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 KCI등재

        해방 이후 유교 근대화 시도에 대한 분석과 평가

        이황직(Hwang-jik Yi) 한국사회이론학회 2016 사회이론 Vol.- No.50

        기존의 한국 `유교-근대` 논의가 갖는 추상성을 극복하기 위해, 이 연구는 1947년부터 1950년까지 유도회총본부의 유교 근대화 작업의 경과와 참여 세력들에 대해 역사적 분석을 시도했다. 그 결과는 다음과 같다. 1946년 3월 유교계의 통합 조직으로 출범한 유도회는 김창숙의 지도하에 유교 복원과 부흥을 목표로 한유교 근대화 작업에 착수했지만, 추진 과정에서 유교계의 여러 분파들과의 갈등을 낳았다. 유교의 민족화의 상징적 작업이었던 성균관의 중국 유현 위패 매안 조치는 보수 유림의 이반을, 유교 대학 설립 과정에서는 좌파 유교인의 이탈을, 향교 재산관리 합리화 방안에서는 지역 유림의 반발을 각각 야기했다. 그 결과 유교계 단체들을 통합하여 출범했던 유도회는 창립 후 얼마 되지 않아 다수의 세력들이 이탈하여 유교계 대표성과 조직장악력이 약화되었다. 약화된 유도회 조직을 새로 채운 것은 당시 유교계와 연대하여 임시정부봉대운동을 추진했던 해외 망명독립운동가들과 아나키스트들이었는데, 이들은 김창숙과 함께 유교계 친일 세력 청산과 유교 민족화에 적극 나섰다. 이는 1950년경의 유도회 임원 명단을 통해서 확인 가능했는데 분석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초창기의 각파 연합체의 성격에서 벗어나 1947년 이후 유도회는 유교계 독립운동가와 후손을 중심으로 운영되었고, 특히 실무 부서와 감찰위원회에 이들이 적극 참여하였다. 둘째, 유도회의 가장 강력한 후원 세력이었던 정통 유림은 근대적 유교 조직화에 소극적이어서 군 단위 지부에만 참여했고 중앙 및 각 도 본부에는 참여하지 않았고, 이 때문에 유교 근대화의 대상인 정통 유림은 유도회와 무관하게 존재하게 되었다. 셋째, 유도회는 본래 비정파성을 강조했지만 해방정국의 좌우 대립이 격화되면서 임시정부 계열의 우파 민족주의 정치에 깊이 개입했는데, 내부의 사상 논쟁 없이 서둘러 정치에 개입하여 유교와 근대 정치 이념 사이의 논리적 학문적 연결 문제를 등한시할 수밖에 없었다. 이러한 사정 때문에, 결국 유도회의 유교 근대화 노력은 성과를 거두지 못한 채 잠정적인 중단 상태로 들어갔다. This study attempted to investigate and evaluate the confucian projects for modernization during 1947∼1950 in Korea. Leaders of Yudo-hoe(儒道會總本部), the representative confucian organization since founding itself in 1946, were prominent independence movement activists, especially participated with `Paris Jang-so Movement`(巴里長書運動). Reforming Korean confucian circles, Kim Chang-Suk(金昌淑), the chairman of Yudo-hoe, moved forward with modernization plans: (1) nationalization of confucianism, (2) establishment of confucian university, (3) construction of stable income. These projects of Yudo-hoe inadvertently aroused conflicts within confucian circles and resulted in division. In support of this thesis, this article verified it by researching the executives list of Yudo-hoe in 1950. The summary of analysis is as follows: (1) Casting off the character of factional consociation, Yudo-hoe was run by new mainstream group, confucian independence activists and anarchists since 1947. (2) Traditional confucian group(儒林) joined only provincial organization of Yudo-hoe. (3) Kim Chang-Suk kept neutrality and fought only for complete independence, so Yudo-hoe mainstreams held out their doctrine supporting the Provisional Government of the Republic of Korea. But, this caused the lack of religious and academic interests on confucian reform. In the end, the attempt for modernization of Yudo-hoe was interrupted and didn`t bear fruit.

