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고고도 장기체공 무인비행체의 특성을 고려한 사이징 프로세스에 관한 연구
전권수,양정아,이지헌,진성현,이재우,김상호,나승혁 한국항공우주학회 2014 한국항공우주학회 학술발표회 논문집 Vol.2014 No.11
항공기의 사이징 과정은 항공기의 전반적인 크기를 결정하는 중요한 과정으로 관련 성능지수 중에서도 공력과 추진 성능이 이를 직접적으로 좌우한다. 본 연구에서는 고고도에서 장시간 체공하는 무인비행체의 특성을 분석하고 이를 바탕으로 사이징 프로세스를 정립하였다. 정립된 사이징 프로세스를 통해 도출된 사이징 결과를 기존의 유사 무인비행체와 비교, 이를 통해 그 타당성을 확인하였다. The sizing process of aircraft is an important procedure and among the performance parameters, aerodynamics and propulsion performance directly affect on the sizing results. In this study, we analyzed the characteristics of the HALE(High Altitude Long Endurance) UAV. And with these results, the sizing process for this type of UAV was developed. The sizing results from the developed sizing process were compared with those of the similar unmanned aircraft, It could be confirmed the validity of the developed sizing process in this study.
전권수,이재우,남화진,서정재 한국항공우주학회 2013 한국항공우주학회 학술발표회 논문집 Vol.2013 No.11
항공기 설계에서 사이징은 항공기의 전반적인 크기를 결정하는 중요한 과정이다. 사이징 과정에 관련된 여러 가지 성능지수 중에서도 공력과 추진 성능은 항공기의 크기를 직접적으로 좌우한다. 그러나 추진 시스템 없이 무동력 활공을 통해 목표까지 비행하며 일반적인 항공기와 다른 특징을 가지고 있는 활공비행체의 경우, 일반적인 항공기의 사이징 과정을 그대로 적용할 수 없다. 본 연구에서는 이러한 특성을 분석하여 활공비행체에 대한 사이징 프로세스를 정립하였다. 정립된 사이징 프로세스는 활공비행체 사이징 예제에 적용하여 최적설계 결과를 도출함으로써 그 타당성을 확인하였다. The sizing process is a most important procedure to define the overall size of aircraft in the aircraft design. In the several parameters related to the sizing procedure, the aircraft"s size is directly influenced by aerodynamics and propulsion performance. However, compared with the general aircraft, the Unmanned Gliding Vehicle has no propulsion system and there are some unique characteristics. Hence it is impossible to apply sizing process of general aircraft for the Unmanned Gliding Vehicle sizing. In this study, we analyzed these characteristics and developed the sizing process for the Unmanned Gliding Vehicle. Using developed sizing process, the sizing example for the Unmanned Gliding Vehicle was performed and the sizing results were obtained. With these results, It has shown that the proposed sizing process in this study be well applied to the Unmanned Gliding Vehicle sizing.
전권수,정연기,이재우 한국항공우주학회 2015 한국항공우주학회 학술발표회 논문집 Vol.2015 No.4
복합비행체는 기존의 회전익 및 고정익 항공기의 절충한 형태를 한 새로운 개념의 비행체이다. 복합비행체는 기존의 항공기가 비행하기 어려운 영역에서도 운용이 가능하기 때문에 향후 여러 분야에서 각광 받는 비행체의 형태라고 사료된다. 이에 본 논문에서는 이러한 복합비행체의 개념과 기술동향, 그리고 향후 전망에 대해 제시하고자 한다. The compound aircraft is a new concept air vehicle which is a the trade-off of conventional rotorcraft and fixed wing aircraft. The compound aircraft has a flying capability that the conventional aircraft can not flight. Therefore it is considered a concept of future aircraft spotlighted in many areas. In this paper, it is proposed the concept of the compound aircraft, technology trends, and the future prospects.
항공기 개념설계를 위한 천음속 영역의 공력특성 예측에 관한 연구
전권수,김상진,이재우,변영환 건국대학교 산업기술연구원 2000 건국기술연구논문지 Vol.25 No.-
During the aircraft conceptual design phase, rapid aerodynamic analyses over various configurations are required. Hence, empirical and analytic techniques play important roles in estimating the aerodynamic characteristics. In this study, the aerodynamic characteristic estimation technique for transonic region based on empirical and analytical is developed. By comparing with the results of the wind tunnel experiment and existing prediction method, it is verified that the present method is accurate and useful.