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GIUH의 지체시간 산정을 위한 수문학적 해석

        이혁규,윤석영,김재한,Lee, Hyeok-Gyu,Yun, Seok-Yeong,Kim, Jae-Han 한국수자원학회 1995 물과 미래(한국수자원학회지) Vol.28 No.4

        본 연구는 지형학적 순간단위도를 산정하는데 있어서, 주된 매개변수인 지체시간을 세가지형으로 결정하여, 그 결과들을 수문학적으로 해석하였다. 지체시간의 산정방법으로서 첫째로 평균유속만을 이용한 것과, 둘째로 유로연장과 평균유속을 조합한 방법을 적용하였으며, 셋째로 유역면적과 Boyd및 Singh의 경험적 계수들로부터 얻어진 지체시간의 상관식을 사용하였다. 각 방법들의 결과분석을 위하여 실제유역의 자료들을 사용하였으며, 그 결과로부터 소유역의 경우에는 평균유속만의 방법도 가능하나, 유역면적이 커질수록 유출량의 재현성에 있어 정확도가 떨어짐을 알 수 있었다. 또한 세번째 방법은 지체시간의 정확도가 떨어져, 면적뿐만 아니라 다른 수문학적 특성인자들도 고려되어야 함을 나타내었다. 따라서, 적용방법들중 두번째 방법이 지체시간 산정에 있어서 우수함을 보여주었으며, 이로부터 구한 유출량도 타 방법들에 비해 실측치와 가장 근사하게 접근하였다. Three types of methods are used to determine the lag time which is an important parameter in estimating the geomorphological instantaneous unit hydrograph (GIUH) and their results are anlyzed hydrologically in this study. The first method uses only the average velocity and second one uses the combination of the stream length and the average velocity. The third method employs the relationship between watershed area and lag time obtained from the empirical coefficients of Boyd and Singh. To verify the applicabilities of such methods to the actual river basin, the obtained lag times were tested by using the observed data. The results showed that the first method was applicable to small watershed area but not to larger area. The several other hydrologic characteristics beside the watershed area should be considered for the third method because the accuracy of the lag time was not good. Finally, the second method gave the most similar simulation results and the best agreements to the observed runoff data than any other method.

      • KCI등재

        수업 비평의 필요성과 방법에 대한 탐색적 논의

        이혁규 ( Hyug Kyu Lee ) 한국교육인류학회 2007 교육인류학연구 Vol.10 No.1

        본 논문은 한국의 수업 문화를 바꾸기 위한 한 방법으로 수업 비평을 활성화하는 것이 필요함을 주장한다. 우리의 수업 문화는 고립적이고 개인주의적이다. 이로 인해 수업에 대한 소통적이고 생산적인 대화가 잘 이루어지지 않는다. 그리고 기존의 수업 관찰법은 이런 문제를 개선하는데 크게 도움이 되지 못한다. 수업 비평은 구체적인 수업에 대한 깊이 있는 이해와 수업 개선을 위한 정보를 제공해 줌으로써 수업 문화를 개선하는데 기여할 수 있다. 필자는 수업 비평의 실제 경험을 바탕으로 하여 수업 비평의 개념, 의의, 방법, 사례 등을 예시하였다. 이 논문은 수업 비평론 정립을 위한 시론적인 논의로 앞으로 수업 비평의 구체적 사례 축적과 함께 비평론을 이론적으로 정립해야 하는 과제를 남겨두고 있다. The purpose of this research is to boost criticism of classroom instruction in order to renovate Korean school culture in which a teacher is too individualistic and isolated from his colleagues. Existing classroom research method and its related theory isn`t effective to create productive and communicative dialogue among teachers. In these situations, the criticism of classroom instruction might be a new approach to renovate the school culture, giving a deep understanding on classroom instruction and a concrete advice for classroom practices. This article illustrates a definition, methods, and a real example of classroom criticism.

