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2인자 지분분산성분모형에서 합분산에 대한 σ²_A의 비의 신뢰구간의 범위에 관한 연구

        이지연(Ji-Yeon Yi),강관중(Kwan-Joong Kang) 한국자료분석학회 2000 Journal of the Korean Data Analysis Society Vol.2 No.2

        이 논문은 2인자 지분분산성분모형 y_ijk = μ + A_i + B_ij + C_ijk의 합분산에 대한 신뢰구간 중에서 근사신뢰구간인 경우가 많아서 그 신뢰구간들이 100 (1-α)%에 꼭 맞는지 또는, 꼭 맞지 않다면 그 신뢰구간이 어느 정도 근사한지가 밝혀져야 앞으로 더 좋은 신뢰구간이 필요한지에 대한 의문이 해결되고 그 신뢰구간을 추정과 검정에 적용할 수 있기 때문에 σ²_A/(σ²_A + σ²_B + σ²_C)에 대한 Graybill과 Wang의 신뢰구간의 확률범위가 100(1-α)%보다 큰 지 또는, 작은 지 아니면 같은 지를 수학적인 증명에 의하여 그 범위를 구하였다. 그리고 실제활용에서 더 좋은 신뢰구간의 가능성을 보였다. In this paper, there are a lot of approximation confidence intervals among confidence intervals of the two-factor nested variance component model, that is, y_ijk = μ + A_i + B_ij + C_ijk , so that in this case where the acquired confidence intervals exactly fit 100(1- α )% or not, if not they are to be found how close and then the question that better confidence intervals are necessary or not is solved. And because we can apply the confidence intervals to an estimation and a test, we should the range by the mathematical computation that the probability range of these confidence intervals by Graybill and Wang for σ²_A/(σ²_A + σ²_B + σ²_C) are equals and whether greater than 100(1- α )% or not. And we showed possibility of better confidence intervals in real application.

      • KCI등재
      • KCI등재
      • KCI등재

        퀴즈를 활용한 이공계열의 플립드러닝 수업사례 연구

        이승민 ( Seung Min Yi ),이지연 ( Ji-yeon Lee ) 한국교육정보미디어학회(구 한국교육정보방송학회) 2017 교육정보미디어연구 Vol.23 No.3

        최근 온라인과 오프라인을 연계한 블렌디드 러닝의 확산 추세와 함께 특히 플립드러닝에 대한 여러 대학들의 관심이 높아지고 있다. 플립드러닝이란 “교실에서 이루어지던 교수자의 강의를 사전에 온라인으로 학습하고 수업 중에는 학습자의 활동을 중심으로 기존 수업에서 개별숙제로 주어지던 학습과제를 함께 해결하거나 그룹으로 프로젝트를 수행하는 등 교수자-학습자 및 학습자-학습자 간의 상호작용을 늘리고 학습효과를 높이기 위한 수업설계”(Bergmann & Sams, 2012)로, 특히 수준별 연계 및 대형 강의가 필수인 이공계열 수업의 경우, 플립드러닝의 적용 효과가 가장 클 것으로 기대되나 이와 관련된 실증적 연구는 많지 않다. 이에 본 연구는 이공계열 수업의 특성을 고려한 플립드러닝 수업설계 및 운영에 중점을 두고 수도권 소재 A대학의 <재료과학Ⅱ> 수업의 수강생 65명과 교수자를 대상으로 설문 및 면담자료를 수집하여 퀴즈를 활용한 온오프라인 학습의 연계효과 및 학습자와 교수자의 인식을 탐색하였다. 연구 결과, 1) 플립드러닝 수업에서 퀴즈는 온-오프라인 학습의 연계, 오프라인 수업활동, 수업만족도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고, 2) 오프라인 수업활동, 학습자료, 퀴즈, 교수자, 동영상은 수업만족도에 직·간접적으로 긍정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3) 퀴즈, 질의·응답 및 토론, 개별면담시간으로 구성된 플립드러닝에 대한 학습자와 교수자의 만족도 및 긍정적 인식은 높은 편으로 나타났다. 본 연구는 플립드러닝을 적용한 이공계열 수업의 효과 및 만족도에 관한 실증적 사례연구로, 유사한 수업특성을 공유하는 다른 이공계열 플립드러닝 수업운영 및 설계 시 고려해야 할 실천적 가이드라인을 제공해준다는 데 그 의의가 있다. Blended learning trends are fast expanding across all sectors of education, but their influence is more evident in higher education with the latest buzz in “flipped learning.” As its name indicates, “flipped” learning is designed to convert the typical teaching and learning flow to maximize the use of limited class time and to engage students in active learning (Bergmann & Sams, 2012). While the benefit of flipped learning seems most promising for math, science and engineering courses with relatively higher workloads and larger class sizes, there are few research studies that examined the actual learning gains and provided practical guidelines to flip college math, science, and engineering courses. To respond to this gap in flipped learning research and practice, this study designed a series of flipped learning modules for < Material Science II > course taught at a 4-year university. Survey data from 65 students as well as interview data from 9 students and the instructor were collected and analyzed to better understand the effect of flipped learning with a particular emphasis on in-class quizzes. The study results indicated that 1) offline quizzes had positive impact on connecting on-line and off-line learning and learner satisfaction; 2) various in-class activities, learning materials, quizzes, the instructor-made videos had both direct and indirect influence on learner satisfaction; and 3) students and the instructor showed positive attitudes toward flipped learning as compared to traditional lecture-based instruction. The study results could provide some empirical data as well as practical guidelines to design and implement flipped learning in the field of math, science, and engineering.

