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 주제분류
        • 발행연도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전산해석을 통한 지하 공동 및 암반 조건에 따른 철도지반 안정성 평가: 마장광산 갱도를 대상으로

        장경환 ( Kyunghwan Jang ),이동원 ( Dongwon Lee ),민경남 ( Kyungnam Min ),정찬묵 ( Chanmook Chung ),유재형 ( Jaehyung Yu ),이계승 ( Gyeseung Lee ) 대한지질공학회 2021 지질공학 Vol.31 No.3

        본 연구는 광산활동에 따른 철도지반 안정성 평가를 위해 채굴적의 심도, 규모 및 암반상태를 다양하게 설정하고, 표준열차하중 조건 중 여객, 화물 혼용 구간과 여객전용선 용도에 따른 지반안정성 평가를 전산해석을 통해 실시하였다. 안정성 평가는 철도설계기준 노반편에 따른 허용잔류 침하량과 선로유지관리지침 뒤틀림 보수조건을 기준으로 실시되었다. 그 결과, 채굴적의 규모 및 위치가 심도 5 m 이하일 경우 침하의 발생이 암반상태에 따라 노반 침하허용 기준을 넘어서며, 뒤틀림 보수기준에는 심도 15 m 이하의 공동일 경우 암반상태를 고려하여 지반보강 설계가 이루어져야 할 것으로 보인다. 노반의 침하허용 범위만 고려할 경우 심도 5 m 이하의 공동에서 암반상태가 고려되어야 한다. 이는 공동의 규모와 암반조건에 따른 침하량이 체계적으로 변화 함을 지시하며, 이러한 연구결과는 기존에 제시된 바가 없는 자료이다. 본 연구는 추후 철도건설이 광산지역에서 이루어질 경우 중요한 참고 자료로 활용될 수 있을 것으로 기대한다. This study used numerical modeling to investigate the stability of railway roadbed in areas with various underground cavities and rock conditions associated with mining activities. It compared combined loads from both passenger and freight trains with loads from only passenger trains. Stability was assessed with reference to the Korean government standards for railway subsidence allowance and railway warping repair. Sufficient stability regarding the railway subsidence allowance standard was not achieved when cavities were at depths of <5 m. The criteria for requiring railway warping repair were met when cavities were at depths of <15 m, depending on the rock fracture condition. This study provides the first report on systematic analysis land subsidence related to cavity size and rock fracture conditions associated with mining activities. We expect that this study could serve as an important reference for railway construction in mining areas.

