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척수손상장애인을 위한 핸드바이크 개발 및 운동프로토콜 검증

        장완호,양승완,최원석,김종배 한국전시산업융합연구원 2018 한국과학예술융합학회 Vol.36 No.-

        In this study, we developed a hand-bike for people with spinal cord injuries, presented the exercise protocol of the hand-bike, and verified it using various indicators. People with spinal cord injuries lose their motor and sensory functions due to illness or accident. There is lack of exercise due to functional impairment, complications occur and health care difficulties are experienced. Therefore, this study developed a hand-bike for people with spinal cord injuries. To develop the hand-bike, we used data related to the disability. We also proposed a exercise protocol for practical use of hand-bikes. Three spinal cord injury patients participated in the experiment to verify the exercise protocol. To determine the appropriate exercise protocol, the parameters were assessed using the range of pulse normal range, perceived exertion, usability, and satisfaction. The results and contents of the study are as follows. First, the design of the hand-bike was developed by utilizing the data related to the people with disability. Secondly, we did not focus on the development of exercise equipment, but suggested exercise protocol for practical use. Through the verification index, we confirmed that the exercise protocol is within the normal range. Third, usability and satisfaction were assessed from the point of view of the people with spinal cord injury as the main user. Fourth, it is considered that the present study, which is focused on the public use range of the handbike and the exercise function, has enough meaning in the extension line of the previous studies. Overall, usability and satisfaction scores were high. The number of subjects will be increased in the future and a systematic verification index study will be necessary. 본 연구는 척수손상장애인을 위한 핸드바이크를 개 발하고, 제작된 핸드바이크에 관한 운동프로토콜을 제 시하였고, 다양한 지표들을 활용하여 검증하였다. 척 수손상장애인은 질병 또는 사고로 인해 운동기능 및 감각기능이 상실된다. 기능 손상으로 인해 운동이 부 족하고, 합병증이 발생하여 건강관리의 어려움을 겪고 있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척수손상장애인을 위한 핸드바이크를 개발하였다. 핸드바이크를 개발하기 위 해 장애인 관련 데이터를 활용하였다. 또한 핸드바이 크를 실제로 사용하기 위한 운동프로토콜을 제시하였 다. 운동프로토콜을 검증하기 위해 3명의 척수손상장 애인이 실험에 참가하였다. 그리고 적절한 운동프로토 콜 여부를 판단하기 위해 맥박 정상범위, 운동자각도, 사용성 척도, 만족도 평가를 통해 지표들을 조사하였 다. 연구결과 및 내용은 다음과 같다. 첫째, 핸드바이 크의 디자인은 실제 장애인 데이터를 활용하여 개발 하여 완성도를 높였다. 둘 째, 운동기기 개발에만 초 점을 두지 않고, 실제 활용하기 위한 운동프로토콜을 제시하였다. 검증 지표를 통해 운동프로토콜이 정상 범위 내에 존재하는 것을 확인하였다. 셋 째, 주 사용 자인 척수손상장애인 관점에서 검증하기 위해 사용성 및 만족도 평가를 실시하였고, 전체적으로 사용성 및 만족도 점수가 높았다. 넷 째, 핸드바이크의 대중적 사용범위와 운동기능성 위주로 진행된 본 연구는 선 행연구들의 연장선상에서도 충분히 의미를 갖는다고 사료된다. 추후 대상자 수를 늘리고, 체계적인 검증 지표 연구가 필요할 것으로 사료된다.

