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 등재정보
        • 학술지명
        • 주제분류
        • 발행연도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고주파 열치료후 치료부 주위 과혈류 현상의 CT 소견

        임현철,김용수,고병희,조온구,서흥석,주경빈,Im, Hyeon-Cheol,Kim, Yong-Su,Go, Byeong-Hui,Jo, On-Gu,Seo, Heung-Seok,Ju, Gyeong-Bin 대한영상의학회 2002 대한영상의학회지 Vol.46 No.6

        목적:간암에 대한 고주파 열치료(Radiofrequency Thermal Ablation)후 추적 CT에서 치료부주위에 관찰되는 과혈류 현상(Hyperemia)의 빈도와 양상을 조사하고 시간 경과에 따른 변화 양상과 국소 재발과의 관련성을 알아보고자 하였다. 대상과 방법:간내 악성 종양에 대해 고주파 열치료를 시행 받은 환자 28명에서 총 45개의 종괴 (간세포암 34개;전이암 11개)를 대상으로 하였다.고주파 열치료 직후 및 3개월 간격으로추적 시행한 조영증강 CT에서 1)치료부 주위 과혈류 현상의 존재 유무,2)형태학적 특징 (테두리형,THAD[ Transient Hepatic Attenuation Difference] 형,결절형),3)시간 경과에 따른 변화 양상 (3개월 추적 CT에서 과혈류 유무에 따라 일과성,지속성,지발성 과혈류로 분류)에대하여 분석하였다.또한,상기 결과들과 추적CT에서 치료부에 생긴 국소 재발과의 연관성을 분석하였다. 결과:고주파 열치료 직후 시행한 CT에서 과혈류 현상의 빈도는 총 71%(32/45)였으며,과혈류 현상을 보인 경우의 28%(9/32)와 보이지 않았던 경우의 8%(1/13)에서 추적 검사에서 종양의 국소 재발을 나타냈다 (p >0.05).형태학적 특징은 테두리형이 69%(22/32),THAD형이 25%(8/32),결절형이 6%(2/32)였으며,테두리형의 23%(5/22),THAD형의 38%(3/8),결절형의 0%(1/2)에서 국소 재발이 일어났다.시간 경과에 따른 변화 양상은 일과성 과혈류가 66%(21/32),지속성 과혈류가 28%(9/32),지발성 과혈류가 6%(2/32)의 종괴에서 보였으며, 종양의 국소 재발은 일과성 과혈류의 10%(2/21),지속성 과혈류의 67%(6/9),지발성 과혈류의 100%(2/2)에서 나타나 지속성 및 재발성 과혈류를 보일 경우에 종양의 국소 재발이 의미있게 높게 나타났다 (p=0.001). 결론:고주파 열치료 후 추적 CT에서 나타나는 과혈류 현상은 비교적 흔히 관찰되는 일과성 현상이나,시간 경과에 따른 변화 양상은 국소 재발을 예측할 수 있는 유용한 지표로서 이용될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 Purpose: To determine the incidence and pattern of peritumoral hyperemia at CT after radiofrequency thermal ablation of hepatic tumors, as well as its correlation with local marginal recurrence. Materials and Methods: Forty-five tumor nodules in 28 patients with hepatocellular carcinoma (n=34) or metastasis (n=11) were treated by RF thermal ablation. Serial follow-up contrast- enhanced CT scans were reviewed by three radiologists for 1) the presence, 2) the morphological characteristics [circumferential, THAD (transient hepatic attenuation difference), nodular form], and 3) the temporal course (acute, persistent, delayed onset pattern) of peritumoral hyperemia after RF thermal ablation. These findings were correlated with the frequency of recurrence at the margin of the treated tumors. Results: The frequency of acute hyperemia observed on immediate follow-up CT scans after RF ablation was 71% (32/45). There was the local recurrence in nine of 32 tumors (28%) with hyperemia and in one of 13 (8%) without hyperemia (p>0.05). Among 32 tumors, the circumferential form was observed in 22 (69%); the THAD form in eight (25%); and the nodular form in two (6%). Marginal recurrence was noted in five of 22 tumors circumferential tumors (23%), in three of eight (38%) with the THAD form, and in one of two (50%) which were nodular. Among 32 nodules, an acute transient pattern was noted in 21 (66%), a persistent pattern in nine (28%), and a nodular pattern in two (6%). There was marginal recurrence in two (10%) of 21 tumors with acute transient hyperemia, in six (67%) of nine with persistent hyperemia, and in both tumors with delayed-onset hyperemia. There was significant correlation between the pattern of persistent/delayed-onset hyperemia and marginal tumor recurrence of (p=0.001). Conclusion: Although peritumoral hyperemia after RF thermal ablation therapy is a frequent transient finding at follow-up imaging studies, its temporal pattern may help detect early marginal tumor recurrence.