      • KCI등재

        4ㆍ19혁명 전후 유교 계열 지식인의 동향

        이황직(Yi, Hwang-Jik) 동양사회사상학회 2013 사회사상과 문화 Vol.27 No.-

        이 연구는 유교 계열의 지식인들이 4ㆍ19혁명 과정에서 매우 중요한 역할을 수행했다는 것을 논증하려는 목적으로 시작되었다. 이 연구의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해방 직후부터 1950년대까지 유교계는 부흥운동의 좌절과 정치적 시련 속에서 조직적으로는 붕괴되었지만 전통적인 유교 네트워크를 유지한 채 사회적 명망을 유지하고 있었다. 해방과 더불어 유교계는 김창숙을 중심으로 부흥운동을 펼쳤고, 특히 임시정부 계열을 지지하면서 민족통합과 자주독립 노선을 분명히 했다. 단정 수립 후에도 계속된 이러한 노력은 6ㆍ25전쟁 기간의 인적 손실과 이어진 이승만 정권의 탄압에 의해 거의 붕괴되는 지경에 이르렀다. 하지만 조직적 손실에도 불구하고 김창숙 중심의 유교 네트워크는 유지되고 있었고, 여전히 유교 계열의 지식인들은 다양한 소집단 형식으로 잔존하면서 대의명분과 도덕성에 바탕한 재야 투쟁과 학문 활동을 수행하고 있었다. 둘째, 이러한 네트워크하에서 결속된 유교 계열 지식인들은 4ㆍ19혁명의 전개 과정과 결과에 상당히 중요한 기여를 했다. 이들은 1950년대말을 기점으로 이승만 정권과 대립각을 분명히 한 채 4ㆍ19혁명을 맞이했고, 특히 교수단 데모는 이승만 대통령의 하야를 이끌어내는 데 결정적 역할을 했다. 교수단 데모의 기획과 주동에는 특히 김창숙 후원하의 성균관 네트워크와 독립운동가들의 네트워크가 가장 중요한 역할을 수행했는데, 이러한 네트워크는 참여자들의 결속을 높였을 뿐만 아니라 무엇보다도 운동의 도덕성을 고양시키고 사회적 영향을 확산시키는 기반이 되었다. 끝으로 주요 참여자들의 내면적 동기를 분석한 결과, 이들은 참여 동기와 실천 과정의 적극성을 이끌어낸 것은 유교적 가치였음을 분명히 입증했다. 이처럼 유교의 지성적ㆍ비판적 전통을 계승한 4ㆍ19혁명 과정의 대의의 관념과 실천이야말로 유교가 민주화와 민주주의 정치에 기여할 수 있음을 입증한 모범적 사례이다. 이러한 자료들이 축적될 때 유교 민주주의론은 담론을 넘어 현실적인 이념이 될 수 있을 것이다. Confucian democracy discourse has caused considerable controversy in Korean academic society during last two decades. Most scholars regard confucianism as a reactionary ideology for authoritative regime, on the contrary some regard it as a pro-democratic value for providing sources of thought to overcome the egoistic culture of Korean society. But nobody researches the Confucian strong contributions to democratize modern Korea. This thesis aims co explain how sincere Korean Confucian intellectuals contribute co succeed April revolution in 1960 from the point of religious commitments. Results of this study are follows. Firstly, Korean Confucian intellectuals could preserve traditional networks despite governmental controls and oppressions during the First Republic. Secondly, Confucianism-based Korean intellectuals including leading writers contribute to organize 'April 25th professors demonstration' evaluated as decisive factor for success in ensuring hasty retreat of dictatorship. In conclusion, This thesis claims that Confucian democracy discourse debaters should give thought to empirical and historical documents further. Intensifying the interpretation on Confucian intellectual's inheritances, We could make confucian democracy theories rooted deeply in Korean society.