      • KCI등재
      • KCI등재

        초·중등 체육수업 실천 속에 드러난 교사 신념에 관한 체계적 문헌 분석: 체육교육 연계를 위한 시사점

        장경환(Jang, Kyunghwan),우평호(Woo, Pyungho),장진솔(Jang, Jinsol),이옥선(Lee, Okseon) 이화여자대학교 교과교육연구소 2020 교과교육학연구 Vol.24 No.4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analyze the teaching beliefs of elementary and secondary P.E. teachers through systematic literature review, and to draw implications for the continuity of elementary and secondary P.E.. For this purpose, literatures over the past 10 years were collected under the keywords ‘Elementary P.E. Class’, ‘Secondary P.E. Class’, ‘Elementary P.E. Teachers’, ‘Secondary P.E. Teachers’, ‘Elementary P.E. Practice’, ‘Secondary P.E. Practice’, and the final 45 published research were selected for analysis. The collected literatures were analyzed by using Kim, et al. (2000)’s framework in which the beliefs of P.E. teachers were classified into the view on subject matters, the view on teachers, and curriculum. The results of the study are as follows. First, the beliefs on subject matters were built around intrinsic and extrinsic valueoriented P.E. and structural characteristics of the education system. Second, the beliefs on teacher were related to teacher image, role, and attributes. Third, for the beliefs on curriculum of elementary and secondary P.E., teachers showed both similarities and differences in curriculum perception and curriculum practice. Suggestions for the establishment of continuum between elementary and secondary physical education are: (a) enhancing the role of physical education that serves as a foundation of lifelong physical education, (b) building up the role as a bridge between elementary and secondary P.E., and (c) cultivating competences of P.E. teachers’ curriculum implementation. 본 연구의 목적은 체계적 문헌 분석(systematic literature review)을 통해 초·중등학교에서 체육을 지도하는 교사의 신념을 분석하고, 초·중등 체육교육의 연계를 위한 시사점을 제공하는데 있다. 이를 위해 ‘초등 체육수업’, ‘중등 체육수업’, ‘초등 체육교사’, ‘중등 체육교사’, ‘초등 체육 실천’, ‘중등 체육 실천’ 등의 키워드로 최근 10년 간 국내 학술지에 게재된 관련 연구물을 수집하였고, 최종 45편을 선정, 분석하였다. 수집된 연구물은 김종욱 외(2000)의 연구에서 체육교사의 신념을 교과관, 교사관, 교육과정관으로 분류했던 프레임워크를 활용하였다. 연구 결과는 교과관에서 체육의 내·외재적 가치 지향과 교육체제의 구조적 특성에 기인한 신념이, 교사관은 교사상, 교사 역할, 교사의 자질에 관한 신념이, 교육과정관은 인식과 실행에 관한 신념이 초·중등 교사 간에 공통적, 차별적으로 드러났다. 초·중등 체육교육 연계를 위해서는 평생 체육의 토대가 되는 교과로서의 체육, 초·중등 체육을 이어주는 교량의 역할, 교사의 교육과정 실행 전문성의 제고가 필요함을 제안하였다.

      • KCI등재

        초등 예비교사 교육과정에 관한 핵심 주체들의 같은 눈, 다른 생각

        정현수(Hyunsoo Jung),장경환(Kyunghwan Jang) 한국스포츠교육학회 2021 한국스포츠교육학회지 Vol.28 No.3

        본 연구는 초등체육교육의 세 주체인 예비교사, 현직교사, 교사교육자가 바라보는 초등 예비교사교육에 대한 인식을 확인하고 서로의 관점을 비교하여 예비교사교육의 방향을 점검하는 데 그 목적이 있다. 초등 예비교사 6명, 현직교사 5명, 교사교육자 5명을 대상으로 현지 문서와 면담을 통하여 자료를 수집하였고, 수집된 자료는 Strauss(1987)가 제시한 개방‧축‧선택 코딩의 단계를 거쳐 분석하였다. 연구결과는 다음과 같이 도출되었다. 먼저 세 주체 간 공통된 방향성 속에서 요구되는 이해의 장(場)은 1) 메타 교수지식의 의미와 중요성, 2) 내용지식의 수준과 범위, 3) 평가와 피드백에 관하여 결과를 제시하였다. 이어서 서로에 대한 이해를 넘어서는 적극적 차원의 개선을 위해서 1) 교육대학 커리큘럼에 대한 로드맵 제공의 필요성, 2) 알을 깨고 나오는 체육과 교과교육 경험의 중요성을 제안하였다. 논의에서는 세 핵심 주체의 생각 차이를 중심으로 1) 현장 실제성의 양면성, 2) 교육내용의 양면성, 3) 예비교사 교육기관의 양면성, 4) 예비교사 교육 발전을 위한 두 기둥에 대하여 논하였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dentify the perception of elementary initial teacher education by pre-service teachers, in-service teachers, teacher educators, and to compare each other"s perspectives to clarify the direction of initial teacher education curriculum. Qualitative data were collected through in-depth interviews and on-site documents with 6 pre-service teachers, 5 in-service teachers and 5 teacher educators. Data analysis was performed inductively according to open coding, axial coding and selective coding (Strauss, 1987). First, for themes commonly derived between the three groups, we present results on 1) the meaning and importance of Meta-Pedagogical Knowledge, 2) the level and extent of Content Knowledge, and 3) evaluation and feedback. Next, in order to improve specifically beyond understanding each other, we proposed the need to 1) provide a roadmap for the curriculum of the university of education, and 2) importance of P.E. curriculum experience for a leap forward. Finally, we discussed ways to develop 1) practical pedagogy, 2) coursework contents, 3) teacher education institutions, and 4) prospective initial teacher education.

