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핵심 성취기준에 따라 개발된 과학 교과서 시범 단원의 분석

        임유나(Lim Yoo Na),조은영(Cho Eun Young),홍후조(Hong Hoo Jo) 학습자중심교과교육학회 2015 학습자중심교과교육연구 Vol.15 No.6

        본 연구는 ‘참고서가 필요 없는 교과서 완결 학습 체제’를 마련하기 위해 개발한 과학과 ‘핵심 성취기준 중심의 교과서’ 시범 단원을 분석하고 그 타당성을 검토한 것 이다. 분석 결과, 시범 단원은 기존 교과서에 비해 더 많은 참고자료나 연습문제를 담고 있지 않았고, 정책 연구를 통해 설정한 자기주도적 학습 요소를 형식적으로는 어느 정도 갖추고 있으나 따라하기 매뉴얼식의 탐구활동을 제시하여 학생들이 의미 있는 탐구를 수행할 수 있도록 구성된 교과서는 아니었다. 또한 핵심 성취기준 외에 일반적인 성취기준까지도 포함하여 사실상 내용 감축이 이루어졌다고 할 수 없었다. 시범 단원은 현 교과서 정책들의 의도가 잘 반영된 교과서라고 판단하기 어려웠고, 더 중요하게는 과학과에서 추구하는 목표와 방향을 달성할 수 있도록 구현된 미래 지향적인 탐구형 과학 교과서로 볼 수 없었다. 결론적으로, 현재 정부가 추진하는 교과서 정책이 모든 교과, 모든 학년(군)에 적합하다고 할 수는 없다. 미래형 교과서 개발 논의에 있어서 가장 중요하게 고민되어야 할 것은 각 교과가 추구하는 교육의 목적과 특성이 되어야 한다. 따라서 과학 교과서 개발에 있어서는 자기주도적 학습 이 아닌 학생이 중심이 되는 탐구학습을 강조하고, 프로젝트 학습, 협동학습, 토의 토론과 같은 상호작용을 통한 학습이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하는 방향을 중심에 세워 야 할 것이다. This study was to analyze the demonstration unit of the ‘core achievement standard-based science textbooks’, developed to prepare ‘the textbook completion learning system that does not require supplementary materials’ and to review its validity. As a result of the analysis, it was hard to consider the demonstration unit as the textbook reflecting the intention of the current textbook policies; more importantly, it could not be seen as the future-oriented exploratory science textbook made to achieve the goal and direction that science pursued. To conclude, it is hard to say that the current textbook policy driven by the government is fit for all subjects and all grades (groups). What should be most importantly concerned about when we discuss development of the future-oriented textbooks should be the educational purposes and characteristics each subject pursues. Therefore, for development of science textbooks, not the self-directed learning but the student-centered exploratory learning has to be emphasized, and the interactive learning such as the project learning, cooperative learning and discussion should be the center of the development.

