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 등재정보
        • 학술지명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제품디자인 감성교육 방법 개발

        이주명(Rhi Joomyung) 한국문화융합학회 2021 문화와 융합 Vol.43 No.4

        제품디자인은 제품의 형태를 만드는 분야로 인식되고 있으며, 디자이너의 감성역량은 형태를매력적인 상태로 종합하는 필수역량이다. 최근 제품디자인 교육이 학제적으로 변화하면서 그동안비중이 높던 조형 교육이 축소되고, 디자인대상의 무형적 측면에 대한 고려가 필요하면서 기존미술에 가까운 교육으로서는 제대로 대응하기 힘든 상황이 되었다. 본고는 이에 대응할 수 있도록제품디자인 학생들을 위한 감성교육의 방법을 제안한다. 제품디자이너를 위한 감성교육 방법은느낌-표현의 순환 체계를 기본으로 쓰기(읽기)로 보완하는 형식을 갖고 있다. 구체적 방법으로감성스케치, 감성스크랩, 감성팔레트, 감성분석, 무드보드, 감성지도의 총 6가지 방법을 제시하였으며 감성역량을 지속적으로 강화하는 일상 훈련과 특정 프로젝트의 도구로 사용할 방법으로구분하여 구체적인 체계를 구축하였다. 6가지 방법을 포함한 16주차 수업이 계획되었고 프로젝트를 통해 방법의 적용 실험을 하였으며, 설문을 통해 학생들의 방법에 대한 평가를 확인하였다. 수업의 결과로서 학생들의 감성역량은 상당히 향상되었으며, 6가지 방법과 강의와 토론, 프로젝트 수행을 통한 실행 연습들이 도움을 주었음을 알 수 있었다. 특히 감성스케치와 감성분석, 감성지도는 효용성이 높았으며 학생들의 감성 역량 향상을 위해 활용될 수 있는 것으로 판단되었다. 부정적인 측면으로서 일부 학생들은 분석적 접근 자체의 효용성은 인정하면서도 직관적 사고를방해할 수 있다는 문제를 제기하였다. 또한 수업자체의 부담이 늘어 전부 진행하는 것이 어려운점이 있었다. 향후 분석적 접근과 직관적 접근의 상대적 적절성 또는 방법으로서 2가지 관점의균형을 유지할 수 있는 방법 등에 대한 추가적인 연구가 필요할 것으로 보인다. 본 연구가 제한된수의 학생들을 대상으로 진행되었기 때문에 향후 일반화를 위한 반복 연구의 진행도 과제라고할 수 있다. Product design is recognized as a field that creates the shapes of products, and the emotional competence of a designer is essential in synthesizing an attractive shape. With recent interdisciplinary changes in product design, formative education, which had held great importance, has been reduced and considering the intangible aspects of object becomes necessary. These aspects make the product design education difficult to respond properly with former art-oriented way of education. To cope with this, this paper proposes a method of sensibility education for product design students that supplement the feeling-expression circulation system with writing (reading) as a basis. A set of six methods is presented: emotion sketch, emotion scrap, emotion palette, emotion analysis, mood board, and emotion map. A system of sensibility education was created involving daily training to continuously strengthen emotional competencies and methods to be used as tools for specific projects. A 16-week class that included the performance of the six methods was planned to test the application of the method. Students thoughts on the methods were then received. The emotional competence of the students has improved considerably as a result of the class, and it can be seen that the six methods, lectures, discussions, and practice exercises through project implementation helped. In particular, emotion sketches, emotion analysis, and emotion maps were highly useful, and it was judged that they could be used effectively to improve the emotional competence of students. On the negative side, some students acknowledged the effectiveness of the analytic approach itself but suggested that it could interfere with intuitive thinking. In the future, additional research is needed comparing the effectiveness of the analytical and intuitive approaches or examining how to maintain a balance between the two perspectives. Since this study involved few students, further studies to allow generalization are called for.

