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 KCI등재SCOPUS
      • KCI등재

        학교폭력 예방정책의 정책집행 요인 분석

        임채숙 ( Lim Chae Suk ),안선회 ( An Sun Hoi ) 인하대학교 교육연구소 2021 교육문화연구 Vol.27 No.1

        본 연구의 목적은 학교폭력 예방정책의 정책집행 요인을 고찰하여 종합적으로 분석하고 정책집행 개선의 시사점을 도출하는 데 있다. 정책집행 단계에서의 요인과 하위요소가 무엇이며 어떠한 영향을 미치는지 탐색하기 위하여 교육부와 경기도교육청의 정책 관련 자료를 중심으로 문헌 연구를 수행하였다. 선행연구를 바탕으로 정책집행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을 정책집행내용 특성, 정책집행자, 정책대상집단, 정책환경 네 가지로 범주화하였다. 각 정책집행 요인별로 하위 분석 요소를 탐색한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정책집행내용 특성 요인 하위요소로 정책의 명확성과 일관성, 정책목표와 집행수단과의 인과관계, 정책자원 확보를 고찰하였는데, 정책목표와 내용이 명료하고 일관성을 유지하였다. 둘째, 정책집행자 요인으로 집행기관의 추진체계와 집행 절차, 협력체계, 그리고 담당자의 행위와 전략 등을 분석하였다. 집행기관의 추진체계로 하위기관의 행정업무를 과중시켰다. 셋째, 정책대상집단 요인 하위요소는 정책대상집단의 태도 및 행위, 정책인식도를 분석하였는데, 학교폭력 예방정책에 대한 인식도는 높게 나왔다. 넷째, 정책환경 요인 하위요소로 언론과 대중의 지지, 정책결정자의 지지 태도, 관련 법령 그리고 사회·경제·정치적 환경을 고찰하였다. 언론과 대중은 학교폭력 예방 대책이 미흡하다고 비판하였다. 다섯째, 정책목표 달성에 결정적인 요소는 타당성 있는 정책목표와 정책수단 등의 ‘정책집행내용 특성’과 ‘정책대상집단의 순응 여부’였다. 본 연구결과를 바탕으로 학교폭력 예방정책의 정책집행 요인이 정책목표 달성에 어떻게 작용하고 있는지 정책집행의 이론과 실제에 관한 시사점을 제언하고 있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derive implications for improving policy enforcement through comprehensive analysis. of the school violence prevention policy. Elements and sub-elements at the policy enforcement stage and their impact were conducted by a literature study focusing on policy-related data from the Ministry of Education and Gyeonggido Office of Education. Based on previous studies, four elements that influence policy enforcement were selected. They are characteristics of policy enforcement content, policy enforcer, policy target group, and policy environment. The results of sub-analysis elements by policy enforcement factors are as follows. First, the clarity and consistency of the policy, the causal relationship between policy objectives and enforcement measures, and the securing of policy resources were considered as sub-elements of the policy enforcement content characteristic factors. Policy objectives and content were found to be clear and consistent. Second, as a sub-element of the policy executor, the execution system, execution procedure, cooperation system, and the actions and strategies of the personnel in charge were analyzed. Segmentation and specialization of the organizational system increased administrative expertise, but overburdened the administrative work of the subordinate institutions. Third, attitudes and behaviors of policy target groups and policy awareness were analyzed as sub-factors of policy target group factors. The awareness of school violence prevention policy was high. Fourth, as a sub-element of the policy environment factors, the media and the public support, policy makers' attitudes of support, relevant laws and regulations, and the socio-economic and political environment were examined. The lack of school violence prevention measures has been pointed out by the media and the public. Fifth, the critical factors in achieving the policy goals were 'characteristics of policy enforcement content' such as valid policy objectives and policy measures, and 'compliance of policy target groups'. Based on the results of this study, the implications for the theory and practice of policy enforcement are suggested how the policy enforcement elements of the school violence prevention policy are working to achieve the policy objectives.