      • KCI등재

        국제비교를 통한 국가교육과정기준 총론 구성 체제의 개선

        임유나 ( Yoo Na Lim ),홍후조 ( Hoo Jo Hong ) 안암교육학회 2014 한국교육학연구 Vol.20 No.1

        국가교육과정 총론은 우리나라 학교교육이 어떠한 방향으로 나아가야 할 것인가에 대한 청 사진을 보여주고 길잡이 역할을 한다. 또한 교육과정을 어떠한 형식과 내용으로 구성하는가는 학생들이 받게 되는 “교육 경험의 질” 과 밀접하므로, “양질의 교육 기준”을 제공하기 위한 국가교육과정기준 문서의 구성 체제나 하위 내용의 중요성은 매우 크다. 그러나 현행 우리나라 국가교육과정기준 문서는 학교의 교육과정 편성·운영의 기준 제공 및 안내로서의 역할과 기능, 그리고 사용 측면에서 문제점이 많아 개선할 필요성이 꾸준히 제기되어 왔다. 이에 본 연구는 우리나라 교육과정 총론의 구성 체제상의 문제점을 파악하고, 외국의 사례들로부터 시사점을 얻고 개선안을 제안하기 위하여 뉴질랜드, 핀란드, 영국, 싱가포르 국가교육 과정기준 총론 문서의 구성 체제를 비교·분석하여 보았다. 분석 결과, 4개국의 교육과정 총론 문서들은 약간의 편차는 있지만, 공히 구성 체제의 기본 뼈대라고 할 수 있는 문서 궁성의 축(대영역)이 “도입, 기본 방향, 각론 구성의 틀, 실행 지침과 지원, 부록”의 5가지로 이루어져 있음이 확인되었다. 또한 국가교육과정기준 총론을 개선하기 위한 관점을 “내용적 측면”에서는 “종합성·체계성”으로, “기능적 측면”에서는 “기준성·혁신성”으로, “사용적 측면”에서는 “가독성·편의성”으로 보고, 누구나 쉽게 접근하여 사용할 수 있고, 이해하기 쉽고, 보고 싶고 읽고 싶은 교육과정 문서로의 변화를 전제하여 국가교육과정기준 총론 문서의 구성 체제 개선안을 주요 연구 결과로 제시하였다. The National Curriculum Standards show a blueprint of what direction Korean school education should take as a guiding role. Since the constructional forms and contents of curriculum are closely related to the “quality of educational experience” received by students, the importance of the constructional format and sub-contents of National Curriculum Standards for providing “high-quality educational standards” is very huge. However, the current Korean National Curriculum Standards document shows many problems in the aspect of roles, functions and its use. In order to understand problems of the constructional format of Korean National Curriculum Standards, and also to suggest implications and improvement measures from foreign cases, this study comparatively analyzed the constructional formats of National Curriculum Standards of New Zealand, Finland, England and Singapore. As a result, the Curriculum documents of those four countries are comprised of five areas which are the basic frame of the constructional format, including introduction, curriculum platforms, curriculum frameworks, curriculum guidelines, and appendix. As measures to improve Curriculum Standards, “comprehensiveness and systematization” were viewed in the “aspect of contents”, “standardization and innovation” in the “functional aspect”, and “readability and convenience” in the “aspect of use”. And we suggested the improvement measures of constructional format of National Curriculum Standards.

      • KCI등재

        2015 개정 과학과 교육과정의 교육내용 적정화 검토:

        임유나(Lim Yoo Na),장소영(Jang So Young) 학습자중심교과교육학회 2015 학습자중심교과교육연구 Vol.15 No.12

        최근 고시된 2015 개정 교육과정은 핵심역량을 반영하고 학생활동 중심으로 교실 수업을 개선하기 위한 방안으로서 핵심개념을 중심으로 한 교육내용 적정화를 교과 교육과정 개발의 주요 방향으로 중 하나로 삼았다. 이러한 배경에서 본 연구는 2009 와 2015 개정 초, 중학교 과학과 교육과정을 비교 분석하여 교육내용 적정화 정도를 검토해 보았다. 연구 결과, 두 교육과정의 과학과 수업 시수는 동일하게 유지된 한 편, 새 교육과정의 학습 주제 수는 증가하였다. 성취기준의 수는 새 교육과정의 모 든 학년군에서 기존 교육과정에 비해 20% 정도 감소하였으나, 개념(학습요소), 성취 기준 해설, 교수 학습 및 평가의 유의사항, 성취기준의 병합적 조정 등을 고려하여 분석한 교육내용량은 사실상 크게 감축되지 않은 것으로 나타났다. 교육내용 적정화 는 학생들에게 유의미한 학습 기회를 제공하기 위한 것이기 때문에 단순히 성취기 준의 개수를 줄여서 될 문제가 아니라, 교육내용이 제시하고 있는 개념적 지식과 수 행해야 하는 탐구활동의 수준 등을 수업 시수와 함께 고려하면서 이루어져야 한다. 또한 교육목표와 교육과정 개발의 방향을 염두에 두고, 철저한 숙고와 보다 더 엄격 한 기준에 따라 핵심개념을 선정하고 교육내용량을 실질적으로 감축할 필요가 있다. As the measures to reflect the core competencies and also to improve the classroom lesson focusing on students activities, the 2015 Revised National Curriculum recently notified aimed for the reduction of the educational contents focusing on the core concepts. In this background, this study reviewed the degree of reducing the educational contents by comparatively analyzing the curriculum of science for elementary/middle school, revised in 2009 and 2015. In the results of the study, the number of science lesson hours for both curriculums was same while the number of learning topic for the new curriculum was increased. The number of items suggested as the achievement standards for the new curriculum was decreased about 20% in every grade group, compared to the existing curriculum. However, the volume of the educational contents analyzed by considering the concepts, explanation of achievement standards, instructions of teaching and evaluating, and the combined adjustment of the achievement standards was not largely reduced. Since the reduction of the educational contents is to provide significant learning opportunities to students, the level of research activities and the conceptual knowledge suggested by the educational contents should be considered together with the number of lesson hours, instead of just reducing the number of the achievement standards. Also keeping the education goal and the direction of curriculum development in mind, the core concepts should be selected on the basis of more thorough consideration and rigorous standards, and then the volume of the educational contents should be actually reduced.

      • KCI등재

        2015 개정 교육과정 개발 논리의 교과별 적합성 검토: 캐나다 온타리오 주 언어과와 과학과 교육과정 문서 분석을 통한 탐색

        임유나 ( Yoo-na Lim ),홍후조 ( Hoo-jo Hong ) 한국교육과정학회 2015 교육과정연구 Vol.33 No.3

        본 연구는 현재 진행 중에 있는 2015 개정 교육과정 개발에서 총론이 제시하는 기본 논리로 드러나고 있는 핵심 개념, 빅 아이디어, 일반화된 지식 등을 중심으로 교과교육과정을 재구조화 하자는 것이 과연 ‘모든’교과에 타당한 것인가를 검토하고자 한 것이다. 이를 위해 핵심 개념과 빅 아이디어 중심의 내용 구성을 띠고 있는 온타리오 주 과학과 교육과정 문서와 비교 대상으로서 언어과 교육과정 문서를 분석하였다. 분석 결과,과학과 교육과정은 핵심 개념과 빅 아이디어가 지식의 상위 체계에 놓이고, 교육내용은 핵심 개념과 빅 아이디어에 따른 하위 지식 및 지식을 이해하기 위해 수행해야 하는 탐구적 기능들을 종합적으로 진술하는 체계를 택하고 있는데 반해, 같은 주의 교육과정 문서임에도 불구하고 언어과 교육과정은 과학과와 달리 언어사용기능 습득이 중심이 될 수 있는 교육내용 진술 체계를 가지고 있었다. 각 교과는 서로 다른 목적과 특성을 가지고 있고, 교과별 교육과정기준 문서는 이를 잘 구현해 줄 수 있도록 구성되는 것이 마땅하기 때문에, 본고에서는 아무리 좋은 논리일지라도 어떤 하나의 논리를 모든 교과에 다 적용하려는 것은 과잉일반화의 오류를 범하여 교과교육을 왜곡시키는 일이 발생할 수 있다는 점을 경계하였다. 총론은 각론에 교과 고유의 목적이나 특성에 따라 최적한 선정과 조직의 논리를 개발, 적용하도록 권고하는 것이 합리적이라는 것을 제언하였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analyze the suitability of the 2015 National Curriculum Revision Rationale applied to subjects, as it claims to restructure the curriculum based on the core concept,the big idea, and generalized knowledge presented as fundamental logic to constructing the curriculum standards of individual subjects. The Ontario language curriculum was analyzed to compare it with the Ontario science curriculum which is based on core concepts and big ideas. The study revealed that the language curriculum has the statement structure of content that focuses on obtaining language skills. In comparison, the science curriculum puts core concepts and big ideas on the high level of knowledge structure and the content has the structure to comprehensively state the exploratory skills that need to be performed to understand sub-knowledge as well as the knowledge of the core concepts and the big ideas. Therefore, to avoid distortion, it is suggested that it is reasonable to apply a different logic depending on the subject or logic that suits the purpose or characteristics of a given subject.

