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대학 글쓰기의 역동성 높이기를 위한 시론

        이지양 ( Lee Jie-yang ) 한국하이데거학회 2009 존재론 연구 Vol.21 No.-

        대학 글쓰기는 전공과 관련된 학문 분야로 이루어진 담화공동체안에서의 글쓰기라는 점에서 일반적인 글쓰기와는 다른 특성을 가진다. 대학에서의 글쓰기는 지식의 재창조 과정을 통해 이루어낸 결과를 공유하기 위한 글쓰기가 주된 목표이어야 하며, 따라서 전공 교육과 별개로 존재하는 글쓰기 교육이 아니라 전문성을 통합해 낼 수 있는 글쓰기 교육이 되어야 한다. 같은 맥락에서 글쓰기 교육은 사고 능력 신장에만 초점을 맞출 수 없으며, 담화공동체 내의 타인들과 소통하기 위한 표현 능력에도 많은 주의를 기울여야 한다. 대학 글쓰기는 그들이 속해 있는 담화공동체의 기본 지식을 바탕으로 이미 정해진 관습적 표현 양식, 사고 과정의 틀을 존중해야 한다. 현재 몇몇 대학에서 시도되고 있는 계열별 글쓰기는 이와 같은 대학 글쓰기의 특성을 고려한 형태이다. 이밖에도 ‘문제해결과정’을 중시한 글쓰기 등 여러 학문 분야의 공통된 관심사를 글쓰기 교육에 반영하려는 노력이 필요하다. 어떤 형태로든 대학 글쓰기는 글쓰기 교육의 수요자들이 필요로 하는 내용과 절차를 담아내는 일이 중요한 과제가 된다. Writing in university is distinct from ordinary writing in that academic writing In university is a writing in certain discourse community consisted of major study. A goal of writing course in university should be to share products from the process of recreating knowledge. Therefore, it should be a writing education that integrate academic professionalism, which doesn’t exist separately from the major education. In this context, writing education not only focused on improvement of cognitive processing, but also it should pay much more attention to the expressing ability to communicate with other members of the discourse community. Writing in university should regard preselected conventional expression manner and the frame of thinking process which are based on schema of the discourse community. Actually, systematical writing tried out by some universities considers this characteristic of the writing in university. In addition, it is needed for us to put an effort to reflect shared interests of various fields of study such as ‘problem-solving process’ focused writing. In any ways, it is a prior role of Writing In University to cover process and content of what the learners need.

      • KCI등재

        <바리공주>의 유아용 개작 작품 특성 연구

        윤신원 ( Shin Won Yoon ),이지양 ( Jie Yang Lee ) 한국어린이문학교육학회 2011 어린이문학교육연구 Vol.12 No.1

        본고는 현재 출간된 무속신화 <바리공주>의 유아용 개작 작품들을 대상으로, 원전이 갖고 있는 작품 요인과 연령에 따른 독서 발달 단계를 중심으로 한 독자 요인을 함께 고려하여, 구체적인 개작 기준을 설정하기 위한 계기를 마련하는 데 그 목적을 두었다. 원전의 주제는 ‘무조신의 유래’이나, 유아용 개작 작품은 유아가 이해하기 쉬운 주제인 ‘효’로 변형 하기도 하고 유아가 받아들이기 어려운 ‘무조신’을 단순화하여 일반적인 ‘신’으로 표현하기도 한다. 서사 구조는 주인공의 단선적인 행적만을 따라가는 간결한 전개로 이루어지지만, 작품마다 강조하는 부분이 다르게 나타난다. 문체에서는 리듬감과 내용의 강조를 위해 다양한 반복을 사용하며, 구어적인 종결체가 주로 나타나서 작품과 독자의 거리감을 좁혀주는 효과를 낸다. 하지만 대상 연령대를 유아용으로 제시한 작품임에도 이와 같은 유아용 작품의 특성이 보이지 않는 사례도 보인다. 이는 유아의 연령대별 개작 기준이 명확하지 않는 데에서 기인한다. 일반적이고도 명확한 연령대별 개작 기준을 만들고, 이에 따라 개별 작품들의 대상 연령을 제시하는 일이 필요하다. This research analyzes the characteristics of rewritings for children titled <Barigongju>. The rewritings need to mapping out a concrete standard for young children by considering the concept of original text and reader`s aging status. Each <Barigongju> approaches the children story from the different viewpoints. One changes the theme to filial piety which is more accessible issue for the children. Others present the universal God instead of Mujoshin(God of shaman) in the original text. The narrative structure is simple which focuses on main character`s single-tracking achievement. The one of the characteristics in style is repetition for emphasizing some of content and creating the rhythm. Moreover, the colloquial style creates the close feeling between readers and texts. However, one of the rewritings does not reveal the characteristics for young children. Because the rewriting is not clear the standard by age group. In short, to clarify the rewriting need the concrete criterion by age group. Furthermore, suggesting the target age standard of general books based on clear evidence is requested.