      • KCI등재

        간암의 고주파 열치료 후 국소 재발에 관련된 인자: 나선식 CT를 이용한 분석

        임현철,김용수,고병희,조온구,서흥석,주경빈,Im, Hyeon-Cheol,Kim, Yong-Su,Go, Byeong-Hui,Jo, On-Gu,Seo, Heung-Seok,Ju, Gyeong-Bin 대한영상의학회 2002 대한영상의학회지 Vol.46 No.5

        목적: 고주파열치료로 완전소작으로 판정받았던 악성간암환자에서의 국소재발에 관여하는 인자를 평가하고자 함. 대상과 방법: 1999년 5월부터 약 1년간 악성간암으로 고주파열치료를 받았던 환자 중 종괴의 크기가 5 cm 이하이고 치료직후 완전소작으로 판정하였던 30명(평균 연령 52세)환자의 51 개(간세포암 33개,전이암 18개)결절을 대상으로 하였다. 완전 소작은 CT상 적어도 종괴의 경계까지 소작범위가 포함된 것으로 정의하였으며,시술 직후와 술후 3개월 마다 나선식 CT 로 추적하였다. 각각의 종괴는 1)종괴의 최대 직경, 2)조직학적 진단명, 3)인접혈관유무, 4)충분한 소작 (종괴주위 정상 간에 5 mm 이상의 safety margin 확보)여부, 5) 치료후 종 괴주변 과혈류의 유무 등에 대해 조사하였으며, 상기 5개 인자에 대하여 추적 기간 (평균 5.8 개월)동안 국소 재발이 있었던 군(Group A:n=15)과 국소재발이 없었던 군(Group B :n=36) 간의 단원량 분석을 시행하였다. 결과: Group A와 B의 종괴의 평균 크기는 각각 3.26 cm 및 2.24 cm였으며, 조직학적 유형에 따라 간세포암의 경우는 7예(21.2%), 전이암의 경우는 8예(44.4%)에서 국소재발을 보였고, 종괴주변에 혈관이 인접해 있던 31예 중 9예(29.0%)에서, 혈관에 인접해 있지 않았던 20예 중6예(30%)에서 국소재발이 관찰되었다.또한 시술후 충분한 소작으로 판정했던 17예 중 2예(11.8%)에서 재발이 관찰된 반면, 불충분한 소작으로 판정된 34예 중 13예(38.2%)에서 재발이 관찰되었고, 시술직후 과혈류가 있었던 36예 중 14예(38.9%)에서, 과혈류가 없었던 15예 중 1예(6.7%)에서 재발을 보였다. 결과에 대한 단원량분석상 종괴의 크기(p=0.028), 소작의 정도(p=0.05), 그리고 종괴주변 과혈량의 유무(p=0.021)가 통계적 유의성을 보였다. 결론: 악성간암의 고주파열치료후 추적검사중 국소재발에 관여하는 인자로는 종괴의 크기와 소작의 완벽도, 치료부위 주변의 과혈류현상 등으로 생각된다. Purpose: To determine the factors that are related to local recurrence after Radiofrequency thermal ablation (RFTA) of hepatic tumors. Materials and Methods: We selected 30 patients with 51 hepatic nodules less than 5 cm in diameter (HCC, n=33; metastasis, n=18) who underwent RF thermal ablation between May 1999 and April 2000. Ablation was defined as 'complete' if immediately post-procedual CT showed that a nodule's margin was completely covered by ablation. Every three months, follow-up CT scans were examined for signs of local recurrence, and a nodule was assessed in terms of its size, the histologic diagnosis, adjacent vessels, perfect ablation (a safety margin of more than 5mm beyond the tumor margin), and whether hyperemia was observed after ablation. Finally, a group in which there was local recurrence (group A, n=15) and another showing no recurrence (group B, n=36) were compared. Results: Mean nodule size in group A and group B was 3.26 and 2.24 cm, respectively. Local recurrence was noted in 7 of 33 HCC nodules (21.2%), and in 8 of 18 (44.4%) which were metastatic. There was recurrence in 9 of 31 nodules with adjacent vessels (29.0%), and in 6 of 20 (30%) without adjacent vessels. In two of 17 perfectly ablated nodules (11.8%) there was local recurrence, but this was observed in 13 of 34 imperfectly ablated nodules (38.2%). Finally, local recurrence was seen in 14 of 36 nodules showing hyperemia (38.9%) but in one of 15 (6.7%) without hyperemia. Using chi-square analysis, it was thus shown that with regard to local recurrence, tumor size, perfect ablation and peritumoral hyperemia were statistically significant factors (p<0.05). Conclusion: Local recurrence after RF thermal ablation of hepatic tumors clearly increases in nodules which are larger. The degree to which ablation is perfect, and the presence of peritumoral hyperemia, may be factors related to the local recurrence observed after RFTA.

