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학위유형
        • 주제분류
          펼치기
        • 수여기관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지도교수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대학생용 자기성장 프로그램 개발

        이혜진 경북대학교 대학원 2013 국내박사

        RANK : 247647

        본 연구는 대학생용 자기성장 프로그램을 개발하고자 하였다. 연구문제 1은 대학생용 자기성장 프로그램을 타당하게 구성할 수 있는가. 연구 2는 대학생용 자기성장 프로그램의 타당성이 경험적으로 검증될 수 있을 것인가 였다, 선행연구와 이론적 근거를 토대로 자기성장의 하위요소를 자기이해, 자기수용, 타인이해, 타인수용, 자기개방, 자기주장으로 도출하고, 자기성장 프로그램 개발 모형과 평가모형을 구안한 후, 프로그램 내용및 조직을 구성하고 평가하였다. 실험/비교/통제집단으로 설계하고 사전/사후/추후에 이혜진, 김성회(2013)가 개발한 대학생용 자기성장 척도로 측정한 결과 자기성장 전체점수와 하위요소 점수 통계적으로 유의한 결과를 얻어 모두 효과가 있는 것으로 검증되었다. 비교집단은 자기성장 전체에서는 추후에서 효과의 지속성이 없었으며, 일부 하위요소에서 효과가 없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로써, 대학생용 자기성장 프로그램의 내용 및 조직 구성은 타당하게 구성되었으며, 경험적으로 검증되었다는 결론을 얻었다.

      • Phosphorescence Organic Light-Emitting Diodes(PHOLEDs)에 효과적인 Red Host의 합성과 특징

        이혜진 강원대학교 일반대학원 2008 국내석사

        RANK : 247647

        Star-shaped 형태를 기본 골격으로 하는 triazin 화합물을 사용하여 Organic Light-Emitting Diodes(OLEDs) 의 red host material을 합성하였다. 2,4,6-tris(3-methyl-4-(thiophen-2-yl)phenyl)-1,3,5-triazine과 2,4,6-Tris-(3-methyl-4-trimethy lsilanyl-phenyl)-[1,3,5]triazine을 합성하였다. 이 화합물들은 1H-NMR과 13C-NMR, mass로 구조를 확인하였으며 UV/Vis, Photoluminescence을 이용하여 광 물리적 성질을 조사하였고, TGA, DSC를 이용하여 열적 성질을 조사하였다. UV에서 TMTPT 화합물은 용액상태에서 345nm에서 최대 흡수 피크를 나타내었고 PL에서 393nm에서 최대 발광 피크를 나타내었다. 또한 열적 성질을 조사하였을 때 화합물의 녹는점은 280℃로 높은 열 안정성을 나타내었다. TMSPT는 UV에서 286nm에서 최대흡수파장()을 나타내었고 PL에서 최대발광파장()은 354 nm로 자외선 영역에서 나타났다. 또한 열적 성질을 조사하였을 때 화합물의 녹는점은 321℃로 높은 열 안정성을 나타내었다. Star-shaped compounds based on triazine core unit, 2,4,6-tris(3-methyl-4-(thiophen-2-yl)phenyl)-1,3,5-triazine(TMTPT) and 2,4,6-Tris-(3-methyl-4-trimethylsilanyl -phenyl)- [1,3,5] triazine(TMSPT) were synthesized and investigated their application as red host in Phosphorescence Organic Light-Emitting Diodes(PHOLEDs). The structures of all compounds were confirmed by the various spectroscopic methods such as 1H-NMR, 13C-NMR, mass spectroscopy. Thermal stability and photophysical property for TMSPT and TMTPT were also investigated by TGA, UV-visible, photoluminescence. TMSPT is emission with max 354nm and TMTPT is emission with max 383nm was observed. TMTPT shows high thermal stability with the loss of 2% weight at 289 oC. The electroluminescence(EL) characteristics were also investigated. A multilayer EL device with the configuration of ITO/CuPC(10nm)/NPD(40nm) /TMTPT-[tris(3-Phenylisoquinoline)][tris(3-Phenyl-isoquinoline)]Ir(Ⅲ)(20nm)/Alq3(40nm)/LiF(1nm)/Al(100nm) has been successfully fabricated. External quantum efficiency of 13.3% at 1mA/cm2 was achieved with this new host.

