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 등재정보
        • 학술지명
        • 주제분류
        • 발행연도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조선 후기 통신사행 준비 단계 문서를 통해 본 1811년 사행 준비

        임영현(Im, Young-Hyeon) 한일관계사학회 2021 한일관계사연구 Vol.72 No.-

        본고는 조선 후기 통신사행 준비 단계 문서 검토를 통하여 1811년 사행준비 과정을 고찰한 것이다. 조선 후기 통신사행 준비 단계 문서는 원역 구성 문서, 물적 구성 문서, 공무여행을 위한 문서로 구분할 수 있다. 원역 구성 문서에는 都口傳手本과 口傳別薦單子가 있다. 도구전수본은 사행원의 선발을 마친 후 국왕의 재가를 얻기 위하여 작성하는 문서이다. 구전별천단자는 정사・부사・종사관이 각각 자신이 통솔할 군관・서기 등을 自望・自辟하여 차출을 요청하는 문서이다. 물적 구성 문서는 衣資・賜米의 지급을 요청하는 衣資賜米手本과 사행원의 노정을 위한 馬匹을 요청하는 馬文手本이 있다. 모두 장무역관이 작성하지만 의자사미수본은 호조, 마문수본은 병조로 이문한다. 공무여행을 위한 문서는 사행 출발을 확정하는 日記推擇單子, 국내이동을 위한 路文, 국외 關津을 지나기 위한 關津差備關文이 있다. 1811년 통신 정사 김이교의 辛未通信日錄에는 사행 준비 단계에서 발급된 각종 문서와 의정 내용이 충실하게 수록되어 있으므로 이를 통하여 통신사행 준비 과정을 확인할 수 있다. 1811년 원역은 당상역관→당하역관→사신→의원・화원 등→군관・서기 등의 순서로 차출되었다. 정사로 차출되었던 김이교는 김상휴로 개차되었지만 김상휴의 면직 요청과 국왕의 탕척서용으로 김이교가 그대로 임명되었다. 사신 임명 이후 일관은 출발 일자를 추택하였고, 예조에서는 청나라에 咨文을 보내었다. 사행원의 임명이 완료된 이후 통신사는 관문으로 호조에 의자와 사미를 요청하는 한편(1월 10일), 장무역관은 개차 및 추가로 임명된 인원에 마필 지급을 요청하는 마문수본을 병조로 이문하였다(1월 15일). 사행의 노문은 1월 17일에 발송되어 支站과 官驛으로 전송되었고 사신은 2월 6일 사행 支待에 관한 지침을 후록한 관문을 작성하여 지참과 관역으로 전달하도록 하였다. 그리고 2월 10일에 관진차비관문이 발급되었으며, 2월 12일 비로소 사직한 후 출발하였다. This paper presents an investigation into the Sahaeng preparation process of 1811 by reviewing documents at the preparation stage of Tongsin Sahaeng during the latter part of Joseon. The documents at the preparation stage of Tongsin Sahaeng during the period are categorized into documents about Wonyeok organization, those about material organization, and those about official business trips. Documents about Wonyeok organization are divided into Dogujeonsubon and Gujeonbyeolcheondanja. Dogujeonsubon is a document prepared to obtain approval for the selected Sahaeng members from the king. Gujeonbyeolcheondanja is a document made by Jeongsas, Busas and Jongsagwans to request for the temporary transfer of their respective military officers and clerks under their command through Jamang and Jabyeok. Documents about material organization are divided into Uijasamisubon, which is to ask for the supply of Uija and Sami, and Mamunsubon, which is to ask for horses needed for the trip of Sahaeng members. All of these documents are prepared by Jangmu Yeokgwans, but Uijasamisubon and Mamunsubon are transferred to Hojo and Byeongjo, respectively. Documents about official business trips include Ilgichutaekdanja to confirm the departure of Sahaeng, Nomun to promote travel within the country, and Gwanjinchabigwanmun to pass through overseas Gwanjins. Sinmitongsinilrok written by Tongsin Jeongsa Geumrigyo in 1811 offers detailed records about all kinds of documents and the content of parliamentary business for Sahaeng, helping to check preparations for Tongsin Sahaeng during the latter part of Joseon. In 1811, Wonyeok members were recruited for temporary transfer in the order of Dangsang Yeokgwan→Dangha Yeokgwan→Sasin→Wonyeok(Gisukgwan)→military officers and clerks. Kim I-gyo was first recruited for temporary transfer but was replaced with Kim Sang-hyu. After Kim Sang-hyu"s request for dismissal and the King"s Tangcheokseoyeong, Kim I-gyo was placed in his position. After the appointment of Sasins, the date of departure was chosen based on Ilgwan. Yejo sent for counsel to Qing. Once the appointment of Sahaeng members was completed, Tongsinsa made a request for Uija and Sami to Hojo through Gwanmun(January 10) and Jangmu Yeokgwan transferred Mamunsubon, which was to request for horse supply to Gaecha and Gajeong members, to Byeongjo(January 15). Sahaeng Nomun was sent to Jicham and Gwanyeok on January 17, and Sasins were asked to write Gwanmun, which included an addition of guidelines about the Sahaeng place, and send it to Jicham and Gwanyeok on February 6. Gwanjinchabigwanmun was issued on February 10, and they finally made a departure after Sajik on February 12.

