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펼치기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공공임대주택거주가 우울에 미치는 영향

        임세희 ( Se Hee Lim ) 한국사회복지연구회 2013 사회복지연구 Vol.44 No.3

        본 연구는 한국복지패널 7차년도를 이용하여 공공임대주택거주가 우울에 미치는 영향을 분석하였다. 공공임대주택거주가 개인의 선택에 의해 이루어지는 과정에서 발생가능한 선택편의를 줄이기 위해 PSM(propensity score matching)을 활용하였으며, 최종적으로는 우울에 영향을 미치는 다른 변수들을 통제하기 위해 PSM의 매칭결과와 회귀분석을 결합하였다. 분석결과 단순비교(independent t-test)에서는 통계적으로 유의미하였던 공공임대주택거주자와 일반주택거주자간의 우울의 차이가 PSM매칭과 회귀분석을 결합하였을 때는 유의미성이 사라졌다. 이는 공공임대주택거주자의 높은 우울정도는 공공임대주택거주의 독립적인 효과라기보다는 공공임대주택거주자가 가지고 있는 본래적인 인구학적인 속성 혹은 소득에 기인하였을 가능성을 보여준다. 본 연구는 공공임대주택거주가 개인에게 부정적인 영향을 미치지 않음을 확인하였다는 점에서 공공임대주택 공급에 대한 정책적 근거를 제공하고 있다. 동시에 긍정적인 영향도 확인할 수 없었다는 점에서, 저소득층에 한정하지 않은, 국민 대다수를 위한 임대주택정책을 제안하였다. The aim of this study is to identify the influence of public housing on depression of its residents by analyzing the 7th Korea welfare panel study. To reduce the selection bias which arise from the public housing is selected by personal choice, we used PSM(propensity score matching). In addition, we merged the result of PSM and OLS regression to control the other variables which can affect depression of the resident of public housing. Final result revealed that the statistical significance which was observed when we compared the level of depression between the residents of public housing and general community by independent t-test was not observed when we used the merged result from PSM and regression. These results suggest that the high level of depression in the residents of public housing might be related with their demographic characteristics or earned income not with the public housing itself. This study can be the evidence supporting the policy of providing public housing because living in public housing did not give negative influence on its residents. Considering that this study also showed that there were no observable positive influences of public housing, we can suggest that public housing policy for majority of people not limited to people with low income.

      • KCI등재SCOPUS
      • KCI등재

        공공임대주택과 민간임대주택의 주거복지 성과 차이

        임세희(Lim, Se-Hee) 한국사회정책학회 2018 한국사회정책 Vol.25 No.3

        본 연구는 공공임대주택과 민간임대주택의 주거복지 성과에 차이가 있는지를 확인하고자 하였다. 2016년 주거실태조사를 활용하여 주거의 구조적・물리적 적절성, 주거비의 저렴적절성, 주거의 안정성으로 정의한 주거복지에 있어 공공임대주택과 민간임대주택이 차이가 있는지, 이러한 차이가 가구의 인구사회경제적 특성을 통제한 상태에서도 유지되는지를 검토하였다. 분석결과 공공임대주택 중 일부는 여전히 최저주거 기준미달, 주거비과부담의 문제를 겪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그러나 공공임대주택과 민간임대주택을 비교하면 공공임대주택은 주거복지에 있어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성과가 있었으며, 이는 인구사회경제적 특성을 통제하면 더욱 일관되게 나타났다. 민간임대주택은 최저주거기준미달, 주거비과부담, 주거안정성에 있어 열악한 상황에 있었다. 본 연구를 통해 공공임대주택정책의 개선방안과 민간임대주택에 대한 적절한 규제의 필요성의 근거를 도출할 수 있었다. The purpose of the study was to examine the difference of housing welfare outcomes between public rental housing and market rental housing. Housing welfare is defined as living at adequate, affordable housing with stability and measured as substandard housing, unaffordable housing, unstable housing. This study was based on 2016 Housing Fact Finding Survey, sampled the households which their incomes are below 120% average income of city workers. This study controlled the socio-economic characters of householders to identify the difference of housing welfare performance between public and market rental housing. The study showed the ratios of public rental housing of substandard housing and unaffordable housing are not low. But It is revealed that the achievements of housing welfare of the public rental housing are better than market rental housing and the differences between them are more consistent after controlling the socio-economic characters of householders. The problems of substandard housing, unaffordable housing and unstable housing in market rental housing are more than public rental housing. This study provides the basis that the regulation for market tenant protection should be reinforced and the policy of public housing should be expanded and improved for housing welfare.

