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장애인의 상용치료원 보유가 환자 중심 의사소통에 미치는 영향

        전보영 ( Boyoung Jeon ),이민영 ( Minyoung Lee ),안은미 ( Eunmi Ahn ) 한국보건행정학회 2021 보건행정학회지 Vol.31 No.4

        Background: This study examined the effect of having a usual source of care on the degree of patient-centered communication among persons with disability. The role of the usual source of care has been emphasized to improve patient experience, especially for patients with complex health conditions. Methods: This study used the 2017-2018 Korean Health Panel data, and the final study observations were 22,475 (20,806 people without disability and 1,669 people with disability). We applied generalized estimating equation model to show the effect of having a usual source of care on patient-centered communication, and subgroup analysis considering the types and severity of disabilities. Results: Persons who have disabilities, compared with ones without it, significantly had more usual sources of care (32.4% vs. 24.6%). By type of disability, persons with mental (51.4%), internal organ (43.8%), visual (37%), and physical disabilities (31.6%) had more usual sources of care than hearing/speech (26.6%), and developmental disabilities (18.6%). The average score of patient-centered communication was higher among who had a usual sources of care (3.2 vs. 2.7), and the regression analysis showed that having a usual sources of care was positively associated with higher patient-centered communication score (β=0.476, p<0.05). However, the positive effects of usual sources of care was not observed among persons with severe hearing/speech, developmental, and mental disabilities. Conclusion: This study showed that role of patient-centered communication was limited in persons with severe hearing/speech disabilities, developmental, and mental disabilities. The education programs and supports are needed to improve communication skills between medical staff and persons with specific types of disabilities.

      • KCI등재후보

        일부 농촌 지역 노인의 사회적 지지와 건강수준 및 건강행태와의 관련성

        전보영(Boyoung Jeon),이혜재(Hyejae Lee),손창우(Changu Shon),김남권(Namkwon Kim),김애련(Aeryun Kim),박지은(Jieun Park),이은상(Eunsang Lee),이정화(Jeongwha Lee),최주현(Juhyun Choi) 한국농촌의학 지역보건학회 2009 농촌의학·지역보건 Vol.34 No.1