      • KCI등재

        스텐트형 고주파 전극을 이용한 경관강 열치료에 관한 실험 연구

        임현철,서태석,백승삼,김용수,고병희,조온구,서흥석,Im, Hyeon-Cheol,Seo, Tae-Seok,Baek, Seung-Sam,Kim, Yong-Su,Go, Byeong-Hui,Jo, On-Gu,Seo, Heung-Seok 대한영상의학회 2003 대한영상의학회지 Vol.48 No.6

        목적: 고주파 열치료가 가능한 스텐트형 전극을 이용한 체내외 동물실험을 통해 관강형 구조물에서 고주파 열치료술의 효용성을 평가하고 적절한 매개변수 (parameter)를 찾고자 한다. 대상과 방법: 체외 스텐트형 전극은 자가팽창형 nitinol 스텐트로 양단 1 cm를 절연했다.적출한 소의 간문맥에 스텐트형 전극을 설치 후 목표온도를 70 。C,80 。C,90 。C,100 。C로 소작했다. 소작 후 종단 절개해 병변 크기를 측정했다. 체내 마취된 잡견 4마리를 초음파 유도로 담낭 천자 후 X-선 투시 하에 총담관 내에 스텐트형 전극을 설치해 목표온도 80 。C로 소작했고 온도변화 및 소작시간을 측정했다. 동일 동물에 X-선 투시 하에 스텐트형 전극을 근위 및 원위부 식도에 설치 후 12분씩 소작했고 실험 후 즉시 동물을 희생했다. 결과: 체외 병변의 크기는 목표온도와 유의한 상관관계를 보였다 (r >0.4,p<0.05).대부분 타원형이었으나 70 。C군 일부는 아령형으로 중심부 소작이 불충분했다. 모든 70 。C 및 80 。C군에서 병변이 절연부위를 넘지 않았다.체내 담도 소작은 광학현미경상 중심부로 갈수록 심한 변화를 보였고 스텐트와 떨어진 담도 조직의 변화는 미약했다. 식도 소작 시 최고온도는 평균48.6 。C였고 광학현미경상 점막층의 파괴 및 탈락,점막하층의 부종 및 응고괴사 소견이 보였으나 근층의 이상은 보이지 않았다. 결론: 스텐트형 전극을 활용한 관강형 구조물에 대한 고주파 열치료술은 식도암 및 담도암 환자에서 스텐트의 개통율을 높일 수 있는 효과적인 방법으로 기대되며 스텐트형 전극을 이용한 담도에서의 열치료술은 80 。C가 적절한 목표 온도로 사료된다.상관성을 보였으며 일부 피크면적의 상대적비율은 통계학적으로 유의한 차이가 있었다 (p<0.05). 결론:간과 신낭에서 각각 다른 수소자기공명분광스펙트럼소견을 얻었으며 앞으로 각각의 장기에서 발생하는 낭종양과의 비교연구에 기본자료로서 이용될 수 있기를 기대한다.예로 많았고 흡입손상이 없었던 그룹에서는 패혈증이 5예 중 4예로 많았다. 결론:중화상 환자에서 흡입손상이 있었던 그룹과 없었던 그룹 간에 폐병변의 발생시기,발생원인 등이 차이가 있었다.흡입손상의 유무와 폐 병변의 발생시기를 아는 것은 진단에 매우 중요하다.l, 4일째 44.99 $\pm$2.13 pg/ml,1 주 째 48.18 $\pm$1.49 pg/ml,2주째 45.70 $\pm$3.77 pg/ml,3주째 46.54$\pm$5.47 pg/ml로 증가를 보였다. 대조군과 근육내 주사군에서는 증가가 관찰되지 않았다. 결론:제작된 $phVEGF_{165}$ 가 실험실내에서 혈관내피세포의 증식에 효과가 있었다.토끼 뒷다리 만성허혈모델에서 $phVEGF_{165}$ 유전자 치료는 동맥내 주입과 근육내 주사 간에 혈관조영술과 혈청 VEGF 측정의 결과에서 차이가 없었다. 전기영동(電氣泳動)은 품종저항성(品種抵抗성)을 판정(判定)하는 새로운 방법(方法)으로 이용(利用)할 수 있을 것으로 생각한다.