      • KCI등재

        통합 교육과정에 근거한 융합인재교육(STEAM)의 문제점과 개선 방향

        임유나 ( Yoo Na Lim ) 한국초등교육학회 2012 초등교육연구 Vol.25 No.4

        본 연구는 지난 한 해 동안 우리의 교육 현장에서 실제로 적용된 융합인재교육 (STEAM)의 여러 사례를 통합 교육과정에 근거한 관점에서 분석해보고, 우리나라 STEAM 교육의 개선 방향에 대해 제안해보았다. 우리나라 STEAM 교육은 짧은 기간에 비해 학교 현장과 과학기술계 전반에서 많은 관심과 기대가 고조되어 있으나, 실제 적용 모습을 살펴보면 중요한 문제점을 발견할 수 있다. 우리나라는 STEAM 교육을 과학, 기술, 공학, 예술, 수학 교과 내용의 단순한 결합으로 이해하거나, 각 교과와 관련된 여러 가지 활동을 제공하는 것으로 인식하고 있다. 즉, STEAM 수업을 구성하는데 있어서 핵심적인 개념이나 통합의 가능성을 가진 내용 요소를 확인하여 체계성과 연계성을 만들어내는 단계가 없다. 또한 STEAM 교육과 통합 교육과정에 대한 교사의 전문성이 부족하여 교사들이 통합의 중심이 될 수 있는 각 교과의 핵심 개념이나 기능을 판단하기 어려운 실정이며, 현재 이루어지고 있는 거의 모든 통합이 다학문적인 통합의 형태에만 그치고 있다. 이러한 문제점을 개선하기 위해서 통합적 개념을 추출해 낼 수 있는 내용 기준의 개발, 다학문적 통합시 중심이 되는 교과와 어떤 교과들이 통합에 유의미할지에 대한 논의와 연구, 간학문적 통합과 같이 더 높은 수준의 통합 지향, STEAM 교육에 대해 전문성을 가진 교사의 질적, 양적 확대를 위한 방안 마련을 제언하였다. This study analyzed various cases of STEAM practically applied in the Korean education field for the past year in terms of integrated curriculum and suggested ways to improve Korean STEAM. A lot of interest and expectation about Korean STEAM are increasing in schools and scientific technique areas compared to its short history, but there are some critical problems in the practical application. Korea regards STEAM as a simple mixture of science, technology, engineering, art, and mathematics or the provision of various activities related to subjects. In other words, there is no process where organization and connectivity are made by checking core concepts or contents with potential integration. In addition, teachers lack professionalism about STEAM and integrated curriculum so that it is hard for teachers to decide core concepts and core skills of subjects that could be the center of integration, and almost every integration just takes multidisciplinary approach, To solve this problem, this study suggested development of standards for contents that can extract integrated concepts, discussion and analysis on subjects that become the center of multidisciplinary integration and what subjects would be significant for integration, higher level of integration such as interdisciplinary integration, and a way to expand both quality and quantity of teachers with professional knowledge about STEAM.

