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김수영의 시와 시론에 나타난 시어로서의 ‘국어’와 ‘번역’의 의미

        임세화(Yim, Se-Hwa) 경성대학교 인문과학연구소 2014 인문학논총 Vol.36 No.-

        이 글은 김수영의 시와 시론에 나타난 ‘번역’과 ‘언어’, ‘국어’의 의미를 당대의 언어문화적인 관계망과 시인/번역가로서의 김수영의 언어의식이라는 맥락 속에서 살펴보는 것을 목표로 한다. 해방 이후 이른바 ‘국어 형성기’에 새로운 ‘국어’가 된 한국어/조선어라는 질료로 시창작과 번역을 병행해야 했던 김수영에게 ‘언어’는 시대가 요구하는 ‘국어’와는 비등질적인 것이었다. 또한 일본어와 영어 사용을 강박적으로 배제하고 그것의 번역을 국어(민족어)로의 수렴과 순화 과정이라고 생각하고 장려하며 그것을 ‘작가적 양심’으로까지 강요하는 당대 언어문학계의 흐름은 김수영에게 있어서 불만족스러운 일이었다. 당대의 ‘국어’는 오히려 실상은 비어 있었던 것, 이제 만들어나가야 할 어떤 것에 가까웠으며, 그들이 습득해야 할 ‘자기 언어’는 자명한 형성체로 구성되어 있지 않았다. 일본어를 ‘국어’로 배우고 조선어인 ‘모어’를 완벽하게 습득하지 못한 이른바 ‘이중언어’ 세대였던 김수영이 처한 특수한 언어적인 조건은 그 자신의 고백대로 제한적인 것이었고 시 창작과 번역 과정에서 필연적인 ‘불편’과 어려움을 수반할 수밖에 없었다. 그러나 국민국가라는 바운더리를 경계로 각기 이질적인 것으로 상상되는 언어들을 ‘불편’하게 다루어야 했던 경험, 언어적 자산의 불리함과 여건의 열악함은 김수영이 ‘번역’과 ‘과오’로 자신의 시론을 정립하게 된 하나의 배경이었다. 올바른 ‘국어’ 정립과 사용을 위해 외국어(특히 일본어) 사용을 강박적으로 제한하려는 경향성, 당대 문학자들의 민족과 순혈주의에 대한 태도 등은 김수영에게 오히려 언어의 가능성을 제한하고 ‘언어의 주권’을 말살하는 작업으로 여겨졌다. 김수영이 강조하는 ‘언어의 주권’은 단순히 ‘민족어의 주권’이 아니었다. 김수영에게 ‘언어’란 시대에 따라 순환되며 자기생성과 소멸을 반복하는 생명적인 것이었다. 또한 시의 언어는 시대의 상상력을 앞지르며 그것을 선도하는 언어였고, 따라서 ‘언어의 주권’을 회수하는 것이 시의 역할이 되어야 했다. 이러한 생각을 바탕으로 김수영은 시어로 일본어나 영어 등 ‘우리말’이 아닌 언어들을 거침없이 사용하고 그것이 ‘가장 아름다운 우리말’이 된다는 가능성을 역설하는 시론으로까지 자신의 언어관을 밀어붙였다. 어느 곳에도 환원되지 않는 언술행위의 주체로서의 번역가와 시인에게 주어진 운명은 그러나 어디까지나 ‘타자의 언어’로 발화하며 언제나 순간 속에 현전할 수밖에 없는 본질적인 (불)가능성을 지닌 것이었다. 번역과 시 쓰기는 ‘언어’라는 질료를 가장 민감하고 가까운 자리에서 다루는 김수영에게 시대와 사회가 요구하는 언어 이데올로기를 정확히 정반대의 위치에서 수행해나가야 하는 분투의 과정인 동시에 ‘언어’와 ‘문학’의 본질을 회수할 수 있는 가능성이기도 했다. This paper aims to analyze the meaning of Kim Soo-Young’s poetic language such as ‘National Language’ and ‘Translation’. In the early days of Republic of Korea, there was a various restriction of foreign language. It even presented as a ‘writer consciousness ’. In that time, however, the vocabulary ‘National langueage’ was yet empty, in process of cultivation. Therefore, the meaning of ‘self-language’ was not self evident. According to Kim, ‘the sovereignty of language’ is not just ‘the sovereignty of national language’. Language changes as time passes, and it continually reproduce and destruct itself. It also surpasses the commonsense of the time. Kim thought that it is a poetry’s responsibility to create ‘the sovereignty of language’. In this reason, Kim dissatisfied with the mainstream of writers. Most of them thought that restriction of foreign language was necessary. In Kim’s theory, Korean Language as a poetic language is limited. However, the barren circumstance also has a strong point. It is true that dealing with multi-national language is challenging. But Kim was able to set his poetics in process of confronting with such conditions. It was commonly accepted that not only writers but also translaters must switch the foreign language to pure national language. Kim thought that such a patriotism was nothing but annihilation of ‘the sovereignty of language’. According to Kim, translation and poetry are the language that resisting the language ideology and acquiring ‘the sovereignty of language’.

