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온라인 트래킹에 대한 소비자 인식과 정책적 시사점

        이진명 ( Lee Jin Myong ),나종연 ( Rha Jong Youn ),김지혜 ( Kim Jihye ),박서니 ( Park Sunny ),이보한 ( Lee Bohan ),조은선 ( Cho Eunsun ) 한국소비자학회 2018 소비자학연구 Vol.29 No.2

        본 연구의 목적은 온라인 트래킹에 대한 소비자들의 인식, 행태, 의견을 탐색하고 이를 바탕으로 온라인 트래킹으로부터 소비자를 보호할 수 있는 정책적 시사점을 도출하는 것이다. 일반 소비자 20명을 대상으로 표적집단면접을 실시하여 온라인 트래킹에 대한 반응을 정성적으로 탐색하고 설문지를 개발하였으며, 온라인 설문조사를 통해 수집된 총 645명의 응답 자료를 분석하여 그 결과를 양적으로 검증하였다. 본 연구의 주요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소비자들은 다양한 맞춤형 광고나 서비스를 통해 온라인 트래킹을 경험하고 있었으나 온라인 트래킹의 목적, 방법 등 구체적 내용에 대해서는 피상적으로만 이해하고 있었다. 둘째, 소비자들은 정보유용성, 편의성, 유희성을 온라인 트래킹의 효용으로 인식하였으며, 프라이버시 위험, 통제권 제한, 불완전 기능을 비용으로 인식하였다. 대체적으로 효용보다 비용을 높게 지각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온라인 트래킹에 대한 소비자의 태도와 수용의도는 낮은 편이었으며, 트래킹 차단 프로그램을 설치하거나 쿠키를 삭제하는 등 적극적인 방법으로 온라인 트래킹을 차단하려는 의향이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넷째, 소비자들은 온라인 트래킹으로부터 소비자를 보호해야 할 책임이 사업자에게 가장 크다고 여겼으며, 정부, 소비자 개인, 소비자단체 및 학계, 언론 등 다양한 이해관계자들이 안전한 온라인 트래킹 환경 조성을 위하여 노력해야 한다고 인식하였다. 다섯째, 소비자들은 보다 강력한 온라인 트래킹 규제정책을 요구하고 있으나 동시에 이를 신경 쓰고 싶어 하지 않는 양가적 반응을 보였다. 이러한 결과는 정보주체인 소비자들의 무력감을 극복하고 선택권과 통제권을 강화할 수 있는 실효적 방안 모색이 요구됨을 시사한다. 또한 온라인 트래킹으로부터 소비자를 보호하기 위한 법과 정책이 소비자 권익을 보호하는 동시에 산업의 혁신을 저해하지 않는 적절한 조화점에 대한 고민이 요구된다. 본 연구는 안전하고 신뢰할 수 있는 온라인 트래킹 환경 마련을 위한 기초자료 및 논의의 단초를 제공했다는 점에서 학문적, 정책적 의의를 갖는다. Online tracking, which refers to practices that collect, store, and utilize behavioral information about consumers online, is essential to develop personalized and customized services. Rapid advances in tracking technology may provide considerable convenience and benefits to the consumer. However, consumers’ privacy concerns and actual security risks may have increased since it has become increasingly difficult to know how information about individuals is traded, aggregated, and utilized. Therefore, protecting consumer privacy is a subject that should be studied and discussed more deeply in the changing market environment. This study aims to analyze the perceptions and response to online tracking of Koreans, to draw up policy implications to protect consumers from online tracking, and to provide a basis for a cooperative dialogue between the government, corporations, and consumers so consumer privacy can be adequately protected. For this purpose, focus group interviews were conducted with 20 participants on June 2-3, 2017. Online surveys were also conducted to verify the validity and objectivity of the results of the qualitative research. A total of 645 completed responses were collected from June 30 to July 4, 2017. The major results and implications of this study are summarized as follows. First, consumers were not clearly aware of what information about themselves is being tracked and used by whom, where, and for what purpose. To develop and expand online tracking, consumer information must be utilized. Therefore, it is required to improve the perception and understanding of consumers about the concept, mechanism, and influence of online tracking. Second, consumers are emotionally and behaviorally negative about online tracking and intend to actively block online tracking by using ad-block software or by deleting cookies. This result suggests that it is necessary to reduce the perceived risk and anxiety of consumers about online tracking through efforts such as protecting consumer privacy and ensuring the right to control their personal information. Third, consumers regarded the right of choice and control as the basic principle of personal information in online tracking and as very important. However, they recognized that these rights were not really guaranteed and would be formal, even if guaranteed. Therefore, it is necessary to find an effective way to overcome consumers’ powerlessness about privacy protection and to strengthen their rights to control what and how information is used. In addition, considering the privacy paradox, it is necessary to discuss how to reflect consumers' preferences without demanding too much effort from them. Fourth, when setting up online tracking, consumers prefer to configure privacy preferences in the browser rather than going to individual sites, to opt-in rather than opt-out, legal and policy regulation rather than self-regulation, and pre-regulation rather than post-regulation. The policy for consumer protection from online tracking should not be too loose to infringe the interests of consumers, but it should not hinder the innovation of the industry by becoming a new entry barriers. Therefore, it is necessary to consider proper harmony between consumer protection and industrial innovation in preparing online tracking policy.

