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허균(許筠) 편저(編著)의 현황(現況)과 과제(課題)

        임미정(林美貞) ( Lim Mi-jung ) 한국어문교육연구회 2019 어문연구(語文硏究) Vol.47 No.4

        이 논문은 현재확인 가능한 허균 편저의 총목록을 조사하고 밝혀서, 허균 연구를 위한 기초 자료 정리를 시도한 것이다. 먼저 연구의 기본이 되는 허균의 시문 창작 활동 결과물과 허균이 다른 사람의 글을 재편하고 선별한 저작을 정리하였다. 여기에는 이미 알려진 책들도 있지만 본고에서 처음 존재를 밝힌 자료들도 있다. 목록 정리와 더불어 각 저작의 내용이나 특징, 연구 현황과 과제까지 간략하게 밝혀보았다. 허균의 편저 중에는 허균이 저술했다는 기록만 있고 실본이 확인되지 않은 일실본이 많다. 일실본의 제명만으로도 허균 저작 활동의 범위와 내용을 짐작할 수 있기 때문에 일실본도 포함하였고, 공무의 일환으로 편찬한 책들이나 허균이 편집하고 관여했던 개인 문집까지 정리하였다. 허균 편저의 현황 검토는 문헌과 관련된 기존 연구의 점검, 앞으로의 연구 방향과 과제를 살피는 목적에서 시도된 것이다. 허균이 집필하고 참여했던 여러 성격의 문헌들을 살핀 결과, 새롭게 발굴되어 조명이 필요하거나 이본 정리가 시급한 저작이 다수 확인되었다. 그리고 단일 문헌이 아닌 허균 저작 전반을 관통하는 주제 연구의 가능성도 찾을 수 있었다. This thesis generally examines the works of Heo Gyun and presents tasks remaining from the literary research of Heo Gyun. First, a list was created including all the works written by Heo Gyun along with books written by others that Heo Gyun reedited and selected. While this included books that are already known, there is some material that has been revealed for the first time through this thesis. Until now, research on Heo Gyun has been conducted with a focus on anthologies. The total list of Heo Gyun’s works as organized by this article is significant in that it comprehensively shows the writing activities of Heo Gyun. Next, proposals were made regarding tasks remaining from the research of Heo Gyun in addition to literary issues. Until now, there have not been any studies on the status of Heo Gyun’s written history or his historical views. It is now time for analysis results to come out, including those on Heo Gyun’s historical writings that were made while interest was given to 『Haedongyaeon Byeoljip』, a historical book by Heo Gyun discovered by the writer. Also, research must be conducted on critical language that Heo Gyun attached to several anthologies of poetry. Heo Gyun is known as a Chinese poem critic who had great discernment. His Chinese poem review methods constructed an independent domain in Chosun due to the influence of the Chinese books he encountered. Heo Gyun’s Chinese poem review contents and his review methods have important positions in the history of Chinese poetry. The Chinese poetry reviews of Heo Gyun were mainly made from directions of critical views or analyses of one or two kinds of writings. This article makes introductions including that of Heo Gyun’s review work and suggests that attention be given to his review methods.