        ‘사회적 지지’는 자신이 사랑 받고 돌보아진다고 믿게 하는 정보로서 인지적ㆍ심리적 안정을 도우며 개인의 대응역량을 높여준다. 노인에 대한 사회적 지지는 심혈관 질환 등으로 인한 사망률에 영향을 주고, 우울증을 감소시키고, 스트레스와 우울 사이에 완충 역할을 하며, 건강행태 또한 사회적 맥락 속에서 결정된다고 알려져 있다. 우리나라는 노령인구의 농촌 편중 하에서, 농촌 노인들은 사회적 지지 측면에서도 도시 노인들보다 취약한 것으로 나타났다. 이에 본 연구의 목적은 일부 농촌지역 노인들을 대상으로 사회적 지지와 건강수준 및 건강행태와의 관련성을 알아 보기 위함이다. 연구대상은 강원도 춘천시 동산면 군자리에 거주하는 60세 이상 노인들 중 설문에 응한 총 79명이며, 2008년 6월 23일부터 29일까지 구조화된 설문지를 이용하여 직접면접조사를 하였다. 독립변수는 ‘가족 수, 가족과의 관계, 친한 친구 수, 참여모임 여부 및 사회적 지지 점수(MOS-SSS 수정)’로 하였고, 이에 따른 신체적 건강 즉, 주관적 건강과 만성질환 유무 그리고 정신적 건강으로 우울증을, 건강행태로 흡연, 음주, 규칙적인 운동, 숙면, 아침식사 여부와의 관계를 분석하였다. 대상 인구의 평균 연령은 72.0±7.0세 이고, 사회적 지지 점수는 20점 만점에서 평균 14.3±4.7점이었다. 정신적 건강의 SGDS 점수 측정결과 전체인구의 36.3%가 우울성향을 보였다. 건강수준에 영향을 준 요인으로서, 사회적 지지 점수가 다를때 우울 성향(p<0.001)과 운동여부(0.031)에서 유의한 차이가 있었다. 가족관계가 보통인 군에서 좋은 군보다 주관적으로 느끼는 건강수준이 낮고(OR=0.25, 95% CI=0.07-0.95), 숙면을 취하는 정도가 더 낮았다(OR=0.21, 95% CI=0.06-0.73). 친한 친구가 없는 군은 친한 친구 수가 5명 이상인 군에 비해 규칙적인 운동을 하는 경우가 더 낮았고(OR=0.21, 95% CI=0.05-0.94), 참여모임이 없는 사람은 참여모임이 있는 사람보다 ‘우울’로 나타남이 유의하게 높았다(OR=4.79, 95% CI=1.62-14.15). 이 연구를 통해 사회적 지지 점수 및 가족관계, 친구 수, 참여모임 수 등으로 대변되는 사회적 지지가 농촌 노인의 건강수준 및 건강행태와 관련이 있음을 알 수 있었다. 따라서 농촌 노인들의 건강증진을 위해서 사회적 지지를 고취시킬 수 있는 노력이 필요하겠다. Objective: The objective of this study was to evaluate the association of social support with health status and health behavior. Methods: This study was conducted with 79 elderly people in Gunja-ri, Dongsan-myun, Chuncheon. We performed face to face interview which was composed of socio-demographic characteristics, social support, health status and health behavior. The association between social support and result variables was analysed by Chi-square test and logistic regression. We used SAS ver9.1 for statistic analysis. Results: Mean age of the study population was 72.0±7.0, social support score was 14.3±4.7 with full marks of 20 and 36.25% of the total population were shown to have depression. When the social support score was changed, depression (p=0.0007) and physical exercise (p=0.0312) showed significant difference. The self-rated health status was significantly related to the relationship with family members (OR=0.25, 95% CI=0.07-0.95) and the quality of sleep was also significantly associated to the relationship with family members (OR=0.21, 95% CI=0.06-0.73). The physical exercise was done significantly less in the group ‘without’ close friends than in the group with ‘many’ close friends (OR=0.21, 95% CI=0.05-0.94) and the depression was significantly more in the group without community participation than in the group with community participation (OR=4.79, 95% CI=1.62-14.15). Conclusions: Through this study, we could conclude that the social support factors are associated with health status and health behavior. Therefore, to improve the health status of rural elderly, we need to approach to develop social support.