      • KCI등재

        해방정국의 청년 유교단체 "대동회" 연구

        이황직(Hwang-Jik Yi) 한국사회이론학회 2014 사회이론 Vol.- No.45

        이 연구의 1차적 목적은 그동안 그 전모가 밝혀지지 않았던 해방정국의 유교 단체 대동회의 활동과 성격을 분석하는 것이다. 이를통해 그동안 간과되어 왔던 해방 후 유교계의 건국운동과 통일국가수립운동을 복원하여 유교와 근대 정치제도(민주주의, 사회주의) 사이의 관계에 대해 논증하는 것을 2차적 목적으로 삼았다.이를 위해 필자는 대동회 관련 자료를 새로 발굴하여 그 역사와참여자에 대한 조사를 수행했다. 조사 결과, 대동회는 초기 유교계 통합을 목적으로 출범했으나 해방정국의 열광과 혼란 속에서점차 좌파 정치사회단체로 성격을 변화하였다. 출범 시기 대동회는 일제하 명륜학원 출신들로 구성된 청년 유림 단체로서 해방정국 초기에 유교계에서 가장 강력한 조직력을 발휘했다. 일제하비밀 독서모임인 대동사를 모체로 해방직후에 결성된 대동회는유교계 통합의 최초 추진력을 제공했고 이를 바탕으로 유교계가자주독립국가 건설이라는 시무(時務)에 적극적으로 기여할 수있는 길을 제공했다. 하지만 김 창숙을 비롯한 유교계 독립운동원로들이 유교계 통합을 주도하고 김 구의 반탁노선에 적극 참여하면서, 이에 반발한 대동회 청년유림들은 표면적인 중간파 노선에서 이탈하여 1946년 하반기부터 정치사회단체 민족대동회로 확대,개편하여 적극적인 통일국가수립운동을 벌였다. 하지만 분단을 피할 수 없었던 당시 상황에서 대동회 주축 세력은결국 북한을 택했고 그 결과 소멸의 길을 걷게 되었다.대동회의 실패는 곧 유교계의 근대적 자기 변화의 실패이자 유교가 근대 민주주의 체제에 유교적 이상을 접목시키려는 시도의 좌절을 뜻했다. 대동회의 청년들이 견지했던 대동세계라는고대적 이념은 유교인이 달성해야 할 미래에 대해 비전을 제시해주기는 했지만, 수천 년 동안 진행된 세계의 변화를 반영하지못해 실천적인 논리를 제공할 수 없었다. 대동론은 민주주의의혼란스런 경쟁보다 공산주의의 획일적인 통제에 더 친화적이었다. 하지만 이들의 실패를 유교의 근대 모색과 유교 민주주의논리의 실패로 일반화할 수는 없다. 대동회의 좌절 이후에도 유교인들의 민주주의 실험은 계속 되었기 때문이다. There has been the commonly admitted ‘myth’. That is, confucianistswere indifferent to found democratic polity. Most social scientists regardconfucianism as a reactionary belief system which supports authoritativeregime, on the contrary some regard it as a pro-democratic value forproviding sources of democratic- communitarian thought. But nobodyresearches the history of modern confucian political movements andnobody gives attention to confucianists’ strong contributions formodern Korea. This study attempted to restore the history of‘Taedong-hoe’(Great Mutual Society), the leftist confucian organizationduring 1945∼1949, so that Korean academy would admit theaffinity between confucianism and democracy.According to this research, the activities of Taedong-hoe participants in Post-Liberation period was highly comprehensive beyond confuciancircle and its’ influence was strong too. Taedong-hoe participantshad been graduates of Myong-ryun Academy(明倫學院) in late Japaneseoccupation period. They provided initial momentue confucianunity movement and confucian national foundation movement. Afterthe loss of initiative, the power group in Taedong- hoe turnedleft-wing forces gradually to the secret agent for North Korea. As aresult, their activities were prohibited by South Korea governmentand their records of movements are forgotten systematically.The experiment of Taedong-hoe had failed to prepare the confucianalternative and careful strategy. But that was only political error andwas not the general failure of confucian democracy experiment. Afterthe frustration of Taedong-hoe, confucian experiments for foundingdemocratic polity had been continued. That teaches followingimplication: confucian democracy thesis could be acceptable on theconditions that confucianists were fully prepared theoretically andpolitically.