      • KCI등재

        제 7차 교육과정 맥락과 정치 교과서의 변화에 대한 고찰

        이혁규 ( Lee Hyeog Gyu ) 한국사회과교육학회 2003 시민교육연구 Vol.35 No.2

        One of the improvement strategies for classroom reform during the 7th national curriculum period was to improve the quality of school textbooks through new textbook policies, including a system of strict standards, and an emphasis on an activity-oriented textbook. The purpose of this research is to describe and interpret how this new institutional context affects the changes to the high school politics textbooks. First, the composition of the authors changed from exclusively university-based researchers to a group dominated by highschool teachers. The new textbook policies, which emphasize student-centered textbooks contributed to this change. Second, changes in unit organization and construction of texts can also be seen, such as hybridization of genres, more diverse visual data than before, and increases in student-centered activities. These changes will give positive effects on classroom reform.

      • KCI등재
      • KCI등재

        세 가지 시선으로 수업 읽기 -초등 사회 문화재 수업에 대한 수업 비평

        이혁규 ( Hyug Kyu Lee ) 한국사회과교육학회 2011 시민교육연구 Vol.43 No.1

        This study has sought to read a 4th grade elementary school`s social studies class on cultural assets from three different perspectives. For this purpose, the study has first theoretically explored the textuality of class critique and categories of class critique. Also, this study has engaged in a critical reading of a class on cultural assets from the three perspectives of efficiency of a class, the teacher as class conductor, and the subject, after completing a process of exploration of what method of reading is advisable in order to richly read the meaning of a class on cultural assets. From the perspective which emphasizes class efficiency, this study has sought to understand the meaning of a class as discovered by using a checklist. For a reading of a teacher as class conductor, this study has sought to understand the meaning which the practice of class instruction has amidst the life history of the teacher. Also, in terms of reading the subject based meaning of a class, this study has endeavored to understand the meaning of a class at the level of transformation of the subject content. Such a varied reading is useful for revealing the multidimensional meaning of a class. Moreover, this kind of an activity of carefully reading the meaning of the practice of class instruction will help increase the reflective introspection of the practitioner of a class.

      • KCI등재

        수업 비평의 개념과 위상

        이혁규 ( Hyug Kyu Lee ) 한국교육인류학회 2010 교육인류학연구 Vol.13 No.1

        본 논문은 한국의 교육계에서 최근 새롭게 등장하고 있는 수업 비평의 개념과 위상 문제를 다룬다. 현재 한국에서 수업 비평 현상이 등장하게 된 데는 수업 현상을 바라보는 대안적 관점과 연구 방법론의 등장, 수업 현상을 촬영하고 유통할 수 있는 기술적 환경의 조성, 교사 평가를 둘러싼 대안적 접근 등이 관련이 있다. 이런 수업 비평 현상의 등장 배경을 고찰한 후에 여러 학자들에 의해서 논의된 수업 비평의 개념을 비교 검토하였다. 수업 비평 개념은 점차 정교화 되고 있는 데 수업 현상을 하나의 텍스트로 본다는 점, 수업 현상을 종합적으로 파악한다는 점, 수업 현상을 기술, 분석, 해석, 평가한다는 점, 수업 현상에 대한 비판적이고 창조적인 글쓰기를 한다는 점 등이 주목할 점이다. 또 수업 비평의 상대적 위상을 확인하기 위해서 주된 관찰 목적, 실천가와 관찰자 간의 관계, 주된 관찰 방법, 산출물 형태, 관찰 정보의 공유자, 관찰 결과의 활용, 참여의 강제성 여부 등의 차원에서 수업 장학, 수업 평가, 수업 컨설팅 등과 수업 비평을 비교하여 그 특질을 살펴보았다. 그리고 마지막 장에서는 새로운 수업 관찰과 실천으로서 수업 비평을 활성화하는 방안에 대해서 논의하였다. The purpose of this research is to explore the concept and status of class criticism in Korea. Class criticism began to appear in Korea during the early years of the new millennium. Several factors are reciprocally related to the appearance of class criticism. First, alternative perspectives or concepts to view the phenomenon of class was either restored or has newly appeared. Second, alternative methodologies for research on classrooms have appeared. Third, filming technology and web-based environment formed the physical foundation that made class criticism possible. The dispute surrounding teacher evaluation is also related to the appearance of class criticism in Korea. By reviewing the definitions of class criticism, this research finds the common feature of class criticism; it regards classroom phenomenon as text, analyzes classroom practices synthetically, describes, analyzes, interprets and evaluates classroom practices, and critically and creatively writes on the phenomenon of classroom. This research also compares class criticism with other institutional practices such as supervision, evaluation, and consulting, and finds its unique strength. Lastly, this study seeks to discuss how to use the activity of class criticism to enhance the professionalism of teachers by examining both its level of theory and the level of a feasible field practice. First, there is a need to carefully establish the theory of class criticism if such an activity is to be invigorated even further. Second, we need to find ways for field practices that will enable us to utilize class criticism.