      • KCI등재

        장애인의 보건의료 접근성 저해 요인: 경제적 부담, 교통 불편, 시간적 제약으로 인한 미충족의료를 중심으로

        전보영 ( Boyoung Jeon ),권순만 ( Soonman Kwon ) 한국사회보장학회 2015 사회보장연구 Vol.31 No.3

        보건의료서비스에 대한 접근성 보장은 장애인을 대상으로 하는 보건정책 중 가장 기본이 되는 이슈 중 하나이다. 본 연구에서는 장애인의 보건의료 접근성을 대리하는 지표로서 미충족의료 경험을 활용하되, 그 이유를 경제적 부담, 교통 불편, 시간과 관련된 제약으로 구체화하여 각각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을 파악하였다. 2011년 장애인실태조사 응답자 중 지체장애, 뇌병변장애를 가진 만 20-64세의 성인 1,829명을 연구대상으로 하였으며, 분석방법으로 다항로짓 모형을 적용하였다. 장애인의 20.9%에서 미충족의료의 경험이 있었으며, 이 중 69.9%는 경제적 부담으로, 9.2%는 교통이 불편해서, 20.9%는 시간과 관련된 제약으로 미충족의료 경험이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회귀분석 결과, 장애인편의시설이 부족하여 외출에 불편함을 겪는 경우 경제적 이유 및 교통 불편으로 인한 미충족의료를 경험할 가능성이 높았으며, 특히 외출시 동반할 사람이 없어서 어려움이 있는 경우에 교통 불편으로 인한 미충족의료의 가능성이 높았다. 반면, 독거 상태이거나 임시직 및 일용직으로 일하는 경우 예약의 어려움, 진료 대기시간 등과 같은 시간적 제약으로 미충족의료를 경험할 가능성이 높았다. 이상의 분석을 통해 장애인의 보건의료 접근성에는 개인의 특성뿐만 아니라 주변 사람들의 역할과 제반 사회 환경이 상호작용하여 영향을 미치고 있음을 확인하였으며, 미충족의료의 이유에 따라 우선적으로 고려되어야 하는 정책의 접근방식도 달라져야 함을 시사했다. Improving access to health care services is one of the most important issues in health policy for persons with disabilities. In this study, we used self-reported unmet need as an indicator of access, which can be classified into three groups: unaffordability, factors restricting travel, and problems due to time constraints. This study focused on adults aged 20-64 years with physical disability, such as limb or brain disabilities, and the final sample size was 1,829. Using the National Survey on Persons with Disabilities in 2011, we applied a multinomial logit model to examine the factors related to the three reasons for unmet need. The percentage of unmet need was 20.9% when all reasons were included. Among them, 69.9% were due to unaffordability, 9.2% were due to factors restricting travel, and 20.9% were due to time constraints. The regression results showed that the lack of convenient facilities outside was associated with higher probability of unmet need due to costs and travelling-related barriers. Lack of assistance was also positively correlated with factors restricting travel. Moreover, when individuals with disability live alone or have a temporary job, they were more likely to experience problems due to time constraints, such as long waiting lists or difficulties in reservation. The findings of the analyses suggest that not only individual characteristics but also social and environmental factors affect the access to health care. This study underscores that health policy needs to consider different reasons for the unmet need of persons with disabilities to improve their access to health care.

      • KCI등재

        요양병원 장기입원 현황과 관련 노인 및 기관 특성 비교 연구

        전보영 ( Boyoung Jeon ),김홍수 ( Hongsoo Kim ),권순만 ( Soonman Kwon ) 한국보건행정학회 2016 보건행정학회지 Vol.26 No.1

        Background: This study examined patient and hospital factors related to long-stay admissions in long-term care hospitals (LTCHs) among older people in Korea. Methods: We analyzed health insurance claims data, entitlement data, and institutional administrative data from the National Health Insurance Service databases between 2010 and 2012. At the patient level, we compared characteristics of patients staying in LTCHs for over 180 days (the long-stay group) with those staying in LTCHs for less than 90 days during a calendar year. At the hospital level, we examined the general characteristics and staffing levels of the top 10% of hospitals with the highest proportion of patientswhose length of stay (LOS) was 180+ days (the hospitals with long-stay patients) and compared them with the top 10% of hospitals with the highest proportions of patients whose LOS was less than 90 days (hospitals with shorter-stay patients). Results: The long-stay group accounted for about 40% of all LTCH patients. People in the group were more likely to be women, aged 80+, living alone, and experiencing more than two health conditions. Compared to the hospitals with shorter-stay patients, those with long-stay patients were more likely to be occupied by patients with behavior problems and/or impaired cognition, owned by corporate or local governments, have more beds and a longer period of operation, and deliver services with lower staffing levels. Conclusion: This study found long-stay older people in LTCHs and those in LTCHs with high proportions of long-stay older patients had several distinct characteristics compared to their counterparts designated in this study. Patient and hospital characteristics need to be considered in policies aiming to resolve long-stay admissions problems in LTCHs.

