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 등재정보
        • 학술지명
        • 주제분류
        • 발행연도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전북 일부지역 대학생의 커피섭취 실태 및 인식

        장보미,이제혁,Jang, Bo-Mi,Lee, Je-Hyuk 한국식품영양학회 2019 韓國食品營養學會誌 Vol.32 No.2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conduct a survey on coffee intake habits, preference of coffee and other beverages, and awareness of caffeine in coffee by college students in some areas of Jeonbuk province. According to the survey result, 83.9% of subjects drank coffee usually, and males (46.4%) and the females (54.2%) drank coffee at school stores and coffee shops, respectively. Companions to drink coffee with were mainly friends, and frequency of coffee intake was one to two cups daily for males and females. Males and females drank coffee at any time (60.0%) and after lunch (38.7%), respectively. Most males and females drank only coffee without snacks. Males preferred more soft drinks and sports drinks than females, but females preferred more milk and dairy products, tea, and coffee than males. Coffee was consumed most frequently, among several beverages. Reasons for drinking coffee was to prevent sleepiness (64.6%), and to enjoy its taste and aroma (38.0%) for males and females, respectively. Male (47.2%) and female (73.5%) subjects could detect caffeine, and most of them could detect caffeine in coffee. Additionally, all subjects agreed that less intake of caffeine was better for their health. Based on the survey of intake habits of coffee, the university students need nutrition education relative to labeling caffeine contents in coffee and intake of caffeine, and need to make an effort to overcome the potential damage of caffeine intake.

      • KCI등재

        김영랑의 시 「모란이 피기까지는」의 음상적 특징 분석

        장보미(Jang, Bo?mi) 한국시학회 2013 한국시학연구 Vol.- No.37

        김영랑의 시는 음악성을 함유한다. 음악이 소리를 전제하고, 그 소리들이 의미의 전개를 야기하듯이 시어는 그것이 함유하고 있는 음성적 효과를 통해 시어의 의미 전개에 영향을 미친다. 그러나 지금까지 김영랑 시의 리듬은 대체로 시의 형식 측면에서 연구되었다. 시의 음악성을 밝히기 위해 시어의 길고 짧음과 같음, 반복 및 일정한 휴지가 제시되었는데, 시의 다채로운 면모를 밝히기에는 제한적인 것이었다. 소리와 의미의 기표로서 시어를 분석하는 과정은 낭독을 통한 청각적 효과와 의미의 환기, 재발화를 통한 의미의 확산이 실질적으로 시의 가치를 확인하는 의미 있는 활동이 될 것이다. 본 연구는 형식과 의미의 결합으로서의 시어의 소리 결합과 그것의 리듬 체계를 언술함으로써 시의 가치를 탐구하려 한다. 본 글은 현대시의 리듬을 규명하기 위한 지표로서 음상적 특징을 시 분석에 활용한다. 음상(音相)은 소리의 차이로 말미암은 어감의 차이를 의미하는 것으로 시의 각 분절과 구조, 주제의 성격을 가늠하는 단서가 된다. 한 편의 시를 장악하는 음상의 특성을 파악함으로써 화자의 감정과 호흡의 짜임과 함께 시의 리듬을 발견할 수 있다. 따라서 이 글에서 시의 음성적 특징, 음상 분석은 하나의 발화로서의 시를 이해하기 위한 기초 단위의 분석이 된다. 이러한 논지를 뒷받침하는 예로 본문에서는 ?모란이 피기까지는?을 분석한다. 각각 공명음과 장애음의 계열로 구성된 두 개의 동심원은 시의 분절마다 다른 배합으로, 이미지와 감각으로서의 분위기를 형성한다. 이 시에서는 공명음을 기본 단위로 하여 장애음의 빈도가 증가할수록 화자의 호흡과 긴장의 정도가 달라진다. 두 개의 동심원으로 표현된 음성적 자질들의 배합이 주제 표현을 위한 의미 형성을 돕는 것이다. 시적 언어의 형식으로서 음성적 자질들은 의미 자질을 내포한다. 소리를 전제한 시어는 청각적 요건뿐만이 아니라 주제를 구현하기 위한 위치와 의미 자질을 전제한다. 이 점에서 시를 지배하는 의미의 최소 단위로서의 음상적 특징을 분석하는 것이 흐름으로서의 시의 리듬을 밝히는 실마리라 본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show that a rhythm is combination of meaning and form in Kim yeong-rang’s poem. When we consider the process of poetic diction"s vocalization, sound feature is the key to determine rhythm that controls over poem’s meaning and tone. The previous discussions noted a foot for sense of stability while reciting a poem. That means harmonious auditory characteristic makes a poetic beauty, but the balance of sound is not everything in poem’s musicality. Sounds, basic elements of a subject in a poem, are designated in their own places not separating form and meaning. Especially, the harmony of sound is not the only way to create poetic esthetic in the modern poetry. Thus, previous theories have a limitation that cannot be to analyze the whole structure of a poem. Till the peonies bloom produces a rhythm through the placement of sonorant and obstruent. Sonorant makes a soft sound with positive vowel harmony. In contrast, Obstruent produces grave sound with passive vowel harmony. Poetic languages obtain sound images depending on sound characters. Similarly, every sound image is connected with other senses and meaning structure. For that reason, the poetic narrator’s dictions express his emotion. In Till the peonies bloom, both sonorant and obstruent comprising its structures interact each other. In last line, two sounds are mixed and combined with their sound images for realize main topic. In this poem, two different sounds make the narrator’s breath. Arrangement of sonorant shows the mellow stream, and that of obstruents display fast breathe. The gradual flow of aspiration is based on a lot of nasal and liquid sound in poetic diction. In contrast, rough curve is based on aspirated consonant, tense consonant which are belonged to obstruents. Two sound streams control the poem’s mood depending on sound frequency. Among these curves, first line and last line have a similar syntax. The Last one expands a meaning of first by removing the boundary of seasonal circulation, beauty and sadness. Poetic narrator gets a maturation of consciousness trough that meaning expansion. An echo symptom is originated in rhythm of verse. Not a simple repetition but producing difference, makes for the second articulation according to comprehension of poetic symbol. A result of this thesis is the new condition of rhythm. The two concentric circles create an aesthetic value depending on fusion of content and form. Sonorant"s circle and obstruent’s circle make upsurge of sentiment and tension of breathing in this poem. Rhythm is not a perfect means of analyzing musical form in the poem. In process of poetic creation, sound image, sense, progression of meaning, and topic determinate placement of phonemes. So, rhythm is not an accent or a beat. Therefore, sound qualification which reflects meaning and structure is the new way of analyzing rhythm. That is the main thrust of this study.

