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후보

        범생명적 초월주의 미술운동의 이념과 역사적 위상

        임두빈 ( Doobin Im ) 한국영상미디어협회 2013 예술과 미디어 Vol.12 No.2

        범생명적 초월주의(汎生命的 超越主義)`` 미술 운동은 1990년대 한국현대미술에서 큰 관심을 모 았던 미술운동 이었다. 이 새로운 미술운동은 현대 사회의 물화(物化) 현상과 비인간화(非人間化) 현 상을 비판하면서 ``생명의 가치를 회복``시키고자 하는 것을 최대 목표로 하여 출범한 새로운 미술운 동 이었다. 또한 이 미술운동은 1970년대 한국현 대미술의 미니멀적 단색주의 회화 경향이 지닌 극 단적 추상으로 인한 소통의 부재(不在) 현상과, 1980년대 사회참여적 미술경향이 지닌 편협한 유 물주의적(唯物主義的) 시각을 반성하고 미학적(美 學的) 시각의 부재(不在)를 극복하는 차원에서 일 어나기도 하였다. ``범생명적 초월주의``는 대우주 전체를 거대한 유기적 생명체로 보고, 인간과 모든 존재는 하나의 거룩한 생명의 끈으로 연결된 형제자매로 보았다. ``범생명적 초월주의``는 발아래 뒹구는 돌이나 하 늘에 떠 있는 구름조차 단순한 물질이 아니라 ``생 명``으로 보았던 것이다. 초월주의 미술동인(美術同 人)은 이러한 시각이야말로 물화(物化) 되고 비인 간화(非人間化)된 현대사회를 치유할 수 있는 소중 한 사상이라고 확신했던 것이다. 그들의 이러한 이 념은 현대의 우주과학이 이룬 성과와 한국의 성리 학적 우주관(性理學的 宇宙觀)을 토대로 해서 성립 된 것이었다. ``범생명적 초월주의``미술운동은 평 론가 임두빈이 주창하고 화가와 조각가 10인이 동 참함으로써 일어난 미술운동 이었다. 여기에 참여했 던 창립회원은, 평론가 임두빈과 화가 김근중, 김선 회, 한만영, 정병국, 박종해, 김진두, 함세진 그리고 조각가 강대철, 김영원, 김윤화 였다. 이들은 형이 상학적(形而上學的) 내면성(內面性)을 지닌 상징적 인 미술양식을 통해 ``생명 가치 회복의 메시지``를 전달하고자 하였다. 이들은 모두 5회의 그룹전 을 통해 한국의 미술문화계에 무시할 수 없는 영향 을 끼침으로써, 이후 ``생명``이란 단어를 미술계의 최대 화두가 되게 하였다. The art movement of ``panvital transcendentalism`` attracted the most people`s attention in Korean modern art in the 1990s. The new art movement started with ``restoring the value of life`` as its greatest objective criticizing the phenomena of materialization and dehumanization in modern society. Also, it rose to reflect the phenomenon of lacking communication resulting from the extreme abstraction intrinsic to the minimal art monochrome tendency of the Korean modern art in the 1970s, and the biased materialistic viewpoint intrinsic to the socially participatory art tendency in the 1980s, and to overcome the lack of an aesthetic viewpoint. ``Panvital transcendentalism`` saw the whole of the great universe as a vast organic living thing, and men and all beings as the brothers and sisters connected with one another by one holy vital string. It saw even a stone rolling under one`s feet or a cloud sailing in the sky not as simple material but as ``life``. A transcendentalistically artistic coterie felt confident that just such a viewpoint was the valuable thought which could heal the modern society materialized and dehumanized. Such an idea of theirs was formed based on the achievements of modern space science and Korean Sung Confucianistic space view. The movement rose when the critic Im Doobin advocated it and when ten persons consisting of painters and sculptors participated in it. The founding members who participated in it were the critic Im Doobin , the painters Kim Geunjoong , Kim Sunhoi , Han Manyoung , Jung Byunggook , Bak Jonghae , Kim Jindoo and Ham Sejin and the sculptors Gang Daechul , Kim Youngwon and Kim Yoonhwa . They tried to convey ``the message of restoring the value of life`` through the symbolical artistic style with metaphysical internality. Through total five group exhibitions, they had an unnegligible effect on Korean artistic culture circles. Later, they made the word of ``life`` the greatest topic in the artistic circles.

