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파롤(Parole)’을 통한 와즈디 무아와드의 자기치유 - <연안지대>를 중심으로 -

        임재일 ( Lim Jaeil ) 한국연극학회 2018 한국연극학 Vol.1 No.66

        와즈디 무아와드(Wajdi Mouawad)는 레바논 출신의 캐나다 작가로서 현재 프랑스어권 연극에서 많은 관심을 받고 있는 극작가이자 연출가이다. 그는 레바논 내전으로 인해 가족과 함께 고국을 떠나 프랑스, 캐나다 등을 떠돌았다. 이러한 그의 삶의 경험들은 자신이 추구하는 연극의 근간이 되었으며, 그는 특히 작품에서 망명으로 인해 잃어버린 자아와 레바논인이라는 자신의 정체성을 찾고자 노력한다. 그의 초기작인 <연안지대>(1999)는 <화염>(2003), <숲>(2006), <하늘>(2009)등과 함께 무아와드의 대표작으로 꼽히고 있다. 그는 이 작품을 통해 퀘벡 연극계의 관심을 받았으며, 나중에는 유럽에 진출하여 큰 반향을 불러일으키기도 했다. <연안지대>에는 무아와드의 작품세계가 잘 드러나 있다. 파롤은 그의 연극에서 중요한 부분을 차지하는데, 이는 무아와드가 인물들을 통해 레바논 내전에 대해 발언함으로써 자신의 고국의 현실을 여과 없이 보여주기 때문이다. 그는 내전이라는 아픈 과거를 경험했으나, 이 과거를 숨기지 않고 드러내는 것이 중요하다고 보았다. ‘말한다(Parole)’는 것은 자신의 상처를 드러내 보임으로서 자신뿐만 아니라 레바논인들이 겪은 피로 얼룩진 역사를 잊지 않기 위함이다. 본 논문은 <연안지대>를 통해 무아와드만의 극작 스타일과 연극 세계에 대해 밝히는데 목적이 있다. Wajdi Mouawad, a Canadian writer who was born in Lebanon, is a playwriter and director who gathers attention in French plays. He left his country with his family due to the civil war of Lebanon and wandered around France and Canada. His life became the basis of his plays that he pursues, and he especially tries to find his identity as a Lebanese that he lost because of asylum. The work < Littoral > is considered as his representative work along with < Incendies >(2003), < Forêts >(2006) and < Ciels >(2009). In addition, he received attention of the theatrical world through this work, and later, he entered Europe and caused big sensation. 『Littoral』 can be regarded as a healing play that cures his own wounded heart due to asylum. ‘Parole’ is especially important in his plays because it can convey what he experienced via writing and performance to others. Even though he has painful past, he never hides it but keeps revealing. By revealing his wound, he tries to remember the bloody scene of history that he and Lebanese experienced. This study is intended to find out what Mouawad tries to say through 『Littoral』, how his own writing is developed, and what correlation this work has with his private life.