      • KCI등재

        해외직접구매에 있어서 소비자 갈등에 관한 근거이론적 분석

        이진명(Lee, Jin-Myong),나종연(Rha, Jong-Youn) 한국소비문화학회 2015 소비문화연구 Vol.18 No.4

        해외직접구매는 저렴한 가격과 다양한 구색 등의 장점이 있지만 동시에 많은 제약과 위험 부담이 존재하는 양면적 특성이 있다. 이에 해외직접구매 과정에서 소비자는 딜레마적 갈등을 경험할 수 있다. 본 연구는 해외직접 구매에 있어서 소비자가 경험하는 갈등의 양상과 갈등의 원인과 결과, 갈등을 강화 또는 약화시키는 맥락과 조건의 전체적 과정을 심층적으로 탐색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이를 위해 해외직접구매에 관한 다양하고 풍부한 자료를 얻을 수 있는 온라인 커뮤니티 게시글을 자료원으로 근거이론적 접근의 질적 분석을 수행하였다. 본 연구의 결과, 해외직접구매에 관한 글에서 나타난 중심현상은 소비자의 내적갈등 경험이었으며, 이러한 갈등은 경제성의 접근 동기와 불확실성 위험, 결제 및 보안문제, 수행 과정의 어려움, 비합리적 소비 우려 등의 회피 동기 간 충돌이 발생하기 때문으로 나타났다. 또한 국가 간 가격차이, 자민족주의, 해외직접구매에 대한 정책적 방향성 등 글로벌 소비환경에 대한 인식이 갈등에 영향을 미치는 맥락적 조건으로 반영되었다. 해외직접구매에 있어서 소비자는 타협과 절충, 자기합리화, 도피, 저항과 반항, 국내업체로의 투사의 전략을 통해 갈등에 대응하고 있었으며, 소비자의 내적갈등은 소비자 및 공급자 특성의 중재적 요인에 의해 가중되거나 완화되는 것으로 나타났다. 갈등의 최종적 결과는 만족과 강화, 후회와 단절, 환경변화 시도의 세 가지로 구분되었다. 범주 간 관계를 고찰하는 것을 통해 해외직접구매에 있어서 소비자 갈등의 패러다임 모형을 도출하였다. 본 연구의 결과는 서로 다른 방향의 소비 동기 간 충돌로 소비자 갈등이 야기될 수 있으며, 갈등을 적절하게 관리하고 해결하는 것이 궁극적으로 소비자 만족 증진과 지속적인 해외직접구매 이용으로 이어진다는 것을 보여준다. 이러한 점에서 본 연구는 해외직접구매 관련 비즈니스 실무자와 정책입안자, 그리고 소비자 갈등을 연구하는 학계에 유용한 기초자료와 시사점을 제공한다. Cross-border e-commerce is increasingly becoming commonplace in South Korea, with consumers purchasing goods from foreign internet shopping malls. While consumers can benefit form the expanded market boundary resulting in more choices and better prices, there is also the downside of increased risk in terms of product quality and/or during the transaction process due to limited information. Thus, consumers can experience the dilemma of decision-making between benefits and losses from cross-border e-commerce. The objective of this study is to explore phenomenon of conflict that consumers experience in the cross-border e-commerce. For this purpose, this study adopted grounded theory approach to identify the processes and structures of conflicts. The data collected from postings on a popular Korean online community using a web crawling software. A total 29 subcategories, and 10 categories was derived by open coding and a paradigm model was generated by the result of axial coding. According to the model, consumers adopt crossborder e-commerce through compromise, negotiation, and self-justification while experiencing internal conflicts, and try to resolve conflicts by selecting the combatants’ strategy of ascribing the problems of evasion and resistance. It was found that factors that mediate consumers’ level of internal conflict include previous experiences with cross-border e-commerce, psychosocial variables, delivery service, reputation and reliability of overseas shopping malls, and after-sales policy of manufacturers. The results of consumers’ internal conflict regarding cross-border e-commerce were classified into three types: emotional satisfaction and reinforced behavior, regret and suspension of transaction, and demand for improvement in the domestic market environment and the retail industry to fundamentally address the causes behind the conflicts. These results imply that properly managing and resolving consumers' conflicts ultimately lead to consumer satisfaction and continuous use of cross-border e-commerce. Implications for management practice and further research are discussed.