      • KCI등재후보

        브라질 음식문화 코드에 대한 이해 - 문화코드 몰이해로 브라질 진입에 실패한 외식업체 사례를 통한 -

        임두빈 글로벌 문화콘텐츠학회 2014 글로벌문화콘텐츠 Vol.0 No.14

        The purpose of this paper is understanding of the brazilian food culture codes in order to try to be helpful in doing business in Brazil. Doing business in an unfamiliar part of the world is a challenge for anyone. But the most experienced investors know that success depends on building solid relationship with locals and surrounding oneself with trustworthy advisors. Understanding of the food culture codes in Brazil is no exception. Sporting the largest economy in Latin America, yet the second most difficult country in the region to do business, Brazil is one of those places Korea want to come to love. If Korea is thinking about doing business in Brazil, make sure you come prepared to know the local law, language and the culture. When it comes to doing business in Brazil, knowledge of the Brazilian culture is a must. 이 논문의 목적은 사회적, 문화적 행위로서의 음식문화와 관련 비지니스 사례분석을 통해 브라질이라는 지역과 그 지역 사람들이 지닌 정체성을 살펴보고자 하는 것이다. 음식이야기가 고금동서와 남녀노소를 막론하고 흥미로운 것은 음식이 인간의 생존을 전제도 하면서, 후각, 미각, 촉각을 포함한 몸에 가까운 감각을 깨워주면서 일상과 축제 사이에 주어지는 공통분모이자 차단제의 역할을 하는 문화가 개입되기 때문일 것이다. 다시 말해서, 이 글이 지닌 과제는 ‘브라질의 음식문화’를 하나의 일상문화코드로 읽으면서 브라질 문화를 읽어가는 일환이라고 할 수 있다. 실제로 어떤 집단이 취식하는 음식이라는 것은 일상의 삶 속에서 쉽게 변하지 않고 장기지속적인 연속성을 갖고 있기 때문에 그 안에서 집단적 정서를 읽을 수 있고 한 국가의 정체성 또한 읽어볼 수 있다. 오늘날 세계시장으로 각광받는 브라질 시장으로의 진입은 현재 대부분의 우리나라 기업들의 숙제가 되어 가고 있다. 로컬문화의 중요성은 항상 주지되는 바이지만 현지에서 실제로 발생한 사례를 통한 이해가 필요할 것이다.

      • KCI등재

        멜트다운 취약점을 이용한 인공신경망 추출 공격

        정호용(Hoyong Jeong),류도현(Dohyun Ryu),허준범(Junbeom Hur) 한국정보보호학회 2020 정보보호학회논문지 Vol.30 No.6

        클라우드 컴퓨팅 환경에서 기계학습 서비스를 제공하는 Machine-Learning-as-a-Service(MLaaS) 등이 활발히 개발됨에 따라 보다 다양한 분야에서 인공지능 기술을 손쉽고 효과적인 방법으로 활용할 수 있게 되었다. 클라우드 환경에서는 가상화 기술을 통해 각 사용자에게 논리적으로 독립된 컴퓨팅 공간을 제공하는데, 최근 시스템의 취약점을 이용해 클라우드 테넌트(tenant) 사이에 다양한 부채널이 존재할 수 있다는 연구 결과가 발표되고 있다. 본 논문에서는 이러한 멀티-테넌시(multi-tenancy) 환경에서 멜트다운 취약점을 이용하여 딥러닝 모델의 내부 정보를 추출할 수 있는 현실적인 공격 시나리오를 제시한다. 이후 TensorFlow 딥러닝 서비스에 대한 실험을 통해 92.875%의 정확도와 1.325kB/s의 속도로 인공신경망의 모든 정보를 추출할 수 있음을 보인다. Cloud computing technology plays an important role in the deep learning industry as deep learning services are deployed frequently on top of cloud infrastructures. In such cloud environment, virtualization technology provides logically independent and isolated computing space for each tenant. However, recent studies demonstrate that by leveraging vulnerabilities of virtualization techniques and shared processor architectures in the cloud system, various side-channels can be established between cloud tenants. In this paper, we propose a novel attack scenario that can steal internal information of deep learning models by exploiting the Meltdown vulnerability in a multi-tenant system environment. On the basis of our experiment, the proposed attack method could extract internal information of a TensorFlow deep-learning service with 92.875% accuracy and 1.325kB/s extraction speed.