      • KCI등재

        조선시대 녹패의 제도와 양식

        임영현 ( Young Hyeon Im ) 한국고문서학회 2015 古文書硏究 Vol.46 No.-

        본 연구는 조선시대 祿牌제도와 양식에 대한 연구이다. 녹패는 공문서로서 문무관원의 녹봉 수령자격을 증명하며, 祿官이 녹봉을 수령할 때 證憑문서로 활용된다. 그리고 녹봉을 수령하였다는 녹봉수령증인 頒祿籤紙가 첨부된 복합적인 성격의 문서이다. 현재까지 녹패 연구는 녹패 양식을 밝히는데 집중하였으며, 본 연구에서는 녹패의 발급 절차와 발급 대상에 따른 녹패의 크기에 대하여 보다 심층적인 연구를 통하여 녹패를 접하는 연구자들의 이해를 높이고자 하였다. 본고에서는 우선 조선시대 녹패의 발급 대상과 절차에 대한 규명과 반록 절차를 검토하였다. 그리고 녹패 양식 검토와 함께 시대 및 관청에 따라 달라지는 祿科표기·발급관원·인장·외면 표기를 검토하였으며, 아울러 녹패가 크기를 달리하는 기준에 대하여 규명하였다. 조선시대 녹패 발급 대상은 녹관에 임명된 관원으로 한정되며, 발급 기관은 三司→司評府→吏曹로 변경되었는데, 1466년(世祖12) 전교 이후 이조와 兵曹에서 文官과 武官의 녹패 발급을 각각 담당하였다. 반록 절차는 반록 시 지참해야하는 문서에 따라 大典通編 시행 전후로 나누어 고찰해 볼 수 있다 대전통편 시행 이전에 녹관이 . 녹봉을 수령하기 위해서는 告身·녹패·給祿所志를 지참했으며, 대전통편 시행 이후에는 고신과 녹패만으로 녹봉을 수령할 수 있었다. 조선 초기에 발급된 녹패 양식은 고려시대의 것을 따랐는데, 經國大典 에서 녹패식이 법제화되기 이전까지 始面·녹과 표기·인장에서 변화가 있었다. 그리고 경국대전 에서 녹패식이 법제화된 이후 조선시대 녹패는 경국대전 녹패식을 준행하였으며, 법제화된 이후 녹과 표기·인장·발급 관원·外面表記에서 변화를 확인할 수 있다. 관직의 정3품 당상관 이상과 정3품 당하관 이하의 녹패는 크기를 달리하여 발급되었다. 당상관 녹 패는 세로×가로의 평균 길이가 112.4×79.2cm이며, 당하관 녹패는 45.5×14.4cm로 당상관의 녹패가 당하관에 비하여 큰 것을 알 수 있다. 그리고 종친을 제외하고 조선시대 전반에 걸쳐 관직의 정3품당상관과 당하관을 기준으로 크기를 달리하여 발급된 것을 알 수 있다. 당하관 녹패에 한하여 18세기후반부터 木版式녹패가 등장하였으며, 이조와 병조는 版에 새기는 부분이 달랐다. This paper is a study on Nokpae institutions and forms of the Joseon Dynasty period. Nokpae is an official document and proves the qualification for Nokbong receipt of Moongwan(文官) and Moogwan(武官) and is used as documentary evidence when Nokgwan(祿 官) receives Nokbong(祿俸). And it is a document of complex nature and Bannok-chemji(頒祿 籤紙), a Nokbong receipt indicating that Nokbong was received is attached to it. This study was to increase the understanding of researchers encountering Nokpae through more in-depth research on the size of Nokpae depending on the procedure of issuance and target of issuance of Nokpae. As the procedure of the study, the target and procedure of issuance of Nokpae in the Joseon Dynasty period were