      • KCI등재

        뉴질랜드 학교・교사 학습공동체의 특징과 시사점: 교육과정 거버넌스의 새로운 모델

        임유나(Lim Yoo Na) 한국교원교육학회 2018 한국교원교육연구 Vol.35 No.4

        본 연구는 뉴질랜드에서 최근 구현되고 있는 학교․교사 학습공동체에 대해 탐색하고, 뉴질랜드 학습공동체가 우리나라 학습공동체에 주는 시사점을 도출하여 논하는 데 연구의 목적이 있다. 이를 위해 뉴질랜드 교육 체제와 교육과정, 학습공동체에 대한 보고서, 학술논문, 홈페이지 정보 등을 분석하는 문헌 연구를 수행하였다. 연구 결과, 뉴질랜드의 학습공동체는 일반적인 교사 학습공동체의 특징을 가질 뿐만 아니라 “학교 밖 공동 목표의 설정과 협력”을 통해 교육과정 거버넌스의 한 축으로서의 역할을 수행하면서 학습공동체의 새로운 양상을 드러내고 있다. 또한 뉴질랜드는 교육 개혁과 지속가능한 개선을 위해서는 ‘학교 역량’을 향상시키는 것이 중요하다는 인식 아래, 학습공동체에 대해서도 학교단위의 시스템적 접근을 취하였으며, 교육부는 학습공동체 운영을 위한 행․재정적, 도구적 지원을 적극적으로 펼쳐 나가고 있다. 학교단위의 네트워크 형성은 학습공동체 내 교직원의 유연한 활용, 시설 공유, 비용 절감 등을 가능하게 하여 체제 전반의 변화를 가동시키는 장치로 기능하고 있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분권화, 지역화, 자율화에 따른 학습공동체의 역할 재모색과 운영 방식의 재구조화, 학습공동체를 통한 학교와 교사의 지속가능한 역량 강화, 학습공동체 내 인적・물적 자원의 협력적 활용과 운영 지원, 시간과 비용의 행・재정적 지원을 시사점으로 제언하였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xplore the characteristics and implications of the recently implemented Communities of Learning (CoL) in New Zealand. Resources for this investigation included academic articles and government reports on New Zealand’s educational governance, curriculum, and CoL. Analysis revealed that New Zealand’s CoL are playing a role as an axis of curriculum governance by setting and working with shared goals outside of school as well as having features of the general teachers’ learning community. In recognition of the importance of improving the school capacity for educational reform and sustainable improvement, New Zealand has taken a systematic approach to CoL at the school level, and the Ministry of Education is actively supporting the CoL. The networking of CoL schools functions as a means by which CoL can flexibly utilize teachers and staff, share facilities, and reduce costs, thereby increasing the feasibility of systemwide change. Based on these findings, this study suggests research on the role of Korean CoL and reorganization of its operating system based on a policy of decentralization, localization, and autonomy; strengthening the sustainable capacity of schools and teachers through CoL; collaborative use of resources in CoL and support for CoL operation; and administrative and financial support of time and cost.