      • KCI등재

        보육교사의 코로나19 인식이 소진에 미치는 영향과 행복플로리시의 조절효과

        정진이 ( Jung Jin-yi ),이지연 ( Lee Ji-yeon ) 미래유아교육학회 2021 미래유아교육학회지 Vol.28 No.2

        본 연구에서는 보육교사의 코로나19 인식이 소진에 미치는 영향을 살펴보고, 보육교사의 코로나19 인식과 소진 간의 관계에서 행복플로리시의 조절효과를 확인하고자 하였다. 이를 위해 J지역 어린이집 교사 334명을 대상으로 하여 설문 조사를 실시하였고, 최종 280명의 자료가 분석되었다. 본 연구의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보육교사의 코로나19 인식과 행복플로리시는 평균보다 높은 수준이었고, 소진은 보통 수준으로 나타났다. 둘째, 보육교사의 코로나19 인식, 행복플로리시 및 소진 간상관 분석에서, 보육교사의 코로나19 인식과 소진 간에 통계적으로 유의한 정적 상관이 있는 것으로 나타나 코로나19 인식이 부정적인 교사일수록 소진 수준도 높았다. 그러나 보육교사의 코로나19 인식과 행복플로리시 간에는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상관이 없는 것으로 나타났다. 행복플로리시와 소진간의 관계에서는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부적 상관이 나타나 행복플로리시가 높은 교사일수록 소진 수준이 낮았다. 셋째, 보육교사의 코로나19 인식과 소진 간 관계에서 행복플로리시의 조절효과가 있는 것으로 확인되었다. 본 연구는 세계적 유행으로 팬데믹이 선언된 코로나19가 보육현장에 미치는 영향을 다루었다는 점에서 의의가 있으며 보육교사의 코로나19 인식이 교사의 소진에 미치는 영향을 규명한 것을 넘어, 보육교사의 코로나19 인식이 소진에 미치는 영향을 완충시킬 수 있는 방안으로 개인의 내적 자원인 행복플로리시의 중요성을 확인하였다는 점에서도 의의가 있다. 또한 코로나19와 같은 전염병 발생 시를 대비한 전염병 예방정책 확립의 중요성과 행복플로리시와 같은 개인의 내적 자원을 다루는 교사교육 프로그램의 필요성을 제기하였다는 점에서도 의의가 있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the moderating effect of flourishing in relationship between COVID-19 perception and burnout in child care teacher. In this study, the COVID-19 perception and burnout were selected as independent and dependent variable respectively. In addition the flourishing was selected as moderator. The participants included 334 child care teachers in J area and the data of 280 participants was finally analyzed. The major findings were as follows: First, the level of COVID-19 perception and flourishing was lower than the average and the level of burnout was normal. Second, in correlation analysis among measured variables, there was a significantly positive relation between COVID-19 perception and burnout in child care teachers. However, there was no significant relation between COVID-19 perception and flourishing in child care teachers. In addition, there was a significantly negative relation between flourishing and burnout in child care teachers. Third, flourishing played a role as moderator between COVID-19 perception and burnout in child care teachers. This study is important since it exploratively identified that there was the relation between COVID-19 perception and burnout in child care teachers, and also empirically verified that there was moderating effect of flourishing between COVID-19 perception and burnout in child care teachers. In addition, It is also meaningful in that this study raised the importance of establishing an epidemic prevention policy in preparation for the outbreak of infectious diseases such as COVID-19 and the need for teacher education programs that deal with individual internal resources such as flourishing.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