      • KCI등재

        『연안지대』 개작통해 을 본 무아와드 작품세계의 변화 - 초판과 개작판을 중심으로-

        임재일 ( Lim Jaeil ) 한국프랑스어문교육학회 2018 프랑스어문교육 Vol.62 No.-

        와즈디 무아와드(Wajdi Mouawad)는 프랑스와 유럽 연극계에서 많은 관심을 받고 있는 레바논 출신의 캐나다 극작가 및 연출가이다. 그는 1970년대 중반 레바논 내전으로 인해 가족과 함께 유럽과 북미를 떠돌 수밖에 없었는데 이러한 망명자의 삶은 그의 작품세계에 많은 영향을 끼쳐 무아와드만의 문학적 색채를 구현하게 된다. 『연안지대』는 무아와드 연극을 대표하는 4부작 시리즈의 첫 번째 작품으로, 1997년 퀘벡에서 초연되어 당시 평단 및 관객들로부터 큰 호평을 받았다. 그는 아비뇽 연극제를 위해 이 작품을 두 번(1999년과 2009년)에 걸쳐 개작하였고 이 개작들은 퀘벡 출판사 르메악을 통해 출간된 바 있다. 본 논문은 『연안지대』의 개작을 통해 무아와드의 작품이 어떻게 변화하는지에 대해 알아보게 된다. 무아와드가 관객에게 전하고자 하는 작품의 메시지나 그만의 문학적 기법이 명확하게 드러나기 때문이다. 우리는 이를 통해 무아와드가 레바논을 바라보는 시각과 장면 간의 재배치, 또는 과거와 현재, 실재와 허구를 넘나드는 플래시백 기법 활용 등 초판과 다르게 극을 재구성한 내용을 확인할 수 있다. 무아와드는 연습 과정을 통해 극작과 무대 연출을 완성해간다. 『연안지대』가 개작된 배경에는 초연에서의 참여 배우들이 작품에 등장하는 인물들과 연령대가 달랐기 때문이다. 배우가 인물이나 장면에 대한 자신의 의문이나 의견을 밝히는데, 무아와드는 이처럼 배우들이 스스로 캐릭터를 만들어가는 과정을 지켜보면서 자신이 구상하는 작품의 골격을 완성하게 된다. 무아와드의 연극 세계를 이해하는데 있어 첫 출발점이라 할 수 있다. Wajdi Mouawad(1968-), cet auteur et metteur en scène canadien d'origine libanaise, s'intéresse actuellement beaucoup à l'univers du théâtre français et européen. Obligé de s'expatrier en Europe et en Amérique du Nord avec sa famille à cause de la guerre civile du Liban, au milieu des années 1970, les textes de Mouawad sont plus ou moins influencés par cet exil, motif essentiel de ses oeuvres, de ses pièces de théâtre à ses romans. Littoral, première tétralogie de Mouawad, a été créée pour la première fois au Québec en 1997. Les réactions favorables des critiques et du public québécois l'ont incité à la présenter ensuite en France. Cette pièce a été réécrite deux fois (en 1999 et 2009) pour le festival d'Avignon, ces deux versions ayant été éditées par Leméac, une maison d'édition québécoise. Dans cette étude, nous souhaitons observer comment Littoral, l'oeuvre de Mouawad, a changé lors de sa réécriture tout en continuant de délivrer un message clair et de dévoiler ses modes d'écriture que l'auteur souhaite présenter au public. Ainsi, nous vérifierions les diverses modifications, les différences par rapport à la première version : son point de vue vis-à-vis de la guerre du Liban, la déconstruction et la reconstruction des scènes, l'adoption d'une technique de flash-back, sorte d'analepsie entrecroisant passé et présent, réalité et fiction, etc. Lors des répétitions, Mouawad a achevé à la fois la rédaction de son texte et sa mise en scène. Il a expliqué la nécessité de la réécriture de cette pièce car Littoral, pour ses premières représentations, devraient être jouées par des acteurs âgés d'une quarantaine d'années et non pas par de jeunes acteurs. Mouawad a souhaité par la suite réécrire son texte pour répondre aux questionnements des jeunes acteurs émis lors des répétions et révéler leur approche des personnages ou des scènes. Tout ceci a permis à Mouawad de développer et de faire évoluer son texte final. Ce point de départ nous permettra d'appréhender les particularités des textes de Mouawad.