      • 아동기 정서적 학대가 대학생의 자살사고에 미치는 영향 : 정서조절곤란과 와해된 대인관계 욕구의 매개역할

        이혜진 한림대학교 대학원 2022 국내석사

        RANK : 247631

        This study aims to examine the relationship between childhood emotional abuse and suicidal ideation, and its mechanism. Based on previous studies, as a specific mechanism for explaining the relationship between childhood emotional abuse and suicidal ideation, it was intended to assume and verify the sequential mediating roles of difficulties in emotion regulation and thwarted interpersonal needs. For this, we proposed a research model that assumes a sequential mediating roles of difficulties in emotion regulation and thwarted interpersonal needs in the relationship between childhood emotional abuse and suicidal ideation, a parallel partial mediating model and a parallel complete mediating model that supposes a parallel mediating roles of difficulties in emotion regulation and thwarted interpersonal needs, a reverse sequential mediation model that inversely supposes the pathway of difficulties in emotion regulation and thwarted interpersonal needs, and a simple effect model supposing that the three predictors independently contributes to suicidal ideation as an alternative model, Two hundred ninety undergraduate students completed self-report inventories to measure the levels of childhood emotional abuse, suicidal ideation, difficulties in emotion regulation and thwarted interpersonal needs. As a specific mechanism for explaining the relationship between childhood emotional abuse and suicidal ideation, it will assume and verify the sequential mediating roles of difficulties in emotion regulation and thwarted interpersonal needs. Hierarchical multiple regression analysis controlled extraneous variables was used to verify the effect of childhood emotional abuse on suicidal ideation. Next, the suitability of several alternative models was compared using SEM to examine the roles of the two tentative mediation. In addition, the indirect effect was analyzed using the bootstrapping method. As a result of hierarchical multiple regression analysis, the effect of childhood emotional abuse on suicidal ideation was significant controlling for demographic characteristics and health and family-related variables. On the other hand, the suitability of the model in structural equation analysis was the best in the relationship between childhood emotional abuse on suicidal ideation, which assumed difficulties in emotion regulation and thwarted interpersonal needs as sequential mediation variable compared to other alternative models. However, the