁적 대결이다. 창우는 다양한 방법으로 빈 공간을 만들어주고, 청관중은 거기에 대응하여 다양한 방법으로 그 빈 공간을 메운다. 이러한 대결은 창우와 청관중이 협력하여 신명나는 소리판을 완성한다. 고수는 추임새를 유도한다. 창우와 고수와 청관중은 추임새를 통하여 하나로 결속하는 정서적 체험을 한다. 그러나 요즈음의 청관중은 추임새를 하지 않고 박수를 한다. 마치 서양 연극에서처럼. 서양 연극에서는 대체로 비극과 희극의 구별이 철저하다. 비극은 시종일관 비극이고, 희극은 시종일관 희극이다. 이에 비하여 판소리에서는 울음과 웃음이 공존한다. 상반되는 정서를 충돌시켜 더욱 강렬한 정서를 유발하는 것이 판소리의 특징이다. 또한 비극과 희극은 각각 인생의 한 측면만 보여주는 데에 반해서 판소리는 인생을 종합적으로 보여준다. 요즈음의 판소리에서는 강렬한 정서가 많이 약화되었다. 요즈음의 판소리는 많이 쇠퇴하였다. 판소리를 부흥시키기 위해서는 판소리의 연극성을 되찾아야 할 것이다. Pansori has both the features of drama and music. In 19th century, prime time of pansori, it had balance of the features between drama and music. But after the late 19th century, pansori has lost the features of drama, and it has been changed into a music centered art performance. This is the phenomenon came from that the upper class accepted and dominated the pansori which had been a performance art of the lower class. The Korean upper class people tend to disdain drama, but to revere music. Nerremsae is dramatic action and ballim is musical gesture in pansori. In 19th century, pansori had plenty of nerremsae, which provided a elaborative symbolic system after the conventional rule of drama. However current pansori actors use only ballim except nerreumsae. Chuimsae like ``ulssigu`` is the way to participate in pansori by audience. The actor provides the space for the audience to fill it after inducement by drummer. Through the chuimsae, actor, drummer, and audience share the sympathetic emotional experiences. However the audience in these days do not do chuimsae, but do applause like in western dramas. In western dramas, distinction between tragedy and comedy is relatively clear. The tragedy is constantly tragedy, and the comedy is also constantly comedy. However joy and sorrow are coexisted in Korean pansori. These two contradictory emotions are collided and produce a new strong emotion in a pansori. This is one of very important feature of pansori. Even though each of tragedy and comedy reveals the only one side of life, pansori comprehensively reveals a total human life. However these strong emotions have been much weakened nowadays. Currently pansori has been much declined. For restoration of pansori, it is necessary to revive the drama side in pansori performances.