      • KCI등재후보

        다산(茶山)의 『이담속찬(耳談續纂)』 편찬 과정에 대하여

        임미정 ( Mi Jung Lim ) 다산학술문화재단 2009 다산학 Vol.- No.14

        이 논문은 다산茶山 정약용丁若鏞이 편찬한 속담집 『이담속찬耳談續纂』의 편찬 과정을 살핀 것이다. 그 동안 이에 대한 연구는 주로 속담집이라는 측면에 주목되었고, 따라서 속담 내용 연구나 한역漢譯된 양상에 집중되었다. 그러나 『이담속찬』은 『여유당전서與猶堂全書』보다 먼저 간행되었고, 다산의 오랜 준비 과정 아래 이루어진 저작이다. 지금까지의 연구가 다산이라는 작가와는 별도로 텍스트에만 집중되었다면, 이제는 다산이 속담집을 저술했다는 사실과 관련한 편찬 의식을 살필 때이다. 따라서 이 논문에서는 우선 다산이 『이담속찬』을 어떠한 자료를 통해 어떻게 만들었는지를 검토하여 `다산의 이담속찬` 연구를 위한 발판을 마련하고자 하였다. 『이담속찬』은 크게 중국 속담과 우리나라의 속담으로 이루어져 있다. 먼저 중국 속담의 편찬과정을 살폈다. 다산은 명나라 왕동궤의 『이담류증』에 수록된 「집언요고언集諺謠古言」을 참조하여 중국 속담부분을 집필하였다. 다산은 이 책을 전재하거나 원전原典에 의거하여 수정하고 보완하는 작업을 하였고, 여기에다 석천 신작이 준 10여 장을 합하여 『이담속찬』 내의 중국 속담 부분인 「경사인유」를 완성하였다. 다산은 속담집 편찬에 있어 『이담류증』의 속담을 최대한 바꾸지 않는 방향에서 정리하였다. 따라서 이 책의 제목이 『이담』을 이은 `속찬續纂`이라는 의미인 『이담속찬』으로 명명되었음을 알 수 있었다. 다음은 우리나라 속담의 편찬과정을 살폈다. 다산은 젊은 시절부터 우리나라 속담에 관심이 많았다. 따라서 속담을 수집하고 한역한 후 압운까지 하여 가장 먼저 결실을 거둔 속담집이 『채파유의』(1792년)이다. 이후 성호의 속담집 『백언해』를 접하고 여기에서 속담을 골라 뽑아 운을 붙이고, 『채파유의』에서 참조하거나 추가로 수집한 속담을 더하여 『백언시』(1801년)를 만들었다. 그리고 19년 뒤 『백언시』에 손암 정약전이 준 속담을 더하여 『이담속찬』(1820)의 「동언」을 완성하였다. 이 논문에서는 이 두 가지 방향의 작업이 모여 최종적으로 『이담속찬』이 이름 지어지고 편찬되었음을 확인하였다. 이 논문에서는 『이담속찬』의 편찬 과정에 대한 개략적인 내용을 살펴보았다. 이를 통해 적어도 『이담속찬』이 어떠한 성격의 책인지는 밝혀졌다고 생각한다. 차후의 『이담속찬』 연구는 이 논문에서 밝힌 자료와 사실에 기반하여, 편찬 의식을 비롯한 작가와 연관된 해석으로 진행되어야 할 것이다. This paper examines the compilation process of Idamsokchan(耳談續纂). Idamsokchan is a collection of proverbs which Tasan(茶山) Cheong Yagyong(丁若鏞) compiled. Past studies have mainly focused on Idamsokchan as a collection of proverbs, paying attention only to the contents or aspects of Chinese translation. However, because this book was written by Tasan`s elaborate effort and published before Yeoyudang Cheonseo(與猶堂全書), new ways to approach this material needs to be discussed. To understand Idamsokchan, we need to look at how it was made because previous studies have not focused on this. It was impossible to connect Idamsokchan with its writer or his thinking because research on the characteristics of Tasan`s writings have not been conducted yet. Therefore, this paper focuses on the process of how Idamsokchan was created through examining related materials. Idamsokchan largely consists of Chinese and Korean proverbs. First of all, Tasan completed most of the Chinese proverbs in reference to "Jipeon yogoeon" collected in Idamryujeung(耳談類增) by Wang, Dong-gwe. Tasan mostly copied proverbs from the book, but he sometimes edited them based on the original. However, the foundation was not changed from the context of Idamryujeung, so he named his book the second series of Idamryujeung. Secondly, Tasan was concerned about Korean proverbs from when he was young. Accordingly, he collected and translated those into literary Chinese and made the lines rhyme. In 1792, he made Chaepayui(采芭遺意), which contains 820 proverbs. After that, he wrote Baekeonsi(百諺詩, 1801) by picking out some proverbs from Baekeonhae(百諺解) by Seongho and added some proverbs he collected from elsewhere. And 19 years later, he completed "Dongeon(東諺)", Idamsokchan (1820) by adding proverbs from Sonam to Baekeonsi (百諺詩). The exact period of his arrangement of Chinese proverbs has not been found because he did not mention it. However, it can be found that he collected those proverbs by adding some from Chinese scriptures and ten chapters from "Gyeongsainyu(經史引喩)" which was given to him by Shin, Gak to "Jipeonyogoeon(集諺謠古言)" in Idamryujeung. Through all these processes, Idamsokchan was given its name and compiled. This paper gives an outline of the compilation process of Idamsokchan. I think the characteristics of Idamsokchan are clarified by this paper. From now on, there must be an analysis of the intention and the meaning behind the compilation of it based on the materials and facts defined in this paper.