      • KCI등재

        지역 활성화를 위한 랜드마크 개발

        임채숙(Lim, Chae-Suk) 한국산학기술학회 2016 한국산학기술학회논문지 Vol.17 No.3

        랜드마크는 지역을 대표하는 이미지로서, 그 곳을 방문하는 관광객에게 지역의 특징을 인식시키기 때문에, 각 지방자치단체에서는 상징적인 랜드마크 개발이 필요하다. 본 연구는 지역 활성화를 위한 랜드마크 개발에 대한 사례를 연구함으로써, 향후 랜드마크를 개발하고 이를 통해 새로운 관광 상품 및 관광 진흥 정책을 개발을 위한 기본지침으로 활용되기를 기대한다. 본 연구를 위해서 현지조사지로서 일본 아오모리 현을 대상하였고, 현지조사와 문헌조사가 병용되었다. 일본은 오래 전부터 다양한 관광정책의 수립을 통하여 지방의 국제화 및 활성화를 모색해 왔다. 특히, 아오모리 현은 개발이 늦어진 농촌 지역의 관광산업을 발전시키기 위하여 랜드마크를 중심으로 관광 상품과 문화 공간 개발을 통한 지역 활성화를 꾀하였다.아오모리 현의 사례를 바탕으로, 성공적인 랜드마크 개발을 위한 조건을 정리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랜드마크의 상징성이나 디자인을 결정함에 있어서 해당 지역에 대한 충분한 이해와 조사가 실행되어야 하며, 시간과 비용을 투자해야 한다. 둘째,랜드마크로의 접근성을 고려해야 하며, 주변 환경이 랜드마크와 더불어 관광요소로 작용될 수 있어야 한다. 셋째, 랜드마크의 방문가치를 높이기 위해서 편의시설 및 다양한 프로그램의 지속적인 운영 및 관리를 통해 랜드마크 내·외부에서 다양한 즐길거리, 볼거리를 제공하는 것이 중요하다. A landmark is a representative image of a given region that impresses distinct regional characteristics upon visitors. As such, there is a need for each local government to develop a symbolic landmark. We investigated examples of landmark development intended to promote regional revitalization in hopes to provide a basic guideline for developing future landmarks, related tourism products, and tourism promotion policy. Aomori prefecture in Japan was selected as a site for a field study. For a long time, Japan has tried to internationalize and revitalize its provincial regions by establishing various tourism policies. In order to foster the tourism industry in rural areas that are behind in development, Aomori prefecture sought to promote local revitalization through the development of tourism products and cultural space centered on a landmark. Based on this example, we can summarize the conditions for successful landmark development as follows. First, in deciding on the symbolism or the design of a landmark, we must fully investigate and understand the given region and invest sufficient time and funds. Second, we must consider the accessibility of the landmark and make sure its surroundings can also serve as a tourist attraction element. Third, in order to increase the value of visiting a landmark, it is important to provide a variety of things to see and enjoy both inside and outside of the landmark, which can be achieved through continuous operation and management of amenities and diverse programs.