      • KCI등재

        청년의 성장과 젊음의 모순

        임세화(Yim, Se-Hwa) 한국현대문학회 2013 한국현대문학연구 Vol.0 No.41

        이 글은 ‘세속이 나에게 무엇을 요구하는가’를 빠르게 알고 습득해나가는 청년 성칠을 통해 1960년대 손창섭의 장편소설 『길』에 나타나는 ‘인간의 형성’과 ‘성장’ (불)가능성의 의미에 대해 살펴보았다. 고향을 버리고 서울이라는 공간에서 자아상을 구축해나가는 성칠에게 도시는 ‘자기 형성’의 공간으로서 중요한 의미를 갖는다. 서울이라는 ‘동물도회’ 속의 주체로 스스로를 자리매김하는 성칠은 프로테스탄티즘의 윤리를 체득하고 더 큰 욕망의 획득을 위해 욕망의 실현을 끝없이 유예하며 금욕하는 인물이다. ‘진정한 나’를 찾아가는 이 여행길에서 성칠은 온전한 ‘나’와 ‘나’ 아닌 것을 동시에 추구해야 하는 젊음의 모순과 맞닥뜨리게 된다. 그것은 성장의 기점에서 모든 것(고향, 유년, 어머니 등)을 상실할 수밖에 없음에도 불구하고, 그 불행을 감수하며 성장하기를 원하는 젊음의 비극이기도 하다. 성칠에게 주어진 수많은 가능성들은 그로 하여금 미래만을 꿈꾸게 하는데, 그것은 근대세계 자체가 지닌 모순, 분열과 맞닿아 있다. 근대유럽의 ‘교양소설’이 개인의 사회화라는 문제에 해결책을 제시해주던 ‘상상적인 해법’은 1960년대의 한국에서도 더 이상 유효하지 않은 방식이 되어버렸다. ‘욕망’은 성칠을 사회에 복속시키고 길들이는데, 그것은 간접화된 부르주아적 윤리를 체현해내는 하나의 지표이자 그 자신의 정체성으로서, 모순적인 ‘자율적 주체’ 성칠을 점점 포박하게 된다. 명백히 근대적인 인물인 성칠은 자아 창조의 모험 속에서 사회가 매개한 욕망을 ‘자기 찾기’의 수단으로 삼고 그를 위해 금욕한다. 그러나 그의 사회화는 사회의 보편적인 삶의 방식을 자신의 것으로 동일화하는 하나의 학습이라기보다, ‘돈’을 벌기 위한 한 방편으로써의 편입이라는 점에서 대단히 기형적이다. 성칠이 찾는 ‘진정한 나’, 그가 추구하는 성공의 상이란 근대 사회가 매개한 간접화된 욕망이고, 이 근대적 인간의 이상은 결코 충족될 수 없다는 점에서 청년의 비극은 시작된다. 그것은 자신을 찾는 여행이 완성되는 순간 모든 것을 상실하게 되는 ‘자기 찾기’의 비극이기도 하다. 1960년대 서울이라는 공간에 던져진 청년 성칠의 ‘자기 찾기’의 도정은 단지 더럽고 추잡한 현실 세태의 고발과 비판을 위한 것만은 아니었다. 오히려 그것은 끝없이 가능성과 미래만을 꿈꾸게 하는 근대세계 자체가 지닌 모순과 분열에 맞닿아있는 근대소설의 한 형식(form)의 변형에 가까운 한국적 판본이었다. This study was willing to consider the meaning of Sung-Chil’s man formation and (im)possiblity of self growth shown in the road, a novel written by Son, Chang-Seop in 1960’s. The protagonist of this novel was the young man that want to answer the question what did the world demand to him. The city, Seoul was of special significance to him as the space of self-formation. He was a self-formative subject in ‘animal city’ as Seoul and was becoming an ascetic subject by learned protestant ethic. In a course of the search for the authentic self, he was confronted with the aporia of the young. It was caused by finding real himself and non-himself simultaneously. And it was the tragedy of the young man, Sung-Chil that grew up with losses of a homeland, a childhood and a mother. Historically, his dreams for the future were related with the inconsistency or disruption of the modern society. Especially the socialization of an individual as the imaginary solution of Biludungsroman was nonvalidated in the Korean novel 1960"s. Sung-Chil"s desire and adventure to social adjustment was a sign and the identity of himself presented bourgeois ethics. He as a self-contradict subject was tied up by the sign and identity. In the adventure for self-creation, Sung-Chil as a modern individual explicitly used a desire mediated by the social as the instrument of the search for the self and practiced self-denial to the purpose. His process of the socialization was not to be identified himself ordinary social way of life. But it was to be freaky socialization learned a way of accumulate wealth. Therefore Sung-Chil"s authentic "I" was interested in worldly success. It was a mimetic desire mediated by modern society. And his desire was never satisfied. In here, the young man"s tragedy started. It was also the tragedy of the search for the self when it was completed, lost all of I. Finally, Sung-Chil"s adventure in 1960"s Seoul, was not only a report on the ugliness of the social reality and condition, but also Korean version of a form western novel. An inconsistency or disruption of the modern society and a continual pointing of future was represented in the novelistic form in the West and 1960"s Korea.