      • KCI등재

        징가로 극단의 기마극에서 나타나는 동양적 요소 - 연극 <쉬메르>, <일식>, <트립티크>, <룽따>를 중심으로 -

        임재일 ( Lim Jaeil ) 한국연극학회 2017 한국연극학 Vol.1 No.63

        기마극은 다소 낯선 분야이다. 이것은 `기마`라는 명칭이 말을 이용한 스포츠, 군대의 제식부대, 서커스 등지에서 주로 활용되고 있으나, 아직 학문적 논의도 전개되지 않았고, 과연 어떤 것을 기마극으로 부를지에 대한 개념이나 기준도 모호하다. 프랑스 징가로 극단은 1985년 창단 이후, 말을 활용한 일련의 극을 선보였다. 이 극단은 기존의 서커스 극단과 달리 기술 위주의 역동적이고 스펙터클한 요소를 배제한 채 인간과 말이 춤을 추거나 사랑을 나누는 등 신비스런 장면을 연출하였다. 이 극단을 창단한 바르타바스는 기존의 극과 구별하기 위해 자신의 극을 `기마극`으로 부르고 있는데, 이는 그의 공연에서 배우, 음악, 무용과 무대연출의 독창적인 요소와 함께 말이 주도적인 분위기를 잡아나가고 있기 때문이다. 말이 단순한 조역자가 아니라 공연에서 주연배우로서의 역할을 하는 것을 의미한다. 이 극단은 이러한 독특함으로 인해 매해 수십 만 명의 관객이 관람할 만큼 세계적인 극단으로 거듭나게 된다. 징가로 극단은 1990년대 중반이후 인도, 한국, 티베트 등 동양을 테마로 한 일련의 작품을 선보이는데, 이 극단이 동양 문화에 관심을 가진 배경과 작품에서 나타나는 동양 문화가 어떻게 표현되는지를 살펴보려고 한다. 더불어 징가로 극단의 기마극이 기존의 서커스와 다르다면 어떻게 차별화될 수 있는지, 또는 이 극단만의 독특한 공연양식이 어떻게 무대화되는지에 대해서 알아보는 것도 중요하다 하겠다. Horseback riding play is a bit unfamiliar area. There have been no academic discussions, and it is also ambiguous which one should be called horseback riding play. It is because the name `horseback riding` is mainly used for sports or circus using horse. Contrary to the existing circus troupes, Zingaro Troupe of France mainly presents mysterious scenes mingled with human and horse by excluding dynamic and spectacle elements. Bartabas who founded Zingaro Troupe classifies his play into `horseback riding play` to differentiate it from the existing plays because his performance mainly focuses on acting of horse and actor, stage direction harmonized with live music and dance, and dramatic direction with the mediation of horse. Since the middle of the 1990s, Zingaro Troupe has showed a series of works under the theme of the Orient such as India, Korea, and Tibet. This study aims to examine the background reason why this troupe started having interest in Oriental culture, and also how the Oriental culture is expressed in works. Moreover, it would be also important to understand how the horseback riding play of Zingaro Troupe could be differentiated from the existing circuses or how the unique performance style of this troupe would be staged.

      • KCI등재

        다문화 시대의 이주민 연극 -프랑스 사례를 중심으로

        임재일 ( Jaeil Lim ) 한국연극학회 2015 한국연극학 Vol.1 No.56

        1970년대 경제위기로 인해 일자리를 위협받게 된 프랑스 이주노동자들은 자신들의 권리나 인권을 스스로 지켜내야 했다. 이 과정에서 이주노동자는 이주민 연극을 통해 자신들이 처한 상황을 알리려 한다. 이주민 연극은 당시 수 백 개의 이주민 극단이 활동했을 만큼 활발했는데, 대부분의 공연이 알 아시파 극단처럼 거리나 파업 및 시위현장에서 이루어져 사회현실을 추구하는 앙가주망적인 성격에 가까웠다. 1980년대 이주민 연극은 정부의 新이주민정책으로 변화를 맞게 되는데, 젊은 이주민 2세대가 주도적으로 이 연극을 이끈다. 이전 시기의 극단과 달리 이들은 프랑스인이자 외국인으로서 자신들이 느끼는 정체성의 혼란이나 종교적 갈등, 또는 이질적인 문화를 다룸으로서 기존 사회와의 융화에 힘을 쏟는다. 정치적이거나 미학적인 측면보다는 이주민이 지역 사회에 쉽게 적응하도록 하는 사회적 성격이 두드러지게 나타난다. 이 이주민 연극은 프랑스 사회에 여러 긍정적인 효과를 가져 오는데, 극을 통해 이주노동자가 겪고 있는 고충을 알렸고, 본인들이 처한 현실이 혼자만의 문제가 아니라 이주민 전체와 관련된 것임을 인식시켰으며, 외국인에 대한 차별이나 편견의 부당성을 제기하며 자신들도 프랑스 사회의 한 일원임을 당당히 밝힌 점이다. Immigrant workers in France had been under serious threat of losing their jobs due to the economic crisis in 1970’s. They had to fight for themselves to protect their own basic rights. In this regard, the immigrants wanted to let the world know more about their situation through immigrant theatres. In fact, there were hundreds of different immigrant theatre troupes, showing how active immigrant theatres were back then. Most of them took place on streets or near strike/protest scenes just like those of Al Asifa. As such, immigrant theatres showed a disposition towards the engagement movement in post-war France, in that they highlighted the social issues at hand. With the introduction of the new immigrant policy of the French government in 1980’s, immigrant theatres faced a period of transition mainly led by young, second-generation immigrants. Unlike their predecessors, they concentrated on bringing harmony between their world and the existing social order. To this end, the second-generation immigrants deal with topics like identity crisis, religious conflict, and alien culture they experience as both French and foreigner at the same time. In this stage, immigrant theatres put much bigger emphasis on their social functions than their political or aesthetic aspects so as to help immigrants better adjust themselves into local community. New immigrant theatres had some important implications to the French society. First, they raised public awareness on the difficulties immigrant workers were going through. Second, they convinced the community that their struggle is not confined to their own sakes alone, but extends to well being of all immigrants in the community as a whole. And third, they sent a strong message that they are also a part of the French society, raising their voice on the injustice in discrimination and prejudice against foreigners.