      • KCI등재

        모피의류의 편익과 위험 지각이 구매의도에 미치는 영향과 소비자 감정의 다중 매개효과

        이진명 ( Jin-myong Lee ) 대한가정학회 2017 Human Ecology Research(HER) Vol.55 No.6

        Fur apparel is a representative luxury item that displays wealth and social status; however, it is also recognized as an unethical product criticized for its animal maltreatment in the production process. Understanding consumer responses to an ambivalent object, such as fur apparel, is an important research topic both academically and practically. This study investigates the hierarchical effects of perceived benefits and risks of fur apparel on consumers’ emotions and purchase intention by applying the ABC model of attitudes to identify the mediating effects of consumer emotions. An online survey was conducted on 390 female consumers that verified hypotheses through structural equation modeling and bootstrapping analysis using phantom variables. The initial results of the survey showed that the relationship between perceived conspicuous benefits and purchase intention towards fur apparel was partially mediated by positive emotion. Second, the relationship between perceived epistemic benefits and purchase intention was completely mediated by positive emotion. Third, the relationship between perceived ethical risk and purchase intention was completely mediated by positive and negative emotions. Fourth, perceived social risk did not affect the purchase intention of fur apparel significantly. The results support that cognitive beliefs about the subject have a significant positive effect on behavioral intentions through emotions as suggested in the ABC model of the attitude. This study provides an in-depth understanding of consumer responses to ambivalent objects by revealing the individual mediating effects of consumers’ positive and negative emotions.