      • KCI등재

        “조선문학이란 무엇이냐” - 해방기 문학자들의 국어 인식과 조선문학의 형성 -

        임세화 ( Yim Se-hwa ) 연세대학교 인문학연구원 2021 人文科學 Vol.123 No.-

        해방기는 문학자들이 가장 열성적으로 모여 ‘조선문학’의 개념과 전망을 논의했던 시기로서‘문학어로서의 조선어(국어)’는 문제적인 대상이 되었다. 해방 직후 규범화된 ‘국어’로서의 ‘조선어’는 부재한 상태였고, 이론화된 문학과 학문, 사상의 언어는 조선어가 아닌 일본어(한문)였다. 미군정청(문교부)의 주도 하에 이루어진 ‘국어’ 창출과 ‘우리말 도로 찾기’는 오히려 ‘국어’의 외연, ‘언어의 가능성’을 축소시키는 ‘독재적 행위’로 받아들여졌다. ‘민족어’와 ‘민족문학’, ‘문학언어’라는 가치는 동궤에서 실천될 수 없는 엇갈리고 이질적인 질료들이었고, 문학자들은 - 체계화되는 순간 그 외연이 좁아지고 닫혀져버리는 - 언어와 문학의 가능성들에 대한 구상을 ‘정치’와‘문학’ 사이의 관계라는 또 다른 질문으로 이어나갔던 것이다. 문학자들의 전망했던 민족국가의 상과문학의 역할이 치열하게 논의되는 가운데, ‘문학어로서의 조선어(국어)’에 대한 담론과 상상들은 역으로 ‘조선문학’을 인식하고 그 정체성을 형성해나갈 수 있던 주요한 계기점이 되었다. ‘조선문학사’를 어디에서부터 다시 쓸 수 있을까에 대해 고민했던 한설야와, 일제시기부터 ‘조선문학’에 구어체 용어와 과거동사, 대명사 등을 도입했다며 ‘조선문학’에 기여한 공로를 자화자찬하는 김동인의 서술은 ‘언어’와 ‘민족문학’의 관계에 대해 질문하고 그 관계성을 재 설정하려했던 문학자들의 응답이다. 또한 번역어로서의 조선어에 대해 논하며 “조선말이 부족하다!”라는 지식층의 한탄에 “외국어를 번역할 말이 조선말에 없음을 느낄 때”, “그 부족이란 이유는 조선어만의 결함이 아니라 모든 언어의 공적 일면”이라며 조선어의 한계성을 일축한 이태준, “대중은 기실은 새말을 만드는데 있어서 서뿔른 순수주의자들보다는 사뭇 천재”라고 평하며 그것을 “문법과 문학의 싸움”이라고 언명했던 김기림의 감각은, 단일 언어주의의 기치와 위계적 언어 질서 속에서 국어 정화 운동을 펼치던 움직임과는 배치되는 특수한 것이었다. 다양한 스펙트럼을 보이는 문학자들의 궤적은 포스트식민의 냉전체제 속에서 ‘조선문학’과 ‘민족문학’이라는 기표를 오가며 ‘문학’의 요건과 역할에 대해 치열하게 묻고 답하는 과정에서 재구성되어가던 ‘한국문학’의 언어적 기원, 내지 전사로서 중요한 의미를 가진다. The liberation period was a time when literati most enthusiastically discussed the concept and prospects of Korean Literature. Immediately after liberation, Korean as a standardized national language was absent, and the language of literature, study, and thought was Japanese (Chinese writing), not Korean. The creation of Korean language and restoration of the national language under the leadership of the U.S. military government (theMinistry of Education)were rather accepted as a dictatorship to reduce the extension of Korean and the possibility of language. The literati continued to discuss the possibility of language and literature through the relationship between politics and literature. While the image of a nation state and the role of literature were discussed, the discussion of Korean as a literary language was a major chance to recognize Korean literature and to formits identity. Han Seol-ya, who thought about how to rewrite history of Korean Literature and Kim Dong-in, who evaluated himself as contributing to Korean Literature by introducing colloquial terms, past verbs, and pronouns fromthe colonial era, respond to questions about the relationship between language and national literature. In addition, Lee Tae-joon, who recognized the limitations of Korean language in translation as a general problem, and Kim Ki-rim, who said the public was genius in creating new words, were special contrary to Korean language movements developed in monolingualism and a hierarchical language system. The diverse spectra of the literati have importantmeanings as the linguistic origin or previous history ofKorean literature that had been reconstructed in the process of discussing the requirements and roles of literature in the postcolonial ColdWar system.

