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 등재정보
        • 학술지명
        • 주제분류
        • 발행연도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후보

        일부 농촌 지역 노인의 사회적 지지와 건강수준 및 건강행태와의 관련성

        전보영(Boyoung Jeon),이혜재(Hyejae Lee),손창우(Changu Shon),김남권(Namkwon Kim),김애련(Aeryun Kim),박지은(Jieun Park),이은상(Eunsang Lee),이정화(Jeongwha Lee),최주현(Juhyun Choi) 한국농촌의학 지역보건학회 2009 농촌의학·지역보건 Vol.34 No.1

        ‘사회적 지지’는 자신이 사랑 받고 돌보아진다고 믿게 하는 정보로서 인지적ㆍ심리적 안정을 도우며 개인의 대응역량을 높여준다. 노인에 대한 사회적 지지는 심혈관 질환 등으로 인한 사망률에 영향을 주고, 우울증을 감소시키고, 스트레스와 우울 사이에 완충 역할을 하며, 건강행태 또한 사회적 맥락 속에서 결정된다고 알려져 있다. 우리나라는 노령인구의 농촌 편중 하에서, 농촌 노인들은 사회적 지지 측면에서도 도시 노인들보다 취약한 것으로 나타났다. 이에 본 연구의 목적은 일부 농촌지역 노인들을 대상으로 사회적 지지와 건강수준 및 건강행태와의 관련성을 알아 보기 위함이다. 연구대상은 강원도 춘천시 동산면 군자리에 거주하는 60세 이상 노인들 중 설문에 응한 총 79명이며, 2008년 6월 23일부터 29일까지 구조화된 설문지를 이용하여 직접면접조사를 하였다. 독립변수는 ‘가족 수, 가족과의 관계, 친한 친구 수, 참여모임 여부 및 사회적 지지 점수(MOS-SSS 수정)’로 하였고, 이에 따른 신체적 건강 즉, 주관적 건강과 만성질환 유무 그리고 정신적 건강으로 우울증을, 건강행태로 흡연, 음주, 규칙적인 운동, 숙면, 아침식사 여부와의 관계를 분석하였다. 대상 인구의 평균 연령은 72.0±7.0세 이고, 사회적 지지 점수는 20점 만점에서 평균 14.3±4.7점이었다. 정신적 건강의 SGDS 점수 측정결과 전체인구의 36.3%가 우울성향을 보였다. 건강수준에 영향을 준 요인으로서, 사회적 지지 점수가 다를때 우울 성향(p<0.001)과 운동여부(0.031)에서 유의한 차이가 있었다. 가족관계가 보통인 군에서 좋은 군보다 주관적으로 느끼는 건강수준이 낮고(OR=0.25, 95% CI=0.07-0.95), 숙면을 취하는 정도가 더 낮았다(OR=0.21, 95% CI=0.06-0.73). 친한 친구가 없는 군은 친한 친구 수가 5명 이상인 군에 비해 규칙적인 운동을 하는 경우가 더 낮았고(OR=0.21, 95% CI=0.05-0.94), 참여모임이 없는 사람은 참여모임이 있는 사람보다 ‘우울’로 나타남이 유의하게 높았다(OR=4.79, 95% CI=1.62-14.15). 이 연구를 통해 사회적 지지 점수 및 가족관계, 친구 수, 참여모임 수 등으로 대변되는 사회적 지지가 농촌 노인의 건강수준 및 건강행태와 관련이 있음을 알 수 있었다. 따라서 농촌 노인들의 건강증진을 위해서 사회적 지지를 고취시킬 수 있는 노력이 필요하겠다. Objective: The objective of this study was to evaluate the association of social support with health status and health behavior. Methods: This study was conducted with 79 elderly people in Gunja-ri, Dongsan-myun, Chuncheon. We performed face to face interview which was composed of socio-demographic characteristics, social support, health status and health behavior. The association between social support and result variables was analysed by Chi-square test and logistic regression. We used SAS ver9.1 for statistic analysis. Results: Mean age of the study population was 72.0±7.0, social support score was 14.3±4.7 with full marks of 20 and 36.25% of the total population were shown to have depression. When the social support score was changed, depression (p=0.0007) and physical exercise (p=0.0312) showed significant difference. The self-rated health status was significantly related to the relationship with family members (OR=0.25, 95% CI=0.07-0.95) and the quality of sleep was also significantly associated to the relationship with family members (OR=0.21, 95% CI=0.06-0.73). The physical exercise was done significantly less in the group ‘without’ close friends than in the group with ‘many’ close friends (OR=0.21, 95% CI=0.05-0.94) and the depression was significantly more in the group without community participation than in the group with community participation (OR=4.79, 95% CI=1.62-14.15). Conclusions: Through this study, we could conclude that the social support factors are associated with health status and health behavior. Therefore, to improve the health status of rural elderly, we need to approach to develop social support.