      • KCI등재

        텍스트 마이닝을 이용한 온라인 해외직접구매에 대한 소비자 반응 분석

        이진명 ( Jin Myong Lee ),나종연 ( Jong Youn Rha ) 한국소비자학회 2015 소비자학연구 Vol.26 No.5

        세계화 추세로 국경 없는 소비시대가 본격화되면서 온라인 해외직접구매가 점차 확산되고 있다. 본 연구는 온라인 해외직접구매에 대한 소비자 반응의 범주와 구조를 체계적으로 탐색하고, 소비자가 해외직접구매에 있어서 경험할 수 있는 접근-회피 갈등의 양상을 살펴보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이를 위해 웹 검색엔진(web crawler)으로 온라인 커뮤니티의 소비자 게시글을 수집하고 형태소 분석기인 KKMA, 한국어 분석 프로그램인 KrKwic, 네트워크 분석 프로그램인 UCINET 등을 이용하여 텍스트 마이닝을 수행하였다. 본 연구의 주요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해외직접구매에 관한 소비자 반응의 빈도를 분석한 결과, 소비자들이 해외직접구매에 있어서 사용하는 단어는 일반적인 온라인 쇼핑과 사뭇 다른 양상을 보였다. 배송대행지, 관세, 환율 등 해외직접구매 특유의 단어들의 출현빈도가 높았고, 특히 미국, 일본, 아마존, 이베이 등이 높은 빈도로 언급되는 것으로 나타나 해외직접구매로 소비의 영역이 확장되기보다는 특정 국가와 쇼핑몰로 집중화되는 경향을 보였다. 둘째, 텍스트 군집 분석을 통해 소비자 반응을 범주화하여 해외직접구매에 대한 소비자 가치를 도출하였다. 해외직접구매에 대한 소비자의 접근 반응은 경제성, 편의성, 새로움, 참여, 다양성, 유희성, 성취의 7가지 정방향의 가치로 범주화되었으며, 회피 반응은 불편성, 기능적 불확실성, 경제적 불확실성, 어려움, 불안전성, 비합리성의 6가지 역방향의 가치로 범주화되었다. 이러한 결과는 소비자의 해외직접구매 수용을 촉진하는 요인과 저해하는 요인이 무엇이며, 거시적인 시장의 세계화 흐름이 소비자 관점에서 어떻게 받아들여지는지를 보여준다. 셋째, 텍스트 네트워크 분석을 통해 접근 반응과 회피 반응의 연결 구조를 파악하였다. 소비자들은 경제적 가치로 인해 해외직접구매에 강하게 끌리나 불확실성 위험, 불편성, 어려움, 자민족에 대한 우려 등 보수적 가치로 인해 해외직접구매를 회피하게 되는 것으로 나타났다. 그리고 새로움, 유희성, 참여, 성취 등의 개방적 가치는 경제성과 보수적 가치 간 긴장을 완화시키는 역할을 하였다. 이를 통해 해외직접구매에 있어서 경제적 가치와 보수적 가치, 보수적 가치와 개방적 가치의 단계적인 충돌 양상이 확인되었다. Recently, Korean consumers began to actively participate in cross-border e-commerce. Cross-border e-commerce refers to the phenomenon of consumers purchasing products through overseas Internet shopping malls. From consumers perspective, cross-border e-commerce can be a double edged sword. While consumers can benefit form the expanded market boundary resulting in more choices, there is also the downside of increased risk in terms of product quality and/or during the transaction process due to limited information.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xplore consumer responses to cross-border e-commerce based on approach-avoidance conflict theory using text-mining. The data used in the study was collected from postings on a popular Korean online community using a web crawling software. Text mining techniques were employed using KKMA(Kind Korean Morpheme Analyzer), KrKwic and UCINET. The results are as follows. First, the results of descriptive analysis of words used in consumers’ posting about their experience with cross border e-commerce showed that words frequently included ‘overseas shipping agency’, ‘tariff’, ‘money exchange rate’ and ‘Black Friday’ reflecting consumers concerns or interest when engaging in cross-border transaction. Also, countries such as U.S. and Japan, and global sites such as Amazon and E-bay were frequently mentioned showing that although conceptually there should be no geographical boundaries, in reality cross-border transactions were happening in a very limited way. Second, the result of text clustering confirmed that consumer responses could be categorized into ‘approach’ response and ‘avoidance’ response. Approach responses to cross-border e-commerce included economic feasibility, convenience, novelty, participation, diversity, pleasure, and achievement. On the other hand, avoidance responses included inconvenience, functional uncertainty, economic uncertainty, difficulty, instability, and irrationality. This confirms consumers’ mixed reactions to cross-border e-commerce, and showed that depending on the strength of such responses consumers’ engagement in cross-border e-commerce could be facilitated or hampered. Third, through text network analysis, the underlying structure of approach-avoidance responses were presented. The interesting finding was that at the core of the network existed ‘economic value’. However, it was surrounded by words such as concerns for uncertainty or risks of transactions, inconvenience, difficult buying process and patriotism. This result shows that while cross border e-commerce attract consumers through providing economic value, the surrounding avoidance values may hinder consumers from actively participating in the actual e-commerce transactions. Further analysis showed that there is outer layer in the structure which included words such as novelty, pleasure, trend and achievement, and these values could mitigate the collision between economic feasibility and avoidance values as the approach-avoidance conflict theory suggest.