      • KCI등재

        가정방문작업치료 중재를 실시한 무작위대조군실험연구에 관한 체계적 고찰

        장완호,황수빈,문광태,최원석,김종배 대한작업치료학회 2019 대한작업치료학회지 Vol.27 No.2

        목적 : 본 연구는 가정방문작업치료 중재 중 무작위대조군실험연구를 중심으로 가정방문작업치료의 대상 자, 평가도구, 중재기간 및 효과성을 알아보고자 하였다. 연구방법 : 문헌선택과정은 Preferred Reporting Items for Systematic Reviews and Meta-Analyses (PRISMA)방법을 통해 진행되었다. 데이터베이스는 Pubmed, Medline, CINAHL, EMbase를 이용하였 다. 비뚤림 위험 평가도구로 문헌의 질을 평가하였다. 최종적으로 선별된 가정방문작업치료 무작위대조 군실험연구의 문헌 수는 총 8편이었다. 결과 : 가정방문작업치료 중재를 실시한 무작위대조군실험연구의 대상자는 뇌졸중, 치매, 노인이 각각 2편 이었으며, 척수손상과 외상성뇌손상 환자가 1편으로 조사되었다. 가정방문작업치료의 기간은 평균 10주, 횟수는 평균 7회로 조사되었다. 사용된 평가도구는 영역별로 운동기능 5편, 낙상 4편, 일상생활활동 2 편, 보호자의 부담 2편, 우울증, 욕창, 삶의 질에 대한 평가가 각각 1편씩 조사되었다. 가정방문작업치료 의 효과는 운동기능 향상, 일상생활활동 증진, 낙상예방, 우울증상 및 보호자 부담의 감소 등 다양하게 보고되었다. 결론 : 해외의 가정방문작업치료의 체계적인 중재와 연구방법이 이루어지고 있으며, 국내에서도 가정방문작업 치료의 질적 및 양적 향상을 위해 제도적 틀이 마련되어야 한다. 본 연구는 국내 가정방문작업치료의 중재전 략을 세우는 데 있어 기초자료로 활용될 뿐만 아니라 제도적 도입의 근거로 활용되기를 기대한다. Objective: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dentify the effects, duration of intervention, outcome measurements, and subjects of home based occupational therapy with randomized controlled trial Methods: The literature selection process was conducted through the Preferred Reporting Items for Systematic Reviews and Meta-Analyses(PRISMA) method. The databases were collected using Pubmed, Medline, CINAHL, and EMbase. The quality of the literature was assessed using a bias risk assessment tool. Finally, 8 RCTs studies were selected for home based occupational therapy. Results: Among the randomized controlled studies that conducted interventions on home-based occupational therapy, there were two papers each for stroke, dementia, elderly person and one for spinal cord injury and traumatic brain injury. The average duration of home-based occupational therapy was 10 weeks, and the average number of visits was seven. Five outcome measurements were used for the motor function, four for falls, two for activities of daily living, two for care giver burden, and one for depression, pressure ulcer, and quality of life. The various effects of home-based occupational therapy were reported as improvements in motor functionality, activities of daily living, and prevention of falls, and a reduction of the depression symptoms and care giver burden. Conclusions: The systematic intervention and research methods of home based occupational therapy abroad are being conducted, and an institutional framework should be established in order to improve the quality and quantity of home based occupational therapy in Korea. This study is expected to be utilized not only as basic data for establishing the intervention strategy for domestic home based occupational therapy but also as a basis for institutional evidence.