      • KCI등재

        2015 개정 체육과 교육과정에 따른 핵심역량 함양을 위한 생태주의에 입각한 신체활동 프로그램 수업 사례 연구

        박지영(Park Jiyoung),김수연(Kim Sooyeon),장경환(Jang Kyunghwan) 학습자중심교과교육학회 2019 학습자중심교과교육연구 Vol.19 No.21

        본 연구는 2015 개정 체육과 교육과정에 따라 핵심역량 함양을 위한 생태주의에 입각한 신체활동 프로그램을 구성하고, 적용하여 교육적 의미와 가치를 탐색하는 것에 연구의 목적을 두었다. 연구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문헌연구 및 사례연구방법 을 수행하였다. 연구 참여자는 전문가 집단 선정 기준에 부합하는 전문가 5명, 수업 프로그램 참여자 S시에 위치한 D 초등학교 6학년 24명으로 선정하였다. 자료 수집은 심층면담, 참여 관찰, 성찰일지, 차시별 과제물, 사진, 영상, 관련 자료 등을 통해 이루어졌고, 사례기록 분석 및 귀납적 범주 분석을 통해 자료를 분석하였다. 그리고 삼각검증, 동료 간 협의, 구성원 간 검토를 실시함으로써 자료의 진실성을 확보하였다. 연구결과를 정리하여 제시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6가지 핵심역량 함양을 위한 구체적인 차시별 소주제는 1-2차시 생태 환경과 우리들이 함께 살아가는 삶, 3-4차시 생태와 우리들의 위기문제 극복하기, 5-6차시 우리가 생태지킴이, 7차시 나와 우리 그리고 생태가 하나로, 8차시 더불어 사는 삶의 중요성 이해하기, 10차시 배려와 공생 알아보기, 11-12차시 나와 우리, 그리고 생태가 하나로 등으로 구성하였다. 둘째, 수업 프로그램 적용을 통한 각 차시별 학습활동 경험과 2015 개정 체육과 교육과정 핵심역량의 관련성을 살펴본 결과, 6가지 핵심역량 요소들을 고루 함양할 수 있 었다. 이를 통해 ‘생태주의 입각한 신체활동’은 학습자에게 주요한 핵심역량을 함양하기에 효과적인 교육 방안이 될 수 있을 것으로 사료된다. This study aims at making and applying a physical activity program based on ecologism for raising core capabilities according to physical education curriculum revised in 2015 and seeking its educational meanings and values. In order to achieve the aim of the study, literature review and case study methods were conducted. For the research participants, five experts qualified for expert group criteria and 24 six-grader students in D elementary School in S city who participated in the class program were selected. Data was collected by in-depth interview, participatory observation, reflection diary, each session s tasks, photo, video, and other related sources and data analyzed was conducted through case record analysis and inductive categorical analysis. In addition, conducting triangulation, peer-discussion and review, data authenticity was secured. The research results are suggested as follows: First, specific theme by session for raising six core capabilities were ecological environment and our life together for sessions 1 and 2, ecology and overcoming our crises for sessions 3 and 4, we, as ecology s keeper for sessions 5 and 6, me, us, and ecology as one for session 7, understanding the importance of life together for session 8, learning care and symbiosis for session 10, and me, we, and ecology as one for sessions 11 and 12. Second, as a result of reviewing correlation between learning activity experiences by session applied with the class program and core capabilities of physical education curriculum revised in 2015, six core capabilities were comprehensively raised. From these results, it is expected that physical activity based on ecologism could be effective educational methods for raising learners important core capabilities.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