      • KCI등재
      • KCI등재

        여성 소비자의 모피의류 구매 영향요인 분석: 천연모피와 인조모피 비교를 중심으로

        이진명 ( Lee Jin-myong ),최윤정 ( Choi Yun Jung ) 한국소비자학회 2016 소비자학연구 Vol.27 No.4

        본 연구의 목적은 생산과정에서 동물학대라는 비윤리성 문제가 제기되는 천연모피와 그 대안으로 개발된 인조모피 의류에 대한 소비자 반응을 탐색하고, 소비자의 천연모피와 인조모피 의류 구매의도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을 비교 분석하는 것이다. 이를 위해 온라인 설문조사를 통해 수집한 20대에서 50대 여성 소비자 총 390명의 응답 자료를 기술통계 분석, 분산분석 및 위계적 회귀분석을 통해 분석하였다. 본 연구의 주요 결과와 시사점은 다음과 같다. 첫째, 진귀적 가치와 모피 친숙도는 천연모피와 인조모피 구매의도에 모두 정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확인되었다. 이는 소재와 관계없이 모피의류 선택에 영향을 주는 제품 속성 차원의 포괄적 요인이 존재함을 시사한다. 둘째, 주관적 규범은 천연모피 구매의도에는 부적 영향을, 인조모피 구매의도에는 정적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특히 주관적 규범은 인조모피 구매의도에 가장 큰 영향을 미치는 변수로, 소비자들의 인조모피 선택이 개인의 소비가치, 제품에 대한 친숙도나 지식수준보다 규범에 순응하고 타인에게 인정받고자 하는 동기에 의한 결과일 수 있음을 보여준다. 셋째, 윤리적 소비와 관련된 변수인 윤리적 가치와 모피 생산과정 지식수준은 천연모피 구매의도를 유의하게 낮추는 반면, 인조모피 구매의도에는 유의한 영향을 미치지 않았다. 이는 천연모피의 비윤리성이 소비자의 구매의사결정을 방해하는 요소가 될 수 있으나, 인조모피가 천연모피 의류의 윤리적인 대안으로 인식되는가에 대해서는 추가적인 연구가 요구됨을 시사한다. 본 연구는 천연모피와 인조모피 의류구매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을 함께 고려하여 윤리적 소비에 대한 이해의 폭을 넓히며, 향후 윤리적 패션 전개의 방향성을 수립하는데 있어서 실무적 시사점을 제공한다는 점에서 의의를 가진다. Many of the methods used to obtain the fur can cause extreme suffering for the animals, and damage to the environment. Millions of animals are brutally murdered every year for the fur on their backs, and methods used cause pollution as well. The faux fur have developed as alternatives for unethical practices in fur clothing. Many fashion designers and brands continue to introduce various faux fur clothing and promote their efforts to protect the well-being of animals. Therefore, it needs to be explored consumers` fur clothing consumption by fur types(i. e., real fur and faux fur) to understand the potentials of faux fur clothing as alternatives for real fur clothing. This study aims to explore consumer response to fur clothing and to compare the factors affecting consumer purchase intention of real fur and faux fur. The conceptual model and hypotheses were developed based on the previous studies and data was collected using a self-administered online survey of 390 female consumers between ages of 20 and 59. The major findings of this study are as follows. First, epistemic value and fur familiarity positively impacted on purchase intention of both real fur and faux fur. This implies that some product attributes have general impact on fur clothing consumption regardless of the fur types. Second, subjective norm negatively affected the purchase intention of real fur, whereas it positively affected purchase intention of faux fur. In particular, subjective norm was most influential predictor to the purchase intention of faux fur. This shows that consumers`` choice of faux fur could be accelerated by their motivation to be conformed of their fur consumption by important others. Third, ethical value and knowledge about the process of fur clothing production significantly reduced the intention to purchase real fur, whereas they did not affect the intention to purchase faux fur. This finding suggests that consumers` perception of unethical aspects of real fur can be a factor to hinder the choice of real fur. However, these ethical considerations did not influence the purchase intention of faux fur. Further study is required to explore consumer behavior focused on the potentials of faux fur as the ethical alternatives for real fur. Academically, this study provides deeper understanding of ethical fashion consumption with the predictors of the consumers` purchase intention of real fur and faux fur. Practically, this study can be helpful of industry and policy makers to develop the strategies and related campaign of ethical fashion.