      • KCI등재

        『학산초담(鶴山樵談)』 재고찰 : 이본의 계열과 선본 문제에 대하여

        임미정(LIM, Mi-Jung) 연세대학교 국학연구원 2021 동방학지 Vol.196 No.-

        허균(許筠, 1569~1618)이 1593년에 집필한 『학산초담』은 조선 중기 시단(詩壇)의 동향을 살필 수 있는 중요한 시화(詩話) 자료이다. 이 『학산초담』은 허균의 저작으로 일찍이 알려졌고, 책의 내용과 성격에 대한 분석도 이미 제출되었다. 그러나 보다 많은 시화 자료가 발굴된 현시점에서 『학산초담』의 성격과 위상은 재론될 필요가 있으며, 텍스트 분석에 앞선 문헌 검토도 요청된다. 이 글은 현전하는 『학산초담』의 여러 이본들을 재확인하면서 계열 정리를 시도하고, 이를 통해 각 이본의 위치와 성격을 정확하게 파악하고자 하였다. 『학산초담』은 오랜 기간 허균이 편집했던 원본(原本) 계열의 이본만이 존재하다가, 김려(金鑢, 1766~1821)가 『학산초담』의 오자를 수정하고 주석을 붙여 『한고관외사(寒臯觀外史)』에 수록하면서, 원본과는 다른 편집본이 등장하게 되었다. 김려의 편집본을 포함한 후대본 계열은 모두 3종이다. 하버드대 소장 『한고관외사』에 수록된 『학산초담』을 장서각 소장 『한고관외사』 가 그대로 필사하였고, 이 장서각본을 토대로 영남대학교 소장 『패림(稗林)』에 있는 『학산초담』 이 만들어졌다. 3종 이본을 대비한 결과, 하버드대 소장 『한고관외사』가 선행본이자 완성도 높은 선본임을 알 수 있었다. 이어서 김려의 작업이 전혀 반영되지 않은 원본 계열의 이본도 살펴보았다. 원본 계열의 이본은 성균관대 소장 『청구패설(靑丘稗說)』에 수록된 『학산초담』, 장서각 소장 『청강소설(淸江小說)』에 묶인 『학산초담』과 규장각에 소장된 『학산초담초(鶴山樵談抄)』 3종을 확인하였다. 이 3종의 이본을 대비하여, 『청강소설』합본이 가장 완성도가 높은 이본이자 원본에 가까운 모습이라는 결론을 내렸다. 앞으로의 『학산초담』 연구는 원본 계열의 이본 중에서 장서각 소장 『청강소설』에 수록된 『학산초담』을 기준으로 하되, 김려가 오자를 수정하고 주석을 붙였던 하버드대 소장 『한고관외사』의 『학산초담』을 적극적으로 활용하여야 할 것이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take the excavation and introduction of the 『Haksanchodam』 and rearrange and redefine the existing Ebon of the 『Haksanchodam』. With 『Haksanchodam』 existing only of its Ebon of the original version line, Kim Ryeo worked on the comments on 『Haksanchodam』 and refined its writings, and then list the same on 『Hangogwanoisa』 to make two lines of Ebon. The later version line that had the edited version of Kim Ryeo as the base version for a total of 3 types, and through contrasting these 3 types of 『Hangogwanoisa』 that is the original version and earlier version that is kept by Harvard University would be the most complete Ebon. In the meantime, the Ebon of the earlier version and original version line without reflecting the later works of edited version at all is confirmed of 3 types now. As a result of contrasting these Ebons, the combined version of 『CheongangSoseol』 kept in Jangseogak is presumed to be the Ebon with the highest level of completion as well as the closest one to the original version. Studies on 『Haksanchodam』 in the future would be based on 『Haksanchodam』 that is listed on 『CheongangSoseol』, and it would be prudent to actively facilitate 『Hangogwanoisa』 that Kim Ryeo corrected type-error and supplemented the comments which is kept in Harvard University.

