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 등재정보
        • 학술지명
        • 주제분류
        • 발행연도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벤자민인성영재학교 학생들의 학습경험에 관한 질적 사례연구

        권효숙 ( Hyosook Kwon ) 국제뇌교육종합대학원대학교 뇌교육연구소 2015 뇌교육연구 Vol.- No.S

        이 연구는 교육의 내용과 형식면에서 독특한 사례성을 가진 벤자민인성영재학교 학생들의 학습경험을 이해하는 데 초점을 맞추었다. 구체적으로 벤자민학교 학생들의 학습경험의 맥락으로서 시간, 공간, 신체, 관계가 어떻게 구성되는지, 그 과정에서 학생들은 어떤 학습경험을 구축하는지 살펴보았다. 이러한 탐색을 위하여 학교교육과정 전개 장면에의 참여관찰, 학생 및 교사들과의 인터뷰, 그 외 관련된 다양한 문서자료를 수집하였다. 학교의 교육활동은``홍익인간``으로 압축할 수 있는 교육목표를 중심에 두고, 뇌교육의 이론과 방법을 그 실질적 토대로 삼고 있어 학생들의 학습경험 구성에 영향을 미치고 있다. 학생들은 뇌교육적 가치와 태도를 토대로 형식적·내용적 유별성을 갖는 학교생활을 통해 통찰적 거리두기의 시간, 자신이 원하는 것을 찾아내는 탐색의 시간과 공간, 그리고 그것을 몸에 아로새겨 자신의 것으로 만드는 기회를 가지게 된다. 이러한 벤자민학교의 시도와 교육적 시공간을 만들어내는 학생들의 성취는 학교교육을 중심으로 발생하는 제반 문제들에 어떻게 접근해야 하는가에 대한 반성과 새로운 시도의 가능성을 제시하고 있다. This study aims to understand learning experience of the students in the Benjamin School of Character Education, that shows unique cases in terms of its educational contents and structure. Specifically, it examines how time, space, body, and the relationship, as the contextual elements of the learning, interacts each other and how the students shape their learning experience in the context. In order to explore that, participant observations on the several school filed, which their curriculum were implemented, interviews with students and teachers were conducted and various documents and written materials were collected. From the research, its educational goal, in a word of ``Hongikingan``, and the theory and methods of Brain Education influence the construction of students` learning experience as the core and practical basement. The students experience that theirselves are changing by the unique contents and structure of the school life that is based on the value and attitude of the Brain Education. Through the process, students are getting understood that the learning has diverse form and locates everywhere, and the meaning of becoming a learning subject.

      • 외상 후 성장을 위한 내러티브의 가능성 탐색

        권효숙 ( Kwon Hyosook ) 국제뇌교육종합대학원대학교 뇌교육연구소 2018 뇌교육연구 Vol.22 No.-

        이 연구는 내러티브적 사고에 관한 이해를 통해 ‘외상’을 인간 경험의 한 영역으로서 새롭게 이해해 보고자 하는 데 목적이 있다. 이를 위해서 외상경험과 관련된 기억, 반추에 관한 개념 검토 및 내러티브의 (재)구성 과정을 이론적으로 검토하였다. 이를 토대로 인간의 내러티브적 실천이 어떻게 새로운 자아정체성을 갖는 데 역할을 하는지 살펴보았다. 내러티브 구성은 경험 자체에 대한 열거나 구성이 아니라 경험에 대한 해석적 작업이다. 그래서 자아정체성의 확립과 올바른 내러티브 구성 은 밀접하게 연결되어 있으며, 외상 후 성장의 가능성도 내러티브를 통해 확보될 수 있다. 내러티브적 존재로서의 인간이 해석학적 순환을 통해 자아정체성을 새롭게 형성하는 과정은 매우 주체적이며 외부세계 혹은 타자와의 상호협조적인 관계 속에서 이루어진다. 외상 후 성장을 위한 내러티브 (재)구성을 촉진하기 위해서는 내러티브의 가능성에 관한 심층적 이해와 구체적 장면에서의 적극적 실천이 순환적으로 이루어져야 할 필요가 있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understand the 'trauma' as an area of human experience through understanding narrative thinking. To achieve this goal, I examined the concept of memory r elated to traumatic experience, the concept of rumination, and the process of reorganization o f t he narrative. Based on this, I examined how human narrative practice plays a role in having a new self-identity. The narrative composition is not an array of experience of itself but an interpretive work of experience. Thus, establishing self - identity and correct narrative composition are closely linked. For this reason, the possibility of post-traumatic growth can be secured through narrative. The process by which humans as narrative beings form new self-identity through the hermeneutical cycle is very independent and takes place in a mutually cooperative relationship with the outside world or others. To facilitate the narrative composition for post-traumatic growth, the possibility of the narrative should be understood and practiced in concrete scenes actively.