      • KCI등재

        포스트식민의 ‘언어경제’와 도덕 - 해방기 염상섭의 소설 『효풍』을 중심으로

        임세화(Yim Se-hwa) 고려대학교 한국학연구소 2021 한국학연구 Vol.79 No.-

        이 글은 해방 이후 새롭게 재편된 남한의 언어적 상황이 미군정 통치하 경제 문제와 맞물리며 문학이라는 장 안에서 구조화된 양상을 고찰하였다. 조선총독부로부터 남한의 통치권을 이양 받은 미군정이 공식어로 선포한 ‘영어’가 언어권력을 획득하며 경제와 부의 재생산에 관여하는 현상이 일어난다. 염상섭은 포스트식민의 ‘언어경제’가 재편되는 상황에서 민족과 사회가 각 개인에게 요구했던 도덕률과 이상이 돈(경제)과 이념(정치)의 차원에서 절합(articulation)되고 파탄에 이르게 되는 기형적 증상을 그려낸다. ‘외세’로 비판되었지만 ‘해방군’으로도 믿어졌던 미군정 권력과 체제에 접근할 수 있는 기본적 자질은 ‘영어’였고, 미군정의 입장에서나 조선인의 입장에서나 그 소통의 창구로서 기능하는 통역관의 입에 기대지 않을 수 없었다. 염상섭은 통역 없이 영어를 구사할 줄 아는 청년들을 소설의 핵심 인물로 설정하는데, 이는 미국에 종속되지 않는 대등한 위치에 서서 언어적 불통과 정치적 위임의 가상 없이 정세와 전망을 형상화하기 위한 서사적 전략이었다. 그러나 ‘영어’라는 언어자본을 담보 삼은 경제활동과 인물들의 자기형성은 미국이라는 체제와 영향력에 종속되고 영합되기를 거부한다면 불가능한 것이다. 조선인들은 독립주권국가를 건립해야 한다는 당위적 선언에 한 발을 담근 채로 정치적·도덕적 선(善)과 지향을 찾지 못하는 쟁투 속에서 위계화된 언어권력과 ‘돈’의 힘을 좇아 신제국인 미국과 정치적·경제적 야합을 하게 된다. 『효풍』의 인물들에게 붙여진 수많은 이름과 직함들은 주어진 사회의 질서와 도덕 속에서 온전한 자기형성을 이룰 수 없게 된 시대적 모순과 소설적 난망을 드러낸다. 인물들이 여러 개의 이름에 부여된 수많은 정체성들 사이를 부유하며 갈등하는 상황은 민족이나 이념, 자본 등 어떤 가치에도 귀속되지 못한 채 다시 어떠한 ‘이름’으로 수렴하여 복종하는 주체를 생성하는 과정 그 자체라는 점에서 특징적이다. 이념이 실체화되지 않고 소문과 농담으로만 떠돌며, 그러한 이념을 통해서는 어떠한 희망적 미래와 자기형성의 가능성을 타진하기 어려운 세계에서 경제는 새로운 도덕률로 작동하였다. 또한 영어라는 언어적 자질은 미군정 체제하에서 정체성과 신원을 확고히 할 수 있는 가장 효율적인 기제였다. 염상섭은 ‘새나라 새 시대’의 이상적 주체를 제시하고자 했지만, 해방 조선을 이끌어 나갈 젊은 청년들이 추구하는 삶의 방식과 가치관은 형해화된 방식으로 서사화되었다. This study looked into the aspects which South Korea’s linguistic situations, reorganized during the liberation period, structuralized within literature stage while being tangled with the economic issues under the U.S. military government rule. Ever since ‘English language’ gained power from the point the US military government announced it an official language after the liberation from the Japanese colonial rule, the language was deeply involved in economy or reproduction of wealth. In the situation when the ‘economy of language’ of post-colonialism was being reorganized, Yeom Sang-seop(廉想涉) described the deformational symptom of morality and ideal, which ethnicity and society demanded from individuals, being articulated and failing on the levels of ‘money (economy)’ and politics. Basic qualification for approaching the power and the system of the U.S. military government, which was criticized as a foreign power but also believed to be the Liberation Army, was ‘English’ and the U.S. military government and Koreans alike had no other choice but to rely on the mouths of interpreters who were functioning as a channel of communication. Yeom Sang-seop set youth who could speak English as main characters. This was a narrative strategy for embodying landscape and prospect at equivalent level to the U.S. However, economic activities and characters’ self-cultivation based on English would be impossible if one refuse to be subordinated and cater to the U.S. system and influence. Koreans, while being bound by legitimate declaration that a sovereign state should be founded, made political and economic collusion with the U.S. by chasing hierarchic language power and power of money in the midst of the struggle of being unable to discover political and moral goodness and direction. In the world where ideology does not materialize but wander as mere rumor and joke and where bright future and possibility of self-cultivation(bildung) cannot be sounded out through such an ideology, economy acts as a new ethical code. In addition, English becomes the most efficient mechanism to establish identity under the U.S. military government. Yeom Sang-seop aimed to suggest an ideal subject of “New nation, new era” but the style of living and values which the youth generation who were about to lead the liberated Korea were narrated in meaningless methods.