      • KCI등재

        셰익스피어를 통해 본 브레히트의 비유극 양상 연구 - 『둥근 머리와 뾰족 머리』의 초연을 중심으로

        임재일 ( Lim Jaeil ) 한국브레히트학회 2021 브레히트와 현대연극 Vol.- No.44

        『둥근 머리와 뾰족 머리』는 『갈릴레이의 생애』, 『억척 어멈과 그 자식들』, 『사천의 선인』 등 브레히트의 비유극 중에서 시초 같은 작품이다. 브레히트는 셰익스피어를 통해 비유극의 형태를 완성해 가는데, 이러한 관심은 1920년대 들어 여러 형태로 변모한다. 우리가 주목한 점은 브레히트가 『둥근 머리와 뾰족 머리』를 기점으로 셰익스피어에 대한 태도가 다시 바뀌는데, 그는 이 작품을 통해 고전 작품을 역사화하고 서사적으로 재해석할 수 있는 가능성을 발견한다. 브레히트는 1936년 덴마크에서 올려진 『둥근 머리와 뾰족 머리』 초연(페르 크누트손 연출)에 직간접적으로 참여하나 이 작품은 아쉽게도 관객과 평단으로부터 큰 주목을 받지 못한다. 그럼에도 브레히트는 이 공연을 자신의 최고 작품 중 하나로 꼽고 있다. 이런 점에서 이 공연은 브레히트가 추구하고자 하는 비유극의 실체를 확인할 수 있다는 점에서 중요하다 할 수 있겠다. 브레히트는 『둥근 머리와 뾰족 머리』를 통해 독일 사회를 16세기의 영국 사회에 투영하는 것에서 더 나아가 자신만의 고유한 무대연출 스타일을 완성시킨다. 그는 배우의 연기와 장면 연출에서 원래의 작품 설정과 달리 의상이나 소품 등을 통해 반전의 효과를 줌으로써 관객들에게 극적인 흥미를 유도하고자 한다. 기이하고 그로테스크한 연출은 관객들에게 극적 재미뿐 아니라 현실 세계의 본질을 인식하도록 하는 예술적 도구라고 볼 수 있다. 셰익스피어 작품의 패러디와 독일 사회풍자, 또는 상황에 어울리지 않는 장면 설정, 그로테스크한 무대연출 및 오브제 활용 등을 통해 브레히트의 비유극 색채를 인식하게 된다. Die Rundköpfe und die Spitzköpfe is like the beginning of Brecht’s parable works such as Leben des Galilei, Mutter Courage und ihre Kinder, and Der gute Mensch von Sezuan. Brecht completed the form of his parable works through Shakespeare, and his interest like this transforms into various forms in the 1920s. The point we have noticed is that Brecht changed his attitude on Shakespeare again starting with Die Rundköpfe und die Spitzköpfe, and through this work, he found the possibility of historicalizing and narratively reinterpreting classics. Brecht participated directly or indirectly in the premiere of Die Rundköpfe und die Spitzköpfe(directed by Per Knutzon), in Denmark in 1936, but this work, unfortunately, could not draw much attention of the audience and critics. Nevertheless, Brecht considered this play as one of his best works. In this respect, this play is important in that it can identify the reality of the parable work that Brecht wanted to pursue. Brecht, through Die Rundköpfe und die Spitzköpfe, completed his own style of stage direction, beyond reflecting German society into British society of the 16th century. He intended to induce dramatic interest to the audience by providing unpredictable effect with the actor’s acting and costumes and props in scene direction, unlike the setup of original work. It can be said that the bizarre and grotesque direction is an artistic tool that makes the audience recognize the essence of the real world, as well as providing dramatic fun. It allows to recognize the colors of Brecht’s parable works through the parody of Shakespeare’s work, the satire on German society or the mismatched scene directions with situations, and grotesque stage direction and using objects.