      • KCI등재

        한국 탈놀이의 융복합문화적 성격

        전신재 ( Shin Jae Jeon ) 한국공연문화학회(구 한국고전희곡학회) 2014 공연문화연구 Vol.0 No.29

        한국의 탈놀이는 원래는 음악, 무용, 곡예 등 여러 가지 놀이 단위들을 즐기던 놀이였다. 그런데 세월의 흐름에 따라서 놀이를 좀 더 풍성하게 하고 강렬한 효과를 얻기 위하여 한편으로는 새로운 놀이 종목들을 계속 첨가해나가고, 한편으로는 서로 다른 종목들을 복합해나갔다. 그리고 단순한 놀이에 이야기를 만들어 붙여서 극적인 상황 안에서 가무를 연출하는 단계로 나아갔다. 한국의 탈놀이는 역사의 흐름 속에서 적층되어온 연희이다. 처음에는 중마당만 있었고, 그 후에 양반마당이, 또 그 후에 할미마당이 첨가되었다. 세 마당은 서로 이질적이 연희 종목인데 이들을 융복합시키면서 여기에 질서를 세웠다. 세 마당은 세상이 분열되어온 과정을 순서대로 보여준다. 중마당은 세상이 초월세계와 현실세계로 분열되어 있는 모습을 보여주고, 양반마당은 현실세계가 지배계층과 피지배계층으로 분열되어 있는 모습을 보여주고, 할미마당은 피지배계층의 가정이 남편과 아내로 분열되어 있는 모습을 보여준다. 세 마당은 또한 낡은 질서의 소거消去와 새로운 질서의 도래到來라는 공통된 주제로 한 끈에 꿰어진다. 한국의 탈놀이는 춤과 재담을 계속해서 교체해나가는 방법으로 연행하는데 춤과 재담을 융복합시키는 방법은 마당에 따라 다르다. 중마당은 춤 중심으로, 양반마당은 춤과 재담이 대등하게, 할미마당은 재담 중심으로 각각 융복합되어 있다. 또한 일본에서는 가무희와 골계희를 분리하여 연행하는 데에 반해서 한국에서는 가무희와 골계희를 융복합시켜서 연행한다. 춤과 재담을 융복합하는 방법의 차이는 연극성의 차이로 이어진다. 춤 중심으로 연행하는 중마당은 완전한 몰입을 지향한다는 점에서 아르토의 잔혹연극에 가깝고, 춤과 재담을 비등하게 융복합하여 연행하는 양반마당은 소격효과를 유발한다는 점에서 브레히트의 서사극에 가깝고, 재담 중심으로 연행하는 할미마당은 평범한 서민들의 일상생활을 관조하게 한다는 점에서 사실주의 연극에 가깝다. 한국 탈놀이의 융복합 기법은 곧 탈놀이를 강렬성, 다양성, 종합성의 특징을 가진 연희로 만드는 기법이다. Traditional Korean mask play consists of the monk section, the squire section and the hag section. These three sections were not formed at the same time but each one gradually evolved over time and in that order. However, there is an underlying order that connects these three sections. The monk section shows how the world is divided in to the world of transcendence and the world of reality. On the other hand, the squire section shows a division that exists in the world of reality--a division between the ruling class and the ruled. Finally, the hag section shows how the ruled class is further divided into husband and wife. There is a common factor in the conflicts that exist the three sections. It is the triumph of youth over old age. That is, the three sections are in common in describing how the old world gives a way to the new world as the old world fades away. Traditional Korean mask play proceeds as it alternates between dance and jaedam (comic talk). Dance makes audiences become engrossed in the play while jaedam provides a comic relief. The monk section consists mostly of dance. The squire sections consists of dance and jaedam in equal share. The hag section consists mostly of jaedam. Accordingly, different production styles are used for each of three section. The monk section is similar to the theater of cruelty of Artaud; the squire section, the epic theatre of Brecht; and the hag section, realism theater. Traditional Korean mask play consists of various elements in convergence. It is the unique characteristic of Korean culture where different elements converge as each element loses some of their unique properties to create a new world in harmony. In traditional Korean mask play, a single actor does both dancing and jaedam. However, Japanese produced separately no能 and kyogen狂言.

      • KCI등재

        김유정의 ‘위대한 사랑’

        전신재(Jeon, Shin-jae) 국어국문학회 2014 국어국문학 Vol.- No.168

        There are two sides of love between men and women: one is noble love that makes you to rise above the secular world and ascend to ideal realm, and the other is graceful love that makes you to give birth to a child and live a fruitful life in real world. The love, which Yu-jeong Kim had on his mind was the latter. It is more primitive and practical than the former. There are two types of love that brings salvation to human beings: One is religious love and the other is maternal love. What they have in common is that they are both unconditional. But, the religious love, which is based on afterlife, aspires towards ideal world, while maternal love is about this life. Among the two, the latter was more important to Yu-jeong Kim. He perceived maternal love to be greater than religious love. It is more primitive and practical than religious love. According to his ideas, there are two types of terrestrial love: Jeong情, and the ‘great love’, which he suggested. Yu-jeong Kim suffered depression and was a strict believer of misanthropism, but at the same time he desired to be a part of crowds and live a humane life. A humane life is a life full of jeong情. Jeong情 is what puts together Korean society- a human friendly culture. In this troubled chaos that is current days, the last hope that remains to us human beings is the ‘great love’. The concepts of the ‘great love’ are: First, it is the love towards community, not individuals. Second, the love towards community is more primitive than the love towards individuals. The love towards a community comes before the love towards an individual at this time of individualism. Third, it is the love towards needy grass-roots. Fourth, it is the love on the level of empathy, and not of sympathy and charity. In the end, the ‘great love’ is an expansion of jeong情. Yu-jeong Kim literature should not be appraised as literature full of reminiscence or recollection of old days just because the ‘great love’ is primitive. It is not a regression to the past, but a new discovery. The place where he discovered the ‘great love’ is his hometown of Shillae(currently Kangwondo Chuncheonsi Shindongmyun Jeungli). Peasants in this village had lived in a community that suggested ‘great love’ in their daily lives. He planned to embody this ‘great love’ he discovered in his hometown into his work, but could not. He spent a winter with sleepless nights putting up notes on his wall and getting lost in his thoughts, planning to start working on a new novel late in the next summer. But he passed away on March 29th before the summer came.

      • KCI등재
      • KCI등재
      • KCI등재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