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벼 담수직파 논 잡초방제 체계에 따른 올방개 방제 특성

        임일빈,임보혁,박재현,임민혁,김대현,장정한,최경진 한국잔디학회 2016 Weed & Turfgrass Science Vol.5 No.4

        This study was conducted to investigate the ecology of weed occurrence and to establish an economical paddy field weed control system for direct-seeded rice on water. The main problem weed among annual and perennial weeds was Eleocharis kuroguwai. The control effect of E. kuroguwai was low by the application of azimsulfuron + carfentrazone-ethyl + pyriminobacmethyl at the early stages of rice in directly seeded paddy fields, but most annual weeds including Echinochloa crus-galli were controlled. Also, the additional application of pyrazosulfuron-ethyl + thiobencarb GR at 20 days after first treatment or of bentazone SL at 43 days after the first treatment effectively controlled E. kuroguwai. Tuber formation of E. kuroguwai was inhibited by the additional application of pyrazosulfuron-ethyl + thiobencarb by 84%, but the dormancy rate of old tubers of E. kuroguwai under the soil was higher than that of E. kuroguwai tubers following single application of azimsulfuron + carfentrazone-ethyl + pyriminobac-methyl at the early stages of rice. Tuber formation was inhibited by the additional application of bentazone by approximately 87%, and the old tuber dormancy rate was low in the bentazone treatment. High amounts of old dormant tubers of E. kuroguwai were found in the weedy plots. 벼 담수직파 재배시 제초제 사용에 따른 잡초발생 생태 를 구명하고, 합리적인 잡초방제 체계를 확립하고자 연구한 결과는 다음과 같다.벼 종자 파종 후 12일에 설포닐우레아계 혼합제초제(azimsulfuron + carfentrazone-ethyl + pyriminobac-methyl) 처리는 피 등 일년생잡초의 방제효과는 높았으나, 올방개의 방제효과는 낮았다. 그러나, 설포닐우레아계 혼합제초제 초중기처리 후 20일에 설포닐우레아계 혼합제초제(pyrazosulfuron-ethyl + thiobencarb)의 체계처리는 올방개의방제효과가 높고, 새로운 괴경의 형성량은 적었으나, 구 괴경의 휴면율은 높았다. 또한 설포닐우레아계 혼합제초제의초중기처리와 파종 후 55일에 bentazone 액제의 체계처리는 올방개의 방제효과가 높고, 새로운 괴경의 형성량도 적었으며, 휴면 괴경도 적었다.