      • KCI등재

        주거개선이 아동주거빈곤가구에 미치는 영향

        임세희 ( Lim Se-hee ),이창숙 ( Lee Changsook ) 한국사회복지연구회 2020 사회복지연구 Vol.51 No.4

        본 연구의 목적은 주거지원이 아동주거빈곤가구의 주거상황을 어느 정도 개선시켰는지를 확인하고, 주거변화가 아동과 아동가구에 미치는 영향을 살펴보는 것이다. 이를 위해 2017년과 2018년에 초록우산 어린이재단을 통해 주거지원을 받고 2019년에 주거개선이 된 아동가구를 대상으로 설문조사를 실시하였다. 보호자 173명, 아동 153명이 응답하였으며, 기술분석, 대응표본 t-test, 회귀분석을 실시하였다. 분석결과, 주거지원으로 주택상태 만족도가 긍정적으로 변화할수록 보호자의 우울 수준이 유의하게 낮아지고, 주거비과부담이 긍정적으로 변할수록 아동가구의 식품박탈 경험이 유의하게 감소하였다. 그리고 주거지원으로 아동의 방이 확보된 정도가 좋을수록 아동의 수면 형태와 아침식사가 긍정적으로 변화하였다. 또한 주택상태 만족도가 증가할수록, 아동의 방이 확보된 정도가 좋을수록 아동의 장래직업 결정정도가 유의하게 증가하였다. 이러한 결과를 바탕으로 아동주거빈곤가구를 위한 주거복지정책의 실천적·정책적 함의를 제시하였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identify to what extent housing support improves the housing situation of children’s housing poverty households and to examine the effects of housing changes on children and children’s households. For these purposes, a survey was conducted on children’s households whose housing was improved in 2019 after receiving housing support from the ChildFund Korea in 2017 and 2018. 173 parents or guardians and 153 children responded, and descriptive analysis, paired t-test, and regression analysis were performed. Major findings are as follows. The more positively the housing condition satisfaction changed, the lower the depression of the parents or guardians was significantly. And the more positively the housing cost burden changed, the lower the food deprivation was significantly. The better the children's room was secured, the more positively the children’s sleep pattern and breakfast changed. In addition, as the degree of the housing condition satisfaction increased and the degree to which the child's room was secured, the level of future job determination increased significantly. Based on these results, the practical and policy implications of housing welfare policies for children’s housing poverty households were presented.