      • KCI등재

        장애노인의 의료이용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

        전보영(Boyoung Jeon),권순만(Soonman Kwon),이혜재(Hyejae Lee),김홍수(Hongsoo Kim) 한국노년학회 2011 한국노년학 Vol.31 No.1

        본 연구는 Andersen의 의료서비스 이용에 관한 행동모형을 근거로 2008년 장애인실태조사 자료를 분석하여, 만 65세 이상 장애노인의 외래 및 입원이용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을 파악하고자 하였다. 연구방법은 two-part 모델을 활용하여 장애노인의 외래 및 입원 이용 여부에 대해서는 로지스틱 회귀분석을, 의료 이용량 및 의료비 지출에 대해서는 다중 회귀분석을 실시하였다. 분석결과 외래와 입원의 이용에 공통적으로 만성질환과 주관적 건강상태 등의 질병요인의 영향이 유의하였고, 의료비 지출에는 의료보장 유형이 결정적 역할을 하고 있었다. 외래에서는 신장장애를 가졌을 때 이용량과 지출이 높았고, 입원에서는 일상생활의 수행에 도움이 필요할 때 입원일수가 증가하였으며, 심장장애와 호흡기장애를 가진 경우 입원료 지출이 유의하게 높았다. 이상의 결과 는 장애노인들에게 만성질환 이환이나 일상생활 활동의 전적인 의존을 예방하는 보건의료 서비스의 제공, 의 료이용이 높은 내부 장애를 가진 노인에 대한 지속적 보건관리체계의 구축, 그리고 저소득층 장애노인의 보건 의료 접근성 향상을 위한 경제적 지원의 필요성을 시사한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xamine the factors associated with the probability and levels of the health service utilization among the disabled elderly in Korea. The sample includes 2,111 people older than 65 who are extracted from the 2008 National Survey on People with Disabilities. More than half (54.3%) of the sample experienced at least 1 outpatient physician visit within two weeks and 26.7% were hospitalized within a year. The key factors associated with the outpatient visits were health insurance status, the existence of chronic disease, self-rated health, the Activities of Daily Living (ADLs), as well as renal impairment. Similarly, the utilization of inpatient care was related to health insurance status along with the existence of the internal organ disabilities such as cardiac or respiratory disorders. The study implies the need for the health care policies regarding the prevention of chronic diseases, dependency for daily activities of the elderly, and a management system that specifically targets those with internal organ disabilities. Moreover, the study suggests that financial supports for the low-income group would be helpful to increase their access to health service utilization.

      • KCI등재

        장애인과 건강보험인구의 다빈도 상병과 진료비 비교: 시각, 청각, 지적장애를 중심으로

        조유송 ( Yusong Cho ),한은아 ( Eunah Han ),전보영 ( Boyoung Jeon ),이혜재 ( Hyejae Lee ) 한국보건경제정책학회 2022 보건경제와 정책연구 Vol.28 No.1

        장애인은 비장애인에 비해 더 많은 건강문제를 갖는다. 장애인이 어떤 질환을 앓고 있으며, 이를 관리하기 위해 지출하는 의료비의 현황을 살펴보는 것은 장애인의 보건정책을 마련하는 데 중요한 기초자료이다. 본 연구는 장애인의 다빈도질환별 의료비 지출 현황을 일반인구와 비교하고 후속연구와 장애인 보건정책을 위한 기초근거를 제공함을 목적으로 한다. 자료원으로 국가승인통계인 ‘장애인건강보건통계’와 ‘건강보험통계’를 사용하였으며, 다빈도 상병별 의료비 지출에 대한 통계지표를 동일한 정의 하에 재구성하여 비교하였다. 특히 시각, 청각, 지적장애인들은 비장애인과 동일한 만성질환을 앓게 되어도 의사소통의 문제로 적절한 예방, 치료 및 재활에 어려움을 겪어 정책적 대상이 되는바, 전체 장애인에 대한 결과와 함께 이들 장애유형별 결과를 제시하였다. 그 결과 장애인구에서 건강보험인구에 비해 근골격계 상병과 치과계 상병을 앓고 있는 경우가 많았다. 반면 장애인은 건강보험인구에 비해 동일 상병에 대한 1인당 진료비 지출 수준이 낮았고, 본인부담 비율도 낮았다. 각 장애유형에 따라 다빈도 상병 및 지출은 다른 양상을 보였는데, 시각장애인에서는 녹내장과 기타 망막장애가, 청각장애인에서는 전음성 감각신경성 청력소실이, 지적장애인에서는 뇌전증으로 인한 의료이용과 이로 인한 의료비 지출 수준이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이 연구에서는 기 구축된 국가승인통계를 재구성하여 장애인의 다빈도 상병과 의료비 지출에 대한 시사점을 도출하였으며, 이 결과로 향후 필요한 심층연구를 제안하였다는데 의미가 있다. People with disabilities have more health problems than people without disabilities, and it is important to look at the patterns of medical expenses of them.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compare the medical costs by diagnostic code between the people with disabilities and the general population, and to provide a basis for further research and policies for the disabled focusing on the visual, hearing, and intellectual disabilities. As data sources, the nationally approved statistics, ‘Healthcare Statistics of Persons with Disabilities’ and ‘National Health Insurance (NHI) Statistics’ were used, and the statistics for medical costs by diagnostic code were re-constructed under the same definition and compared. There were more cases of musculoskeletal morbidity and dental morbidity in the disabled people than in the health insurance population. Compared to the NHI population, the disabled had lower medical costs per capita for the same disease, and their out-of-pocket payments were also lower. Some diagnostic codes, which are closely related to the type of disability, such as ‘glaucoma(H40)’ for the visually disabled, ‘conductive and sensorineural hearing loss(H90)’ for the hearing disabled, and ‘epilepsy(G40)’ for the intellectually disabled, ranked higher than in the NHI population, and the expenditures of the diseases were large. In this study, the implications for the frequent morbidity and medical costs of the disabled were derived by re-constructing the previously developed statistics, and it is meaningful that further researches can be proposed.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