      • KCI등재

        『국조시산(國朝詩刪)』의 두 계열에 대하여

        임미정 ( Mi Jung Lim ) 경상대학교 남명학연구소 2014 남명학연구 Vol.44 No.-

        이 논문은 허균의 한시 선집인 .國朝詩刪.에 대한 문헌적 검토로, 현전 이본을 조사하고 계열화 하여 .國朝詩刪.의 선본을 확인하고 앞 으로의 연구 방향에 대해 제안한 것이다. 그동안 .國朝詩刪.에 대한 연구는 주로 목판본을 대상으로 하였는데, 이 목판본은 허균의 ‘원본’을 목판 간행자인 박태순이 재편집한 결과물이다. 따라서 허균의 .國朝詩 刪.을 바르게 읽어내기 위해서는 원본의 모습을 재구할 필요가 있다. 이에 이 논문에서는 실본 조사에 앞서 우선 허균이 남긴 .國朝詩 刪.과 관련된 기록들을 살펴서 ‘원본’의 모습을 알아보았다. 허균의 기 록을 근거로 하여 국내외 기관과 대학도서관 등에 흩어져있는 .國朝詩 刪.을 발굴, 검토하여 원본의 모습을 보여주는 이본들과 그렇지 않은 이본들을 ‘원본 계열’과 ‘목판본 계열’로 나누어 검토하였다. 그 결과 ‘허균의 .國朝詩刪.’ 연구는 원본 계열을 중심으로 재논의 되어야 하며, 특히 현재 완질로 전해지는 원본 계열 동국대본에 주목할 것을 제안하 였다. 한편, 지금까지 .國朝詩刪.과 관련된 연구 성과들이 목판본으로 진행된 것임을 감안하여 목판본과 원본이 어떤 차이를 보이는지에 대해서도 정리해보았다. 이제 목판본 계열은 허균과 관련된 연구보다는 .國朝詩刪.의 유전과 목판 간행의 의의, 후인의 전대 문헌 가공에 대한 주제로 활용되어야 할 것이다. 『Gukjosisan(國朝詩刪)』was an anthology of Korean poems, complied by Gyosan Heo Gyun. He selected poems of the early and middle period of Joseon Dynasty and commented on them. This anthology of Korean poems received a lot of praise from writers of that time as the best selection in anthologies of Korean poems of Joseon Dynasty. However, since Heo Gyun was killed for treason, it was not able to be published for a long time. Instead, it was secretly spread in transcription. 88 years after the compilation by Heo Gyun, it was published on wood block by Donggye Park Tae-Soon. However, the problem was that the block book of 『Gukjosisan』was not the original anthology that Heo-Gyun compiled, but re-edited version of its publisher. Therefore, a study on 『Gukjosisan』 should have started from literature arrangement. However, existing studies were conducted with the block book because ``the original compilation`` by Heo Gyun was not found. However, I found some transcripts of the original 『Gukjosisan』 and found out that the original anthology was very different from the block book. As the groundwork for the study on 『Gukjosisan』by Heo Gyun, this study had a goal of searching for the best version of『Gukjosisan』by examining 『Gukjosisan』 in domestic and overseas institutes and college libraries. ``The original version`` was understood by reviewing records about 『Gukjosisan』 complied by Heo Gyun, and based on the records by Heo Gyun, a lot of 『Gukjosisan』 were studied and separated in copies of different version showing the original version and those of different version not showing it. In this process, I suggested carefully examining ``Yidaebon(利大本)`` that Heo Gyun possessed and a complete set of ``Donggukdaebon(東國大本)``. Moreover, problems of the block book of 『Gukjosisan』 which was addressed importantly in existing studies were discussed in comparison with transcripts of the original version. Since the block book was a lot different from the original anthology complied by Heo Gyun, it would be better for the block book to be used in a study on spread of 『Gukjosisan』rather than a study on ``Heo Gyun``.