      • KCI등재

        서정주의 시 「귀촉도」의 음상(音相) 분포 분석

        장보미 ( Bo Mi Jang ) 고려대학교 민족문화연구원 2014 民族文化硏究 Vol.62 No.-

        이 연구는 서정주의 시 「귀촉도」의 리듬을 탐구하기 위해 음상의 형태와 분포를 분석한다. 리듬은 소리와 의미의 결합 그리고 그것의 흐름을 통괄하는 개념이다. 리듬은 시의 청각적 효과를 위한 소리의 반복이나 낭독 당시의 감각만을 대상으로 삼지 않는 의미 중심의 복합체이기도 하다. 말소리에 포함된 감각·분위기·이미지의 연속과 아울러 의미의 진행을 읽는 것이 시의 리듬을 분석하기 위한 본래적 시각이며 그 과정을 통해 기표와 언술된 발화 사이에 드러난 시의 면모를 다각도로 살필 수 있게 된다. 먼저 개별 시의 리듬을 밝히기 위하여 시어의 소리 결합을 분석한다. 제한된 수의 시어 가운데 유사한 성질을 지닌 것끼리 뭉친 소리군(群)으로서 동심원들을 상정하고, 그 동심원 간의 긴장과 갈등 관계를 맺는 양상을 분석한다. 그리고 이 양상을 구체적으로 밝히기 위해 ‘음상(音相)’ 개념을 활용한다. 음상(音相)은 한 단어 안에서 표현의 정도와 가치가 다른 자모음이 다른 것으로 교체되었을 때 어감의 차이를 낳는 현상을 의미한다. 시의 한 부분으로 포섭되어 일련의 질감을 갖게 된 시어를 다른 시어로 교체하였을 때, 본래의 질감을 회복할 수 없다는 점을 역으로 활용한 분석 방법이다. 이 글에서는 우리말의 아름다움을 잘 살린 미당 서정주의 시 「귀촉도」에서 시어들에 분포된 음성적 자질과 그것들이 지닌 의미에 초점에 두어 시의 가치 발현을 위한 ‘리듬의 양상’을 밝히고자 한다. 이 논문은 「귀촉도」의 리듬을 구성하는 주요 계열체를 화자의 슬픈 감정을 표상한 ‘눈물’과 시의 제목이자 기억의 매개체이며, 새의 울음소리인 ‘귀촉도’로 파악한다. 의미의 최소 단위로서의 음상적 특징과 그것의 분포, 절과 문장의 의미 전개 방식을 분석하여 ‘주술적 운율’을 확보하고 있다는 「귀촉도」의 리듬 구조를 진단한다. This article focuses on analyzing the combination of rhythms in Seo Jeong-Ju`s poem Gwichokdo. Rhythm, which generates the aesthetic value of a poem, is mainly composed from the union of sound and images and their usage. Rhythm is also a meaning-based composite, which considers repetition for a poem`s auditory effect or sense in reciting the poem. The authentic viewpoint on analyzing the rhythm of poem is to discover the progress of meaning as well as the series of feeling, mood, and image included in tone. Therefore, this article examines poetic aspects which are found between a significant and an aesthetic articulation from various perspectives. First, in order to determine the rhythms of the individual poem, the sound combination of poetic diction is analyzed. Within a limited amount of poetic dictions, similar properties which stand together as a unified sound stream are introduced in concentric circles, and the condition of the relationship between tension and conflict found in these concentric circles is analyzed. Also, in order to determine definite characteristics, the idea of ‘Sound Feature’ is applied. A ‘Sound Feature’ is a phenomenon which describes the nuanced differences in the amount of expression and value within a word, when a consonant or vowel is switched. Taking one part of the poem, when a series of textures of poetic diction it is replaced with a different poetic diction, the original feel cannot be recovered, and using this fact inversely is a practical method of analysis. In this article, looking at poetic diction of the disappearing, beautiful language of Korean in Seo Jeong-Ju`s poem Gwichokdo, and by focusing on the distribution of the caliber of phonetic features and possessed meaning, this article tries to determine the ‘aspects of rhythms’ which manifest as value in the poem. This article`s main focus is to understand the paradigmatic composition of the rhythms of the crying bird in the poem Gwichokdo through the narrator`s ‘tears’ describing his sad feeling and the title of the poem which is a medium of remembrance. The structure of Gwichokdo`s rhythm is considered to be a ‘charming cadence’ and the smallest measure of meaning is analyzed through the features of ‘Sound Image’ and manner of developed meaning through sound distribution, passages and sentences.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