      • KCI등재

        브라질 일상 언어문화에서 드러나는 사회적 편견에 대한 소고-일상 속어gíria comum를 대상으로

        임두빈 한국외국어대학교 국제지역연구센터 2010 국제지역연구 Vol.14 No.3

        Em relação aos estudos estrangeiros, a lingua(gem) seja tanto um elemento fundamental quanto um elemento bem invisível na abordagem interdisciplinar. Mas, além de pesquisa sobre a lingua(gem) si própria, a pesquisa focalizada sobre 'uso' da lingua(gem) reflete a caraterística da sociedade. neste sentido, tratar da língua é tratar de seres humanos. A gíria, considerada como um conjunto de unidades lingüísticas (itens lexicais simples ou complexos, frases, etc.) que caracterizam um determinado grupo social, nem sempre mereceu um estudo específico. Somente uma visão histórica do problema poderia nos escalrecer como se teria formado essa atitude preconceitosa em relação à gíria. Quando se trata da história da gíria, conhecê-la significa penetrar no mundo da marginalidade, na vida dos grupos excluídos da sociedade pela sua própria condição de pobreza ou pelas suas atividades peculiars. Na realidade, o estudo da gíria exige colaboração científica necessária entre várias ciências humanas como a linguística, a sociolinguística ou a sociologia da linguagem, a etnografia da fala, a história social da linguagem, As informações colhidas tanto servem a linguistas, como a antropólogos, sociólogos ou historiadores. O tipo de gíria aceito socialmente é a gíria comum, muito encontrada até na imprensa escrita, como foi mostrado neste estudo. Além da diminuição do preconceito e da quebra dos tabus, a gíria é mais um recurso que o redator possui, para aproximar-se do leitor ou obter o efeito semântico desejado. 지역연구의 여러 가지 학제적 접근 방법 중 언어는 가장 기본적이면서도 존재감이 없다고도 할 수 있는 요소라고 할 수 있다. 그러나 언어의 체계나 사용에는 한 사회의 문화를 대변하는 사회적 구조와 가치, 공유된 의미 체계, 태도, 신념 등이 반영되어 있기 때문에, ‘언어자체’에 대한 것보다 특정 지역에서의 ‘언어사용’은 그 지역의 문화적 배경을 바탕으로 발화되는 언어 형태와 일상의 의사소통에 관한 연구에 있어 중요한 요소이다. 다시 말해서, 언어를 다룬다는 말은 인간을 다룬다는 것과 같은 의미이다. 전자통신과 교통의 발달로 세계의 글로벌화가 급격히 진행되면서 지구촌에 산재한 문화적 다양성에 따른 각 문화권간의 효과적인 의사소통이 절실한 문제로 지적되는 지금, 언어 자체의 추상적인 연구뿐만 아니라 그 언어가 쓰이는 사회, 문화적인 환경이 포함된 ‘언어사용’에 대한 연구 또한 중요하다. 그렇지 않으면, 외국인과의 대화 현장이나, 기업 간의 해외 무역, 외교, 국제 협상 등 외국어가 의사소통의 도구로 쓰이는 다문화적 환경에서 문화적 갈등을 피할 수 없게 될 것이다. 이러한 의미 아래, 본고에서는 우리 문화와 대조적인 면모를 많이 가지고 있는 브라질 사회에서 실제 사용되는 언어 중 언어적 편견을 넘어 사회적 편견을 역사적으로 담아온 속어를 분석대상으로 삼고 그 속어가 일반화되는 과정과 그 언어를 사용하는 사회의 가치를 살펴보기로 한다.