      • KCI등재

        독서 관련 유튜브 방송의 자막 특성 연구

        윤신원(Yoon, Shin-Won),이지양(Lee, Jie-Yang) 한국어린이문학교육학회 2022 어린이문학교육연구 Vol.23 No.1

        본고에서는 변화하는 미디어 환경에서 아동 독자의 종이책에 대한 독서 행위를 촉진시키는 방안을 모색하고자, 아동 독서 관련 유튜브 방송을 중심으로 하여 방송에서 사용하는 자막의 기능을 종합적으로 분석하고 아동의 실제 독서 행위에 자막이 어떠한 영향을 미치는지 종합적으로 고찰하였다. 그 결과, 아동 독서 관련 유튜브 방송 속의 자막은 핵심 내용을 전달하고 해석의 틀을 제시하며 시각적 즐거움과 몰입을 강화하고 종이책에 대한 관심을 유발하는 기능이 있으며, 이는 아동 독자의 독서 동기를 증진시키고 독서를 지속시키며 독서 행위를 사회적으로 확장시키는 하나의 요인이 될 수 있음을 확인하였다. 자막이 일종의 비계(scaffolding)로써 아동의 독서 행위를 효율적으로 이끄는 조력자의 역할을 수행하고 있다는 본고의 결과는, 전통적인 종이책을 읽는 독서 행위와 끊임 없이 변화하는 미디어 환경과의 다양한 상호작용에 대한 연구가 필요함을 시사한다. This study aimed to find ways to promote children"s reading behavior in a changing media environment. To this end, we analyzed the characteristics of the subtitles in YouTube contents that deal with child reading. and then contemplated how these characteristics affect the reading behavior of children. As a result, new value and utility of subtitles that interact with the reading process was found. Subtitles in YouTube children"s reading contents have the function to present the main idea, the function to present a framework for interpretation, the function to induce visual interest and engagement and, the function to induce interest in paperbooks. These functions of subtitles are factors that induce the reading motivationchild of children and make them continue their reading, and expand their reading behavior socially. These results suggest that it is necessary to study the various interactions between the reading behavior related to traditional paper books and the constantly changing media environment.

      • KCI등재
      • '업','겁'派生形容詞에 對하여

        李智양 大田大學校 1988 論文集 Vol.7 No.1

        ‘업’ 또는 ‘겁’에 의한 파생형용사들은 오늘날 화석화된 것들이 많아 쉽게 파생어임을 깨닫기 어려우나, 대부분의 어근이 국어의 역사 속에서 확인될 수 있으므로 분석대상이 된다. 그 어근은 대체로 동사, 형용사, 명사 내지 의성의태어들이나 특이한 어근도 발견되는 등 광범위하다. 중세국어에서 이미 존재했던 ‘업’ 파생형용사들은 동사어간을 어근으로 한다는 통사적 제약과 어간 말음이 /i/나/j/로 끝나야 한다는 음운론적 제약을 가지는데, 이때의 /i/나/j/는 ‘업’과 통합되는 과정에서 truncation 되거나 glide 형성규칙의 적용을 받는다. 근대국어 이후에는 이러한 제약이 약화되어 명사, 의성의태어 등을 어근으로 하는 파생도 가능하고 동사의 경우도 어간 말음이 /i/나/j/로 국한되지 않아 다른 모음이나 자음으로 끝나는 동사에도 ‘업’이 연결될 수 있었다. 이렇듯 ‘업’이 취하는 어근의 영역이 확대되면서 ‘업’이 ‘브’나 ‘ㅂ’을 대치하는 새로운 파생어가 만들어지기도 하고, 어근 자체가 /i/말음을 가지지 않는 것으로 재구조화되기도 한다. 어근의 의미와 파생어의 의미 사이에는 다양한 종류의 변화가 엿보이나 기본적으로는 “주관적인 감정”이 그 주된 변화이며, 그 이외의 변화는 대체로 품사 전성에 따르는 불가피한 것이라고 생각된다. 이는 형용사에만 연결되는 형태라고 여겨졌던 ‘겁’에도 해당된다.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