      • KCI등재

        수업비평의 발현과 전개 과정

        이혁규 ( Hyugkyu Lee ) 한국사회과교육학회 2016 시민교육연구 Vol.48 No.4

        본 연구는 수업비평의 발현과 전개 과정을 살펴보고 수업비평의 발전에 필요한 논의를 하는데 목적이 있다. 수업비평의 발현과 전개과정은 크게 수업비평의 태동(2002년~2005년), 수업비평의 실천 및 독자적 개념 모색(2005년~2008년), 수업비평의 실천 및 이론화의 확산(2009년~)의 세 단계로 나뉜다. 수업비평의 태동 단계(2002년~2005년)는 기존의 수업 관찰 및 연구 방법에 대한 대안으로 새로운 방법의 필요성이 부각되고, 수업비평이라는 용어가 사용되기 시작한 단계이다. 수업비평의 실천 및 독자적 개념 모색 단계(2005년~2008년)은 월간 『우리 교육』에 수업비평문이 연재되고, 수업비평 연재에 참여한 학자들이 수업비평에 대한 독자적인 개념화를 시도하기 시작한 단계이다. 수업비평의 실천 및 이론화의 확산 단계(2009년~)는 수업비평의 개념, 방법, 활동 등에 대한 다양한 논문이 양적, 질적으로 확대되는 한편, 수업비평이 현장에 다양한 방식으로 전파되어 소비되고 활용되는 단계이다. 이 과정을 종합적으로 정리해보면 수업비평의 전개 과정은 먼저 수업비평의 맹아적 개념이 동시다발적으로 생겨나고, 이후에 수업비평문이 월간지에 연재되고, 뒤이어서 수업비평에 대한 다양한 실천과 이론화 작업이 확산되고 있다고 볼 수 있다. 논의에서는 수업비평 장르 등장의 역사적 의미와 수업비평의 발전을 위한 제도적 생태계 형성 문제 등을 다루었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xamine how class critique has emerged and developed throughout the years and to discuss how it can be. The emergence and development process of class critique can be divided into three stages: emergence of class critique (2002 to 2004), practice and unique conceptualization of class critique (2005 to 2008), and practice and theorization of class critique (2009 to present). The emergence of class critique stage (2002 to 2004) refers to the period when the term, class critique, has begun to be used and the need for new methods as an alternative to the traditional classroom observations and research methods has begun to be recognized. The second stage, the practice and unique conceptualization of class critique stage (2005 to 2008), is a period in which class critique was serialized in the monthly magazine, "Uri-Kyoyuk", and scholars have begun to attempt their own conceptualization of the term. The last stage, the practice and theorization of class critique (2009 to present) is the period when the concepts, methods, and applications of class critique have been quantitatively and qualitatively expanded in research and the period in which class critique has been dispersed, applied, and utilized in practice. The evaluation of these processes comprehensively reveal that the process of developing class critique began with the introduction of the rudimentary concept of class critique, followed by monthly publications on class critique, and the dispersion and theorization of class critique. Base on this evaluation, the current study discusses the historical significance of the emergence of class critique and the formation of institutional ecosystem for the sustainable development of class critique.