      • KCI등재
      • KCI등재후보

        ‘제이칭뉴’(jeitinho brasileiro)를 통해 본 브라질의 일상 문화코드

        임두빈 글로벌 문화콘텐츠학회 2013 글로벌문화콘텐츠 Vol.0 No.11

        이 연구에서 다루는 ‘제이칭뉴’는 브라질의 일상 삶에서 중심이 되는 사회범주 중의 하나로 간주될 수 있다. 브라질 사람들은 ‘제이칭뉴’를 사회적 제도와 사회적 실천 사이에 놓여있는 불일치의 결과로 발생하는 사회적 긴장들을 해소하는 생존전략 차원에서 사용하지만 동시에 공공의 선을 해치는 부정행위로까지 경계를 넘기도 한다. 궁극적으로 이 글은 ‘제이칭뉴’와 같이 브라질 사람들을 움직이게 하는 행동의 기저에 흐르는 가치체계, 즉 해당 집단의 정체성을 형성하는 사고의 패턴을 주도하는 문화코드를 통해 해당 사회를 이해하고자 하는데 그 목적을 두고 있다. The purpose of this article is to analyze the nature and features of a ritualistic performance of Brazilian way of life ? the ‘jeitinho brasileiro’ - It is a cultural practice by which the brazilian people seek to reach their purposes, regardless of adverse legal provisions due to social tensions between social institutions and social practices. The body of this article is structured as follows: the first part explores the notions of quotidian culture code; the second links brazilian national culture code to the cultural dimension theory; the third brings to life the strategic role of the ‘jeitinho’ in contemporary Brazil, through the specific example of everyday livings; and the fourth inquires into the historical background of Brazilian way of life and it's inheritance in Brazilian society. The hypothesis propose is that the “jeitinho” is indeed an empowerment device, an expression of formalism and the same time a strategy for survival in Brazilian society. The findings indicate that not only are these practices regarded by brazilian peoples as core elements of their cultural identity, but they also achieve important strategic roles in the quotidian of brazilian society.

      • KCI등재후보

        일상에서 교환되는 ‘브라질 제이칭뉴’(Jeitinho Brasileiro)의 사회·문화적 기능에 대한 고찰

        임두빈 한국 포르투갈-브라질 학회 2010 포르투갈-브라질 연구 Vol.7 No.1

        O presente trabalho tem por objetivo, através de pesquisa qualitativa interpretativa de cunho etnográfico sociolingüístico, tratar o jeitinho brasileiro manifestado amplamente na cultura brasileira e na sua vida cotidiana. O corpus do trabalho foram palavras, locuções e enunciados coletados com o jeitinho através de observações de conversas, leitura de jornais, livros e outros meios de comunicação social. Por meio de várias leituras e da pesquisa, sabemos que o jeitinho intercambiado através de linguagem como instituição social do Brasil admite a existência de um meio-termo entre o certo e o errado no drama social.

      • KCI등재

        브라질의 언어와 민족 정체성, 그 경계의 틈새 : 질베르또 프레이리(Gilberto Freyre)의 논의를 중심으로

        임두빈 부산외국어대학교 이베로아메리카연구소 2011 이베로아메리카 Vol.13 No.1

        Língua e Identidade Nacional no Brasil, e o Entre-Lugar : Focalizando Os Enunciados da Casa-Grande e Senzala como Espaço de Negociações Identitárias O presente trabalho pretende explorar a relação entre a língua nacional e a construção da idenidade nacional no Brasil, materializando os enunciados da “Casa-grande & Senzala” de Gilberto Freyre e os discursos cruzados entre Freyre e romancistas. Atualmente, o português brasileiro é uma manifestação mais extensa e mais profunda da alma multiforme da nacionalidade brasileira como a língua é um tópico essencial no processo de constituição da nacionalidade, ao lado da geografia, da história e da étnia. Junto com o português brasileiro, como o idioma oficial do Brasil, tradições, ideias nacionais se difundiam por todos os habitantes dessa comunidade imaginária. Ao invés dos temas clássicos(como a mestiçagem e a história da vida privada) de Gilberto Fryre, neste trabalho, discutimos as interpretações que Gilberto Freyre fez pelo prisma do luso-tropicalismo sobre a língua e a identidade nacional no Brasil, considerando o cruzamento da Casa-grande e da Senzala representadas na estrutura das obras dos romancistas brasileiros. [Key Words: Gilberto Freyre/ Casa-Grande e Senzala/ Luso-Tropicalismo/ Identidade Nacional/ Comunidade Linguistica] [주제어: 질베르또 프레이리/ 까자 그란지 이 쎈잘라/ 루주-트로피 칼리즘/ 민족정체성/ 언어공동체]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