identified and then, Bannok procedures were examined. And with the review of Nokpae form, Nokgwa-pyogi·issuing Gwanwon·Seal·Oemyeon-pyogi that vary depending on times and Gwancheng were examined. In addition, the standards of varying the size of Nokpae were identified. The target of Nokpae issuance in the Joseon Dynasty period is limited to Gwanwon appointed as Nokgwan and the issuing agency was changed from Samsa→Sapyeongbu→Ijo and after 1466 (12th year during the reign of Sejo), Ijo and Byeongjo were responsible for issuing Nokpae of Moongwan and Moogwan, respectively. Depending on documents that one must carry during Bannok, Bannok procedures can be reviewed by dividing them into before and after enforcing Daejeontongpyeon(大典通編) . Prior to enforcement, Nokgwan brought Gosin·Nokpae·Geupnok-soji to receive Nokbong and could receive Nokbong only with Gosin and Nokpae after enforcing Daejeontongpyeon . Up until Nokpaesik was legislated in Gyeonggukdaejeon(經國大典) , Nokpae form was changed in Simyeon·Nokgwa-pyogi·seal. And according to Gyeonggukdaejeon , Nokpae in the Joseon Dynasty period observed Gyeonggukdaejeon Nokpaesik after Nokpaesik was legislated and the change can be identified in Nokgwa-pyogi·seal·issuing Gwanwon·Oemyeon-pyogi after legislation. Nokpae of Jeongsampoom-Dangsanggwan or higher and Jeongsampoom-Danghagwan or lower of Gwanjik was issued in different sizes. The average length of length×breath of Dangsanggwan Nokpae is 112.4×79.2cm and that of Danghagwan Nokpae is 45.5×14.4cm, showing that Nokpae of Dangsanggwan is bigger than that of Danghagwan. And except for the royal family, it was issued in different sizes based on Jeongsampoom-Dangsanggwan and Danghagwan of Gwanjik throughout the Joseon Dynasty. Finally, only in the case of Danghagwan Nokpae, Mokpansik(木板式) Nokpae appeared from the late 18th century and the part carved in Pan(板) was different in the case of Ijo and Byeongjo.