      • KCI등재

        노인소비자의 디지털 서비스 활용 유형 연구: 인터넷 이용자를 중심으로

        이진명 ( Lee¸ Jin-myong ),김수연 ( Kim¸ Suyeon ),백지연 ( Baek¸ Jiyeon ),양재민 ( Yang¸ Jaemin ),임정 ( Lim¸ Jeong ),장혜원 ( Jang¸ Hye-won ) 한국소비자학회 2021 소비자학연구 Vol.32 No.2

        본 연구는 디지털 사회를 살아가는 주요 소비자집단으로서 노인의 중요성에 주목하여 사용확산모형을 기반으로 디지털 서비스 활용에 따라 노인소비자 유형을 구분하고 유형별 차이를 분석하였다. 이를 통해 노인소비자 특성에 대한 이해를 높이고 유형별 맞춤화된 교육적, 실무적 제언을 도출하는 것을 연구의 목적으로 한다. 본 연구는 인터넷 접근성이 확보된 60대 이상의 노인들을 연구대상으로 선정하였으며, 구조화된 질문지를 이용한 온라인 설문조사를 통해 311명의 유효 자료를 수집하였다. 자료는 SPSS 24.0 프로그램을 이용하여 기술통계분석, K-평균 군집분석, 다항 로지스틱 회귀분석, 분산분석 등을 통해 분석하였다. 연구의 주요결과는 다음과 같다. 디지털 서비스에 대한 사용량과 사용다양성을 기준으로 군집분석을 실시한 결과, ‘열성적 활용형(29.9%)’, ‘관계중심 활용형(27.3%)’, ‘기능중심 활용형(25.1%)’, ‘제한적 활용형(17.7%)’의 네 가지 노인소비자 유형이 도출되었다. 사용확산의 선행변수인 정보 자기효능감, 정보 활용의지, 인구통계학적 특성이 노인소비자의 디지털 서비스 활용 유형에 미치는 영향력 및 유형별 사용확산의 결과변수인 삶의 만족도, 디지털소비환경 성숙도, 기술스트레스, 정보기술 소외감의 유의한 차이가 규명되었다. ‘열성적 활용형’은 디지털 서비스를 통해 정보를 능동적으로 탐색하고 이용하는 얼리어답터의 성향이 강하므로 이들의 의견을 반영한 노인특화 서비스의 개발이 요구되며, ‘관계중심 활용형’은 인간관계를 유지하고 확장하기 위해 디지털 서비스를 이용하는 ‘인사이더’ 집단으로서 실질적인 업무를 처리하고 생활편의서비스를 잘 활용할 수 있도록 디지털 역량을 강화하는 것이 필요하다. ‘기능중심 활용형’은 정보 효능감이 높은 비교적 젊은 노인들로서 정서적, 관계지향적 속성의 디지털 서비스 활용을 촉진하여 삶의 만족이 높아질 수 있도록 해야 할 것이다. ‘제한적 활용형’은 소비자정책과 교육의 측면에서 표적 집단이라고 볼 수 있는데, 이들이 소외감을 느끼지 않도록 정보화 역량과 의지를 높이는 교육을 확대하는 것이 필요하다. 본 연구는 노인소비자 특성을 고려하여 사용확산모형을 적용함으로써 인터넷에의 접근격차가 해소된 노인소비자들의 다양한 디지털 서비스 활용패턴을 파악하고 그 특징과 맞춤화된 전략을 제시했다는 점에서 실무적, 학문적 의의를 가진다. This study focused on the importance of the elderly as a major consumer group in the digital society, and classified the types of elderly consumers according to the digital service use pattern based on the use-diffusion model and analyzed the differences by type. Through this,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improve understanding of the characteristics of elderly consumers and to derive customized educational and practical recommendations for each type of elderly consumers. Elderly consumers over 60 who can access the Internet were selected as a sample, and data of 311 elderly consumers were collected through an online survey using a structured questionnaire. The data were analyzed through descriptive analysis, K-means cluster analysis, multinomial logistic regression analysis, and ANOVA using the SPSS 26.0 program. The main results of the study are as follows. As a result of cluster analysis based on the amount and diversity of digital service use, four types of elderly consumers were derived: enthusiastic use group (29.9%), relationship-oriented use group (27.3%), function-oriented use group (25.1%), limited use group (17.7%). The influence of the preceding variables such as self-efficacy of information, willingness to use information, and demographic characteristics on the types of elderly consumers was identified. In addition, significant differences in life satisfaction, digital consumption environment maturity, technology stress, and information technology alienation, which are the outcome variables for each elderly consumer type, were analyzed. Enthusiastic use group tends to be an early adopter who actively searches and uses information through digital services, so the development of specialized services for the elderly that reflects their opinions is required. Function-oriented use group is a relatively young senior with high information efficacy, and should promote the use of emotional and relationship-oriented digital services to increase their satisfaction in life. For the relationship-oriented use group, it is necessary to strengthen information capabilities so that they can actively use digital services to process practical tasks and increase the convenience of life. Limited use group is a group with low income and education level and high age, and is the group that should focus most in terms of consumer policy and education. The limited use group is the group with low income and education level, high age, and the lowest information efficacy and willingness to use. In addition, it is characterized by low life satisfaction and feeling alienated from information technology. Therefore, it is necessary to focus consumer policy and education on this group to raise positive awareness of technology and provide education to enhance practical digital service utilization ability. This study is meaningful in that it categorizes the elderly according to the use of digital services and presents their characteristics and customized strategies, rather than simply viewing the elderly as information vulnerable groups.