      • KCI등재
      • KCI등재후보

        한국 디자인 산업의 패러다임 변화 : 양적 확대에서 질적 도약으로

        이주명(Rhi Joomyung) 한국디지털디자인학회 2010 디지털디자인학연구 Vol.10 No.2

        한국의 디자인산업은 정부의 주도 하에 지난 20여 년간 비약적 발전을 이루었다. 하지만 2009년 실시된 디자인 센서스의 결과 기업의 디자인 투자와 고용 디자이너수가 반으로 줄어들어 디자인산업이 크게 위축되었음이 밝혀졌다. 그 원인으로서 그동안 디자인산업이 양적 성장만을 지향하여 다음 단계의 성장에 필요한 질적 도약을 분야 내외적으로 준비하지 못했음을 확인하였다. 따라서 이제는 디자인산업의 양적 확장을 지양하고 질적 도약이 가능하도록 패러다임의 전환을 꾀해야 할 때이다. 그렇게 하기 위한 조건으로서 (1)디자인의 개념 인식을 확고히 하고 (2)민간의 역량 증대를 통해 역할을 확대하며 (3)국가 차원에서 디자인의 지식과 기술을 고도화하기 위한 노력이 필요하다. 향후 정책에 상기 내용이 반영되기를 요청하며 디자인계의 주체로서 디자인전문회사 교육계를 비롯한 민간의 노력도 배가되어야 할 것이다. Korean design industry has accomplished great achievement led by the government during last two decades. However the 2009 design census shows that its amount of design investment and number of in-house designers decreased to half of the previous survey's result during 2006-2008 period. It means that the industry is extremely contracted in such short period of time. One of the reasons is realized that they targeted only for the quantitative development of the industry. They failed to develop qualitative achievement for the next step. Therefore it's the time to change paradigm for rather qualitative leap of the industry. In order to reach the goal three prerequisites are suggested as follows : (1) to share the definition of design in the field (2) to let designer's society take the leading role of establishing the policy and its implementation (3) to nurture advanced design knowledge and skills in the national level. The suggestions are required to apply to future design policy of the government. At the same time design societies businesses and schools as the main agents of design field are asked to get more responsibility to accomplish the aim.

      • KCI등재

        산업디자인의 질적 연구 특성 고찰

        이주명(Rhi Joomyung),권효숙(Kwon Hyosook) 한국디지털디자인학회 2011 디지털디자인학연구 Vol.11 No.2

        산업디자이너는 사용자를 대신해서 사용자가 사용할 인공물을 만든다. 따라서 사용자가 디자이너가 됐을 때 가장 이상적인 디자인이 이루어질 수 있다. 이를 목표로 디자인에서 에쓰노그라피로 대표되는 질적 연구 또는 정성적 측면의 연구방법이 본격적으로 도입된 것은 1990년대 이후로 알려져 있다. 하지만 디자인에서 에쓰노그라피는 하나의 사용자 조사 방법일 뿐 질적 연구가 가진 총체적 자연주의적 문화상대주의적 관점을 갖고 있지는 못하다. 디자인의 에쓰노그라피 활용은 단지 방법적 차원에 머물러 있는 것이다. 본 연구는 이런 문제의식을 바탕으로 질적 연구와 디자인의 관련성을 검토하고 더 나아가 질적 연구를 통해 재인식할 수 있는 디자인의 모습은 무엇일지 살펴보려는 목적을 갖고 있다. 연구 방법으로서'문헌 연구'를 실시한 결과 질적 연구를 사용자 니즈를 추출하기 위한 도구가 아닌 인식론으로 받아들일 경우 디자인은 사용자의 니즈의 근원까지 이해하는'사용자 일치'에 근접할 수 있고 보다 창의적인 접근이 가능하며 궁극적으로 디자이너의 성찰을 이끌 수 있는 계기가 될 것이다. Industrial designers create artifacts for the users instead of them. Therefore an ideal design for a user is able to be created when he designs it by himself. To achieve this qualitative study methods which include ethnography are introduced to design discipline since 1990's. However ethnography in design is but only a kind of user research method not a new perspective from holism naturalism and cultural relativism. This research aims to study the relationship of qualitative study and design. In addition it has goal to review the new feature of design through qualitative study. Finally the study concludes that design can achieve the 'user-designer consensus' have more creative results and even reach designer's self-reflection through the qualitative approach as design's epistemology not a method to seek user needs.

      • KCI등재SCOPUS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