      • KCI등재

        페미니즘, '정확한 희망'의 임계 : 『소녀들-K-pop 스크린 광장』, 여이연, 2017 『그런 남자는 없다-혐오사회에서 한국 남성성 질문하기』, 오월의 봄, 2017

        임세화 ( Yim Se-hwa ) 민족문학사학회·민족문학사연구소 2017 민족문학사연구 Vol.65 No.-

        이 글은 '소녀'와 '남성'이라는 각 젠더 주체를 입각점으로 삼아, 젠더가 자명한 실체가 아니라 역사상의 결절 속에서 서로를 대타항으로 두고 재구성되는 이데올로기적 산물이라는 점을 추적한 『소녀들』과 『그런 남자는 없다』를 경유하여 지금-여기의 젠더 정치와 대항 서사로서의 젠더 재현이 함의한 문제점들을 살펴보았다. 『소녀들』과 『그런 남자는 없다』는 오늘날 페미니즘의 최전선에서 가장 문제적 화두 중 하나인 젠더 정체성의 계보를 탐사한다. 궁극적으로는 남성중심사회의 공고화에 젠더 규범과 이원적 젠더체계가 어떻게 공모하며 작동해왔는지, 그 질서 안에서 개별 주체들이 어떻게 역사화되며 자기보존과 변신을 꾀해왔는지를 규명하며, 고정된 '젠더정체성'에 대한 통념을 깨뜨린다. '남성성'과 '여성성'은 한 시대의 질서와 아이덴티티가 어떻게 구성되고 작동하는지, 그 질서의 편재 하에 사람들에게 무엇이 사유될 수 있고 경험되고 정해지는지를 보여주는 표징이다. 근대국가는 언제나 이상적인 '남성성/여성성'을 제시하고 규율해왔지만, 젠더성과 젠더 규범은 자명한 범주가 아니다. 오히려 '남성성/여성성'은 서로를 대타항으로 두고 상호 구성적으로 정립되는 헤게모니적 구성물이다. 특정 젠더 주체가 스스로를 어떻게 호명하고 재현할 수 있는가의 문제는 곧 위태로운 정체성을 재구성하고 인입을 승인하는 장치로서의 '젠더'와, 젠더 이외에 개인의 정체성을 구성하는 준거들에 대한 성찰을 요청한다. 이제 '페미니즘'은 '차별'에 대한 문제제기와 폭로에서 나아가 '여성성/남성성'이란 무엇인가에 대한 발본적인 물음을 던지고 있다. 젠더성-젠더규범에 대한 타자화와 위계화는 결코 동질화될 수 없는 '성 정체성(남성성/여성성)'을 균질적인 것으로 착시하게 하고 계급과 계층, 인종 사이에서 발생하는 차별과 불평등을 은폐해왔다. 이원화된 젠더 분할은 특히 '노동'과 '자본'을 가치화하는 과정에서 그 차별적 구조를 내면화하도록 만드는 장치로 기능했다. 성차는 보편적이거나 고정적인 것이 아니며, 사회적으로 코드화되는 성질의 것임에도 불구하고 '남성성'과 '여성성'은 서로를 '구성적 외부'로 두고 분리와 변별을 통해 재구성되어 왔던 것이다. 또한 여성숭배까지를 포괄한 여성혐오는 호모포비아와 더불어 남성사회의 공고화와 남성성의 규범화에 공모해왔다. 오늘날 젠더 정체성에 대한 스펙트럼은 확장되고 교란되고 있다. LGBT 등에 대한 논쟁과 끊임없이 허물어지고 재구축되는 '여성성/남성성'의 경계는 단지 담론 차원에서 맴도는 논박이 아니라, 당사자들의 실존과 결부된 절박한 삶의 투쟁이다. 그것은 가해와 피해, 정상과 비정상, 다수자와 소수자, 남성성과 여성성이라는 이분법적 구도의 접근으로는 내파하기 어려운, '얼굴과 목소리를 가진' 주체들의 투쟁이다. 타자가 내린 정의와 결박에서 벗어나 이제 막 스스로의 입으로 자신을 설명할 '언어'를 찾아 나선 주체들의 목소리에 귀를 기울이는 것으로부터 '정확한 희망'은 도래할 것이다. This article considers the problems of gender politics and representations of gender issue as a counter-narrative in here(Republic of Korea) and now(2017) through ideas, There are no man who you think and Girls. These two books, There are no man who you think and Girls explore the genealogy of gender identity which is the most problematic in Korean society recently. Ultimately, these books seems like try to reveal how the