pathway from childhood emotional abuse to suicidal ideation in this model was not significant. Accordingly, the modified model which removed the pathway from childhood emotional abuse to suicidal ideation showed a better suitability than the original sequential mediating model, so it was selected as the final model. In addition to all the path coefficients of the final model, indirect effects through difficulties in emotion regulation and thwarted interpersonal needs were all significant. In conclusion, the results of this study suggest that childhood emotional abuse contributes significantly to predicting suicidal ideation, and in particular, it indirectly affects suicidal ideation through sequential mediating roles of difficulties in emotion regulation and thwarted interpersonal needs. Furthermore, these results suggest that it is important to early identify experienced emotional abuse in childhood and apply various interventions to enhance their sense of belonging and self-worth in order to effectively prevent and alleviate suicidal ideation of college students. Lastly, the theoretical and practical implications of the study as well as its limitations are discussed. 본 연구는 아동기 정서적 학대와 자살사고의 관계, 그리고 그 기제에 대해 알아보고자 하였다. 선행연구들의 결과에 기초하여, 아동기 정서적 학대와 자살사고의 관계를 설명하는 구체적인 기제로서 정서조절곤란과 와해된 대인관계 욕구의 순차적 매개역할을 상정하고 검증하고자 하였다. 이를 위해 아동기 정서적 학대와 자살사고의 관계에서 정서조절곤란과 와해된 대인관계 욕구의 순차적인 매개역할을 가정하는 연구모형, 아동기 정서적 학대와 자살사고의 관계에서 정서조절곤란과 와해된 대인관계 욕구의 병렬적인 매개 역할을 가정하는 병렬 부분매개모형과 병렬 완전매개모형, 아동기 정서적 학대와 자살사고의 관계에서 정서조절곤란과 와해된 대인관계 욕구의 방향을 역으로 가정하는 역방향 순차매개모형, 세 가지 예측변인들이 각각 독립적으로 자살사고에 기여한다고 가정하는 단순효과모형을 대안모형으로 상정하였다. 국내 대학교에 재(휴)학 중인 20대 대학생 290명을 대상으로 아동기 정서적 학대, 자살사고, 정서조절곤란, 와해된 대인관계 욕구를 측정하는 자기보고식 척도를 이용한 온라인 설문조사를 실시하였다. 아동기 정서학대가 자살사고에 미치는 영향을 검증하기 위하여 가외변인을 통제한 위계적 중다회귀분석을 사용하였다. 다음에는 두 가지 잠정적인 매개변인들의 역할을 살펴보기 위하여, 일련의 회귀분석 외에, 구조방정식 분석을 사용하여 여러 대안적인 모형들의 적합도를 비교 평가하였다. 아울러, 부트스트랩 방법을 사용하여 간접효과를 분석하였다. 위계적 중다회귀분석 결과, 인구통계학적 특성과 건강 및 가족 관련 변인들을 통제하였을 때 아동기 정서적 학대가 자살사고에 미치는 영향이 유의하였다. 구조방정식 분석 결과, 다른 대안적인 모형들에 비하여 아동기 정서적 학대와 자살사고의 관계에서 정서조절곤란과 와해된 대인관계 욕구를 순차적인 매개변인으로 상정한 모형의 적합도가 가장 우수하였다. 다만, 이 모형에서 아동기 정서적 학대에서 자살사고로의 경로가 유의하지 않은 것으로 나타났다. 이에 아동기 정서적 학대가 자살사고로 가는 경로를 제거한 수정모형이 원래의 순차적인 매개모형에 비하여 더 나은 적합도를 보여서 이를 최종모형으로 선정하였다. 최종모형의 모든 경로계수뿐 아니라 정서조절곤란과 와해된 대인관계 욕구를 통한 간접효과 모두가 유의하였다. 결론적으로, 본 연구의 결과들은 아동기 정서적 학대가 자살사고를 예측하는데 있어 유의하게 기여하며, 특히 정서조절곤란과 와해된 대인관계 욕구의 순차적인 매개역할을 거쳐 자살사고에 간접적 영향을 미친다는 것을 시사한다. 나아가, 이러한 결과는 대학생들의 자살사고를 효과적으로 예방하고 완화하기 위해서는 아동기 정서적 학대 경험자들을 조기에 식별하여 정서조절역량의 향상과 함께 그들의 소속감과 자기 가치감을 높이기 위한 다양한 개입의 적용이 중요함을 시사한다. 끝으로, 본 연구의 제한점과 의의에 관해 논의하였다.