      • KCI등재

        허난설헌 시 자료의 재검토

        임미정(LIM, Mi-Jung) 한국고전여성문학회 2021 한국고전여성문학연구 Vol.- No.42

        이 글은 허난설헌 시 자료에 대한 기본적인 합의와 재검증의 필요성을 인식하고, 특히 과거와 현재의 비평이 적어도 동일한 대상을 통해 연구될 수 있도록 여러 문헌에 산재한 허난설헌의 시들을 모으고 검토한 것이다. 허난설헌 시 연구를 위한 기본 자료의 인지와 합의는 필수적이지만, 지금까지 문집 간 이본 대비만 시도되었고, 새로운 자료의 발굴과 소개에만 치중된 경향이 있다. 따라서 본고에서는 문집 『난설헌시』의 간행 전후로 허난설헌의 시를 수록하고 있는 문헌을 모두 살펴서, 국내 문헌을 중심으로 허난설헌 시 자료의 유전 실상을 알아보았다. 국내 문헌에 수록된 허난설헌의 시들은 모두 같은 모습으로 전해지고 있었는데, 이를 통해 허난설헌의 시가 최초로 기록된 하나의 저본을 기반으로 국내 문헌에 정확하게 유전되고 수용된 상황을 확인할 수 있었다. 그리고 문집에는 없지만 국내 문헌에서 허난설헌의 시로 알려지고 논의되었던 목록들도 다시 점검하여, 허난설헌 시인지 아닌지의 여부를 재고하여 정리하였다. 이 과정에서 조선 중후기 주요 시선집에 허난설헌의 시가 다수 수록된 정황을 알 수 있었고, 주로 선발된 시의 목록과 모습도 확인하면서 허난설헌이 조선을 대표하는 시인으로 인정받은 사실도 재확인하였다. 허난설헌의 시는 시화나 잡록에서도 직접적인 비평 대상이 되었다. 따라서 여러 문헌에 기록된 시의 목록과 모습, 비평의 맥락을 함께 살펴서 허난설헌을 둘러싼 담론이 특정 시와 어떻게 관계를 맺고 있는지를 정리해보았다. 본고에서 검토했던 시 자료의 결과는 모두 [부록]의 표로 제시되었다. 문집과 문집 밖의 시까지 모두 밝혀서 허난설헌 시의 전체 목록을 명시하였고, 각 시마다 기록된 문헌과 비평의 맥락을 밝혀서 허난설헌 시의 전체적인 모습과 아울러 주요 비평 대상이 된 시들을 확인할 수 있도록 하였다. Evaluation on poet Heo Nanseolheon (許蘭雪軒, 1563~1589) has been discussed largely in two ways. One is the compliment to say she was the best poet out of women in Chosun, and the other is the controversy that most of her poems were from plagiarism. The two-way discourses on Heo Nanseolheon, however, are problematic because they are not grounded on the same materials. Heo Nanseolheon’s poems have been transmitted in its entirety in a collection of works, 『Nanseolheon Poems (蘭雪軒詩)』, which was edited and published by her little brother, Heo Gyun (許筠, 1569~1618), and after the death of Heo Gyun, the second edition following the original of the initial edition exactly was issued and widely read. In addition, before issuing the collection of works, Heo Nanseolheon’s poems were contained in the selections of poems or talks on poetry, too, which Heo Gyun either compiled or involved himself in, and several literatures compiled by other literary persons in Chosun than Heo Gyun include many poems of hers as well. Parts of Heo Nanseolheon’s poems have been transmitted in literatures produced not just in Korea but in China, too. Yet, unlike in Korean literatures, either titles or verses are sometimes changed, or in some cases, other literary persons’ poems are included as Heo Nanseolheon’s, which requires some attention. Heo Nanseolheon’s poems positioned in a number of Chinese literatures are still useful to examine interest in and response to a female poet of Chosun; however, the poems themselves reveal ultimate limitations because they are secondary materials that have been recorded and transmitted in another country. Accordingly, this study focuses on the situation that the list of poems to study Heo Nanseolheon’s poems has not been agreed yet and research has been performed targeting different materials and attempts to rearrange and verify the materials of Heo Nanseolheon ‘s poems. First of all, this author has looked into the list and aspects of Heo Nanseolheon’s poems that had been known before publishing the collection of works, arranged her poems written in several literatures even after issuing the collection of works, and investigated the real aspects of her poems. Through analysis on the list and contents of Heo Nanseolheon’s poems dealt with in this study, it will be possible to discuss follow-up research on Heo Nanseolheon more authentically afterwards.