      • KCI등재

        인공지능 스피커에 대한 소비자 인식과 수용의도: 비수용자를 중심으로

        이진명 ( Lee Jin-myong ),정민지 ( Jung Minji ),이주래 ( Lee Jurae ),김예은 ( Kim Ye-eun ),안치연 ( An Chiyeon ) 한국소비자학회 2019 소비자학연구 Vol.30 No.2

        본 연구의 목적은 인공지능 스피커의 기능과 속성에 대한 소비자들의 일반적 인식을 탐색하고, 인공지능 스피커의 특성 변인과 직간접적 네트워크 외부성 변인이 소비자의 인공지능 스피커 수용의도에 미치는 영향력을 규명하는 것이다. 온라인 설문조사를 통해 인공지능 스피커를 알고 있으나 현재 사용하지 않고 있는 비수용자 354명을 대상으로 자료를 수집하고, SPSS 24.0 프로그램을 활용하여 기술통계 분석, 요인분석, 다중회귀분석 등을 실시하였다. 연구의 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인공지능 스피커에 대한 소비자의 일반적 인식을 조사한 결과, 소비자들은 인공지능 스피커의 다양한 속성 중 음성인식을 가장 중요하게 지각하였고, 음악 듣기와 같은 단순한 기능을 유용하게 인식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인공지능 스피커와 가장 유사한 것으로 스마트폰, 인간 비서, 스마트홈 기기 등을 떠올렸다. 둘째, 제품 특성과 네트워크 외부성에 대한 인식을 조사한 결과, 소비자들은 인공지능 스피커의 특성 중 편리성을 가장 높게 지각하며 그다음은 오락성, 지능성, 공감성 순으로 나타났다. 또한, 현재 인공지능 스피커의 사용자 수가 많다고 여기지는 않으나 다른 기기와의 호환성은 높다고 인식하고 있었다. 셋째, 제품 특성과 네트워크 외부성 요인이 인공지능 스피커 수용의도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 회귀분석 결과, 인공지능 스피커의 특성인 편리성, 지능성, 오락성, 공감성과 직간접적 네트워크 외부성 요인인 사용자 수, 호환성 지각이 소비자의 수용의도에 유의한 긍정적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본 연구는 인공지능 스피커에 대한 소비자의 인식과 반응에 대한 이해를 증진함으로써 관련 연구를 확장하는데 기여하며, 인공지능과 같이 혁신적 기술을 활용하는 산업계에 유용한 마케팅적 시사점을 제공한다. Many global IT companies such as Google, Apple, and Samsung are fiercely competing for the advancement of the artificial intelligent (AI) speaker market.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xplore consumers' general perception of AI speakers and to investigate the effects of product characteristics and network external factors on consumers' intention to adopt AI speakers. An online survey was conducted on 354 non-users of the AI speaker. The collected data were analyzed using descriptive statistics, exploratory factor analysis, and multiple regression analysis using the SPSS 24.0 program. The results of the study are summarized as follows. First, consumers perceived voice recognition as one of the most important attributes of AI speakers. Smart phones, human secretaries, and smart home devices are perceived as the most similar to AI speakers. Second, consumers perceived convenience of AI speaker as the highest, followed by entertainment, intelligence and empathy. Consumers do not currently think that the number of users of AI speakers is high, but they are aware of high compatibility between AI speakers and other devices. Third, multiple regression analysis showed that all the independent variables included in the study model, convenience, intelligence, entertainment, empathy, number of users, and compatibility, had a positive effect on consumers' adoption intention of AI speaker. This study contributes to expanding the related research by enhancing the understanding of consumers' perceptions and responses to AI speakers, and provides useful marketing implications for industries using innovative technologies such as artificial intelligence.