      • 비합리적 신념이 대학생 정신 건강에 미치는 영향

        이혜진 이화여자대학교 교육대학원 2000 국내석사

        RANK : 247631

        본 연구는 비합리적 신념이 대학생의 정신 건강 전반에 미치는 영향과 개인적인 특성, 즉 학년, 성별, 종교 유무, 출생 순위별에 따른 비합리적 신념 및 정신 건강 각각의 차이에 대해 살펴보았다. 본 연구는 4년제 대학 남자 대학생 82명과 여자 238명 총 320명을 대상으로 실시되었다. 비합리적 신념의 측정은 Jones(1969)가 개발해 낸 비합리적 신념 검사를 최정훈 등(1994)이 번역한 것을 사용하였다. 정신 건강의 측정은 임상심리학자 Deragotis(1971)에 의해 제작된 'Symptom Checklist-90-Revision'을 우리 나라에서 사용할 수 있도록 김광일 등(1984)이 재표준화한 간이 정신 진단 검사를 사용하였다. 자료의 처리는 t-검증과 Sheffe´ 검증, 일원분산분석, Pearson 상관계수, 단계적 다중회귀분석을 실시하였다. 본 연구의 결과는 다음과 같다. 1. 비합리적 신념과 정신 장애 각 증상 차원간에 유의미한 정적 상관을 보임으로써 비합리적 신념이 높은 사람일수록 정신 건강이 좋지 않음이 밝혀졌으며, 비합리적 신념 하위 요인들 중, 과잉불안염려, 무력감, 개인적 완벽성, 파국화는 정신 장애를 가장 잘 설명해줄 수 있는 요인으로 나타났다. 2. 개인적인 특성 즉 학년, 성별, 종교 유무, 출생 순위별 수준에 따라 비합리적 신념에 차이가 있는지 알아보았다. (1) 여자는 남자에 비해 인정에 대한 욕구, 파국화가 높았으며, 남자는 여자에 비해 완벽한 해결 요인이 높았으며 전체적인 비합리적 신념에서는 여자가 남자에 비해 유의미하게 높았다. (2) 학년에 따라서는 파국화, 의존성에서 1학년이 3학년, 4학년에 비해 점수가 높게 나타났다. (3) 종교 유무에 따라서는 문제 회피, 무력감, 완벽한 해결 요인에서 종교가 없는 경우가 있는 경우보다 높게 나타났다. (4) 출생 순위에 따라서는 정서적 무책임감, 비합리적 신념 전체 합산에서 유의미한 차이가 있었으며 중간인 경우가 막내가 첫째의 경우보다 높았다. 3. 개인적인 특성 중 학년, 성별, 종교 유무, 출생 순위별에 따라 정신 장애에 차이가 있는지 알아보았다. (1) 남자는 여자에 비해 정신 건강이 좋은 것으로 나타났다. (2) 학년에 따라서는 편집증 요인에서만 약간의 차이 경향성을 나타냈다. (3) 종교 유무에 따라서는 종교가 없는 경우가 있는 경우에 비해 우울증 요인 점수가 더 높았다. (4) 출생 순위가 중간인 집단이 첫째나 막내 집단에 비해 신체화 증상을 더 경험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상의 연구 결과를 토대로, 비합리적 신념이 높은 사람일수록 정신 건강이 좋지 않으며, 정신 건강에 가장 크게 영향을 미치는 비합리적 신념 차원은 과잉불안염려, 무력감, 개인적 완벽성, 그리고 파국화라는 것이 밝혀졌다. The purpose of the present study was to examine the effect of irrational belief on mental health of college students and the differences between irrational belief and mental disorders according to individual traits(sex, religion, grade, birth order). The subjects of this research were 320 college students; male 82, female 238. The measurement scales for Irrational Belief was Irrational Belief Test(IBT) developed by Jones(1969), and translated by Junghun Choif et. al.(1994), the measurement scales for mental health was Symptom Checklist-90-Revision (SCL-90-R) developed by Clinical psychology Derogatis(1971), which was to be restandardization by Kwangil Kim et. al.