      • KCI등재
      • KCI우수등재
      • KCI등재

        주거빈곤기간이 청소년의 주관적 행복감에 미치는 영향

        임세희(Lim Se Hee),김선숙(Kim Sunsuk) 한국아동복지학회 2016 한국아동복지학 Vol.- No.56

        본 연구는 아동기의 주거빈곤기간이 청소년의 주관적 행복감에 어떻게 영향을 미치는지 확인하고자 한다. 특히 기존연구를 통해 청소년의 주관적 행복감의 주요 영향요인으로 알려져 있는 가족관계나 또래관계,그리고 학교적응이 주거빈곤기간과 청소년의 행복감 사이를 매개하는지 살펴보고자 한다. 이를 통해 아동 · 청소년이 행복한 사회가 되기 위한 사회적 노력의 일환으로써 주거복지정책은 어떠한 방향으로 수립되어야 하는지 기초자료를 제공하고자 한다. 이를 위하여 한국복지패널 제1,4,7차년도 자료를 이용 하였으며, 7차년도 아동부가조사에 최종 조사 완료한 512명의 고등학교 연령대 청소년을 대상으로 하였다. 분석을 위하여 구조방정식 모형을 사용하였으며, 주거빈곤기간은 최저주거기준미달기간과 주거비과부담기간을 통해 측정하였다. 매개변수로 사용한 가족관계는 부모의 교육참여, 부모의 지도 감독,가족갈등을 통해 측정하였으며,학교적응은 학교환경과 학교유대감, 그리고 또래관계는 친구애착과 친한 친구의 또래애착으로 측정하였다. 종속 변수는 청소년의 주관적 행복감 척도를 통해 측정하였으며, 청소년의 성별과 가구소득의 영향을 통제하였다. 분석 결과,최저주거기준미달 기간이 길수록 가족관계와 청소년의 주관적 행복감에 부정적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최저주거기준미달로 인한 부정적 가족관계는 청소년의 학교 적응과 또래관계에도 영향을 미쳐 청소년의 주관적 행복감에 부정적 영향을 주고 있었다. 주거비과부담기간의 경우 주거비과부담기간이 길어질수록 아동의 주관적 행복감이 직접적으로 부정적 영향을 받았다. 요컨대 최저주거기준미달기간의 경우 가족관계를 통한 간접적 효과가 있는 반면에 주거비과부담기간의 경우 아동의 주관적 행복감에 직접적으로 부정적 효과가 확인되었다. 주거빈곤기간이 길수록 아동권리보장의 최종상태라 할 수 있는 주관적 행복감에 부정적이라는 본 연구결과는 아동 · 청소년 가구의 주거빈곤문제를 감소시키기 위한 사회적 노력을 요구하고 있다. This study investigated the effect of housing poverty in childhood on adolescents` subjective well-being. Specifically, this study examined whether the major factors that have been known to affect adolescents` well-being (i.e., family relationships, peer relationships, school adjustment etc.) mediated the relationship between housing poverty and adolescents` well-being. And then this study aimed to present an empirical evidence for establishing policies against housing poverty in order to enhance adolescent`s subjective happiness. Data were derived from the 1,4,and 7 surveys of the Korea Welfare Panel Study(KOWEPS)s and the sample included. 512 high school children in the 7fe survey. This study utilized structural equation modeling. Housing poverty was measured by the sub-minimum standard housing condition and the household`s burden of housing expenditure. Family relationship, as a mediator, was measured by parental involvement in education, parental monitoring, and family conflicts. Another mediator, school adjustment was measured by school environment and school bonding, and the last mediator, peer relationship was measured by friend attachment and peer attachment. The results showed that housing poverty had significant negative effects on the adolescents` subjective well-being. The sub-minimum standard housing condition with inadequate size and facilities negatively affected adolescents` relationships with family directly and subjective well-being indirectly. In addition, the negative family relationships due to the sub-minimum standard housing condition negatively affected adolescents` subjective well-being through school adjustment and peer relationships. The greater the proportion of income a household spends on housing expenditure, the less likely for adolescents to report positive well-being. The sub-minimum standard housing condition had indirect effects through family relationships, whereas the household`s housing expenditure directly affected adolescents` subjective well-being. This study suggested the necessity of interventions to alleviate housing poverty for adolescents` families and lays the groundwork for housing poverty policies in Korea.

      • KCI등재

        아동주거빈곤가구의 주거 지원 후 삶의 질 변화

        임세희(Se-Hee Lim),김희주(HeeJoo Kim) 한국사회정책학회 2019 한국사회정책 Vol.26 No.3

        본 연구는 주거 개보수 또는 보증금 지원으로 주거빈곤 상황이 개선된 아동가구의 경험을 질적연구방법을 활용하여 분석하였다. 주거가 개선되기 이전 ‘더 나빠질 수 없을 만큼 열악한 주거환경’이었고, ‘안전하고 건강한 삶에 위협이 되는 집’이었다. 열악한 주거환경과 끝이 보이지 않는 절망스러운 상황에서 아동의 부모들은 주민센터 공무원이나 사회복지사를 만나 적극적으로 도움을 요청하였다. 주거개선 후 아동들은 처음으로 자신만의 공간을 가지게 되었으며, 아토피와 같은 질병들이 사라지는 등 신체적 건강이 좋아졌다. 주거 개선 이전 우울하거나 폭력적이었던 아동의 심리상태가 편안하고 안정되면서 자녀의 성장이 긍정적으로 이루어지고 있었다. 가족들의 짜증과 갈등이 줄어들면서 가족 간의 관계가 향상되었고, 아동들은 친구를 자신의 집을 초대하는 등 교우 관계에서도 자신감을 가지게 되었다. 그러나 주거 환경의 향상과 변화에도 불구하고 연구참여가족은 여전히 해결되지 않는 빈곤의 문제를 안고 있었으며, 해소되지 않은 주거지원에 대한 욕구들이 있었다. 이상의 결과는 주거빈곤아동가구의 삶을 전반적으로 개선하기 위해 주거지원이 필요함을 보여준다. 끝으로 아동주거빈곤가구를 위한 보다 효과적인 주거복지정책을 구체적으로 제안하였다. This study examined experiences of households with children after their poor housing conditions had been improved by house refurbishment support or financial support for a deposit by using qualitative research method. The results are as follows: First, before the improvement of housing, participants had to live in homes that were extremely poor and threatened their safety and healthy life. Second, while parents suffered from severe housing deprivation, they actively tried to contact community center official and social workers to ask for help. Third, as a result of improved housing, children could get their own room for the first time, and their physical health has been improved such as disappearance of atopy. Also, children who had been depressed or violent could have more relaxed and stable psychological conditions. Family relations has improved as irritations and conflicts among family members decreased, and children also became more positive and active to build friendships, such as inviting friends to their own houses. Last, despite improvements in the residential environment, participants still had unresolved poverty problems, and unmet needs for housing support services. These results support the need of housing support particularly for families with children In the conclusion, this study proposed more effective housing welfare policies for households with children in housing deprivation.

