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펼치기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한국어 학습자 구어 말뭉치의 대화 행위 주석 체계 개발을 위한 기초 연구 -한국인과 외국인의 대화 행위 주석에 적용하여-

        이동은 ( Lee Dong-eun ),김지애 ( Kim Jiae ),이민아 ( Lee Minah ) 국제한국어교육학회 2016 한국어 교육 Vol.27 No.4

        This study focuses on the experiment to assess the possibility of dialogue act tag set for Korean language learner`s spoken language corpus at a discourse level. For this study, we gathered 51 Koreans natives and 63 Korean language learners and conducted a Discourse Completion Test(DCT) to examine the usability of dialogue act tag set which was developed by the preceding research, Lee Dong-Eun & Kim jiae(2016). As a result, we found that the dialogue act tag set could apply to the Korean language learner`s spoken language corpus if the annotation system be more elaborated and systematized. (Kookmin University, Korea University)

      • 노인 및 장애인의 보행의지를 파악하는 보행보조기 구현

        이동광(Dong-Kwang Lee),공정식(Jung-Shik Kong),권오상(Oh-Sang Kwon),남윤석(Eun-Suk Nam),이응혁(Eung-Hyuk Lee) 대한전기학회 2008 정보 및 제어 심포지엄 논문집 Vol.2008 No.1

        이 논문은 노인 및 장애인의 활동을 보조하기 위한 보행보조 로봇의 핵심 기술인 사용자의 진행하고자 하는 방향과 속도를 검출하는 보행의지 파악시스템 구현을 하고자 한다. 최근에 노인인구의 증가로 인해 노인 및 장애인을 위한 보행 보조기에 대한 관심이 증가되고 있다. 그러나 대부분의 경우 동력이 없는 시스템으로 경사 등의 공간에서 취약성을 가지고 있다. 이에 동력형 보행보조기에 대한 관심이 증가되고 있으나, 대부분의 경우 보행보조기 조종이 여의치 않다. 이에 본 논문에서는 사용자의 보행 의지를 파악할 수 있는 시스템을 도입하고 이를 기초로 보행자의 안정적인 구동을 수행할 수 있도록 하였다. 사용자의 의지력은 FSR 센서를 이용하여 파악하고, 이를 기초로 사용자가 이동하고자 하는 이동 방향과 이동속도 데이터를 기초로 보행보조기의 차량 속도와 방향에 대해 구동 바퀴의 차동 구동을 통해 사용자의 의지에 맞춰 구동할 수 있도록 하였다. 이를 통해 사용자의 이동하려는 의지에 대해 안정적으로 차량을 이동시킬 수 있도록 보행 시스템을 구축하였다. 또한 사용자의 힘에 대한 속도및 방향 매핑 기법을 개발하여 보행의지의 정확성을 높였다.

      • KCI등재

        여성, 몸, 테크놀로지의 관계 짓기

        이동후(Dong-Hoo Lee),김수정(Su-Jeong Kim),이희은(Hee-Eun Lee) 한국언론정보학회 2013 한국언론정보학보 Vol.62 No.2