      • KCI등재

        벼 수확 전 파종 사료맥류 재배 시 뚝새풀 방제효과

        임일빈,임보혁,박재현,장준형 한국잔디학회 2013 Weed & Turfgrass Science Vol.2 No.4

        This study was conducted to develop an efficient control method for water foxtail in the field sowing barley and wheat seeds before rice harvesting. When thifensulfuron-methyl (75%) was applied 0, 5 and 10 days after rice harvesting, little phytotoxicity was observed on both barley and wheat. Percent of water foxtail control with thifensulfuron-methyl (75%) was more than 88% at three different application timing. When butachlor (5%) was applied 5 days before barley and wheat sowing, phytotoxicity on barley and wheat was severe. However, no phytotoxicity was observed on barley and wheat 5 and 10 days after rice harvesting. Percent of water foxtail control with butachlor 0 and 5 days after rice harvesting was 85-89%. However, it dropped to 74-80% when applied 10 days after rice harvesting. In the thifensulfuron-methyl treatment, the dry matter of barley and wheat was 96- 108% and 100-108%, respectively when compared with untreated control. While, in the butachlor treatment, the dry matter of barley and wheat was 53-73% and 106%, respectively when compared with untreated control. Therefore, we recommend thifensulfuron-methyl (75%) 0-10 days after rice harvesting or butachlor (5%) 5 days after rice harvesting to provide efficient water foxtail control and safe barley and wheat production. 본 시험은 벼 수확 전에 사료맥류를 파종 재배할 경우 뚝새풀을 방제하고자 수행되었다. Thifensulfuron-methyl (75%) 입상수화제를 벼 수확 직후, 수확 후 5일, 수확 후 10일에 처리한 결과, 보리와 밀 모두 약해는 거의 없었으며, 뚝새풀의 방제 효과는 각 처리 시기 모두 88% 이상 이었다. Butachlor (5%) 입제를 맥류 파종 전 5일, 벼 수확 직후, 수확 후 5일, 수확 후 10일에 처리한 결과, 파종 전 처리는 보리, 밀 모두 약해가 심했으나, 수확 후 5일및 10일 처리에서 약해가 없었다. 뚝새풀의 방제효과는 벼 수확 직후 및 5일 후 처리까지는 보리, 밀 모두 85-89%, 10일 후 처리는 74-80% 이었다. Thifensulfuron-methyl의 처리에서 건물수량은 무처리에 비하여 보리는 96-108%, 밀은 100-108% 높았다. Butachlor의 수확직후 및 5일처리에서 건물수량은 무처리에 비하여 보리는 53-73% 이었으나, 밀은 106% 이상이었다. 따라서 벼 입모중 사료용 보리 및 밀 재배 시 잡초방제는 벼 수확 및 복토 직후, 5-10일에 thifensulfuron-methyl (75%) 입상수화제 처리 또는 벼 수확 및 복토 후 5일 butachlor (5%) 입제의 처리로 효과적인 뚝새풀의 방제로 안전하게 조사료를 생산할 수 있을 것으로 사료된다.

      • 한국산(韓國産) 피(Echinochloa crus-galli (L.) Beauv.) 수집종(蒐集種)의 잡초생태학적(雜草生態學的) 분류(分類)에 관(關한) 연구(硏究) - 제(第)III보(報) 수집종(蒐集種) 피의 제초제(除草劑) 반응(反應)에 대(對)한 종내변이(種內變異)

        임일빈,구자옥,이도진,Im, I.B.,Guh, J.O.,Lee, D.J. 한국잡초학회 1989 Weed&Turfgrass Science Vol.9 No.1