      • KCI등재

        20세기 초 여훈서(女訓書)의 존재 양상과 의미

        임미정 ( Mi Jung Lim ) 한국고전여성문학회 2009 한국고전여성문학연구 Vol.0 No.19

        이 논문은 조선시대의 여성 교육서로 알려진 `여훈서`가 20세기 초에도 여전히 존재했음을 밝히고 그 의미를 살핀 것이다. 지금까지 여훈서에 대한 연구는 조선시대에 한정되어왔다. 그러나 여훈서는 20세기에도 가문 내에서 유전되고 있었으며, 상업적으로 출판되기도, 여학교가 설립된 후에는 교과서로서 재탄생하며 존재하였다. 따라서 이 논문에서는 20세기 초에 간행된 여훈서를 찾아, 기존 여훈서와의 대비를 통해 그 내용이 크게 변하지 않았음을 밝혔다. 이는 규범을 제시하는 여훈서의 보수적인 성격에서 기인한 것이었다. 또 한 가지 주목되는 양상으로 여학교 교과서에서 여훈서의 모습이 보인다는 점을 지적하였다. 이전 시대의 여성 교육이 주로 가정 내에서 여훈서를 통해서 이루어졌다면, 19세기 말부터는 학교라는 새로운 공간에서 교과서를 통해 대체되면서 여학교의 가정·윤리·국어 교과서 일부에서 여훈서의 모습이 감지되는 것을 살핀 것이다. 그러나 1920년대 후반에는 여훈서에도 변화의 조짐이 포착된다. 몇몇 여훈서는 편지 예문과 함께 편집되고 있어서 당시 모범 척독집의 유행과 관련지을 수 있다. 이는 여성에게 추가적으로 요구된 지침으로도 읽을 수 있고, 여훈서의 판매고를 위한 상업적인 목적에서 파생된 형태로도 이해할 수 있다. 본고는 20세기 초에 간행되거나 이전 시대부터 이어진 여훈서를 통해, 여훈서가 시대에 따라 적절히 변형·재배치되면서 존재했음을 밝혔다. 그리고 가장 보수적인 지층에서 다수의 일반 여성을 선도·대변하는 역할을 담당했음을 논하였다. This study is focused on the actual aspect of Yeo-Hoon-Seo(女訓書) in the early 20th century. Yeo-Hoon-Seo(女訓書), the textbook for female in the Chosun Dynasty, continued to exit by 20th century staying old fashioned. Fundamental behavior norm for female was regarded as unchanged value for long time. The keyword of former studies about 20th century`s female is `the modern girl`, `a wise mother and good wife(賢母良妻)` and `a schoolgirl`. But these represented only a small group of female. The subject of Yeo-Hoon-Seo(女訓書) comprehends the `normal female`, who were obliged to support husband`s parents and bring up children. As much as the changed, there has been also the unchanged, which is the reality of that time. Yeo-Hoon-Seo(女訓書) has a multi-layered characteristic that it opressed female but taught the norm to female at the same time. Whether it functions as a new text to understand female of that time or not depends on how to read Yeo-Hoon-Seo(女訓書).