      • KCI등재

        2015 개정 교육과정의 핵심역량 제시 방식 검토와 스코틀랜드 ‘Curriculum for Excellence’ 분석을 통한 시사점 탐색

        임유나(Lim, Yoo Na) 학습자중심교과교육학회 2016 학습자중심교과교육연구 Vol.16 No.5

        본 연구에서는 2015 개정 교육과정에 핵심역량이 제시된 방식과 문제점을 파악하고, 앞으로의 국가교육과정 개발을 위한 개선 방안을 탐색하고자 스코틀랜드의 ‘Curriculum for Excellence’를 분석하여 핵심역량과 기능 제시 방식에 대한 시사점을 도출하였다. 연구 결과, 2015 개정 교육과정은 총론, 교과, 과목별로 많은 수의 역량을 강조하여 제시하고 있으면서도 구성 요소들 간의 연계성을 치밀하게 갖추지 못하였고, 어떻게 역량을 기를 수 있는가에 대한 안내도 부족하였다. 한편, CfE는 총론이 핵심역량을 제시하고, 교과교육과정과 별도의 가이드라인 문서에서는 총론이 제시하고 있는 핵심역량 달성을 위한 공통기능과 교과기능들을 구체화하고 있었으며, 교사가 교과수업, 통합수업, 교과외 활동 등에서 학생들의 기능 발달에 중점을 둘 수 있도록 하는 기준과 안내를 제공하고 있었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총론과 각 론에서 핵심역량을 각기 선정하여 선언한 것에 그친 현 상황은 개선되어야 하며, 각 교과역량을 별도로 설정해야 하는가에 대한 근본적인 검토가 필요하다고 제언하였다. 총론은 핵심적인 소수의 역량과 공통기능을 밝히는 데, 각론은 핵심역량 함양에 필요한 교과별 지식 및 기능을 밝히는 데 보다 집중할 필요가 있을 것이며, 교육과정 문서가 제시하고 있는 지식과 기능이 실제 수업 설계에서 어떻게 다양하게 연계 되고 조화될 수 있는가를 안내해 주는 것이 교사들에게는 실제적인 도움이 되고 학생 역량 함양의 실현 가능성을 높일 수 있는 방안이 될 것으로 보았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identify the problems of the ways of presenting competencies and skills in the 2015 Revised National Curriculum and to analyze Scotland’s ‘Curriculum for Excellence’ in order to get the implications. The study reveals that the 2015 Revised National Curriculum emphasizes and presents a large number of competencies in every curriculum document, but cannot elaborately organize relationships among achievement standards, subject competencies and key competencies. And it lacks guidance on how to raise students’ competencies. On the other hand, the Scotland’s general curriculum presents key competencies, while subject curriculum and guidance documents specified general and subject skills to achieve key competencies presented in the general curriculum. And Scotland’s ‘Curriculum for Excellence’ offers the detailed guidance for the development of skills with the attainment of achievement standards through regular class, integrated class, and extracurricular activities. In other to attain purposes of the competency-based curriculum, this study suggests that it should be selected ‘key’ competencies in the general curriculum and clarified general skills. It also needs to focus on specifying skills and optimizing knowledge contents rather than presenting separate subject competencies in every subject curriculum and to make standards and guidance for supporting teachers’ instructional design.