      • KCI등재

        노인소비자의 대형마트 서비스품질 지각이 만족도 및 노인지향성 지각에 미치는 영향

        이진명 ( Lee Jin-myong ),김민지 ( Kim Minji ),서도연 ( Seo Doyeon ),양소현 ( Yang Sohyeon ),조영인 ( Jo Youngin ),허지윤 ( Huh Ziyoun ) 한국소비자학회 2021 소비자학연구 Vol.32 No.6

        본 연구의 목적은 노인소비자 관점에서 대형마트 서비스품질의 차원을 탐색하고, 서비스품질 지각이 노인소비자의 대형마트에 대한 만족도 및 노인지향성 지각에 미치는 영향을 분석하는 것이다. 대형마트를 이용하는 노인소비자 7명을 대상으로 심층면접을 실시하여 대형마트 서비스품질의 하위차원을 도출하고, 온라인 설문조사를 통해 노인소비자 302명의 응답 자료를 수집하고 SPSS 24.0 프로그램을 활용하여 통계 분석하였다. 연구의 주요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노인소비자가 대형마트 이용 시 지각하는 서비스품질의 하위차원은 물리적 환경, 본원적 혜택, 인적 상호작용, 편의적 혜택, 스마트 혜택의 다섯 가지로 도출되었다. 둘째, 노인소비자는 대형마트 서비스에 대해 대체로 만족했으나 노인지향성에 대한 지각은 보통 수준으로 나타났다. 또한, 노인을 위한 휴게공간의 확대를 요구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다중회귀분석 결과 물리적 환경, 본원적 혜택, 인적 상호작용, 스마트 혜택이 노인소비자의 대형마트에 대한 만족도에 유의한 긍정적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인적 상호작용, 편의적 혜택, 스마트 혜택은 대형마트의 노인지향성 지각에 유의한 긍정적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본 연구는 정성적, 정량적 연구방법을 통해 노인소비자 관점에서 대표적 쇼핑공간인 대형마트의 서비스품질 요인을 밝히고, 서비스품질이 대형마트에 대한 노인소비자의 만족도와 노인지향성 지각에 미치는 차별적 영향력을 규명했다는 점에서 의의를 가진다. 또한, 노인친화적인 대형마트 마케팅전략 수립에 유용한 시사점을 제공한다는 점에서 실무적으로 기여한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xplore the sub-dimensions of service quality perceived by elderly consumers when using hypermarkets, and to analyze the effect of hypermarket service quality on elderly consumers' satisfaction and perceived elderly orientation. In-depth interviews were conducted with hypermarket users to derive the sub-dimensions of hypermarket service quality, and based on qualitative research results and previous studies, a scale was developed to measure hypermarket service quality from the perspective of elderly consumers. Data from 302 elderly consumers were collected through an online survey, and the research model was verified using the SPSS 24.0 program. The main findings of the study are as follows. First, five sub-dimensions of service quality perceived by elderly consumers when using hypermarkets were derived from physical environment, intrinsic benefit, human interaction, convenience benefit, and smart benefit. Second, the elderly consumers were generally satisfied with the hypermarket service, but the perception level of the elderly orientation was average. In addition, respondents wanted to expand resting facilities for the elderly in hypermarkets. Third, as a result of multiple regression analysis, it was found that physical environment, intrinsic benefits, human interaction, and smart benefits had a significant positive effect on elderly consumers' satisfaction with hypermarkets. On the other hand, human interaction, convenience benefit, and smart benefit had a significant positive effect on the perception of elderly orientation in hypermarket. This study is differentiated from previous studies in that it revealed the sub-dimensions of service quality at hypermarkets from the perspective of elderly consumers by applying qualitative and quantitative research methods. In addition, this study contributes practically in that it identifies the differential influence of service quality on elderly consumers' satisfaction with hypermarkets and their perception of elderly orientation, and provides useful implications for establishing elderly-friendly hypermarket marketing strategies.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