        1986년(年)에 전국적(全國的)으로 수집(蒐集)한 강피 6 수집종(蒐集種)과 피(돌피, 물피) 17수집종(蒐集種)을 곤시(供試)하여 pyrazolate, bifenox 및 quinclorac 에 대한 감수성(感受性)및 내성반응(耐性反應)을 검정(檢定)한 결과(結果)는 다음과 같다. 1. Pyrazolate에 의한 백화고사반응(白化枯死反應)은 강피종(種)보다 피종(種)이 감수적(感受的)이었으며, 피종(種) 중(中)에서도 구미, 이천(利川)-A, 이천(利川)- B, 부은(報恩)-B 및 광주(光州)-B 종(種)은 특(特)히 감수성(感受性)이 컸고, 격주(慶州), 안성(安城), 보은(報恩)-A, 정주(井州)-A 및 광주(光州)-A 종(種)은 강피보다 내성(耐)性이 컸다. 2. Bifenox에 의한 twisting 및 생장억제반응(生長抑制反應)은 강피 종(種이) 내성(耐性)이면서 종내변이(種內變異)가 작았던 반면(反面), 피종(種)은 감수성(感受性)이면서종내변이(種內變異)가 컸다. 피종중(種中)에서도 보은(報恩)- B, 안성(安城), 이천(利川)-A, 이천(利川)- B, 원주(原州) 및 광주(光州)-B 종(種)은 특(特)히 감수성(感受性)이었던 반면(反面)에, 진양(晋陽), 정주(井州)-A, 정주(井州)-B, 대전(大田), 구례(求禮) 및 광주(光州)-A종(種)은 강피와 비등(比等)한 내성(耐性)올 보였다. 3. Quinclorac에 의한 생장억제(生長柳制) 및 고사반응(枯死反應)은 강피종(種)이 감수성(感受性)이면서 종내변이(種內變異)가 작았던 반면(反面), 피종(種)은 내성(耐性)이면서도 종내변이(種內變異)가 컸다. 피종(種)가운데 보은(報恩)-A, 이리(裡里), 정주(井州)-A, 정주(井州)-B, 광주(光州)-A 및 광주(光州)-B는 강피와 비등(比等)한 감수성(感受性)이었으나, 김해(金海), 경주(慶州), 구미, 원주(原州), 이천(利川)-A. 이천(利川)-B 및 안성종(安城種)은 강(强)한 내성(耐性)을 보였다. 4. 강피종(種)은 pyrazolate와 bifenox에 내성(耐性)이면서 quinclorac 에는 감수성(感受性) 경향(傾向)이었고, 피종(種)은 이들 반응(反應)에 일양성(一樣性)이 없었다. 즉, 3 약제(藥劑) 모두에 내성(耐性)인 피종(種)은 구례(求禮), 김해(金海) 및 대전종(大田種)이었고. pyrazolate 및 bifenox 에 내성(耐性)이면서 quinclorac에 감수성(感受性) 종(種)은 이리, 정주(井州)-A, 정주(井州)-B, 광주(光州)-A종(種)이었으며. 이와 반대반응(反對反應)을 보인 것은 구미, 원주(原州), 이천(利川)-A, 이천(利川)-B, 보은(報恩)-B 및 광주(光州)-B종(種)이었다. 5. 피 수집종(蒐集種)에 대한 반응경향(反應傾向)으로 볼 때, pyrazolate와 bifenox는 서로 유사(類似) 경향(傾向)이었으나 quinclorac은 이들과 상치(相値)되는 반응경향(反應傾向)이었다. The six barnyardgrass [Echinochloa oryzicola (vasing.) Vasing.] and seventeen barnyardgrass [Echinochloa crus-gadli (L.) Beauv.] accessions, which were collected national widely in 1986 and selected two times through 1987. To study different growth response due to herbicide, pyrazolate, bifenox, quinclorac, the experiment was conducted with herbicide agar culture without nutrients, 1. Albinistic discoloration due to pyrazolate was more sensitive in E, crus-galli than E. oryzicola and among barnyardgrass accessions, Kumi, Ichon-A, Ichon-B, Boun-B and Kwangju-B were rather susceptible than Gyongju, Ansong, Boun-A, Jongju-A and Kwangju-A. 2. Twisting and growth retardation due to bifenox was less sensitive in E. oryzicola with less intra-specific variations than in E. crus-galli. Among E. crus-galli accessions, Boun-B, Ansong, Ichon-A, Ichon-B, Wonju and Kwangju-B were particulary susceptible, and Jinyang, Jongju-B, Jongju-A, Daejon, Kurye and Kwangju-A were tolerant as much as E. oryzicola. 3. Growth retardation and withering to dead due to quinclorac was more sensitive in E. oryzicola with less intra-specific variations than in E. crus-galli. Among accessions of E. curs-galli, Boun-A, Iri, Jongju-A, Jongju-B, Kwangju-A and Kwangju-B were rather similar suseptible to E, oryzicola than kimhae, Gyongju, Kumi, Wonju, Ichon-A, Ichon-B and Ansong. 4. Most accession of E. oryzicola was tolerant to both pyrazolate and bifenox, while susceptible to quinclorac. Among other accessions of E. crus-galli, Kurye, Kimhae, and Daejon were tolerant to all experimented herbicides, and Iri, Jongju-A, Jongju-B, and Kwangju-A were only tolerant to both pyrazolate and bifenox, while Kumi, Wonju, Ichon-A, Ichon-B, Boun-B and Kwangju-B were only tolerant to quinclorac.