      • KCI등재후보

        유니버설 디자인 관점에서 지체장애인의 주거ㆍ문화 환경개선 사례 연구

        임채숙(Lim, Chae-Suk) 한국문화산업학회 2013 문화산업연구 Vol.13 No.3

        본 연구의 목적은 유니버설디자인의 개념과 장애인을 위한 환경디자인에 관하여 이론적으로 고찰하고, 지체장애인의 주거환경을 개선한 사례를 유니버설 디자인 관점에서 분석함으로써, 향후 장애인의 자립도 향상과 문화 환경 개선을 위한 유니버설 디자인 방향을 제시하는 것이다. 분석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장애인을 위한 주거환경은 일반적인 무장애(barrier-free) 디자인 외에 개인별 장애유형 및 정도와 행동특성 등을 고려하고, 주택의 유형 및 특성에 따라 공간적 요구 내용이 상이하였다. 둘째, 경제적 활동이 적은 장애인의 주거환경이 대체로 열악하기 때문에 적극적인 구조적 변화 및 개선이 어려우며, 현관ㆍ접근로, 주방, 화장실에 대한 대상자의 주거환경 개선 요구가 높았고 전문가의 도움이 필요했다. 셋째, 유니버설디자인 7원칙 중 ① ‘적은 신체적 노력’, ②‘접근과 사용을 위한 크기와 공간’이 집중적으로 적용되고 있었다. 넷째, 장애인의 주거 내 자립 생활을 위한 공간의 기능적ㆍ환경적 개선과 함께, 심미적ㆍ문화적 개선을 통한 거주자의 심리적ㆍ정서적 만족을 높임으로써, 주거ㆍ문화 환경의 질적 향상을 도모할 필요가 있었다. 다섯째, 장애인의 주거환경 개선은 삶을 보다 인간답게 영유하며, 궁극적으로 삶의 질 향상과 장애인 주거 복지 향상에 기여하는 방향으로 이루어져야 할 것이다. 향후, 장애인의 진정한 자립생활을 위한 주거ㆍ문화 환경 개선 방향을 논의하기 위해서는, 다른 지역의 사례연구를 수집하여 지체장애인의 주거 문화 환경 개선 전ㆍ후에 대한 이들의 만족도를 비교 분석해야 할 것이다. The purpose of the current study is to analyze environmental design for the disables with respect to universal design, investigate how universal design can be applied to environmental design for the disables and provide some directions for the improvement of cultural environment and self-reliance of the disables. From the analytical results based on the case study, we can derive some empirical findings and implications as follows: ① Environmental design for the disables considers not only barrier-free design but also disability type and severity of the individual characteristics and behaviors, and their needs for spatial contents are different depending on the housing types and features; ② It is difficult to change and improve aggressively their spatial structures because most of the disables performing less economic activity live in poor residential environment, however the residents highly demands for environmental improvements in porch?approach, kitchen, and restroom; ③ It is remarkable that ‘low physical effort’ and ‘size and space for approach and use’ among the seven principles of universal design have been intensively applied to the improvements of residential environment for the disabled; ④ For self-reliant living of the disabled in residential areas, it is necessary to bring about qualitative improvements of the residential and cultural environment in the aspect of aesthetic and cultural enhancement as well as functional and environmental improvement; ⑤The improvements of residential environment for the disabled should be developed toward the direction that the quality of life and the housing welfare of the disabled can be further enhanced. For the future study, the current study shall be further developed to provide some other regional case studies about environmental improvements for self-reliant living of the disabled and comparatively analyze the disabled"s satisfaction before and after a certain environmental improvement is made. 본 연구의 목적은 유니버설디자인의 개념과 장애인을 위한 환경디자인에 관하여 이론적으로 고찰하고, 지체장애인의 주거환경을 개선한 사례를 유니버설 디자인 관점에서 분석함으로써, 향후 장애인의 자립도 향상과 문화 환경 개선을 위한 유니버설 디자인 방향을 제시하는 것이다. 분석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장애인을 위한 주거환경은 일반적인 무장애(barrier-free) 디자인 외에 개인별 장애유형 및 정도와 행동특성 등을 고려하고, 주택의 유형 및 특성에 따라 공간적 요구 내용이 상이하였다. 둘째, 경제적 활동이 적은 장애인의 주거환경이 대체로 열악하기 때문에 적극적인 구조적 변화 및 개선이 어려우며, 현관ㆍ접근로, 주방, 화장실에 대한 대상자의 주거환경 개선 요구가 높았고 전문가의 도움이 필요했다. 셋째, 유니버설디자인 7원칙 중 ① ‘적은 신체적 노력’, ②‘접근과 사용을 위한 크기와 공간’이 집중적으로 적용되고 있었다. 넷째, 장애인의 주거 내 자립 생활을 위한 공간의 기능적ㆍ환경적 개선과 함께, 심미적ㆍ문화적 개선을 통한 거주자의 심리적ㆍ정서적 만족을 높임으로써, 주거ㆍ문화 환경의 질적 향상을 도모할 필요가 있었다. 다섯째, 장애인의 주거환경 개선은 삶을 보다 인간답게 영유하며, 궁극적으로 삶의 질 향상과 장애인 주거 복지 향상에 기여하는 방향으로 이루어져야 할 것이다. 향후, 장애인의 진정한 자립생활을 위한 주거ㆍ문화 환경 개선 방향을 논의하기 위해서는, 다른 지역의 사례연구를 수집하여 지체장애인의 주거 문화 환경 개선 전ㆍ후에 대한 이들의 만족도를 비교 분석해야 할 것이다. The purpose of the current study is to analyze environmental design for the disables with respect to universal design, investigate how universal design can be applied to environmental design for the disables and provide some directions for the improvement of cultural environment and self-reliance of the disables. From the analytical results based on the case study, we can derive some empirical findings and implications as follows: ① Environmental design for the disables considers not only barrier-free design but also disability type and severity of the individual characteristics and behaviors, and their needs for spatial contents are different depending on the housing types and features; ② It is difficult to change and improve aggressively their spatial structures because most of the disables performing less economic activity live in poor residential environment, however the residents highly demands for environmental improvements in porch?approach, kitchen, and restroom; ③ It is remarkable that ‘low physical effort’ and ‘size and space for approach and use’ among the seven principles of universal design have been intensively applied to the improvements of residential environment for the disabled; ④ For self-reliant living of the disabled in residential areas, it is necessary to bring about qualitative improvements of the residential and cultural environment in the aspect of aesthetic and cultural enhancement as well as functional and environmental improvement; ⑤The improvements of residential environment for the disabled should be developed toward the direction that the quality of life and the housing welfare of the disabled can be further enhanced. For the future study, the current study shall be further developed to provide some other regional case studies about environmental improvements for self-reliant living of the disabled and comparatively analyze the disabled"s satisfaction before and after a certain environmental improvement is made.