      • KCI등재

        장애인아이스하키선수의 맞춤형 착석시스템 개발 및사용자 만족도에 관한 파일럿 스터디

        장완호,최원석,김종배 한국전시산업융합연구원 2018 한국과학예술융합학회 Vol.32 No.-

        This study was started to improve the performance of 2018 PyeongChang Paralympics and to bring out results of excellent score.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develop a customized seating system for the national ice hockey player with disabled and to evaluate the satisfaction of the product and service process. Therefore, firstly in this study the theoretical basis of the custom seating system was established through the literature survey and the game observation, and based on this, the two national ice hockey players with disabled were selected as subjects and the requirements were identified, We developed a custom seating system using scanning and modeling data. We conducted K-QUEST 2.0 to investigate the satisfaction of developed products and services. The results and contents of the study are as follows. First, satisfaction with customized seating system service was higher than general type seating system service. Especially, the service delivery process and the service sector by experts showed the highest satisfaction. Second, the customized seating system developed by this study is generally more satisfactory than the conventional seating system. However, in this study, the results were difficult to generalize because two subjects were selected for the experiment. Therefore, it is necessary to conduct experiments on a large number of subjects in the future based on these results, and to study the effect of motion analysis on exercise patterns and physiological changes. 본 연구는 2018 평창패럴림픽의 경기력 향상 및 우수한 경기결과를 이끌어 내고자 시작되었다. 본 연구의 목적은 장애인아이스하키 국가대표선수를 대상으로 맞춤형 착석시스템을 개발하여, 제품과 서비스과정의 만족도에 대해 알아보고자 한다. 따라서 본 논문은 먼저 문헌조사 및 경기관찰을 통해 맞춤형 착석시스템의 이론적 근거를 마련하였고, 이를 바탕으로 장애인 아이스하키 국가대표 선수 2명을 피험자로 선정하여 요구사항을 파악하고, 신체를 형상화한 후 3D스캔 및 모델링데이터를 활용하여 맞춤형 착석시스템을개발하였다. 개발된 제품과 서비스의 만족도를 조사하기 위해 K-QUEST 2.0을 실시하였다. 연구결과 및내용은 다음과 같다. 첫째, 맞춤형 착석시스템 서비스에 관한 만족도는 전반적으로 기성형 착석시스템서비스에 비해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특히, 서비스전달과정과 전문가에 의한 서비스 부문이 가장 높은 만족도를 보였다. 둘째, 이 연구로 개발된 맞춤형 착석시스템 역시 기성형 착석시스템에 비해 대체적으로 만족도가 높았다.

      • KCI등재

        휠체어 사용자의 욕창 예방을 위한 센서 기반 방석에 대한 고찰

        장완호 대한보조공학기술학회 2023 대한보조공학기술학회지 Vol.15 No.1

        Objective :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the target subjects, number, and location of sensors by analyzing the prior literature on sensor-based cushions for the prevention of pressure ulcers in wheelchair users. Methods : Papers published from 2010 to 2021 in databases such as IEEE Xplore, PubMed, and Embase were selected based on the selection criteria through the PRISMA (Preferred Reporting Items for Systematic Review and Meta-Analysis) research method. Finally, a total of 9 articles were selected and each article was analyzed. Finally, a total of 9 papers were selected, and each article was analyzed. Results : As for the characteristics of the study subjects, 4 studies were conducted on patients with spinal cord injury, and 3 were reported for healthy people and 1 for patients with multiple sclerosis. The number of subjects ranged from 8 to 32 for people without disabilities and from 1 to 17 for people with disabilities. The number of sensors was reported to vary from 3 to 1024. Although the studies in which the sensor was mainly inserted only in the cushion were investigated, there were two studies in which the sensor was also inserted in the backrest. Visualized data are also presented so that the location of the sensor can be easily identified. Most studies classified the sitting posture or activity level, and the accuracy of the devices used was high. Conclusions : When designing a sensor-based cushion, the location of the sensor should consider the area where pressure ulcers mainly occur, and it is considered that information about the risk of pressure ulcers should be provided through an alarm system in addition to pressure measurement. It is considered that factors considering the characteristics of the client should be reflected in the product, and the professional service of the clinician should also be provided. Client-centered and evidence-based approaches are also important factors in the development and intervention of sensor-based cushions. This study is expected to be utilized as basic data in the development of sensor-based cushions.