      • KCI등재

        서 재필 2차 귀국기 정치 활동의 주도성 연구

        이황직(Hwang-Jik Yi) 한국인문사회과학회 2018 현상과 인식 Vol.42 No.4

        이 연구의 목적은 서 재필의 2차 귀국기 활동이 단지 계몽적인 것에 그쳤고 정치적인 활동조차도 소극적이었다는 기존 평가에 문제점을 제기하고 이어서 당시 관련 자료를 재검토하고 새 자료를 추가하여 그의 활동의 정치성과 주도성을 논증하는 데 있다. 연구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1947년 서 재필의 2차 귀국은 이 승만 견제를 위한 미군정의 의도에 부응한 것으로 알려졌지만 실제로는 이 승만과 미 국무성의 반대를 뚫고 이뤄낸 능동적인 행위였다. 서 재필은 해방 전부터 동아시아 정세를 분석하면서 해방 후 조국의 민주정 건설을 자신의 소명을 삼고 있었다. 둘째, 귀국 직후 정세가 급변하여 분단 위기로 치닫자 서재필은 공개적으로 단선단정파를 비판하고 남북협상파를 지지하여 분단을 막기 위해 노력했는데, 이는 미군정 고문으로서의 중립적 역할 대신 특정 정파를 위한 적극적인 정치 개입에 해당하는 행위였다. 셋째, 1948년 총선 전부터 대통령 선거 전까지 흥사단계 중심의 서 재필 대통령 추대 운동에 대해 서 재필은 공개적으로 거부하면서도 이를 방치하는 방식으로 중간파의 결집과 각성을 이끌고자 했다. 이러한 분석을 통해 우리는 약 14개월간의 2차 귀국 활동에서 서 재필이 민주적 시민 문화 형성을 위한 교육·계몽에 머물지 않고 재야 원로로서 지위를 활용하여 적극적으로 민주주의와 통일을 위한 정치적 활동을 능동적이고 주도적으로 수행했다는 결론을 내릴 수 있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challenge the existing view that Seo Jae-Pil"s activities had only been illuminating and passive, arguing the political initiative of his second homecoming practices in 1947-1948. The results of the study are as follows. First, Seo"s second return in 1947 was reportedly in line with the U.S. government"s intention to check Syngman Rhee, but in reality it was only possible thanks to Seo"s struggle for overcoming opposition from the U.S. State Department. He analyzed the situation in East Asia before liberation and prepared to build a democratic government in his country. Second, immediately after his return to Korea, the situation was rapidly changing and the two Koreas were on the verge of division, and Seo tried to prevent division by openly criticizing single-election supporters and supporting negotiators. Instead of playing a neutral role as a consultant to the U.S. military government, he actively intervened in politics. Third, In 1948, a campaign was held by Heung Sa Dahn and the neutrals to elect Seo Jae-pil as president, who openly refused to do so. Through such a disturbance, Seo tried to rally the neutrals. Through this analysis, we can conclude that in his 14-month second homecoming campaign, Seo Jae-pil was not limited to education and enlightenment projects for the formation of democratic civil culture, but rather led political activities for democracy and unification.