      • KCI등재

        교육실습 프로그램은 왜 잘 개선되지 않을까?

        이혁규 ( Lee Hyugkyu ) 인하대학교 교육연구소 2021 교육문화연구 Vol.27 No.1

        한국 교사양성체제 개편 논의에서 교육실습 제도는 단골로 제기되는 개혁 이슈이다. 교육실습의 체계성 부족, 교육실습 기간 부족, 대학과 현장 간 연계 부족 등은 계속해서 지적되는 문제들이다. 이와 관련하여 본 연구는 왜 한국의 교육실습 제도가 잘 개선되지 않는지를 살펴보고 구체적인 개선 방향을 제안해 보고자 한다. 먼저 본 논문은 문헌 연구를 통해서 교육실습과 관련하여 유사하거나 동일한 문제가 오래전부터 계속 제기되어 왔다는 점을 확인하고자 한다. 둘째, 교육대학교 교수로서 실제 교육실습 제도 개선에 참여했던 필자의 경험을 바탕으로 무엇이 가능했고 무엇이 실현하기 어려웠는지를 밝히고자 한다. 셋째, 필자가 주로 관찰한 미국의 교사교육 사례 그리고 일부 문헌연구를 인용하여 우리와 다른 형태로 운영되고 있는 다른 나라(주로 미국)의 교육실습에서 시사점을 얻고자 한다. 이를 바탕으로 결론에서 한국 교육실습제도의 개선 방향에 대한 몇 가지 제안들을 하려고 한다. 대학과 현장의 연계성을 강화하고 실습학교의 지도역량을 강화하는 교육실습생태계를 구축하는 것이 주요 대안이 될 것이다. The education practice system is a reform issue that is frequently raised in the debate on the reform of Korean teacher training system. Lack of fieldability in educational practice, lack of training practice period, and lack of interconnection between universities and schools are issues that continue to be pointed out. In this regard, this study wants to look at why Korean education practice system does not improve well and propose a specific direction for improvement. First of all, this paper aims to confirm that similar or identical problems related to training practice have been raised for a long time through literature research. Second, I would like to reveal what was possible and what was difficult to realize based on my experience as a professor at the Cheongju National University of Education who participated in the improvement of the actual education practice system. Third, by citing some literature studies and the examples of teacher education in the United States that I observed, I would like to draw implications from American educational practices that operate in a different form from ours. Based on this, in conclusion, I will try to make some major suggestions on the direction of improvement of Korea's educational practice system. The main alternative would be to build an educational practice ecosystem that strengthens the connection between universities and the field and strengthens the teaching capabilities of training schools.

      • KCI등재

        수업의 과학성과 예술성 논의와 수업 비평

        이혁규(Lee Hyugkyu),엄훈(Um Hoon),정정인(Chung Jungin),신지혜(Shin Jihye) 한국열린교육학회 2012 열린교육연구 Vol.20 No.2