었다.ex New Softness는 53% 더 높은 분리율(分離率)을 보였고 Monaliza Finely Soft는 23% 더 높은 분리율을 나타냈으므로 선충분리용(線蟲分離用)으로는 향수처리(香水處理)되지 않은 것이 더 좋은 Purpose: To assess the feasibility of transluminal radiofrequency thermal ablation using a stent-type electrode and to determine, by means of in-vitro and in-vivo animal studies, the appropriate parameters. Materials and Methods: In vitro: The radiofrequency electrode used was a self-expandable nitinol stent with 1cm insulated ends. A stent was placed in the portal vein of bovine liver, and ablations at target temperatures of 70, 80, 90, and 100degrees C were performed. Ablated sizes were measured longitudinally. In vivo: Four mongrel dogs were anesthetized, and a stent was inserted in the common bile duct under fluoroscopic guidance through an ultrasound-guided gall bladder puncture site. The ablation temperature was set at 80degrees C, and each dog underwent proximal and distal esophageal ablations lasting 12 minutes. They were sacrificed immediately. Results: In-vitro: Ablated sizes showed significant correlation with target temperatures (r>0.04; p<0.05). Although most lesions were fusiform, dumbbell-shaped lesions with central thinning were found in two cases in the 70degrees C group. In all cases in the 70degrees C and 80degrees C group, the length of the insulated segment was less than 1 cm. In-vivo: At microscopy, tissues at the center of the biliary stent showed more prominent pathological change than those at the periphery while those remote from the stent showed minimal or no change. In esophageal ablations, the mean highest temperature was 48.6degrees C. Microscopy demonstrated the destruction and shedding of mucosa, edema, and coagulation necrosis of submucosa, but in muscle layers no abnormalities were apparent. Conclusion: Transluminal radio-frequency thermal ablation using a stent-type electrode may be useful for elongating patency. The appropriate target temperature for biliary ablation is 80degrees C.