        이 연구는 젠더연구에서 몸과 테크놀로지가 가지는 의미를 고찰함으로써, ‘여성’이라는 범주가 고정된 것이 아니라 ‘여성되기’의 진행적인 과정임을 제시한다. 신자유주의 시대에 젠더 정체성은 여성과 테크놀로지의 관계를 재설정해야 할 여러 가지 문제들을 제시하고 있으며, 이 관계의 역동성을 이해하기 위해서는 ‘몸’의 문제를 살펴볼 필요가 있다. 이를 위해서 본 연구는 먼저 페미니즘 연구와 젠더 연구 전반에서 몸에 대한 담론이 진행되어온 과정과 의미를 탐색했다. 이어서 몸과 젠더의 관계에서 테크놀로지가 갖는 위치를 살펴보고, 몸이 젠더 정체성을 주체적으로 수행하는 동시에 정체성이 구성되기도 하는 담론의 장이자 물질적 장소임을 주장했다. 마지막으로는 몸과 젠더와 테크놀로지의 삼자관계에 집중한 사이버페미니즘의 논의를 구체적으로 살펴봄으로써, ‘여성되기’에서 테크놀로지가 갖는 역할과 의미를 재고해야 할 필요성에 대해 논의했다. 결국 여성되기에 있어서 테크놀로지가 갖는 의미를 살펴보는 일은, 일상의 경험 세계에서 몸이 지니는 담론적이고 실천적인 의미에 대한 숙고를 통해 이루어져야 함을 제시했다. ‘여성되기’의 가능성은, 몸-젠더-테크놀로지의 접합방식과 과정에 대한 탐구를 통해 젠더의 (재)구성을 살펴볼 때만 상상될 수 있을 것이다. Exploring the relationship between body and technology in gender studies, this paper argues that ‘being women’ as an analytical concept is not fixed but progressing, that is, ‘becoming women.’ In the age of neo-liberalism, gender and identity politics raised critical questions regarding the relations between women and technology. Understanding these dynamic relations asks us to reconsider the concept of ‘body.’ Thus, this study begins with a review of the discourses of body in feminism and gender studies. Then, it continues to the meaning of technology in body and gender relations, arguing that body is the discursive and material site where gender identity and being are simultaneously constructed. An introduction of cyberfeminism, which focuses on the triangular relations among body, gender, and technology follows, discussing the significance of technology in ‘becoming women.’ Finally, it is argued that finding the meanings of technology in becoming women requires reconsidering the discursive and performative construction of body. ‘Becoming women’ can be achieved through exploration of the articulations and processes of body, gender and technology, which allows us to figure out the (re)construction of gender identity.

      • KCI등재

        게임 교과목 교육을 위한 4PBL모델 제안 연구

        이동은(Dong-Eun Lee) 한국게임학회 2018 한국게임학회 논문지 Vol.18 No.5

        본 논문은 이론과 실기 교육, 학계와 산업계의 융합 교육을 지향하는 게임 교과목 교육의 효과적이고 체계적인 학습 방법론을 제안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특히 교수자 중심 교육에서 학습자 중심 학습 환경으로 변화하고 있는 시대적 흐름을 반영하여 4PBL 모델을 제시하고자 한다. 4PBL 모델은 학습 접근 방식을 기반으로 하는 3P 모델과 문제기반학습(Problem based Learning) 방법론을 보강, 발전시킨 모델로 개인지(Personal based Learning), 문제기반학습(Problem based Learning), 프로젝트기반학습(Project based Learning), 실행기반학습(Performance based Learning)으로 구성된다. 본고에서는 구체적인 게임 교과목 교육 사례를 들어 각 단계별 PBL의 개념과 특징을 설명하였다. 이와 같은 시도는 변화하는 교육 패러다임 속에서 게임 기획과 개발에 대한 지식을 주체적으로 구조화할 수 있는 학습 환경을 제시할 수 있다는 점에서 유의미한 가치가 있다고 할 수 있다. This article aims to present an effective and systematic learning methodology of game curriculum which is oriented convergence education. In particular, I will present the 4PBL model reflecting the trend of the changing times from teacher-centered learning to learner-centered learning environment. The 4PBL model consists of Personal based Learning, Problem based Learning, Project based learning and Performance based Learning. In this article, I will explain the concepts and characteristics of PBLs at each stage by providing concrete examples of game education courses. Such an attempt may have a meaningful value in that it can suggest a learning environment in which knowledge can be structured subjectively in a changing educational paradigm.