      • KCI등재

        영화 〈그을린 사랑〉에서 나타난 고대 신화 뛰어넘기 -원작 〈화염〉과의 비교를 중심으로-

        임재일(Jaeil, LIM) 동국대학교 영상문화콘텐츠연구원 2019 영상문화콘텐츠연구 Vol.18 No.-

        영화 〈그을린 사랑〉은 연극 〈화염〉을 원작으로 하고 있다. 빌뇌브는 레바논 출신도 내전을 경험하지도 않았으므로 원작의 레바논 내전, 고문과 학살, 대를 잇는 피의 보복 등의 내용보다는 내전으로 인해 뒤틀린 한 가족의 삶에 좀 더 초점을 맞추고 있다. 주인공인 나왈과 니하드는 오이디푸스 신화 속의 인물들처럼 비극적 굴레에 갇혀 자신들에게 다가오는 운명을 뛰어넘지 못한다. 이처럼 〈그을린 사랑〉은 고대 신화를 통해 각 인물들이 자신 앞에 펼쳐진 현실을 마주하고 느끼게 되는 내적 고뇌를 드러내 보이고 있다. 이러한 고난의 승화를 통해 비극적인 현실을 극복하고자 하는 인물들의 의지, 한 가족사의 복원, 부모의 사랑을 확인하게 된다. The film Incendies(2010) is the representative work Incendies(2003). Compared to the original work, filled with Lebanese civil war, torture and massacre, and bloody revenges carried on family line, Villeneuve focuses more on the life of a family distorted by the civil war. Just like the characters of the Oedipus myth, the main characters, Nawal and Nihad cannot overcome their upcoming fate in the tragic bonds. Through ancient mythology, the film focused on the internal agony experienced by each individual when facing the actual reality. We confirm, through this hardship sublimation, the will of characters who want to overcome the tragic reality, the restoration of a family history, and the love of parents.

      • KCI등재
      • KCI등재

        피스카토르와 브레히트를 통해 바라본 서사극의 원류 -1920년대 활동을 중심으로

        임재일 ( Lim Jaeil ) 한국브레히트학회 2016 브레히트와 현대연극 Vol.0 No.35

        Discussions on Piscator and Brecht related to epic theater have been realized numerously until now. But, studies like through what courses Piscator was known as the founder of epic theater and what contribution to the development of epic theater he made are insufficient. The 1920s was a period that epic theater was dawning and also an important time to develop plays which they wanted to pursue. Although Piscator did not state the expression of ‘epic theater’ directly, he revealed that his plays were based on epic theater through The Political Theater in 1929. So, it is true that various misunderstandings related to Brecht were made after that. Therefore, by examining The Flags and The Adventures of the Good Soldier Schweik which were stated in The Political Theater by Piscator and The Life of Edward II of England and The Threepenny Opera of Brecht which were staged in a similar time, essence of artistry which was pursued by the two theater men is intended to be clarified. This paper has meaning in clarifying what contribution the two theater men made in forming epic theater in the 1920s and what difference there is before discussing who first used the name of epic theater.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