      • KCI등재

        벼 수확전 청보리 파종 재배시 친환경적 뚝새풀 관리

        임일빈,임보혁,박재현,장준형,오영진,장윤우 한국잔디학회 2014 Weed & Turfgrass Science Vol.3 No.1

        This study was conducted to develop an eco-friendly control method for water foxtail in the field sowing barleyseeds before rice harvesting. When sea water was applied pre-emergent, 1 and 2 leaves, little injury was observed on barley. Percent of water foxtail control with sea water (100%) was more than 50% at 1 leaf application timing. When sodium chloridewas applied 400, 800 and 1,600 kg ha-1, little injury was observed on barley. Percent of water foxtail control with sodium chloridewas 36-44% at 30 days after sowing. When ferrous sulfate was applied at 400, 800 and 1,600 kg ha-1, emergent injury wasobserved 35-50% on barley. Percent of water foxtail control with ferrous sulfate was 48-79% at 30 days after sowing. Whenbarley was sowed at 200, 300 and 400 kg ha-1, seeding rate standing plants have many of the more crops, water foxtail occurrencewas low. And, Forage yield of 300 kg ha-1 seeding in the highest. Based on the results, it is possible to control water foxtail in thefield sowing barley seeds before rice harvesting more than 50%. 본 연구는 벼 수확 전에 사료맥류를 파종 재배할 경우 뚝새풀의 친환경적 방제 가능성을 검토하고자 수행되었다. 해수를 뚝새풀 발생전, 1엽 그리고 2엽기에 30, 50, 100%농도로 처리한 결과, 뚝새풀은 1엽기에 100% 처리에서50% 정도 억제되었다. 또한 무기염류 처리에 의한 보리생육과 뚝새풀의 방제효과를 검토한 결과 보리의 출현율은 sodium chloride 처리에서는 영향이 없으나, ferroussulfate의 처리에서는 35~50% 정도 낮았으며, 뚝새풀은sodium chloride 처리에서 36~44%, ferrous sulfate의 처리에서 47.5~78.8% 정도 억제되었다. 작물 파종량 증가에의한 뚝새풀의 발생억제 효과를 검토한 결과, 보리의 파종량이 많을수록 입모수가 많고, 뚝새풀의 발생량은 유의적으로 낮았으며, 조사료 수량은 300 kg ha-1 파종에서 가장 높았다. 결과적으로 벼 수확전 입모중 사료맥류 재배시 뚝새풀의 친환경적인 방제는 50% 정도의 수준은 가능한 것으로 판단되었다.

      • KCI등재

        전남지역 벼 재배방법에 따른 잡초 발생 특성

        임일빈,임보혁,박재현,장정한,임민혁,이인용 한국잔디학회 2015 Weed & Turfgrass Science Vol.4 No.4

        Surveys of weed species in paddy fields were conducted to identify weed occurrence on July 2013. Total 237 sites of paddy fields in 9 City/Gun, Jeonnam Provinces in Korea were investigated. From the survey, 45 weed species in 18 families were identified and classified to 33 annuals and 15 perennials. Based on the occurrence ratio, the most weed species belonged to Poaceae (9 species) and 8 and 4 weed species belonged to Cyperaceae and Scrophulariaceae, respectively. These 21 weed species in the most four families accounted for 46% of total weed occurrence. The most dominant weed species in Korean paddy fields were Echinochloa spp. (18.5%), followed by Monochoria vaginalis (12.3%), Lemna perpusilla (8.2), Eleocharis kuroguwai (5.2%) and Scirpus juncoides (5.2%). The most dominant weed species in machine transplanting paddy fields were Echinochloa spp. (14%), followed by Monochoria vaginalis (12%) and in water seeded rice paddy fields were Echinochloa spp. (25%), followed by Monochoria vaginalis (11%). This information could be useful for estimation of future weed occurrence, weed population dynamics and establishment of weed control methods in paddy fields 본 연구는 전남지역 논에서 벼 재배양식별 잡초 발생 현황을 파악하기 위하여 2013년 7월에 9개 시·군의 237지점에서 잡초분포조사를 수행하였다. 조사결과 전체 논에는일년생잡초가 33종, 다년생잡초 15종을 포함한 18과 45종의 잡초가 발생하는 것으로 확인되었다. 발생한 잡초의 과별 구성을 보면 화본과 9종, 사초과 8종, 현삼과 4종 순으로 상위 3개 과가 포함하는 21종이 전체의 45.5%를 차지하였다. 조사된 잡초는 피 18.5%, 물달개비 12.3%, 개구리밥 8.2%, 올방개 5.2%, 올챙이고랭이 5.2% 순으로 우점하였다. 이번 연구결과를 이용하여 앞으로 논 잡초의 발생양상을 예측하며 잡초군락의 변화를 파악함으로써 효과적인잡초 관리방안을 마련할 수 있을 것으로 판단된다.