      • KCI등재

        한국어 격식체의 사회적 맥락 연구

        이동은 ( Dong Eun Lee ),윤상석 ( Sang Seok Yoon ) 국제한국어교육학회 2012 한국어 교육 Vol.23 No.4

        본 논문은 한국어의 격식체 경어법(합쇼체)의 사회적 의미와 담화 기능을 살펴보고 합쇼체의 구체적 사용 환경을 구분해 봄으로서 한국어 학습자들이 한국어 경어법을 적절히 사용할 수 있는 방향을 제시하는 데 그 목적이 있다. 한국어 학습자들에게 경어법을 적절하게 구사하는 것은 어려운 과제에 속한다. 그 이유는 비격식체 경어법(해요체)과 합쇼체의 사용이 단순히 교과서에서 설명하는 것처럼 공식성(formality)이나 존경의 정도(degree of politeness)의 차원에서 상보적인 것은 아니기 때문이다. 경어법 교육을 위해 한국어 교실에서는 초급 과정부터 다양한 활동을 수행하지만, 고급 화자들도 상황에 맞지 않은 구사력을 보이는 경우가 있다. 이는 경어법을 적절히 사용하기 위해서는 한국의 사회구조에 대한 인식을 바탕으로 언어적으로는 각 어미들의 화용론적 의미에 대한 폭넓은 이해가 요구되나 한국어교육 현장에서는 경어법을 단순히 화자와 청자의 사회적 지위와 공식성에 대한 추상적인 개념으로 설명해 왔기 때문인 것으로 보인다. 이에 본 연구는 언어의 지시성(indexicality) (Ochs 1990, 1993; Silverstein, 1976)의 관점에서 합쇼체 어미들이 존경이나 공식성 자체를 직접적 으로 나타내는 것이 아니라 사실에 대한 일방적 전달이 주된 기능이 라는 주장을 바탕으로(Yoon, 2010) 합쇼체가 실제로 사용되는 담화 환경을 사회 맥락적 의미와 기능의 관점에서 검토하고자 한다. 즉, 합쇼체의 어미들은 존경을 나타내는 경우가 아니라도 새로운 사실의 전달이나 공식적인 담화 상황 등에서 주로 나타난다는 것이다. 이상의 논의를 통해 한국어 교실에서 사회적 의미와 구체적인 상황 제시가 수반되는 미시적 차원의 효과적 교육 방안을 위한 단초를 마련하고자 하였다.

      • KCI등재

        칼릴라와 딤나와 백유경 비교연구

        이동은(Dong-Eun Lee) 한국이슬람학회 2022 한국이슬람학회논총 Vol.32 No.2

        This is a comparative study of Kalīlah wa Dimnah, an Arabic classic literature and Baekyoo-Kyung, one of Buddhist scriptures according to narrative elements focusing on two couple of same plot stories and five couple of similar plot stories. Kalīlah wa Dimnah shows the common morals and Baekyoo-Kyung shows the teachings of Buddhism whether the plots are same or similar. In the aspect of narrative devices, Kalīlah wa Dimnah includes the teachings in frame stories while Baekyoo-Kyung includes the teachings in two leveled structure. This study investigates the features of settlement of Indian fables in each different cultural and religious background.

      • KCI등재
      • KCI등재

        중앙아시아 한국어의 이야기 담화 분석 -한국어교육의 방향과 관련하여-

        이동은 ( Dong Eun Lee ) 국제한국어교육학회 2005 한국어 교육 Vol.16 No.2

        This article examines the features of structure and function of Korean spoken narrative corpus by heritage Koreans in the Central Asia. It analyses their framing skills in terms of sociopragmatic point of view. To show the pragmatic gap between Korean language used in the Central Asian area and Modern Standard Korean, this paper mainly draws on Korean-Russian code-switching and limitation in negotiating of meaning during the performances of narrative. The analysis of the data proves that heritage Koreans still maintain the major aspects of Korean narrative by their employing frequent politeness and moderate discourse strategies, which represents great similarity to Standard Korean. This study concludes with a proposal for effective Korean language teaching which is focused on pragmatic differences which could accelerate future possible significant divergence between these two varieties.(Korea University)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