      • KCI등재

        기고 : 『이담속찬』의 이본 연구

        임미정 ( Mi Jung Lim ) 다산학술문화재단 2011 다산학 Vol.- No.18

        이 글은 『이담속찬』의 이본을 소개하고, 이본 간의 차이와 선본을 밝히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이담속찬』의 이본은 다산의 문집 속에 『이담속찬』이 포함되어 있는 ``전서본 계열``의 1) 장서각본, 2) 규장각본, 3) 신조선사본 3종이 있고, ``단행본 계열``에는 1) 호고당본, 2) 광문사본, 3) 광학서포본 3종이 있다. 6종의 『이담속찬』의 이본을 대조하여서 밝힌 사실은 다음과 같다. 1) ``전서본 계열``에서 장서각본은 고본稿本으로 전해지고 있으며, 호고당본을 개정한 재고본이자 최종 형태이다. 따라서 이담속찬의 선본善本이라고 할 수 있다. 2) ``전서본 계열``에서 규장각본과 신조선사본은 각각 장서각본을 저본으로 만들어진 것이다. 그러나 저본을 옮기는 과정에서 몇 가지 오류가 생겼기에 장서각본에 비해 완성도가 떨어진다. 3) ``단행본 계열``에서 호고당본은 『이담속찬』의 초기 원고본의 모습을 보여주고 있으며 모든 이본 중에서 선행하는 본이다. 호고당본은 적어도 1891년 이전에 간행되었기에 다산 저작 중 가장 먼저 간행된 저작이다. 4) ``단행본 계열``에서 광문사본과 광학서포본은 수록 속담의 개수와 체제가 모두 동일하다. 두 이본은 20세기 초에 상업출판물로 만들어지면서 다산의 저작이 아닌 「이담속찬보유」도 수록하고 있으며 한글 번역도 부기되어 있다. 다산이 의도한 『이담속찬』의 모습에서는 멀어진 형태이다. 『이담속찬』 이본들의 간행 과정을 재구해보면 다산이 1820년『이담속찬』을 완성했을 당시의 원고의 모습은 호고당본이 보여주고 있다. 이때 중국 속담은 173장 우리나라 속담인 동언은 213장이었다. 중국 속담은 4언부터 22언까지 순서대로 수록했으며 동언은 213장 중 8언이 209장이며 8언의 형태가 아닌 4장의 속담은 ``附``를 붙여 구분하였다. 이후 다산이 『이담속찬』을 개정한 것은 장서각본이다. 장서각본은 재고본이자 최종 형태이며 선본善本이 된다. 그리고 현재 고본의 상태로 전해지고 있는 이본이다. 장서각본은 초기 원고본에서 중국 속담은 4장을 추가하여 177장으로 만들었고, 동언도 한 장을 추가하여 214장으로 만들었다. 속담의 수록 순서도 바꾸었다. 중국 속담의 경우는 4언부터 수록한 것을 8언을 앞에 놓는 형태로 개정하였다. 규장각본은 장서각본을 저본으로 만들어진 것이다. 1908년에 장서각본을 저본으로 하면서 호고당본도 참조하여 양재건이 교정하고 한글로 번역까지 하여 간행한 것이 바로 활판본 두 종이다. 활판본에는 유송전이 수집한 31개의 우리나라 속담이 추가되어 있고 한글 번역도 부기되어 있어서, 다산이 의도한 모습의 『이담속찬』은 아니다. 신조선사본은 1938년 마지막으로 간행된 『이담속찬』의 이본이다. 신조선사본은 선본인 장서각본을 저본으로 간행하였으나, 오류가 많아서 연구의 기준 텍스트로는 부족한 점이 많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take the excavation and introduction of the Idamsokchan(耳談續纂) and rearrange and redefine the existing different versions of the Idamsokchan(耳談續纂). Before Sinchosonsabon(新朝鮮社本) the being published, Idamsokchan (耳談續纂) already the block prints and the old printed book which sells circulated toward the book. And this book being recorded even in the already different book because the valence of the variant is many. Also this book the contrast work of researcher was necessary difference of contents because of the contents which is recorded. The fact which discloses from this study with afterwords is the same things. 1) The different versions of the Idamsokchan(耳談續纂) are divided into two lines, <Jeonseobon(全書本)> and <Danhangbon(單行本)>. Contents contrast led and comes to divide the possibility of knowing a fact was in <Jeonseobon(全書本): Jangseogak(藏書閣本), Kyujanggakbon(奎章閣本), Sinchosonsabon(新朝鮮社本)>, <Hogodangbon(好古堂本)>, <Whalphanbon(活版本): 廣文社本, 廣學書鋪本>. 2)<Hogodangbon(好古堂本)> is to come to make before at least 1891 and from in Tasan`s book to publish at the beginning. <Hogodangbon(好古堂本)> is making a manuscript original purpose appearance initially, <Kyujanggakbon(藏書閣本)> which is different is the opening a court sample which is amended in Tasan`s lifetime. 3) <Kyujanggakbon(藏書閣本)> in the various 『Idamsokchan(耳談續纂)』 directness is to write and is good even with contents as a matter of. 4) <Sinchosonsabon(新朝鮮社本)> the spelling error is omitted many information which is important, to other than <Jangseogak(藏書閣本)> and all cotton agree. <Sinchosonsabon(新朝鮮社本)> came to publish <Jangseogak(藏書閣本)> with character. <Jangseogak(藏書閣本)> came to publish <Jangseogak(藏書閣本)> the completion degree falls consequently. 5) Two <Whalphanbonk(活版本): 廣文社本, 廣學書鋪本> contents are same. This book referred to <Hogodangbon(好古堂本)> and <Jangseogak(藏書閣本)>. The book where Tasan intends but is a distance.