(1984). The data was statistically processed through t-test and sheffe´-test, one way ANOVA, Pearson correlation coefficient, stepwise multiple regression. The results of this study were as follows: 1. There was strong correlation between irrational belief and mental disorders. It means the higher irrational belief, the worse mental health. Among the subordinate factors of irrational belief, Anxious Overconcern, Helplessness, Personal Perfection, Catastrophizing were the significant predictor of mental disorders. 2. According to personal traits, that is, the level of sex, grade, religion, birth order levels, the results of the differences of Irrational Belief were as follows. (1) Women was higher Demand for Approval and Catastrophizing than men and men was higher factor for Perfect Solution than women. In overall irrational belief women was higher than men. (2) According to grade first grade students had higher score in Catastrophizing and Helplessness, Perfect Solution than third and fourth. (3) According to having religion or not, students who hadn't religion was higher in Problem Avoidance and helplessness, Perfect Solution than students who had religion. (4) According to birth order there were significant differences in emotional irresponsibility, the total sum of irrational belief. In birth order the middle one was higher than the first one and the last one. 3. According to grade, sex, religion, birth order of the personal traits the results of the differences of mental disorders were as follows. (1) Men had healthier mental health than women. (2) According to grade, there were some different tendencies in only Paranoid Ideation. (3) According to having religion or not, students who hadn't religion was higher score in Depression factor than students who had religion. (4) According to birth order, the group of middle one experienced more symptom of Somatization than the group of first one and the group of last one. Through the results of the research, we find the fact that higher irrational belief one has, the worse his mental health is. And the mental health is more affected by Anxious Overconcern, Helplessness, Personal Perfection, Catastrophizing.