      • KCI등재후보

        난소의 경화성 간질성 종양: 1예 보고

        고병희,임현철,조온구,김용수,함창곡,Go, Byeong-Hui,Im, Hyeon-Cheol,Jo, On-Gu,Kim, Yong-Su,Ham, Chang-Gok 대한영상의학회 2002 대한영상의학회지 Vol.47 No.1

        경화성 간질성 종양은 난소에 생기는 드문 양성 간질성 종양으로서 특징적인 임상적,조직학적 특징을 보인다. 주로 10대,20대의 젊은 여성에서 호발하며, 조직학적으로 불균질한 세포충실도가 높은 부위와 콜라겐이 풍부한 간질조직으로 구성된 부위, 부종성의 부위로 구성되어, 특징적인 방사선학적 소견을 보인다. 본 증례에서는 15세의 여자 환자로 초경부터 월경시 다량의 하혈이 있었고, 내원시 시행한 초음파에서 복강내 종괴가 관찰되었으며, 이 종괴는 주위 조직과 잘 구분이 되며 내부에 다양한 정도의 음향강도를 보이는 9 $\times$9 $\times$10 cm 크기의 분엽상의 종괴로, 컴퓨터 단층 촬영상, 조기 조영 증강 되는 피막과 격막, 내부의 고형 부위, 조영 증강되지 않는 낭성 부분으로 구성되어 있는 경화성 간질성 종양 1예를 보고하고자 한다. Sclerosing stromal tumor of the ovary is a rare benign neoplasm, with distinctive clinical and pathologic features. It occurs predominantly in females during the second and third decades of life. Histologically, it is composed of cellular and acellular collagenized areas, and edematous stromal areas, and at ultrasonography and computed tomography is seen as a distinctive mixed solid and cystic mass lesion. We report a case of sclerosing stromal tumor of the ovary in a 15-year-old girl with a history of menorrhagia since menarche. Ultrasonography revealed the tumor as a well-defined, lobulated, heterogenous echogenic pelvic mass, while at CT, a huge pelvic mass 9x9x10 cm in size, was seen. This comprised a well-enhanced internal solid portion, a capsule, septa, and a non-enhanced cystic portion.

      • KCI등재

        융모상피암 세포주에 있어서 탁솔과 다른 항암제의 시험관내의 작용

        김판조 ( Kim Pan Jo ),임현철 ( Im Hyeon Cheol ),김대원 ( Kim Dae Won ),이윤순 ( Lee Yun Sun ) 대한산부인과학회 2004 Obstetrics & Gynecology Science Vol.47 No.1

        목적 : 확립된 2종류의 융모상피암세포주에서 taxol과 각각의cisplatin, topotecan, actinomycin D, methotrexate, 그리고 etoposide와의 상호 작용시 상승 혹은 길항작용을 알아보고 향후 융모상피암환자에서 상승 작용이 있는 조합을 이용함으로써 임상적으로 유용성을 기대할 수 있다. 연구 방법 : 6종류의 항암화학제와 2종류의 융모상피암 세포주를 이용하였다. 세포주성장억제 측정은 MTT assay로 하였다. 상승작 Objective : Taxol (Bristol-Myers Squibb) (paclitaxel) has been shown to be a potent inhibitor of cell growth for a variety of tumors. The aim of this study was to evaluate the interaction of five different combinations of drugs: taxol and cisplatin, topot

      • KCI등재

        외음부에 발생한 악성 흑색종 2예

        정민지 ( Jeong Min Ji ),김대원 ( Kim Dae Won ),임현철 ( Im Hyeon Cheol ),김병윤 ( Kim Byeong Yun ),성원준 ( Seong Won Jun ),조영래 ( Jo Yeong Lae ),박일수 ( Park Il Su ),이윤순 ( Lee Yun Sun ) 대한산부인과학회 2003 Obstetrics & Gynecology Science Vol.46 No.11

        Vulvar melanomas are account for 4-10% of all malignant tumors of the vulva and are the second most common cause of the vulvar malignancy with the highest frequency in the sixth and seventh decades and rare with incidence of 0.1 to 0.19 per 100,000 women.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