      • KCI등재

        심결전치주의 실효성 제고를 위한 심결취소소송의 심리범위 개선방안

        장완호 한국지식재산학회 2016 産業財産權 Vol.- No.50

        우리나라 특허법 제186조에는 소위 ‘심결전치주의’를 규정하여 특허심판을 청구할 수 있는 사항에 대한 것은 특허법원을 거치기 전에 반드시 특허심판원을 거치도록 하였다. 이는 특허 사건의 기술적 전문성을 고려하여 법원을 거치기 전에 반드시 기술적 전문가로 구성된 특허심판원의 판단을 거치도록 함으로써 특허사건 분쟁을 적절하고 효율적으로 해결하기 위한 것이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심결취소소송에서 심리범위에 제한이 없다는 대법원 판결 이후 특허심판원 단계에서 제출하지 않은 특허무효 증거를 심결취소소송 단계인 특허법원에 새롭게 제출한 경우도 법원에서 이를 받아들여 심리를 진행하고 있다. 이는 당초 심결전치주의를 도입한 취지에 어긋나는 것이며 일사부재리 조항 등 특허법 규정과 조화되지 못할 뿐만 아니라 제도적인 측면에서도 많은 비효율성과 문제점을 안고 있다. 심리범위 무제한 방식은 권리자의 전심경유의 이익을 박탈하게 되고 무효증거에 대해서 사실심을 특허법원에서 한번만 거치게 되어 적정판결을 담보하기 어렵다는 문제가 있다. 또한 법원단계에서 새로운 증거 제출이 자유롭기 때문에 특허심판원에서 당사자가 증거제출에 최선을 다하지 않는 경향이 있고 실제로 심판원에서는 특허가 유효로 판단되어도 법원단계에서 새로운 증거가 제출되어 무효로 결과가 번복되는 사례가 빈번하다. 또한 기회균등 차원에서 권리자에게는 소송단계에서 특허를 정정하는 정정심판을 허용하고 있는데 이는 분쟁이 장기화되는 또 다른 이유가 되고 있다. 무제한적 심리범위 관행이나 정정심판제도는 중소기업 입장에서는 비용과 시간이 과다하게 소요되어 매우 불리한 구조이다. 법원단계에서 새로운 증거제출을 제한하고 동시에 특허권자의 특허권 정정도 제한함으로써 당사자로 하여금 심판단계에서 최선을 다해 공방하도록 하면 분쟁이 조기에 해결되고 제소율과 상고율도 낮아질 것이다. 법원단계에서 증거제출을 제한하는 방식이 궁극적으로는 분쟁을 빠르고 적은 비용으로 해결하는 데 유리하다는 것은 미국, 일본, 중국 등 외국의 사례나 국내적 상황을 볼 때 명확하다. 또한 미국 CAFC에서는 PTAB이나 지방법원 사건을 심리할 때 하급심의 사실판단을 존중하는 관행(judicial deference)을 정립하고 있고, 특허무효를 판단함에 있어서도 PTAB과 지방법원에서 입증책임의 정도를 달리하여 적용하고 있는데 이러한 관행은 분쟁에 대한 예측가능성과 권리에 대한 법적안정성을 도모하는데 유리하여 우리나라에도 많은 참고가 될 수 있다. 심리범위를 제한하기 위한 특허법 개정방안은 특허법 제186조 등을 개정하여 심결취소소송단계에서 새로운 증거제출을 하지 못하도록 직접적으로 제한하는 방안과 소송단계에서 새로운 증거가 제출된 경우 해당 사건을 특허심판원으로 환송하는 방안을 고려할 수 있다. 또한 특허법 제136조 등을 개정하여 무효심판사건이 계속 중인 경우는 특허심판원 단계에서만 특허권 정정이 가능하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2016년부터 심결취소소송과 침해소송 항소심 관할이 특허법원으로 단일화되었다. 이제는 특허법원이 새로운 환경에 부응하는 위상과 역할을 정립해야 될 시점이 되었다. 그러나 현재와 같이 새로운 증거를 특허법원이 처음부터 파악하고 판단하여 사건을 해결하는 방식으로는 한계가 있다. 새로운 증거, 기술적인 문제 등에 관해서는 모두 특허심판원의 판단을 거치도록 하고 특허법원은 특허심판원의 판단에 명백한 오류가 있는지 여부를 판단하여 사건 해결의 적정성과 신속성을 도모하고 주요 법률적 쟁점에 관한 검토에 주력하여 특허분야에 관한 일반적․통일적 기준을 제시하는 역할에 충실하도록 역할분담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The Article 186 of the Korean Patent Act requires that patent-invalidation cases should be first heard by the Intellectual Property Trial and Appeal Board (IPTAB) before being taken to the Patent Court. It was introduced to resolve patent-related disputes properly and efficiently by having the IPTAB - comprised of technical experts - review the cases before they are proceeded to the court. However, the Supreme Court ruled that a plaintiff is allowed to submit new evidence and reason to invalidate the patent at the Patent Court which was not presented at the trial stage of IPTAB. It brings about a few issues. It is inconsistent with the intent of the article 186, as well as the double