      • KCI등재

        작약밭 잡초 발생 특성

        임일빈,임보혁,박재현,임민혁,장정한,이인용,Im, Il-bin,Im, Bo-Hyeok,Park, Jea-Hyeon,Im, Min-Hyeok,Jang, Jeong-Han,Lee, In-Yong 한국잡초학회 한국잔디학회 2017 Weed & Turfgrass Science Vol.6 No.3

        작약 밭에서 잡초의 발생 특성을 파악하기 위하여 2015년 6-7월에 경북 의성, 청송, 전남 화순, 장흥, 강진 등의 지역에서 조사한 결과를 보면 다음과 같다. 전체 작약 밭에서는 국화과 30종, 벼과 9종, 마디풀과 8종, 콩과, 메꽃과 각각 5종, 십자화과, 현삼과 각각 4종을 포함하여 35과 105종이 발생하였다. 생활형별로는 일년생 49종, 월년생 23종, 다년생 33종이었다. 우점도가 큰 잡초는 바랭이, 쇠비름, 명아주, 피, 깨풀 등의 순이었다. 경북지역에서는 국화과 20, 벼과 7, 마디풀과 6, 십자화과 4종, 콩과 4종, 메꽃과 4종, 대극과 3종을 포함하여 30과 75종이 발생하였다. 상위 2개 과에 포함하는 잡초가 31종으로 44.7%를 차지하였다. 생활형별로는 일년생 35종, 월년생 21종, 다년생 19종이었다. 우점도가 큰 잡초는, 쇠비름, 깨풀, 명아주, 속속이풀, 피 등의 순이었다. 전남지역에서는 국화과 23종, 벼과 7종, 마디풀과 8종, 콩과 6종을 포함하여 34과 88종이 발생하였다. 생활형별로는 일년생 43종, 월년생 20종, 다년생 25종이었다. 우점도가 큰 잡초는 바랭이, 쑥, 쇠비름, 망초, 명아주, 개여뀌, 피 등의 순이었다. 이와 같이 작약 재배지에서 일년생, 월년생 및 다년생 잡초가 다양하게 발생하고 있어 이에 따른 잡초방제 체계가 설정되어야 할 것으로 생각된다. This study was carried out to investigate the characteristics of weeds occurring in paeony field in June and July, 2015 in Uiseong, Cheongsong of Kyungbuk province, and Hwasun, Jangheung, Gangjin of Jeonnam province. In total paeony field, there were 35 families and 105 species, including 30 species of Asteraceae, nine species of Poaceae, eight species of Polygonaceae, and each five species of Fabaceae and Convolvulaceae, By life style, there were 49 species of annuals, 27 species of winter annuals and 24 species of perennials. In Kyeongbuk province, 30 families and 75 species were found including 20 species of Asteraceae, seven species of Poaceae, six species of Polygonaceae, each four species of Brassicaceae, Fabaceae and Convolvulaceae, three species of Euphorbiaceae. By life style, there were 35 species of annuals, 21 species of winter annuals and 19 species of perennials. In Jeonnam province, 34 families and 88 species were found including 23 species of Asteraceae, seven species of Poaceae, eight species of Polygonaceae, six species of Fabaceae and four species of Scrophulariaceae. By life style, there were 43 species of annuals, 15 species of winter annuals and 25 species of perennials. Therefore, there are various occurrences of annual, annual, and perennial weeds in peony fields, and weed control system should be set up accordingly.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