      • KCI등재

        다문화적 소통을 위한 사진활용의 가능성 탐색

        권효숙(Kwon, Hyosook) 한국열린교육학회 2011 열린교육연구 Vol.19 No.3

        인구이동의 가속화와 더불어 학교교육 영역에서도 교사의 다문화적 감수성 및 소통능력의 함양이 중요한 과제로 제기되고 있다. 본 논문은 다문화적 교실장면에서 교사가 활용할 수 있는 사진 활용법을 제안하는 데 초점을 맞추었다. 사진은 이미지 해석의 기제를 통해 교사자신의 문화적 준거틀을 반성적으로 검토하고, 학생들의 구체적이고 생생한 삶의 맥락을 존중함으로써 이해지향적태도를 갖도록 돕는다. 문자화된 언어를 넘어서는 해석의 자율성과 주체적 참여 가능성을 확보하고 있는 사진은 포토에세이, 포토인터뷰 등과 같은 구체적인 방법을 통해 다문화교육 영역에서 활용될 수 있다. 그러한 방법을 통해 학생들의 고유한 목소리 속에 내포되어 있는 인식세계를 포착하는 일은 교사의 입장에서는 교육의 출발점을 찾는 일이기도 하다. 교사의 문화적 조응 능력을 함양하는 일이 다문화교육의 중요한 과제라고 할 때 사진은 다양한 차원에서 다문화적 소통의 실행도구로서 중요한 의미를 지닌다. Demographic trends around the world are changing schools. The circumstances call for an additional task of enhancing the multicultural sensitivity and the communicative competence of teachers in the classroom. This study proposed that photography could be an effective tool for teachers who have to develop culturally responsive attitudes and behaviors which facilitate the students’ learning process in the classroom. Photography offers not only a channel through which subconscious beliefs about “self”, and “others” are revealed, but also the opportunity to enter the previously unfamiliar context of the students. It could help improve the teacher’s cultural responsiveness. Because a photographic image guarantees a participant’s untrammeled interpretations and subjective attitudes in the way of photo essay and photo interview, the teachers were given the opportunity to enhance connections between them through these approaches. In essence, multicultural responsiveness education is an important first step in preparing teachers to become effective instructors of diverse classrooms. There are a variety of ways to implement this education and this study proposed photography to be a successful medium for multicultural education.