jeopardy rule of the article 163 of the Korean Patent Act. Well-founded judgment by the court is also hard to be guaranteed because the fact and evidence newly presented may be reviewed only once by the Patent Court without IPTAB’s review. It is often to see the IPTAB’s decisions affirming the validity of patent claims being reversed by the Patent Court, due to the newly presented evidence. It is allowed for patentees to amend the patent during litigation as a defense to the submission of new evidence of plaintiff. The amendment makes the litigation process delay which cost lots of time and money. Such practices as presenting new evidence and amending patents in the Patent Court are likely abused by large companies, and leads small and medium companies to facing high cost and long length of time that are often unaffordable. Therefore, it is necessary to restrict submitting of new evidence and amending patents at the Patent Court. The parties will then naturally direct their focus on the IPTAB proceedings, which will decrease the rate of appeal. It should be noted that the U.S., Japan and China all agree that bringing new evidence to the court during litigation is hardly accepted because it weakens the role and function of the trail and appeal board and makes the whole patent trial and litigation process inefficient. When the US Court of Appeals for the Federal Circuit (CAFC) reviewing appellate cases against the district court decisions, the Court applies the clearly erroneous standard to the findings of facts; and if the cases are brought from the PTAB the substantial evidence standard is applied by the Court. In addition, while the PTAB applies the preponderance-of-evidence standard, the court applies the clear-and-convincing-evidence standard in determining invalidity of patent. Such judicial deference practices on lower court and PTAB may help to improve the predictability of dispute resolution and stability of legal rights of patent. Starting 2016, all the appeals against the decisions both of IPTAB trials and infringement litigations of district court must be brought to the Patent Court. It is necessary that the IPTAB and Patent Court may re-establish their proper roles and responsibilities according to new environment. The IPTAB shall review all the technical issues and related evidence in full and the Patent Court shall look into whether there is a clear error in the judgment process at the IPTAB. Also the Patent Court shall put its focus on reviewing legal matter of the cases and providing a unified common standards. It is time to forward a revision of patent act to make the patent trial and litigation system more legitimate and efficient.