      • KCI등재

        장애노인의 의료이용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

        전보영(Boyoung Jeon),권순만(Soonman Kwon),이혜재(Hyejae Lee),김홍수(Hongsoo Kim) 한국노년학회 2011 한국노년학 Vol.31 No.1

        본 연구는 Andersen의 의료서비스 이용에 관한 행동모형을 근거로 2008년 장애인실태조사 자료를 분석하여, 만 65세 이상 장애노인의 외래 및 입원이용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을 파악하고자 하였다. 연구방법은 two-part 모델을 활용하여 장애노인의 외래 및 입원 이용 여부에 대해서는 로지스틱 회귀분석을, 의료 이용량 및 의료비 지출에 대해서는 다중 회귀분석을 실시하였다. 분석결과 외래와 입원의 이용에 공통적으로 만성질환과 주관적 건강상태 등의 질병요인의 영향이 유의하였고, 의료비 지출에는 의료보장 유형이 결정적 역할을 하고 있었다. 외래에서는 신장장애를 가졌을 때 이용량과 지출이 높았고, 입원에서는 일상생활의 수행에 도움이 필요할 때 입원일수가 증가하였으며, 심장장애와 호흡기장애를 가진 경우 입원료 지출이 유의하게 높았다. 이상의 결과 는 장애노인들에게 만성질환 이환이나 일상생활 활동의 전적인 의존을 예방하는 보건의료 서비스의 제공, 의 료이용이 높은 내부 장애를 가진 노인에 대한 지속적 보건관리체계의 구축, 그리고 저소득층 장애노인의 보건 의료 접근성 향상을 위한 경제적 지원의 필요성을 시사한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xamine the factors associated with the probability and levels of the health service utilization among the disabled elderly in Korea. The sample includes 2,111 people older than 65 who are extracted from the 2008 National Survey on People with Disabilities. More than half (54.3%) of the sample experienced at least 1 outpatient physician visit within two weeks and 26.7% were hospitalized within a year. The key factors associated with the outpatient visits were health insurance status, the existence of chronic disease, self-rated health, the Activities of Daily Living (ADLs), as well as renal impairment. Similarly, the utilization of inpatient care was related to health insurance status along with the existence of the internal organ disabilities such as cardiac or respiratory disorders. The study implies the need for the health care policies regarding the prevention of chronic diseases, dependency for daily activities of the elderly, and a management system that specifically targets those with internal organ disabilities. Moreover, the study suggests that financial supports for the low-income group would be helpful to increase their access to health service utilization.

      • KCI등재

        일본 지역포괄케어시스템에서 고령자 대상 한방서비스 활용의 현황과 시사점

        전보영 ( Boyoung Jeon ),박지은 ( Ji-eun Park ) 대한보건협회 2020 대한보건연구 Vol.46 No.1

        연구목적: 본 연구는 일본의 지역포괄케어시스템 중 고령자 대상의 한방(漢方)서비스 제공 현황을 소개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연구방법: 국내외 학술데이터베이스 및 후생노동성 자료, 일본 동양의학 및 침구학, 한방제제 관련 기관의 홈페이지 등을 검색하여 고령자 대상의 한방서비스에 관한 문헌을 수집 및 고찰하였다. 연구결과: 일본에서 침구시술은 침구사가 제공하고, 한방제제는 의사가 처방하는 분리된 체계로 한방서비스가 제공된다. 침구사는 침구원을 개원하거나, 개호시설에 고용되어 침구서비스를 제공하고 있으며, 최근 개호보험 하에서 다직종협력을 통해 재택의료에 참여하거나, 기능훈련지도원으로 활동하고 있다. 한방제제는 재택의료 뿐만 아니라 재활기 병상, 요양병상, 노인보건시설 등을 통해 고령자에게 처방되고 있다. 한방제제는 고령자에게 흔한 임상 증상을 완화하고, 약제비 부담과 돌봄 부담을 경감하는데 효과가 있다는 증례가 보고되었다. 결 론: 일본 지역포괄케어시스템에서는 재택의료를 필요로 하는 노인에게 수요자 중심의 다직종 협력 차원에서 한방서비스가 포함되어 제공되고 있으나 보편적으로 적용되고 있는 수준은 아니었다. 일본은 한국과 한방서비스에 대한 보건의료 제공 체계가 다르므로 직접적인 비교는 어려우나, 개호보험을 통한 지역사회 기반의 침구서비스 제공 및 노인 대상 한방제제의 활용 사례는 고령사회의 커뮤니티케어에서 한방서비스 제공의 다양성을 보여준다는 면에서 참고할 수 있을 것이다. Objectives: With dramatic increase in order population, there is a growing interest in community care.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introduce the Kampo services for older people in the context of Japanese community-based integrated care systems. Methods: We reviewed literature on Kampo services for older people by searching academic databases, Japanese government documents, and Kampo related web sites. Results: In Japan, acupuncture, moxibustion, and cupping services are provided by acupuncturists, and they have been employed in nursing homes or they are managing their own clinics. On the other hand, Kampo medicines are prescribed by medical doctors, and they have prescribed the Kampo medicines for older people in rehabilitative setting, nursing care beds, as well as who need home care services. The Kampo medicines have shown to have effects on alleviating clinical symptoms and reducing the burden of caregiving and the medical expenses of older people. Recently, acupuncturists have provided home visiting services through multi-disciplinary cooperation or they can be a training instructor for older people, as the service coverage has been widened under the public long-term care insurance. Conclusions: In Japan, Kampo is working as one part of the community-based integrated care systems. Evidence-based policies will be needed to establish the role of traditional Korean medicine services in community care for the upcoming super-aged society in Korea.