      • 놀이계획-실행-평가 활동이 유아셀프리더십과 유아놀이몰입에 미치는 영향

        이혜진 한양대학교 교육대학원 2019 국내석사

        RANK : 247631

        본 연구는 유아를 대상으로 놀이계획-실행-평가활동을 적용한 후, 유아의 셀프리더십과 놀이몰입에 미치는 긍정적인 효과를 보다 객관적인 자료를 통해 검증하였다. 이를 통하여 유아교육기관의 교사들에게 효율적인 놀이운영방법의 기초자료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본 연구의 목적에 따라 다음과 같은 연구 문제를 설정하였다. 첫째, 놀이계획-실행-평가 활동이 유아셀프리더십에 미치는 영향은 어떠한가? 둘째, 놀이계획-실행-평가 활동이 유아놀이몰입에 미치는 영향은 어떠한가? 본 연구의 대상은 대전지역의 어린이집에 재원 중인 만 5세 유아 40명이었다. 참가아동은 실험집단에 20명, 통제집단에 20명 할당되었고, 두 집단은 모두 6주간의 활동을 처치받았다. 실험집단의 경우 총 6주에 걸쳐 놀이계획-실행-평가 활동을 처치받았고, 통제집단은 상응하는 6주의 기간 동안 일상적인 자유놀이활동을 처치받았다. 놀이계획-실행-평가 활동은 놀이의 계획, 계획한 놀이의 실행, 놀이 실행결과에 대한 평가의 순서로 진행되었고, 교사와의 상호작용 요소와 셀프리더십과 몰입 향상을 위한 활동이나 토론 요소를 포함하고 있다. 유아셀프리더십은 최자윤(2009)이 개발한 유아셀프리더십척도(Scale of Child Self-Leadership)를 사용하여, 유아놀이몰입은 나은숙(2013)이 개발한 유아놀이몰입척도(Play Flow Scale for Young Children)를 사용하여 측정하였다. 수집된 자료는 SPSS 24.0 프로그램을 사용하여 분석하였다. 효과성 검증을 위해 각 결과변인에 대해 반복측정 분산분석(two way repeated measures ANOVA)을 실시하였으며, 상호작용이 나타난 경우 상호작용의 구체적 양상을 파악하기 위해 집단별로 사전-사후 대응표본 t검증을 실시하였다. 본 연구를 통해 얻은 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놀이계획-실행-평가 활동 적용이 유아 셀프리더십에 미치는 효과를 알아본 결과, 셀프리더십 총점과 셀프리더십 하위요인(행동전략, 보상전략, 사고전략)의 점수, 놀이몰입 총점과 놀이몰입 하위요인(자의식의 상실, 시간변형의 느낌)의 점수 모두에서 상호작용 효과가 유의하였다. 사전-사후 점수 차이 검증에서, 실험집단의 경우 모든 결과변인에서 유의한 향상이 나타난 반면, 통제집단의 경우에서는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가 나타나지 않았다. 이상의 결과를 바탕으로 한 연구의 의의는 다음과 같다. 첫째, 본 연구를 통해 놀이계획-실행-평가 활동이 유아셀프리더십과 유아놀이몰입에 긍정적 영향을 주는 교육적, 임상적 가치를 지닌 활동임을 확인할 수 있었다. 둘째, 유아 셀프리더십 향상을 위해 놀이를 활용한 경우나 유아 놀이몰입경험에 관한 연구를 문헌에서 찾아보기 힘든 상황에서 본 연구는 놀이계획-실행-평가가 유아 셀프리더십과 유아 몰입경험 증진에 유용할 수 있음을 보여주었다. 셋째, 본 연구는 놀이가 유아의 셀프리더십과 몰입경험 발달을 위한 유용한 매체가 될 수 있음을 보여주었다. 더불어 유아 보육/교육 현장에서 교사가 놀이를 적절히 활용한다면 유아에게 유용한 결과를 낼 수 있음을 실증적으로 보여준 사례라 하겠다. 본 연구는 놀이가 유아의 삶에 크게 기여하고 있으며, 유아의 놀이에는 교사의 상호작용이 강조된 놀이계획-실행-평가활동이 유아셀프리더십과 유아놀이몰입에 유의미한 연구였음을 시사하고 있다. 본 연구의 결과가 유아들의 셀프리더십과 놀이몰입발달을 위한 놀이교육자료의 기초를 제공하고, 교사의 역량을 키울 수 있는 놀이 활동의 방향을 제시함으로 유아의 긍정적인 발달을 도모할 수 있기를 기대한다.