      • KCI등재SCOPUS
      • KCI등재

        CAD/CAM 기술을 활용한 아이스슬레지하키의 맞춤형 버킷 디자인 연구

        장완호(Jang, Wan Ho),김정현(Kim, Jeong Hyun),김종배(Kim, Jong Bae) 한국전시산업융합연구원 2016 한국과학예술융합학회 Vol.26 No.-

        본 연구는 CAD/CAM 기술을 기반으로 아이스슬레지하키 버킷 디자인을 개발하고자 하였다. 대상자는 국가대표 아이스슬레지하키 선수였으며, 척수손상장애인이었다. 아이스슬레지하키에서 버킷은 매우 중요한 요소임에도 불구하고 대부분의 선수들은 기성품을 사용하여 신체에 맞지 않고, 경기력 저하를 가져왔다. 또한 장애인 선수의 허벅지, 골반측면, 엉덩이, 꼬리뼈 등에 피부손상을 야기했다. 버킷 제작은 개인별 장애유형 및 특성에 따라 신체구조 및 기능이 다르기 때문에 맞춤형으로 제작되어야 한다. 특히, 척수손상장애인과 절단장애인의 경우 무게중심이 다르기 때문에 버킷 지지면의 형태가 다르게 디자인되어야 한다. 따라서 의학, 공학, 디자인을 융합한 연구가 실시되었다. 인간공학적인 디자인을 적용하기 위해 대상자의 좌면을 취형하고, 이를 스캔해서 3차원 인체형상 데이터를 추출하였다. 추출된 데이터 및 장애특성을 기반으로 CAD/CAM 기술을 활용하여 버킷을 디자인하였다. 이 과정은 기존 수작업 공정에 비해 더 효율적이다. 그 후 가공계획을 세우고, NC프로그래밍을 거쳐 모의가공을 실시하였다. 가공시간을 단축하기 위해 전체적인 형상은 황삭가공으로 설정하고, 정삭가공은 정밀하게 절삭이 요구되는 좌면만을 설정하였다. 모의가공 검증 후 NC가공기계로 맞춤형 버킷을 제작하였다. 본 연구는 아이스슬레지 버킷 디자인과 관련된 국내 연구가 부족하기 때문에 CAD/CAM 기술을 활용한 맞춤형 아이스슬레지 버킷 개발에 대한 기초연구가 될 것으로 사료된다. 추후 연구에서는 대상자 수를 늘려서 수행할 필요가 있으며, 사용성 평가를 실시하여 효율성, 효과성, 만족도에 대한 연구가 필요하다. 그리고 이 연구를 바탕으로 다른 장애인 종목에도 적용하는 것이 필요하다. The purpose of the study was to develop ice sledge hockey bucket design based on CAD/CAM technology. A subject was a national ice sledge hockey player with spinal cord injury. Although the bucket of ice sledge hockey is a very important factor, most of the athletes with disabilities using ready-made items not fit to the body resulting in poor performance. It also caused skin damage to the thighs, pelvis sides, hips, and coccyx area of athletes with disabilities. The development of bucket design should be customized because the body structure and function are different in accordance with the types and characteristics of the individual disabilities. In particular, people with spinal cord injury and amputation must be designed to have different shapes of bucket support surfaces due to different center of gravity. Therefore, the present study combining medicine, engineering, and design was conducted. To apply the ergonomic design, we molded into a seat-contacted area of the subject and scanned to extract three-dimensional human shape data. We designed the bucket using the CAD/CAM technology based on the extracted data and disability characteristics. This process was more efficient than the existing manual process. Then a process plan and NC programming were set up and simulation processing performed. In order to shorten the process time, the overall shape was set to roughing, and finishing only set the seating surface which required precise cutting. After simulation verification, customized buckets were made by NC machine. This study is expected to be a basic study on the development of customized ice sledge bucket using CAD/CAM technology because of lack of domestic studies related to ice sledge bucket design. In future research, it is necessary to increase the number of subjects, and to evaluate efficiency, effectiveness, and satisfaction using usability testing. Based on this research, it is necessary to apply it to other disabled sports.

      • KCI등재

        장애인근로자의 최저임금적용제외인가 작업능력평가를 위한 역량지표 개발 연구

        구인순,장완호 대한작업치료학회 2021 대한작업치료학회지 Vol.29 No.2

        목적 : 본 연구는 최저임금적용제외인가 작업능력평가를 위한 역량지표를 개발하여 생산성과 함께 장애인 근로자의 직무수행능력을 평가하는 데 활용하고자 한다. 연구방법 : 선행연구를 통해 장애인근로자의 작업능력평가 관련 지표를 도출한 후, 3명의 전문가의 검증을 거쳐 델파이 조사지 초안을 제작하였다. 그 후 20명의 전문가에게 델파이 연구를 통해 장애인근로자의 최저임금적용제외인가 작업능력평가를 위한 역량지표를 도출하고자 하였다. 결과 : 총 2회의 델파이 연구 결과, 인지기능, 사회기능, 작업기능, 안전보건활동 등 4개의 역량군과 숫자 처리능력, 정보활용능력 등 20개의 역량지표가 도출되었다. 결론 : 도출된 역량군 및 역량지표는 장애인근로자의 직무수행능력을 평가하는데 활용하여 최저임금적용제 외인가 작업능력평가의 타당성을 높일 수 있을 것이다. 향후 연구에서는 각 역량군과 역량지표에 대한 척도를 개발하고, 현장에 적용하여 타당도를 검증해야 할 것이다. Objective: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develop competency indicators for evaluating the work competency approved for exclusion from the application of minimum wage, and use them to evaluate the productivity and job performance of workers with disabilities. Methods: After deriving the indicators related to the workability evaluation of disabled workers through prior research, a draft of the Delphi survey was produced after verification by three experts. Next, 20 Delphi experts tried to derive competency indicators for evaluating the workability of workers with disabilities who are exempt from minimum wage application through Delphi research. Results: As a result of 2 Delphi studies, 4 competency clusters, i.e., cognitive function, social function, work function, and safety and health activities, and 20 competency indicators, including the ability to count numbers and information utilization aability, were derived. Conclusion: The derived competency clusters and competency indicators can be used to evaluate the job performance capability of workers with disabilities, thereby increasing the validity of the workability evaluation approved for exclusion from minimum wage. In future research, it is necessary to develop a scale for each competency cluster and a competency indicator, and apply it to the field to verify the validity.