      • KCI등재

        연세대학교 국학자료실 소장 위당문고 자료의 성격과 가치 (1) : 『여유당집(與猶堂集)』과 『담헌서(湛軒書)』를 중심으로

        임미정(LIM, Mi-Jung) 연세대학교 국학연구원 2021 동방학지 Vol.195 No.-

        연세대학교 국학자료실의 위당문고는 위당(爲堂) 정인보(鄭寅普, 1893∼1950) 선생의 구장본으로 구성된 문고이다. 위당문고에는 위당의 국학 연구 활동과 관련된 문헌들을 비롯하여 위당 주변 인물들의 유일본 문집이 포함되어 있는데, 아직까지 위당문고의 존재와 목록은 학계에 소개되지 못했다. 본고는 위당문고 소장 주요 자료를 다각도로 조명하는 목적에서, 위당의 신조선사 출판 활동과 관계있는 문헌들이 위당문고에 남아있다는 사실에 주목하여 주요 자료를 소개한 것이다. 대상 문헌은 위당문고의 <여유당집(與猶堂集)>・<마과회통(麻科會通)>・<담헌서(湛軒書)>・<여암유고(旅菴遺稿)>로, 이 책들의 서지와 성격, 신조선사본과의 관계를 살폈고, 특히 『여유당집』과 『담헌서』의 가치를 중점적으로 확인하고자 하였다. 먼저 <여유당집> 1책(결질)은 ‘고본(稿本)’ 혹은 ‘가장본(家藏本)’이라고 불리는 다산 저작의 특징을 보여주는 책이다. 특히 위당문고본은 가장본 계열이면서 시집에 해당하는 부분이어서, 다산 시의 시구 확정과 교감에 있어서 중요한 기준 자료가 될 수 있다. 위당문고본에 해당하는 시집을 현전 이본과 대비한 결과, 위당문고 <여유당집>은 선행본이자 신조선사에서 간행된 <여유당전서(與猶堂全書)>의 직접적인 저본임을 확인할 수 있었다. 또한 위당문고 『담헌서』는 완질로 전하는 필사본으로, 담헌 저작을 망라한 신조선사본 『담헌서』의 간행 직전에 만들어진 책이다. 위당문고 <담헌서>에는 연필로 오자를 수정한 흔적과 빨간색 펜으로 쓴 분권 표시가 남아있는데, 이는 모두 신조선사본 <담헌서>와 관계가 있다. 위당문고 <담헌서>는 위당이 참여했던 담헌 저작의 편집 방향을 보여주는 책이자 후대본 계열의 완질 필사본으로, 담헌 연구는 물론 전서본(全書本) <담헌서>의 교감이나 정본 구축에 있어서도 우선적으로 논의되어야 할 자료이다. 위당이 구상한 조선 후기 학술사의 구도는 신조선사 간행본에 나타나 있고, 신조선사 간행본의 성립 과정에는 위당문고 소장 필사본들이 활용되었다. 위당의 학술 활동에 대한 정밀한 탐색, 언급된 문집들의 선본 확정을 위해서는 위당문고의 본 필사본 자료에 주목해야 할 것이다. Yonsei University’s Widangmungo(爲堂文庫) is the library set up by the donation of Sir Widang(爲堂) Jeong In-bo (鄭寅普, 1893∼1950). It includes literature on Widangs’ research activities for Gukhak(國學) and collections of works written by people around Widang. In particular, the works issued by Widang in Sinjoseonsa(新朝鮮社) are all kept in Widangmungo. This study, therefore, aims to introduce four kinds of books here, <Yeoyudangjip(與猶堂集)>, <Magwahoetong(麻科會通)>, <Damheonseo(湛軒書)>, and 『Yeoamyugo(旅菴遺稿)』, to examine the characteristics and value of these books compared to the ones issued by Sinjoseonsa. The composition of academic history in the late Chosun period, conceived by Widang, is shown in the books of Sinjoseonsa. However, in establishing the Sinjoseonsa books, they used the books kept in Widangmungo. This allows us to assume the direction of the compilation of the Sinjoseonsa books. In the future, if we intend to conduct a meticulous exploration of Widangs’ academic activities or determine the seonbon(善本) of <Yeoyudangjip>, <Magwahoetong>, <Damheonseo>, or <Yeoamyugo>, we may have to focus on the manuscripts kept in Widangmungo.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