      • 자기 주도적 미술 감상 활동을 위한 교육용 어플리케이션 개발 제안 : 초등학교 5〜6학년을 중심으로

        이혜진 경인교육대학교 2016 국내석사

        RANK : 247631

        오늘날 정보통신기술의 발달로 네트워크가 중심이 되는 유비쿼터스의 시대가 열렸고, 최근에는 다양한 분야가 융합되면서 스마트 시대가 도래하였다. 이에 따라 교육현장에서도 다양한 매체를 활용한 교수․학습 방법에 대한 요구가 늘고 있으며 특히, 2011년 교육과학기술부가 ‘스마트교육 추진 전략’을 발표하면서 스마트교육에 대한 연구가 활발해지고 있다. 이러한 시대의 변화에 맞추어 본 연구자는 미술교육에서 스마트교육의 가능성에 대하여 모색하게 되었다. 표현 중심 수업에 대한 반성과 시각 문화 환경에서 감상의 중요성이 부각되면서, 미술 감상 교육에 대한 요구가 높아지고 있으나 교육 현장에서는 시간부족, 자료 준비의 어려움 등을 이유로 여전히 어려움을 표하고 있다. 이러한 감상 교육의 문제를 해결하고, 학습자들이 자기 주도적으로 감상 활동에 참여 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하여 미술 감상 영역에서 어플리케이션의 활용 가능성에 대하여 연구하게 되었다. 본 연구는 학습자들이 감상 활동에 보다 쉽게 접근하고 감상의 방법을 익힐 수 있도록 하는 어플리케이션을 개발하여 자기 주도적 감상 활동 능력을 기르고 이를 바탕으로 생활 속에서 감상 활동을 즐길 수 있도록 하는 것에 목적을 두고 있다. 이를 위하여 스마트교육 및 어플리케이션에 대한 이해를 바탕으로 미술 감상 교육과 아동의 미술 감상 발달 단계 및 포트폴리오를 활용한 미술 감상 교육에 대하여 고찰해 보았다. 이론적 배경을 바탕으로 초등학교 5~6학년 미술 교과서를 분석하여 감상 활동을 위한 학습 내용을 추출하고, 학습자 수준에 맞는 감상 학습지와 감상 활동을 위한 가이드라인을 개발하여 자기 주도적 감상 능력을 향상 할 수 있는 어플리케이션을 설계하였으며, 이를 토대로 ‘내 손안의 미술관’ 어플리케이션을 프로토타입으로 개발하였다. 어플리케이션의 주요 메뉴는 ‘미술 용어사전, 감상 기초다지기, DIY 감상, 나의 감상 포트폴리오, 감상 나누기’로 구성하였다. ‘미술 용어사전’은 보다 깊이 있는 감상 활동을 위하여 조형요소와 원리를 비롯한 미술 용어를 사전의 형태로 수록한 메뉴이며 ‘감상 기초다지기’와 ‘DIY 감상’은 학습자들이 자신의 수준과 필요에 따라 선택하여 미술 감상의 방법을 익힐 수 있도록 단계별로 구성하였다. ‘감상 기초 다지기’는 감상 활동에 익숙하지 않은 학생들에게 교사가 개발한 학습지를 제공하여 감상의 여러 방법에 대하여 알 수 있도록 하였으며, ‘DIY 감상’은 펠드먼의 감상 단계를 기초로 본 연구에서 개발한 감상 가이드라인을 제시하여 감상 활동을 하고 이를 바탕으로 다양한 형태로 감상문을 작성 할 수 있도록 메뉴를 구성하였다. 또한 감상 활동의 결과를 포트폴리오로 저장하여 자신의 감상문을 누적하여 정리할 수 있도록 ‘나의 감상 포트폴리오’메뉴를 구성하였으며, 감상문에 대한 상호 피드백을 통하여 자신의 감상 활동을 반성해 보고, 미술 이슈 토론을 통하여 미술 문화에 관심을 가질 수 있도록 ‘감상 나누기’ 메뉴를 구성하였다. 본 연구를 통해 개발된 어플리케이션을 통하여 학습자들이 미술 감상 방법을 보다 쉽게 익히고 일상생활 속에서 미술 감상 활동을 즐길 수 있기를 기대한다. 또한, 이와 같은 연구가 후속 연구의 바탕이 되어 미술 교육이 발전하는 계기가 되기를 기대한다.