      • KCI등재

        정보화 시대의 디자인 경영에 있어 품질경쟁력에 의한 제품디자인의 파급효과

        임채숙(Chae Suk Lim) 한국디자인문화학회 2010 한국디자인문화학회지 Vol.16 No.4

        정보화 시대 하에서 디자인 패러다임의 변화에 따라, 제품디자인은 프로세스 경영의 전략적 수단으로서 상품의 개발 및 판매에 이르는 각 기능(제품개발, 제품디자인, 생산, 마케팅, 판매 등)을 통합 및 조정하는 역할, 즉 디자인 경영을 담당함으로써 기업의 목표 달성에 크게 기여하고 있다. 이러한 추세를 바탕으로, 본 연구의 목적은 품질 경쟁력에 의한 제품디자인의 파급효과를 실증적으로 분석함으로써, 제품디자인의 자리매김과 기능적 역할을 규명하고자 함이다. 연구방법으로는 기존의 연구모형들을 조사·분석하였고, 조사된 설문조사 결과를 통계분석을 하여 추출된 측정변수들을 기초로 품질경쟁력과 제품디자인이 포함된 본 연구의 인과모형을 설정하였다. 설정된 인과모형을 바탕으로, 제품디자인의 자리매김(positioning)을 하기 위하여 제품디자인과 각 변수들(제품신뢰성, 품질경쟁력, 시장경쟁력, 고객만족도, 고객충성도)과의 관계를 분석하고, 제품디자인의 기능적 역할을 규명하기 위하여 품질경쟁력의 파급효과와 제품디자인의 파급효과에 관한 가설검정을 각각 실시하였다. 본 연구의 결과로서, 품질경쟁력은 제품디자인과 고객만족도에 매우 큰 영향을 미치며, 고객만족도는 고객충성도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치는 반면에, 제품디자인은 고객만족도와 고객충성도에 각각 직접적인 영향을 미치지 않는다. 또한, 제품디자인은 품질경쟁력에, 품질경쟁력은 고객만족도에, 고객만족도는 고객충성도에 영향을 미치는 인과관계를 확인하였다. 이는 제품디자인이 품질경쟁력으로부터 영향을 받는 것이 아니라, 오히려 품질경쟁력에 영향을 줌으로써 간접적으로 고객만족도에 영향을 끼치고, 이것은 다시 고객충성도를 높인다는 사실을 도출할 수 있다. In information age, according to a paradigm shift in the field of design, product design largely contributes to achieving corporate`s objective by playing the role of an integrator and a coordinator, as Design Management, for each function(product development, product design, production, marketing, sales, etc.) of the development and sale of products as a strategic tool of processing management. Based on these trends, this study is an attempt to analyse the effect of product design by quality competitiveness empirically and to analyse the positioning and functions of product design. For the methodology of this study, existing study models are analysed and the results of the survey are analysed statistically to extract measured variables. Based on these variables, The causal model of this study is established which includes quality competitiveness and product design. In this causal model, to analyse the positioning of product design, relationship between product design and variables(reliability of product, quality competitiveness, market competitiveness, customer satisfaction and customer loyalty) are analysed. Then, each of hypotheses about a effect of quality competitiveness and product design is tested to analyse the functions of product design. The results of this empirical study are that quality competitiveness much affects product design and customer satisfaction and customer satisfaction affects customer loyalty. Whereas product design does not affect customer satisfaction and customer loyalty directly. Also, this study has deducted product design affects quality competitiveness, quality competitiveness affects customer satisfaction, and customer satisfaction affects customer loyalty. Based on this analysis, this study presented product design does not affected by quality competitiveness but affects quality competitiveness, thereby it affects customer satisfaction indirectly and improves customer loyalty.