      • KCI등재

        주거빈곤이 아동발달에 영향을 미치는 과정 분석

        임세희(Lim Sae-Hee) 한국사회복지학회 2010 한국사회복지학 Vol.62 No.4

        본 연구는 한국복지패널(1차년도)을 활용하여 주거빈곤이 아동의 신체건강, 내재화문제, 학업성취에 미치는 영향과 그 과정을 밝히고자 하였다. 분석결과 최저기준미달주거와 주거비 비중은 주거불안정과모(부)불건강, 아동의 비학업활동은 증가시키고, 비주거지출은 감소시켜 아동의 내재화문제와 학업성취에 부정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확인되었다. 이는 소득빈곤, 지역빈곤과 가구특성을 통제한 상태에서 나타난 결과였다. 본 연구를 통해 주거빈곤에 대한 이론적 모델을 발전시키고, 주거 빈곤 정책의 중요성을 환기시킬 수 있었다. This study examines the effects and process of housing poverty on children's physical health, internalizing problems and academic achievement using the first Korea Welfare Panel Study. The results show that sub-minimum standard housing condition and housing expenditures have increased the housing instability, non-study activities, while harming parent's health and decreasing non-housing expenditures. And this process negatively affects children's internalizing problems and academic achievement. The findings of this study have value for controlling the confounding factors as income poverty, neighborhood poverty and characters of household. This research is significant in that it develops the theoretical model of housing poverty and suggests the necessity of interventions to alleviate housing poverty.

      • KCI우수등재

        주거비 과부담 결정요인

        임세희(Lim, Sae-Hee) 한국사회복지학회 2016 한국사회복지학 Vol.68 No.3

        본 연구는 주거비과부담 결정요인을 가구와 주거 특성뿐만 아니라 지역 특성을 고려하여 분석하였 다. 전국 약 2만 가구를 대상으로 실시한 2014년 주거실태조사를 활용하여 위계적 일반 선형 모형으 로 다층분석을 실시하였다. 분석결과 가구주가 남성일수록, 학력이 높을수록, 월세가구일수록, 주거환 경에 만족할수록, 주거비과부담의 가능성이 증가하였다. 반면에 가구소득이 증가할수록, 기초보장가구 일수록, 최저주거기준미달일수록, 전세가구일수록 주거비과부담 가능성이 감소하였다. 주거비과부담여 부에는 유의미한 지역간 분산이 존재하였으며, 지역의 평균 월임대료와 중위 주택가격이 높을수록 개 별가구의 주거비과부담 가능성이 증가하였다. 또 공공임대주택비율이 전국평균보다 높은 지역만을 추 가분석한 결과 지역의 공공임대주택비율이 증가하면 개별가구의 주거비과부담 가능성이 감소하였다. 본 연구를 통해 주거비과부담 위험에 노출된 가구 및 주거 특성을 알 수 있었으며 주택가격 상승 억제 및 임대료 규제의 필요성과 공공임대주택 확대의 효과성을 확인하고 주거복지정책에 대한 함의를 도출 할 수 있었다. This study examined the determinants of housing affordability using the 2014 fact-finding survey of housing. This study identified the effects of characters of districts as well as the effects of characters of family and housing, taking advantage of HGLM(Hierarchical General Linear Model). The results of this study showed that male householder, higher education level, the monthly housing, higher satisfaction of environment of housing are the factors that increased the odds of living at unaffordable housing, but higher income, public transfer recipient, living at sub-standard housing, the Jensei housing are the factors that decreased the odds of living at unaffordable housing. And the higher housing price, the higher rent of the districts increased significantly the odds of living at unaffordable housing, but the higher rate of public housing of the districts decreased the odds of living at unaffordable housing. This study provides the basis that the price of housing and rent should be controled and the policy of public housing should be expanded for housing welfare.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