      • KCI등재

        의료급여 수급 여부가 예방가능한 입원에 미치는 영향: 한국의료패널조사를 중심으로

        정연 ( Jung Youn ),전보영 ( Jeon Boyoung ) 한국보건경제정책학회 2021 보건경제와 정책연구 Vol.27 No.4

        이 연구에서는 한국의료패널 조사자료를 이용해 의료급여 수급자와 건강보험 가입자의 의료 이용 현황을 비교하고, 의료급여 수급 여부가 예방가능한 입원에 미치는 영향을 분석하였다. 2016-2018년 3개 연도에 대한 불균형패널데이터를 활용했으며 두 그룹의 건강위험을 유사하게 맞추기 위해 성, 연령, 장애유무, 동반상병지수를 활용한 성향점수매칭을 통해 수급자와 건강보험 가입자를 1:3으로 매칭하여, 최종 분석대상 관측치는 5,648(의료급여 1,412, 건강보험 4,236)이었다. 예방가능한 입원은 외래의료민감질환으로 인한 입원으로 정의했다. 분석 결과, 의료급여 군에서 외래방문 횟수, 입원율, 연간입원일수가 유의하게 높았으며, 예방가능한 입원율 역시 유의하게 높았다. 회귀분석을 통해 소인성 요인, 가능 요인, 필요 요인을 보정한 후에도, 의료급여 수급자에서 예방가능한 입원이 통계적으로 유의하게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소득하위 20% 및 만성질환자군 내에서도 동일한 양상이 나타났으며, 다만 당뇨환자 내에서는 의료급여 수급여부가 예방가능한 입원에 유의미한 영향을 미치지 않았다. 추가적으로, 의료급여와 경제적 이유로 인한 미충족의료 경험 사이의 교호작용은 음의 방향으로 나타났는데 이러한 조절효과는 의료급여자의 치료 지연 등과 관련이 있을 수 있다. 이 연구는 의료급여군에서 예방가능한 입원이 더 많이 발생하는 상황을 분석함으로써, 의료급여 수급자에게 제공되는 일차의료의 질이 개선될 필요가 있음을 실증적으로 보여주었다는 데에 의미가 있다 In this study, we analyzed the impact of the medical aid benefit on preventable hospitalization using the Korea Medical Panel 2016-2018. We adopted propensity score matching method using gender, age, disability, and co-morbidity indices to focus on the effects of medical aid benefits under similar health risks, and the final participants were 5,648 (1,412 Medical aid, 4,236 National Health Insurance). Preventable hospitalization was defined as hospitalization due to Ambulatory Care Sensitive Conditions (ACSCs). The analysis results showed that the number of outpatient visits, hospitalization rate, annual hospitalization days, and preventable hospitalization rate were significantly higher in the medical aid group. Panel regression showed that preventable hospitalization was significantly higher among the medical aid group, even after adjusting predisposing, enable, and need factors. We found the same pattern within the lower 20% of income level and patients with chronic conditions, but not in the diabetic patients. Additionally, the unmet healthcare needs for economic reasons attenuated the effect of medical aid, in which preventable hospitalization was increasing. Assuming that preventable hospitalization due to ACSCs represent the quality of primary care, medical aid recipients are not guaranteed the quality of care, even though they use more outpatient services. This study is meaningful in that it demonstrated the necessity of improving the quality of health care in the medical aid group based on empirical analysis.