      • KCI등재

        조선 후기 통신사(通信使) 사예단(私禮單)과 사예단(私禮單) 단자(單子) - 1763년 사행을 중심으로 -

        임영현 ( Im Younghyeon ) 한국고문서학회 2021 古文書硏究 Vol.58 No.-

        조선 후기 통신사행에서는 국서·서계 별폭 예물 외에 통신사가 일본의 각 인사에 증정하는 사예단이 있었으며 증정 대상에 따라 사예단 단자를 작성하였다. 『通文館志』와 『增正交隣志』 등의 외교 지침서에는 사예단과 사예단 단자의 양식에 대하여 규정하고 있다. 사예단의 증정 주체는 통신 삼사이며 예조의 주관으로 호조와 경상도로부터 사예단을 조달하였다. 『통문관지』와 『증정교린지』에 의하면 사예단의 증정 대상은 사행의 형편에 따라 증감이 있었다. 『증정교린지』에 수록된 증정 대상은 총 60항목으로 이는 『통문관지』의 1682년·1711년·1747년 사예단 증정 사례를 포괄한 것이다. 사예단 증정 대상 가운데 사예단 단자를 통하여 예단을 증정하는 대상은 관백·대마도주 등 22항목이다. 증정 대상은 관백, 집정, 경윤 외 14, 숙방, 대마도봉행, 대마도 재판차왜·도선주·상중하마차지로 구분하였다. 단자 양식에 따라 증정 대상을 구분하면 총 6종의 양식이 존재하며 경칭, 도서, 문서의 작성자, 작성 종이 등에서 일정한 차이를 보인다. 현전하는 사예단 단자는 현재까지 5건을 확인하였다. 조선 후기에는 사예단을 정식 의례로 인식하고 있었으며 사행의 형편에 따라 통신사가 임의로 다른 명목의 물종을 사예단으로 사용하기도 하였다. 1763년 사행의 사예단 증정은 지역에 따라 대마도(행로), 대판∼강호, 대마도(왕로)의 세 곳으로 구분할 수 있다. 대마도(행로)에서의 증정 대상 및 물종은 『증정교린지』의 내용보다 많고 대판∼강호, 대마도(왕로)의 사예단 물종과 수량은 『증정교린지』의 내용과 비교적 일치하였다. 일정 물목을 다른 물목으로 대체할 경우에는 일정한 비율에 따라 증정이 이루어졌다. In the latter part of Joseon, Tongsinsas would present Sayedans to each concerned figure of Japan in addition to Gukseo and Seogye Byeolpok presents in their trips to Japan with Sayedan Danjas prepared according to receivers of these presents. Such diplomatic guidebooks as Tongmungwanji and Jeungjeonggyorinji contain rules about the forms of Sayedans and their Danjas. The subjects of presenting Sayedans were Tongsinsas, and Sayedans were procured from Hojo and Gyeongsang Province under the supervision of Yejo. According to Tongmungwanji and Jeungjeonggyorinji, receivers of Sayedans would increase or decrease according to the circumstances of envoy trips. There were total 60 items presented to Japanese figures in Jeungjeonggyorinji, and they include the cases of Sayedan presentation in 1682, 1711, and 1747 recorded in Tongmungwanji. Of receivers of Sayedans, 22 including Gwanbaek and Daemadoju received Yedans via Sayedan Danjas. They were distinguished into 14, Sukbang, Daemadobonghaeng, and Daemadojaepanchaoae· Doseongju·Sangjunghamachaji as well as Gwanbaek, Jipjeong, and Gyeongyun. There were total six Danja forms according to receivers, and they showed certain differences in honorifics, seals, drafters of documents, and paper. In the latter part of Joseon, Sayedans were recognized as part of formalities and followed certain rules. Tongsinsas would, however, use different kinds of items for different pretexts as they liked according to the circumstances of their envoy trips. In the envoy trip of 1763, there were three rounds of Sayedan presentation according to regions involving Tsusima(inbound), Osaka∼Edo, and Tsusima(outbound). While the receivers and kinds of items on Tsusima(inbound) were more than what were recorded in Jeungjeonggyorinji, those of Sayedan presentation in Osaka∼Edo and on Tsusima(outbound) relatively matched the records in the guidebook. In case of substituting certain items with others, presentations happened according to certain ratios.

      • $^{18}F$-FDG PET 영상의 정량적 비교: PET/MR VS PET/CT

        이무석,임영현,김재환,최규오,Lee, Moo Seok,Im, Young Hyun,Kim, Jae Hwan,Choe, Gyu O 대한핵의학기술학회 2012 핵의학 기술 Vol.16 No.2