      • KCI등재

        2D 스캔을 적용한 3D 프린팅 콕-업 보조기 제작 방법 개발 및 만족도 연구

        최원석,장완호,한아름,권오성,김종배 한국디자인학회 2021 디자인학연구 Vol.34 No.4

        Background This study proposes a production method of cock-up splint by 3D printing using 2D scan instead of 3D scanning and compare satisfaction with cock-up splint using 3D scanning for patients complaining of wrist pain. Methods The subjects were selected as 10 patients who complained of wrist pain due to wrist tunnel syndrome and DeQuervain Syndrome . The study used a single-blind crossover trial design and randomly assigned two groups of five. Each group was provided with a cock-up splint made by the 2D scan method and the 3D scanning method, and their satisfaction was evaluated. Results The product satisfaction and service satisfaction of the cock-up splint using the 2D scan method were higher than the cock-up splint using the 3D scanning method. As a result of test the difference in satisfaction, there was a statistically significant difference. Conclusions If the 2D scan method is used to produce customized splint with 3D printing, it is expected that a highly satisfactory cock-up splint will be produced. These results are expected to contribute to the successful rehabilitation of wrist pain patients. However, this study has limitations in generalizing the results because the number of subjects is small. Therefore, it is thought that in the future, research the effectiveness by selecting more subjects should be conducted. 연구배경 본 연구는 3D 스캐닝 대신 2D 스캔을 사용하여 3D 프린팅으로 콕-업 보조기를 제작하는 방법을 제안하고 실제 손목 통증을 호소하는 환자를 대상으로 보조기를 제작하여 3D 스캐닝을 사용한 콕-업 보조기와 만족도를 비교하고자 한다. 연구방법 연구 대상은 손목 터널 증후군과 손목 건초염으로 손목의 통증을 호소하는 10명으로 선별하였다. 연구 설계는 단일 맹검 교차 설계(single-blind crossover trial design)를 사용하였으며, 5명씩 두 그룹으로 무작위 배정하였다. 각 그룹에게 2D 스캔 방법과 3D 스캐닝 방법으로 제작된 콕-업 보조기를 제공하고 만족도를 평가하였다. 연구결과 2D 스캔 방법으로 제작된 콕-업 보조기의 제품 만족도와 서비스 만족도는 3D 스캐닝 방법으로 제작된 콕-업 보조기보다 높았으며, 만족도의 차이를 검정한 결과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수준의 차이가 있었다. 결론 2D 스캔 방법으로 제작한 콕-업 보조기의 만족도가 3D 스캐닝 방법으로 제작한 콕-업 보조기보다높았으며,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수준의 차이가 있었다. 따라서 3D 프린팅으로 맞춤형 보조기를 제작할 때 2D 스캔 방법을 활용한다면 만족도 높은 콕-업 보조기를 제작할 수 있을 것으로 예상되며, 이러한 결과는 손목 통증환자의 성공적인 재활에 기여할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 하지만 본 연구의 결과를 일반화하기에는 많은 한계점이 따른다. 따라서 3D 스캐닝을 사용하여 보조기를 제작하는 방법이 폄하되는 일은 없어야 할 것이다. 향후 연구에서는 더 많은 대상자를 선별하여 만족도와 더불어 임상적 효과성을 알아보는 연구가 진행되어야 한다고 생각된다.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