dual(heterosexual-centered) gender system has worked in cartel of male-centered society and gender norms. Ideas, 'Masculinity' and 'femininity' are representations which shows how social orders and gender identities of one age are composed, and what could be experienced and prescribed by people who should be under the domination of the social order. Modern nations has always proposed and governed the ideal "masculinity / femininity." However, a gender reflected and gender norms are not self-evident. Rather, 'masculinity / femininity' is a hegemonic construction which is established in inter-constructive way between them as the opposite term. How the gender subject calls or represents her / himself? This question requests introspections about 'gender' as an essential element for self-identity making, also other elements except 'gender'. Now, an issue of 'feminism' change from the question and exposure of 'discrimination', to fundamental questions for what is 'femininity / masculinity.' Otherizations and hierarchizations of gender reflected and gender norms have caused an illusion to regard 'gender(masculinity / femininity)' as homogeneous, which never be homogenized. Also it has concealed the discrimination and inequality that arises between class, stratum and race. Dualized gender classifications functioned as a device to internalize the discriminatory structure in the process of valuing 'labor' and 'capital'. Sex differences are not universal or fixed, but socially encoded. Nonetheless, 'masculinity' and 'femininity' have been reconstructed through segregation and discrimination by being 'constitutive outer' for each other. Today, the spectrum of gender identity is expanding and disturbing. The controversy over LGBT and the breakdown of 'femininity / masculinity' is not just disputes over discourses, but desperate struggles for life associated with the existence of the minorities. It is a struggle of 'subjects with face and body' that can not approach or impose, the dichotomy of injustice and damage, normal and abnormal, majority and minority, masculinity and femininity.