        이 연구의 목적은 수업 비평의 전제가 되고 있는 ‘수업은 예술’이라는 은유와 그 은유의 대립항을 이루고 있는 ‘수업은 과학’이라는 두 가지 은유에 대하여 그 함의를 수업의 본질과 교육학의 역사에 비추어 고찰하고, 이 두 가지 은유가 수업 비평과 어떻게 관련되는지를 살펴보는 것이다. 수업의 예술성에 대한 본격적인 언급은 듀이에게서 찾을 수 있으나 19세기 말 이후 교육학계를 휩쓴 과학주의의 조류에 휘말려 퇴조하다가 아이즈너 등의 교육학자들에 의해 새롭게 논의되었다. 교육계를 휩쓴 과학주의는 실증주의에 경도된 흐름으로 교육의 과학을 확립하려 노력한 일련의 심리학자들에 의해 주도되었으나 교육에 대한 질적 연구의 흐름 속에서 변화가 모색되게 되었다. 수업의 예술성과 수업의 과학성은 교육학의 역사에서 대립하는 패러다임으로 출발하였으나 최근의 교육 연구 및 현장 교사의 위상 변화에 따라 대립이 지양되고 상호보완하는 관계로 변화하고 있다. 수업 비평은 수업을 총체적으로 조망하고 그 의미를 드러내는 과정이므로 수업의 과학성과 수업의 예술성이 상호참조적으로 검토되어야 한다. 수업 비평이 수업의 과학성과 예술성 모두를 감식의 대상으로 삼을 때 수업의 과학성이 지닌 맥락 타당성이 확인되기도 하고 예술적 실천의 과학적 의미가 조명되기도 하면서 수업을 보는 안목의 지평이 확장될 것이기 때문이다. This study aims to explore the meaning of the two opposite pair metaphors ‘teaching as art’ and ‘teaching as science’ in terms of the characteristics of teaching and history of educational research. Additionally the study considered the two metaphors’ implication in class criticism. The academic consideration on the ‘art’ of teaching can be found in the work of John Dewey, but his concern for the ‘teaching as art’ has been ignored in the flood of positivist science of education. Following on from that, Elliot W. Eisner and other scholars began to discuss the artistic aspects of education. The trend of positivist science of education had been led by a company of psychologists who had intended to establish the ‘science of education’ by the methodology of physical science. However, recently some qualitative researchers are searching for new trends in educational science. The metaphors ‘teaching as art’ and ‘teaching as science’ have been used as an opposite pair in the opposite paradigms through the last century, but recently they began to consider the pair as complementary in the trends of the qualitative researches and the status change of school teachers. The class criticism, which is a process of seeing the class as a whole and finding meaning within it, should make cross-reference to the ‘art’ and the ‘science’ of a teaching. When the class criticism shows off its connoisseurship on the scientific and artistic aspects of a teaching altogether, it can reveal the contextual validity of the educational science and shine a light on the scientific meaning of the artistic practices in a class, and it will lead to the expansion of the horizons of educational connoisseurship.

      • KCI등재

        초등학교 수업 지도안 특성 분석

        이혁규 ( Hyung Kyu Lee ),이선경 ( Sun Kyung Lee ),김향정 ( Hyang Joung Kim ),박형빈 ( Hyoung Bhin Park ) 한국초등교육학회 2012 초등교육연구 Vol.25 No.4

        수업 지도안은 교사의 수업 실행을 결정하는 매우 중요한 문서이다. 이 논문은 에듀넷에 게재된 수업 지도안을 형식과 내용을 중심으로 분석하여 초등학교 수업 지도안의 특징을 드러내고 대안을 모색해 보고자 하였다. 수업 지도안의 형식 분석에서는 수업 상황 정보, 수업 과정 정보, 수업 계열 정보 등으로 나누어 분석하였으며, 내용분석에서는 학습단계와 학습요소의 용어 및 유형, 교수 학습 활동의 구체적인 단계, 수업 모형의 제시 유무와 유형, 평가 계획의 존재 유무와 유형 등을 분석하였다. 이를 바탕으로 본 한국 수업 지도안의 특징은 형식주의, 공학주의, 객관주의, 교육주의적 특성을 보여주고 있다. 교수 학습 과정에 대한 새로운 개념이 일반화 되어가는 과정에서 한국 수업 지도안이 현장 수업 실천에 유용한 도구가 되기 위해서는 이러한 특성을 넘어서는 새로운 길을 모색할 필요가 있다. Lesson plan is a very important documents in teacher`s classroom practice. The purpose of this research is to analyse the form and the content of Korean lesson plan. Class context information, class process information, and class sequence information were analysed in the form analysis. The presence and relevance of instruction model and motive stimulus activity, the patterns and efficiency of the interaction between teacher and student, the patterns and validity of unfolding activity of instruction, and the patterns and reliability of the assessment were analysed in the content analysis. By the analysis, the features of Korean lesson plan were formalism, technocratism, objectivism, and educationalism. Korean lesson plan needs to be revised to function more adequately to the new instruction paradigm.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