      • KCI등재

        토크빌의 “민주적 전제”론의 분석적 재구성

        이황직(Hwang Jik Yi) 한국사회이론학회 2013 사회이론 Vol.- No.43

        이 글은 토크빌의 주요 저술과 연구 노트를 바탕으로 그의 민주주의 정치⋅사회이론 가운데 특히 다수 지배의 문제를 분석적으로 재구성하는 것을 목적으로 작성되었다. 그동안 토크빌을 보수적 자유주의자로 해석한 연구에서 ‘다수의 폭정’론은 민주주의의 과잉에 대한 근본적 한계를 지적한 것으로 주로 해석해왔고, 아울러 토크빌의 ‘민주적 전제’ 개념과 구분하지 않은 채뒤섞어 분석하여 토크빌의 통찰을 속류화해 왔다. 하지만 필자의 분석 결과, 이러한 일반적 해석은 설득력이 약했다. ‘다수의폭정’론 자체는 고대 그리스 민주주의 시기부터 문제되어 왔기때문에 토크빌의 독창적 기여라고 하기 어렵기 때문이다. 따라서 필자는 토크빌의 주요 저술을 분석적으로 재구성하여 그의 다수 문제 논의의 핵심을 파악하여 ‘다수의 폭정’론에서 ‘민주적전제’ 개념을 분리해냈다. 우선, 토크빌의 ‘다수의 폭정’론은 크게 두 가지로 구분되는데, 하나는 입법부의 다수파에 의한 전횡으로서 ‘제도적 다수의 폭정’으로 개념화할 수 있고, 다른 하나는 ‘다수 여론의 지배’로 개념화할 수 있다. 특히 현대 민주정치에서는 후자의 위험성이 더 크다는 점을 지적했다. 다음, 토크빌의 ‘민주적 전제’ 개념은 그의 산업사회론의 맥락에서 이해해야 하는 것으로, 시민들이 물질적 행복을 위해 공리적 합리성에따라 정치적 자유와 공공의 삶을 스스로 포기하고 대신 그것을 국가에 귀속시키는 중앙집권화 경향의 결과이다. 점차 개인과사회의 자치 역량이 사라지면서 시민들은 민주적 방식으로 전제정을 선택하게 되는데, 이것이야말로 민주주의가 처할 수 있는 가장 암울한 운명이다. While democratization process had been terminated, the problems of democracy has become in Korean society. In this article I tried to make clear that Tocqueville`s main thesis on tyranny of the majority and democratic despotism. Achieving this purpose, I paid attention to Tocqueville`s works and other articles, especially his masterpieces on political sociology: Democracy in America vol. I. and vol. II.. Trying analytical reconstruction on these volumes and his notes, made sure that Tocqueville`s notion of "democratic despotism" should be differentiated from the argument about "tyranny of the majority". While, in Democracy in America vol. I., Tocqueville`s concern had been mainly with the institutions and mores of American democracy, in vol. II., he carried this matter to a full extent of modern world and emphasized the perilous aspects of administrative despotism by centralized government rather than the tyranny of the majority. Tocqueville pessimistically anticipated that the new despotism would be more enormous and interfering than even the most absolutist regime of the past. In part 4 of vol. II. he attempted to formulate solutions to this problem and it was especially necessary for Tocqueville to construct the general social theory on modern democracy with the coming of industrial society. For all the progress Tocqueville`s made, democracy requires praising moral greatness of political freedom as safeguard against "tyranny of the majorities" and "democratic despotism." For sustaining democracy, we should make efforts to prevent citizens to choose despotism even if it would soft and luscious. For this purpose, we should cultivate democratic civic culture and try to participate in public affairs at all levels from local to national.