      • KCI등재

        영국 고교 교육과정 편성·운영의 특징과 고교학점제에 주는 시사점: Key Stage 4와 Sixth Form을 중심으로

        임유나 ( Yoo-na Lim ),이광우 ( Kwang-woo Lee ) 한국교육과정학회 2020 교육과정연구 Vol.38 No.1

        본 연구는 영국 고교 교육과정 편성·운영상의 특징을 파악하고, 우리나라 고교학점제 정책 구현에 주는 시사점을 도출하여 논하는 데 목적이 있다. 영국은 중등교육 이후 2년의 후기중등교육을 거쳐 고등교육으로 진입하도록 하고 있는 점을 고려하여, 본 연구에서는 Key Stage 4와 Sixth Form을 중심으로 관련 문헌들을 분석하고, 영국 현지의 일반계 고교들, 종합대학교, 외부시험 출제 및 채점 기관을 방문하여 조사와 자료 수집을 수행하였다. 연구 결과, 영국의 중등교육은 필수교과 이수에 상대적으로 높은 비중을 두고 있지만 후기중 등교육에 이르러서는 온전한 학생 선택 교육과정이 운영된다. 학교는 다양하게 많은 수의 과목을 개설하지는 않았지만 진학계열의 과목뿐만 아니라 직업계열의 과목도 개설하여 학생의 필요와 사회적 요구에 대응하고 있으며, 학생은 학업 능력 및 진로 희망에 따른 소수의 과목을 선택하고 2년간 심도 있는 학습을 한다. 또한 학생의 교육과정 이수와 외부평가인 GCSE와 A-level은 중등-후기중등-고등 교육을 연계하여 고교교육이 대학준비교육 또는 취업준비교육으로서 기능하고 있다. 교사의 A-level 예견서는 대입에 조건부 등급으로 활용되며, 학생 개인별 시간표 운영에 따라 발생하는 공강은 교육과정적 관점에서 접근하여 독립된 학습이나 보충학습 시간으로 활용하고 별도의 직원을 두어 관리하는 등 우리나라 고교학점제에 있어 고려해 보아야 할 특징들이 적지 않았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선택과목에 대한 심화학습을 가능하게 하는 고교 교육과정 개선, 교육과정 다양화를 통한 직업교육 기회 확대, 교사별 학생평가의 공정성과 신뢰성 확보, 교육과정적 관점에서의 공강 시간의 성격 규정, 중등과 고등 교육 연계를 위한 학제적 검토를 주요 시사점으로 제시하고 논하였다. This study aims to examine England’s high school curriculum organization and implementation and derive implications for the Korean high school credit system. To this end, we analyze relevant documents focusing on Key Stage 4 and Sixth Form, and visited general high schools, a university, and an examination board in England. Secondary education in England comprises a relatively large proportion of the compulsory subjects, but post-secondary education features a full elective curriculum. Although schools do not offer a large variety of subjects, Sixth Form students choose a small number of subjects and study them extensively for two years. In addition, GCSE and A-levels link secondary, post-secondary and higher education, and high school education functions as university preparatory education or career readiness education. Teachers’ predicted A-level grade reports are used for university admissions and time between classes is devoted to independent study or supplementary learning, managed by the school staff. Finally, the primary implications of this study include improving the high school curriculum to enable in-depth learning, expanding vocational education opportunities, enhancing the reliability and fairness of teachers’ assessments, organizing time between classes, and reviewing school systems for linking secondary and higher education; these are discussed further.

      • KCI등재

        2015 개정 교육과정의 역량 구현 양상과 실천 요인에 관한 교육과정 선도교원의 의견 분석 및 논의

        임유나 ( Lim Yoo-na ),장소영 ( Jang So-young ),홍후조 ( Hong Hoo-jo ) 안암교육학회 2017 한국교육학연구 Vol.23 No.1

        본 연구의 목적은 2015 개정 교육과정이 제시하고 있는 핵심역량과 교과역량에 대한 교육과정 선도교원들의 의견을 분석하고, 교육과정 개발과 역량교육 구현을 위한 시사점을 도출하는 데 있다. 연구 결과, 선도교원들은 핵심역량의 도입, 담당 교과의 교과역량 설정과 구현 가능성에 대해서는 전반적으로 긍정적이었으며 총론의 핵심역량이 각 교과의 교과역량과 높은 관련성을 지니고 있는 것으로 인식하였다. 그러나 핵심역량과 교과역량이 교육과정 문서의 면면에 잘 구현되지는 못한 것으로 판단하였다. 또한 역량교육의 구현에 있어서는 역량 중심의 교과서 개발이나 컨설팅 · 장학과 같은 외부적 지원보다는 교사 공동체의 자발적 연구 노력을 가능하게 하는 문화 속에서 학생 참여 수업을 진행할 수 있는 교사 능력을 개발할 수 있도록 지원하는 것이 가장 큰 관건이 될 것으로 인식하였다. 연구 결과를 바탕으로, 결론에서는 교육목표를 안내하는 항목들과 핵심역량의 관계 정비, 교과역량 설정의 재고, 교육내용-방법-평가에 역량교육의 구체화, 역량중심의 교과서 개발보다는 교사 역량 강화와 교과간 협력을 위한 자발적 노력을 가능하게 하는 지원과 정책의 필요성 등을 제안하였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analyze leading teachers` opinions on key competencies and subject competencies presented in the 2015 revised national curriculum and to draw implications for competency-based curriculum development and implementation. The research findings show that leading teachers are generally positive about the introduction of key competencies, subject competencies setting and its feasibility and recognize that the key competencies are highly related to the subject competencies of each subject. However, it is judged that the key competencies and subject competencies are not embodied well in every aspect of the curriculum documents. They also recognize that in the practice of competency education, supporting the development of teachers` ability to conduct student-centered classes in a culture that enables voluntary research efforts of the teacher community can be the biggest issue rather than external support such as development of competency-centered textbooks or consulting and supervision. Finally, we propose the need for support and policy that enable voluntary efforts for interdisciplinary cooperation and strengthening teacher capacity rather than developing competency-centered textbooks; specification of competency education in educational content, pedagogical methods and assessment; reconsideration of subject competencies setting; maintaining the relationship between key competency and items that guide educational goals.