      • KCI등재
      • 온라인거래소 활성화를 위한 구매자 관점의 과일류 품질규격 우선순위 조사

        이홍진 ( Hong-jin Lee ),임세화 ( Se-hwa Yim ),장성원 ( Sung-won Jang ),신혜진 ( Hye-jin Shin ),채지희 ( Ji-hee Chae ),김은영 ( Eun-young Kim ) 한국식품유통학회 2023 한국식품유통학회 학술대회 Vol.2023 No.1

        본 연구의 목적은 온라인거래소에서 구매자가 과일 구매 시 고려하는 품질요인들 중 무엇을 먼저 우선순위에 두는지 분석하여, 구매자가 필요한 정보를 판매자가 제공함으로써 온라인 거래의 활성화를 도모하는데 있다. 연구를 수행하기 위해 농산물도매시장의 경매사 및 중도매인을 대상으로 과일 4품목(감귤·사과·배·포도)에 대한 AHP 분석 설문을 수행하여 각 품목별 품질평가 우선순위를 도출하였다. 분석 결과, 감귤의 밀감류를 제외한 나머지 품목들 모두 외부품질, 내부품질, 구입조건의 순으로 중요도가 나타났다. 다시 세부적으로 품목별 평가 요인의 중요도를 살펴보면, 내부품질의 경우 모든 품목에서 당도가 가장 높은 것으로 조사 되었다. 외부품질의 경우 감귤, 사과의 경우 색깔, 배의 경우 모양 끝으로 포도의 경우 알맹이 크기가 가장 우선 고려되는 것으로 나타났다. 구입조건의 경우 포도의 델라웨어와 MBA의 경우 출하기간을 그리고 나머지 품목들은 품질 정보의 정확성이 중요한 것으로 나타났다. 이에 내부품질의 당도, 외부품질의 색깔, 크기등과 같은 품질평가 요인들의 상품 등급별 기준 마련을 하는 동시에 구입 조건에서 나타나듯, 판매자가 상품의 품질 정보를 제공하더라도, 정확한 정보가 맞는지에 대한 구매자의 의구심 해소를 위해서 정보의 정확성 확보도 동시에 진행되어야 할 필요가 있다.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