      • 산업재해 및 공공 데이터의 다면분석을 통한 기계식 주차장 안전관리 향상 연구

        이혜진 명지대학교 대학원 2021 국내석사

        RANK : 247631

        부족한 주차문제 해결을 위해 복잡하고 대형화된 기계식 주차장의 설치가 증가함에 따라, 기계식 주차장의 설치·해체, 관리, 유지·보수 업무를 하는 관련 업종의 산업재해 발생 위험이 함께 증가하고 있다. 특히 기계식 주차장이 재해발생의 원인인 산업재해 중 사망사고 비율은 전체의 20%로, 재해의 강도가 높아, 선제적인 재해예방활동이 요구된다. 산업재해 예방을 위한 비용과 인력을 고려했을 때, 재해예방 활동을 실시할 효과적인 대상의 설정은 매우 중요하다. 본 연구에서는 산업재해 통계 데이터와 기계식 주차장에 대한 공공 데이터를 다면 분석하여, 산업재해 예방을 위한 구체적인 대상을 설정하고, 효과적인 재해예방활동을 위한 공공 데이터 활용의 필요성을 제시하고자 하였다. 산업재해조사표를 기반으로 작성된 산업재해 통계데이터를 이용해, 요인별로 산업재해가 발생하는 빈도와 추세를 확인하고, 변수들 사이의 관련성을 분석하여, 산업재해가 발생하는 주요 원인을 파악할 수 있었다. 다만, 산업재해 통계데이터는 각 업종의 산업재해 발생 특징을 파악하기에 좋으나, 해당 업무에 종사하는 근로자의 특징을 파악할 수 없고, 사고 발생 설비에 대한 구체적인 정보를 확보할 수 없는 한계가 있다. 기계식 주차장 관련 업무에 종사하는 기타의 사업 근로자와 기계식 주차설비의 특징을 반영한 산업재해 예방대책을 제시하기 위하여, 산업재해 통계데이터 및 기계식 주차장에 대한 공공 데이터, 기계식 주차장치 관리인에 대한 설문조사 결과를 활용하여, 각각의 데이터를 동시에 분석함으로써 변수간의 상관관계를 도출하는 다면분석을 실시하였다. 분석 결과, 주차설비의 연식에 따라 사고가 많이 발생하는 업종이 달라져, 산업재해가 발생하는 업종, 발생형태, 기계식 주차장의 연식 사이에 상관관계가 있음을 확인하였다. 이를 토대로 기계식 주차장의 연식을 3개 구간으로 구분하여 기계식 주차설비 연식별 구체적인 안전관리방안을 도출하였다. 빅 데이터 시대에 활용도 높은 데이터의 확보는 곧 국가와 기업의 경쟁력이다. 데이터 수집 및 공유 체계를 구축하고, 산업재해예방에 대한 의사결정을 할 때 공공 데이터 활용을 촉진하려면, 담당자 개개인이 교차검증의 필요성을 인지하고 있어야 하며, 기관 간 업무 협조체계 및 기관 간 데이터 통합관리체계 구축 등 정보를 편하게 활용하고 정책에 반영할 수 있는 환경 마련이 필요하다. 더불어 구체적인 정보공개에 범위 설정 및 개인정보 또는 기업의 실적정보 유출 등 데이터 개방에 따른 부담감을 완화시킬 수 있는 보안기술 개발 및 정책적 지원이 필요하다. As the installation of complex and large-sized mechanical parking garages increases to solve the insufficient parking problems, the risk of industrial accidents in related industries that perform installation, dismantling, management, and maintenance of mechanical parking garages is also increasing. In particular, the fatality rate among industrial accidents caused by mechanical parking garage is 20% of the total, and the severity of the accident is high, so preemptive accident prevention activities are required. Considering the cost and manpower for preventing industrial accidents, it is very important to set an effective target for accident prevention activities. This study tried to set specific targets for industrial accident prevention by analyzing industrial accident statistical data and public data on mechanical parking garages, and to suggest the necessity of using public data for effective accident prevention activities. The statistical data on occupational accidents prepared based on the occupational accident survey table were able to identify the main causes of occupational accidents by confirming the frequency and trend of occupational accidents by factor and analyzing the relationship between variables. Statistical data of industrial accidents was good for identifying the characteristics of industrial accidents in each industry, but there is a limitation in that it was not possible to grasp the characteristics of workers engaged in the relevant work and not possible to secure specific information about the accident occurring facilities. In order to suggest industrial accident prevention measures that reflect the characteristics of mechanical parking facilities and other business workers engaged in mechanical parking related work, statistical data on industrial accidents, public data on mechanical parking garages, and survey results on mechanical parking garage managers are to be analyzed in an integrative way: A multi-faceted analysis was performed to derive correlations between variables by simultaneously analyzing each data. As a result of the analysis, it was confirmed that there is a correlation between the type of industry in which industrial accidents occur, the type of occurrence, and the age of the mechanical parking garage, as the types of industries in which accidents occur vary according to the age of the parking facilities. Based on this, a specific safety management plan for each type of mechanical parking facility was derived by dividing the age of the mechanical parking garage into three sections. In the era of big data, securing highly useful data is the competitiveness of countries and companies. In order to promote the use of public data when establishing data hubs and making decisions on preventing industrial accidents, each person in charge must be aware of the need for cross-validation, and provide information such as inter-agency work cooperation system and inter-agency data management system It is necessary to create an environment that can be used comfortably and reflected in policies. In addition, policy support and data security technologies are needed to alleviate the burden of data disclosure, such as setting the scope for specific information disclosure and preventing leakage of personal information or company performance information.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