      • KCI등재

        아일랜드 Senior Cycle LCVP 교육과정 분석을 통한 일반 고등학교 직업교육의 개선 방향 탐색

        임유나 ( Yoo Na Lim ) 한국교육과정학회 2015 교육과정연구 Vol.33 No.1

        학생들이 꿈과 끼를 찾고 자신의 적성과 능력에 맞는 공부와 일을 찾아가도록 돕는 것은 우리 교육의 중요한 목적이 되고 있으며, 이를 위한 방안으로서 자유학기제의 전면 실시도 앞두고 있다. 이러한 상황에서 고교의 직업교육은 초·중학교 진로·직업교육과 분리되는 것이 아니라 그 연장선상에서 설계되어야 할 것이다. 본 연구는 우리나라 자유학기제의 성공 모델 국가로 잘 알려진 아일랜드가 전환학년제(Transition Year Program) 실시 이후에 고교 과정(Senior Cycle)을 어떻게 구성하고 있는가를 전반적으로 살펴보고, 그 중LCVP(Leaving Certificate Vocational Program) 교육과정 문서를 집중적으로 분석하여 우리나라 일반고 직업교육의 개선에 줄 수 있는 시사점을 탐색하였다. 아일랜드 LCVP는 LC(일반교육) 과목 일부를 선택적으로 이수하게 하면서 동시에 기술 및 직업교육에 초점을 두고 있는 프로그램이다. LCVP는 교육과정 내에 직업과목(Vocational Subjects) 그룹과 링크 모듈(Link Modules)과 같은 직업교육을 위한 체계적인 시스템과 지원체제를 마련하고 있는데, 이를 통해 학생들이 모의적이거나 현장 중심적인 체험적 학습을 하면서 직업을 이해하고, 장차 직업생활에 필요한 지식과 기능, 태도 및 직업적 기초 소양 등을 신장시킬 수 있도록 하고 있었다. 분석을 통해 본 연구에서는 일반고 교육과정 내에 일의 세계를 보다 실제적, 모의적으로 경험할 수 있도록 하는 교육체제 및 교육과정을 설계할 것, 일반고 내 직업교육을 위한 교내 인력 및 지역 거버넌스를 구축할 것, 일반고 직업교육을 지원하는 국가수준의 기준 및 지침을 마련할 것, 학업과 직업 측면을 반영한 국가자격체계수립과 이를 학교 교육제도와 연계할 것 등을 제언하였다. This research examines Ireland``s-which is known for its successful model of the free semester system in Korea-Senior Cycle after conducting a Transition Year Program, and lessons to improve the vocational education of general high schools in Korea were intensively explored by analyzing Leaving Certificate Vocational Program (LCVP) document. LCVP is a systematic and support system for vocational education and it includes the Vocational Subjects group and Link Modules in its curriculum. Through these, students understand a job by simulative or experiential learning, as well as through enhancing knowledge, skills, and attitudes necessary for the job. This research suggests as follows: to design the educational system and curriculum for students to experience the world of job simulatively and practically in the curriculum of general high schools, to establish the standards and guidelines at the national level to support vocational education in general high schools, to construct a school labor pool and regional governance for general high school vocational education, to establish a national qualification system reflecting both academic and vocational aspects, and to connect it to the school educational system.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