      • KCI등재

        서 재필의 경제 관념 변화에 관한 연구

        이황직(Hwang-Jik Yi) 한국사회이론학회 2018 사회이론 Vol.- No.53

        이 글은 한국 사회에 만연한 반기업 정서를 극복하기 위한 기존 경제계의 논리, 곧 기업을 통해서 국부와 일자리가 창출된다는 경제 중심의 논리 대신에 기업 경영과 기업인의 진취성이 사회 진보와 공공성의 가치 신장에 실제로 기여한다는 접근이 필요하다는 전제하에 개혁운동가로만 알려진 서 재필의 경제적 삶과 관념의 변화 과정을 검토하여 그의 경제 관념이 실제 사회 진보와 공공적 가치 형성에 이어지는 관련성을 분석했다. 그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서 재필의 1차 귀국기 독립신문과 독립협회 활동 기간의 경제 관념의 핵심에는 개인의 경제적 자립이 국가의 정치적 독립에 직결된다는 자유주의 사회개혁론이 있었다. 이는 유소년기 경험에서 유래하는 독립적 성격과 조선에서의 관직 체험, 그리고 망명 후 미국에서의 경험이 복합적으로 작용한 것으로서, 사인의 경제적 활동이 공적인 영역의 진보를 이끌어낸다는 믿음에 기초한 것이었다. 실제로 관이민의 재산을 수탈하던 당시 조선에서 개인의 소유권을 보장하고 경제적 자립을 강조한 서 재필의 주장은 아래로부터의 개혁이 요청된 1890년대 후반의 시점에서 전체 사회의 진보를 이끌어내는 데 효과적이었다. 둘째, 30대 후반 이후 서 재필은 조국의 식민지 전락과 미국의 대공황 그리고 기업 경영과 파산 같은 개인적 경험 등을 통해서 기존 자유주의 경제관에 내재한 우승열패와 제국주의 정당화의 한계를 극복하고 국가의 시장규제를 정당화하고 부의 불평등 문제에 적극적으로 개입하여 국가를 정의로운 체계로 만들어야 한다는 경제 관념을 갖게 되었다. 이러한 서 재필의 경제적 삶과 관념 변화 사례는 우리사회에서 기업 경영이 공적 영역의 신장과 공적 가치 확산에도 기여한다는 경제 관념을 확산시키려는 노력이 필요하다는 함의를 제공한다. This paper examined the transformation process of Seo Jae-Pil’s economic life and idea and analyzed the relation between his economic idea and public values. The results are as follows. First, at the core of Seo Jae-Pil’s economic ideology during independent Association activities was the liberal reformism that economic independence of individuals was directly linked to the political independence of the nation. It was a combination of the independent character derived from the childhood experience, the experience of bureaucrat in Joseon, and the experience in the United States. Seo Jae-pil’s argument that ‘the government guaranteed individual ownership and economic independence’ in Joseon at the time when the government seized people’s property was effective in leading the entire society to progress. Second, after his late 30s, he overcame the limits of social evolution and justification for imperialism that was inherent in the view of the liberal economy. He came to have the economic sense that the nation should justify its market regulations and actively intervene in the issue of wealth inequality to make the country a just system. The examples of such economic life and conceptual changes suggest that the society needs to make efforts to spread the idea that corporate management also contributes to the development of the public domain and public values.

      • KCI등재
      • KCI등재

        초기 근대 유교 계열의 민족주의 서사에 대한 연구

        이황작(Yi, Hwang-Jik) 한국문화사회학회 2011 문화와 사회 Vol.11 No.-

        이 연구는 민족주의를 다양한 서사들이 중층으로 직조된 담론체계로 인식하는 데에서 출발하여, 화서학파의 의병전쟁론을 계승한 유인석의 후기 저술에 대한 서사분석을 통해 한국의 전통적 서사 요소들이 한국 민족정체성의 형성에 영향을 미쳤음을 밝혀내고자 했다. 연구 결과, 유인석은 자신에게 전수된 유교 서사의 마스터플롯인 소중화론을 1905년 이후의 정세를 바탕으로 변화시켜 현실을 설명할 수 있는 새로운 서사담화를 구성했음이 밝혀졌다. 소중화론의 핵심 테마였던 춘추대의론을 뒷받침하던 주요 모티프였던 복수를 대체하는 새로운 용서와 화해의 모티프를 활용하였고, 소중화론에서 목적론적이고 위계적이었던 기자-단군 관계를 해체하여 동등한 인물로 재설정하여 중국을 종교의 중심으로만 존중하고 현실 정치에서는 대등한 국가로 인식할 수 있는 서사의 틀이 갖춰지게 되었다. 유인석의 후기 저술에 대한 이러한 서사분석의 결과, 이 연구는 정통 유림의 초기 민족주의 서사가 유교적 보편주의였던 중화론을 반복한 것이 아니라 국망 전후의 새로운 정세를 바탕으로 유교적 이상을 국권회복을 위한 현실적 과제에 연결시켜 최초 형성기의 민족주의를 대중의 심원한 의식세계의 기반 위에 정초하게 한 담론상의 시도였음을 논증했다. Studies on nationalism had regard it as pure logical form on the basis of academical activity, or focused on it"s function of political mobilization. But nationalism as public memories cannot be discerned from the constructing process of it"s own narratives. Lew In-Seok, the last successor of Hwaseo school, transformed So-Junghwa narrative (an old confucian narrative which regarded Korea as the only successor of Orthodox Chinese civilization) into Korean initiative narrative applicable to modern nationalism. I suggest that cultural sociologist should regard narrative analysis as an indispensable research method for elucidating the peculiarity of Korean nationalism.