      • KCI등재

        장애인과 건강보험인구의 다빈도 상병과 진료비 비교: 시각, 청각, 지적장애를 중심으로

        조유송 ( Yusong Cho ),한은아 ( Eunah Han ),전보영 ( Boyoung Jeon ),이혜재 ( Hyejae Lee ) 한국보건경제정책학회 2022 보건경제와 정책연구 Vol.28 No.1

        장애인은 비장애인에 비해 더 많은 건강문제를 갖는다. 장애인이 어떤 질환을 앓고 있으며, 이를 관리하기 위해 지출하는 의료비의 현황을 살펴보는 것은 장애인의 보건정책을 마련하는 데 중요한 기초자료이다. 본 연구는 장애인의 다빈도질환별 의료비 지출 현황을 일반인구와 비교하고 후속연구와 장애인 보건정책을 위한 기초근거를 제공함을 목적으로 한다. 자료원으로 국가승인통계인 ‘장애인건강보건통계’와 ‘건강보험통계’를 사용하였으며, 다빈도 상병별 의료비 지출에 대한 통계지표를 동일한 정의 하에 재구성하여 비교하였다. 특히 시각, 청각, 지적장애인들은 비장애인과 동일한 만성질환을 앓게 되어도 의사소통의 문제로 적절한 예방, 치료 및 재활에 어려움을 겪어 정책적 대상이 되는바, 전체 장애인에 대한 결과와 함께 이들 장애유형별 결과를 제시하였다. 그 결과 장애인구에서 건강보험인구에 비해 근골격계 상병과 치과계 상병을 앓고 있는 경우가 많았다. 반면 장애인은 건강보험인구에 비해 동일 상병에 대한 1인당 진료비 지출 수준이 낮았고, 본인부담 비율도 낮았다. 각 장애유형에 따라 다빈도 상병 및 지출은 다른 양상을 보였는데, 시각장애인에서는 녹내장과 기타 망막장애가, 청각장애인에서는 전음성 감각신경성 청력소실이, 지적장애인에서는 뇌전증으로 인한 의료이용과 이로 인한 의료비 지출 수준이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이 연구에서는 기 구축된 국가승인통계를 재구성하여 장애인의 다빈도 상병과 의료비 지출에 대한 시사점을 도출하였으며, 이 결과로 향후 필요한 심층연구를 제안하였다는데 의미가 있다. People with disabilities have more health problems than people without disabilities, and it is important to look at the patterns of medical expenses of them.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compare the medical costs by diagnostic code between the people with disabilities and the general population, and to provide a basis for further research and policies for the disabled focusing on the visual, hearing, and intellectual disabilities. As data sources, the nationally approved statistics, ‘Healthcare Statistics of Persons with Disabilities’ and ‘National Health Insurance (NHI) Statistics’ were used, and the statistics for medical costs by diagnostic code were re-constructed under the same definition and compared. There were more cases of musculoskeletal morbidity and dental morbidity in the disabled people than in the health insurance population. Compared to the NHI population, the disabled had lower medical costs per capita for the same disease, and their out-of-pocket payments were also lower. Some diagnostic codes, which are closely related to the type of disability, such as ‘glaucoma(H40)’ for the visually disabled, ‘conductive and sensorineural hearing loss(H90)’ for the hearing disabled, and ‘epilepsy(G40)’ for the intellectually disabled, ranked higher than in the NHI population, and the expenditures of the diseases were large. In this study, the implications for the frequent morbidity and medical costs of the disabled were derived by re-constructing the previously developed statistics, and it is meaningful that further researches can be proposed.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