        Purpose : More recently, combined PET/MR scanners have been developed in which the MR data can be used for both anatometabolic image formation and attenuation correction of the PET data. For quantitative PET information, correction of tissue photon attenuation is mandatory. The attenuation map is obtained from the CT scan in the PET/CT. In the case of PET/MR, the attenuation map can be calculated from the MR image.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assess the quantitative differences between MR-based and CT-based attenuation corrected PET images. Materials and Methods : Using the uniform cylinder phantom of distilled water which has 199.8 MBq of $^{18}F$-FDG put into the phantom, we studied the effect of MR-based and CT-based attenuation corrected PET images, of the PET-CT using time of flight (TOF) and non-TOF iterative reconstruction. The images were acquired from 60 minutes at 15-minute intervals. Region of interests were drawn over 70% from the center of the image, and the Scanners' analysis software tools calculated both maximum and mean SUV. These data were analyzed by one way-anova test and Bland-Altman analysis. MR images are segmented into three classes(not including bone), and each class is assigned to each region based on the expected average attenuation of each region. For clinical diagnostic purpose, PET/MR and PET/CT images were acquired in 23 patients (Ingenuity TF PET/MR, Gemini TF64). PET/CT scans were performed approximately 33.8 minutes after the beginnig of the PET/MR scans. Region of interests were drawn over 9 regions of interest(lung, liver, spleen, bone), and the Scanners' analysis software tools calculated both maximum and mean SUV. The SUVs from 9 regions of interest in MR-based PET images and in CT-based PET images were compared. These data were analyzed by paired t test and Bland-Altman analysis. Results : In phantom study, MR-based attenuation corrected PET images generally showed slightly lower -0.36~-0.15 SUVs than CT-based attenuation corrected PET images (p<0.05). In clinical study, MR-based attenuation corrected PET images generally showed slightly lower SUVs than CT-based attenuation corrected PET images (excepting left middle lung and transverse Lumbar) (p<0.05). And percent differences were -8.01.79% lower for the PET/MR images than for the PET/CT images. (excepting lung) Based on the Bland-Altman method, the agreement between the two methods was considered good. Conclusion : PET/MR confirms generally lower SUVs than PET/CT. But, there were no difference in the clinical interpretations made by the quantitative comparisons with both type of attenuation map. 감쇠 보정법과 산란 보정법은 정량적인 PET검사를 하기 위한 필수적인 방법이다. PET/CT에서는 PET에서 사용하는 소멸방사선과 CT의 X선이 같은 전리 방사선이기 때문에 측정에 의한 CT의 Hounsfield Units를 감쇠 계수로 전환해서 감쇠보정, 산란보정이 가능하다. 그러나 PET/MR에서 MR는 강한 자기장을 걸어 수소밀도와 조직의 이완률차이로 되돌아오는 변화로 신호를 획득하기 때문에 CT처럼 전환하는 것은 불가능하다. Ingenuity TF PET/MR장비는 soft tissue, lung, air로 3구역을 segment하여 MR 감쇠지도를 얻는다. 이에 신호획득원리가 완전히 상이한 PET/MR과 PET/CT에 대한 정량적 평가를 하고자 한다. Phantom study로 uniform cylinder phantom에 증류수 9293 ml와 $^{18}F$-FDG 199.8 MBq를 넣고 magnetic stirrer를 이용하여 균일하게 교반한 후 60 min부터 15분 간격으로 Ingenuity TF PET/MR, Gemini TF 64, Biograph Truepoint 40를 이용하여 각각 single-bed로 2 min씩으로 영상을 얻었다. phantom의 중심부분 10개의 slice에 대한 동일한 관심영역을 그려 SUVs를 측정하고 평균, 표준편차를 구하였다. 그리고 임상적용을 위한 평가로 $^{18}F$-FDG 섭취가 정상인 환자를 대상으로 90 sec/bed씩 Ingenuity TF PET/MR을 시행한 후 Gemini TF 64 PET/CT 검사를 실시하였다. 각각의 data에서 lung, liver, spleen, bone 위치에 동일한 관심영역을 그려 SUVs 최대값과 평균값을 측정하고, %Difference를 구하였다. 또한, PET 장비들 사이에서의 일치도를 평가하기 위해 Bland-Altman plot 분석을 하였다. Phantom study에서 3가지 장비에서 측정한 SUVs 최대값과 평균값은 Biograph Truepoint 40, Gemini TF 64, Ingenuity TF PET/MR 순으로 높은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patients study에서는 MR과 CT로 감쇠 보정한 PET장비의 SUVs 최대값과 평균값이 서로 유의미한 차이가 없었다.(p<0.05) Lung에서 left middle lobe과 transverse bone을 제외하고는 MR로 감쇠 보정한 PET의 SUVs가 대체로 낮았다. Bland Altman Plot으로 분석한 결과 대부분의 항목에서 95% 신뢰구간의 일치한계선내에서 측정되었다. PET/CT에서는 time of flight 기능을 가진 PET이 SUVs가 낮게 측정되었다. PET/MR과 PET/CT에서 알아본 SUVs차이는 MR을 이용한 분할 감쇠 보정방법이 CT를 사용한 측정 감쇠보정방법보다 SUVs가 낮게 측정되었다. 이러한 다른 감쇠 보정법에 의한 SUVs의 차이는 임상적으로는 용인할 수준에 있었지만, 향후 PET/MR와 PET/CT의 정량적인 값을 비교 분석할 때 PET 장비들간의 특성은 고려할 필요가 있다.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