      • KCI등재

        박영신의 사회학

        이황직(Hwang Jik Yi) 한국사회학회 2016 韓國社會學 Vol.50 No.2

        박영신은 고전사회학의 이론적 기초 위에서 우리 사회의 구조와 변동을 상징 체계의 변화와 관련하여 해명해 온 한국의 대표적 사회학자이며 비판 지성이다. 이 글은 ‘우리 문제’에 대한 ‘우리다운’ 해명을 하는 것을 한국사회학의 정체성으로 인식한 박영신의 학문 관심을 그의 가족주의 비판 작업을 중심으로 조망했다. 베버, 뒤르케임, 벨라의 이론을 통해 상징 구조와 의미 세계의 중요성을 인식한 박영신은 한국 사회의 친족 중심적 가치지향성을 문제 상황으로 포착했다. 조선말기부터 한국의 산업화 시기까지를 아우르는 일련의 역사사회학적 연구를 통해 포착한 한국 사회의 구조화와 재구조화에 작동한 가족주의의 기제는 다음의 테제로 요약할 수 있다. 첫째, 조선사회의 중핵 가치인 유교는 효를 중시하는 가족 중심의 생활양식으로 제도화되면서 종교 영역과 세속 영역이 용해되었다. 둘째, 종교와 사회 변동의 관계에서 볼 때 전통 사회의 이러한 구조적조건은 내부에서의 변동 추진력을 얻을 수 없었기 때문에 구조 변동은 유교 외의 새로운 상징 체계(종교)의 출현에 의해서만 가능하다. 동학과 기독교는 그 예증이다. 셋째, 내부의 변화 없이 일본의 식민 지배가 행해졌고 또 일제가 식민 통치를 위해 전통적 가치를 이용했던 까닭에 우리 스스로 전통 사회의 기본 원리를 근본적으로 비판·극복할 기회를 갖지 못했다. 넷째, 온존했던 가족주의 문화는 1960~70년대의 경제적 산업화를 뒷받침하는 규범 체계로 자리잡아 한국 사회의 가치 지향성을 가족이라는 좁은 틀 안에 가두게 했다. 이런 분석 결과는 당시 태동하던 유교 자본주의론의 한계에 대한 최초의 비판이기도 하다. 가족주의와 접합된 한국의 근대성의 결함에 대한 박영신의 비판은 경제중심주의와 권위주의 정치를 비판하는 데 머물지 않고 근원적인 도덕적 변화를 지향하는 사회운동 이론 탐구와 실천으로 나아갔다. 박영신은 가족주의 분석에 적용했던 논리를 확장시켜 우리의 가치 체계, 사회 공동체, 그리고 정치 체계가 교섭하는 현장에 적용 가능한 비판 이론으로 발전시켰다. 그의 한국 사회 변동 이론은 고전사회학의 전통을 계승했다는 점에서 보편적이되 그것과 우리 사회를 쉼 없이 오가는 변증 속에 결실을 맺었다는 점에서 한국사회학의 독자적인 지적 구성물로서 기억될 것이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investigate the life and thoughts of Yong Shin Park, an emeritus professor at Yonsei University. Park has studied the structure of Korean society and its change on the theoretical base of classical sociology. His chief scholarly concern was to explain the origin of deformed modernity in Korea. This led him to theorize the thesis that Korean familism rooted in tradition had been reinforced in modernization period. Confucian doctrines, defined in terms of particularism, spread all over the Chosun social system, not be confined to symbolic structure. Familism became the sublime value through Chosun dynasty. In Park’s logic, affected by Robert Bellah, the fusion of the political and the religious realms would hinder the rise of transformative values. In that conditions, the possibility of immanent development for modern change was blocked. Furthermore, familism is still located deeply in the ‘habits of the heart’ of the modern Korea. Although Korean familism contributed to the rapid economic growth, its narrow familial interests restricted Korean from making modern civil society. Park’s study on communitarianism and moral socialism was directly connected with his concern about overcoming familism. After completing criticism on familism, Park’s emphasis quite naturally moved towards global civic movements. Now we would met him in protests against anti-environmental policy as well as at academic symposium on global ecology. Through all his life, the professional ethics of sociologist and the mission for making moral citizens have not been divided. That’s why we could call him not only a representative sociologist but a man of social thought.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