      • KCI등재
      • KCI등재
      • KCI등재

        소비자 성향과 브랜드 컨셉에 따른 브랜드확장평가에 관한 연구

        임채숙(Lim, Chae-Suk) 한국산학기술학회 2015 한국산학기술학회논문지 Vol.16 No.2

        본 연구는 소비자 성향과 브랜드 컨셉이 확장 브랜드 평가에 미치는 주 효과를 살펴봄으로써, 효과적이고 전략적인 브랜드 확장 전량의 가능성을 실증적으로 분석해 보고자 한다. 본 연구의 실증적 검증을 위하여, 브랜드 확장 유형(유사/비 유사)×브랜드 컨셉(상징적/기능적)×암묵적 소비자 성향(가변론적/고정론적)의 실험설계를 하였으며, 연구결과는 다음과 같 다. 첫째, 모 브랜드와 확장제품 간의 유사성에 따른 주 효과가 통계적으로 유의하게 나타났다. 둘째, 상징적 브랜드인 경우, 소비자의 확장 브랜드에 대한 태도가 더 긍정적인 것으로 나타났고, 확장제품의 유사성과 브랜드 컨셉의 유형 간의 상호작용 효과가 통계적으로 유의하게 나타났다. 셋째, 개인의 암묵적 사고 유형과 브랜드 확장 유사성 간의 상호작용 효과가 통계적으 로 유의하게 나타났지만, 가변론자가 고정론자에 비해 브랜드 확장에 대한 태도가 긍정적으로 나타날 것이라는 가설은 통계 적으로 유의하지 못 한 것으로 나타났다. 본 연구는 비 유사한 제품군으로의 브랜드 확장의 효과를 높일 수 있는 실무적인 시사점을 제시할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 This study is to verify the effect of similarity of expanded-product, brand concepts of parent-brands and implicit theory of customers on the brand-extension evaluation, in order to reduce the risk of brand extension. First, this research documents how the similarity between the parent-brands and expanded-products affect brand-extension evaluations as a main effect variable. Second, this study examines the moderating effect of the brand concepts of parent-brands on the brand-extension evaluation. Third, this research documents how implicit theories regarding personality affect consumer evaluations about the brand-extension. The study assumes and tests that consumers in the group of incremental theorists are more accepting of brand-extensions than consumers in the group of entity theorists. The result figures out the implicit theory customers has some moderating effect on the evaluations, yet the direction of the effects is contrary to expectations.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