      • KCI등재

        초등학생의 감정관리 능력 함양을 위한 도덕과 교수·학습 방안 연구

        김은주(Kim, Eunju),권효숙(Kwon, Hyosook) 학습자중심교과교육학회 2019 학습자중심교과교육연구 Vol.19 No.9

        이 연구는 초등학생의 감정관리 능력 함양을 위한 교수·학습 방안을 제시하는 데그 목적이 있다. 감정의 이해와 관리는 자신의 내면을 드러내고 타인과의 상호작용에 중요한 역할을 하는 요소로서, 학생의 개인적·사회적 존재로서의 성장과 깊은 관련을 갖는다. 그러한 점에서 감정관리는 도덕과의 중요한 교육적 과제라 할 수 있으며 실제 2007개정 도덕과 교육과정에 감정관리 지도요소를 신설한 이래 도덕과에서 감정관리 교육을 실시하도록 하고 있다. 한편 이러한 제도적 차원의 문제 인식에도 불구하고 실제 생활 장면에서의 실천의 문제가 지속적으로 제기되고 있다. 이 연구는 교과서 분석을 통해 그 보완적 방법을 제시하고자 2015 개정 교과서가 순차적으로 적용 중인 시기의 교육과정을 대상으로 고찰하되, 교과서의 단원 분석은 감정관리 지도요소를 직접적으로 다루고 있는 5학년 교과서(2012 개정)를 대상으로 이루어 졌다. 이 때 감정관리를 인지·정서·행동의 통합적 접근을 통해 습관 차원으로 정착하 도록 하는 데 초점을 두고, 단원 분석을 통해 보완적인 교수·학습 방안과 교수·학습 과정의 예시 안을 구체적인 지침 수준으로 제시하였다. 보완적인 교수·학습 방안으 로서, 몸을 활용한 감정관리 습관 정착과 도덕교과와 생활세계의 통합을 제시하였다. 몸은 체화의 과정을 통해 우리의 감정을 경험하고 습관화 한다는 점에서 교육의 과정에서 중요하게 고려해야 할 바이다. 더불어 일상 속 학생들의 상호작용에 수반되는 감정을 이해하고 그 경험을 도덕과의 감정관리 수업의 적극적 소재로 활용함으로써 교과-일상의 순환적 피드백이 가능할 수 있을 것이다. The study aims to suggest teaching and learning methods used to foster the emotional management ability of elementary school students. Understanding and managing emotion is an important element, that reveals one s inner-self and plays an important role in communicating with others. It is deeply related to the student s growth as a personal and social being. In this regard, emotional management can be an important educational task with morality. In fact, since the 2007 revision of the Moral Curriculum, the Department has been required to provide emotional management education. On the other hand, despite the institutional awareness of the problem, the problem of practice in real life scenes continues to be raised. This study was conducted on the fifth grade textbook (2012 revision), which directly deals with the parts of emotional management, while the 2015 revised textbook was reviewed on the curriculum of the period in which it was applied sequentially in order to present its complementary method through textbook analysis. At this time, the focus was on ensuring that emotional management was established at a habit level through an integrated approach of awareness, sentiment and behavior, and the supplemental teaching and learning methods and examples of teaching and learning processes were presented at a specific level of guidance. As a complementary teaching and learning method, we presented the establishment of emotional management habits using the body and the integration of moral subjects and the living world. It is important to consider in the course of education that the body experiences and habitats our emotions through the process of physicalization. In addition, by understanding the emotions involved in everyday student interactions and using the experience as an active subject in the moral education emotional management classes, curriculum-daily feedback may be possible.

      • KCI등재

        산업디자인의 질적 연구 특성 고찰

        이주명(Rhi Joomyung),권효숙(Kwon Hyosook) 한국디지털디자인학회 2011 디지털디자인학연구 Vol.11 No.2

        산업디자이너는 사용자를 대신해서 사용자가 사용할 인공물을 만든다. 따라서 사용자가 디자이너가 됐을 때 가장 이상적인 디자인이 이루어질 수 있다. 이를 목표로 디자인에서 에쓰노그라피로 대표되는 질적 연구 또는 정성적 측면의 연구방법이 본격적으로 도입된 것은 1990년대 이후로 알려져 있다. 하지만 디자인에서 에쓰노그라피는 하나의 사용자 조사 방법일 뿐 질적 연구가 가진 총체적 자연주의적 문화상대주의적 관점을 갖고 있지는 못하다. 디자인의 에쓰노그라피 활용은 단지 방법적 차원에 머물러 있는 것이다. 본 연구는 이런 문제의식을 바탕으로 질적 연구와 디자인의 관련성을 검토하고 더 나아가 질적 연구를 통해 재인식할 수 있는 디자인의 모습은 무엇일지 살펴보려는 목적을 갖고 있다. 연구 방법으로서'문헌 연구'를 실시한 결과 질적 연구를 사용자 니즈를 추출하기 위한 도구가 아닌 인식론으로 받아들일 경우 디자인은 사용자의 니즈의 근원까지 이해하는'사용자 일치'에 근접할 수 있고 보다 창의적인 접근이 가능하며 궁극적으로 디자이너의 성찰을 이끌 수 있는 계기가 될 것이다. Industrial designers create artifacts for the users instead of them. Therefore an ideal design for a user is able to be created when he designs it by himself. To achieve this qualitative study methods which include ethnography are introduced to design discipline since 1990's. However ethnography in design is but only a kind of user research method not a new perspective from holism naturalism and cultural relativism. This research aims to study the relationship of qualitative study and design. In addition it has goal to review the new feature of design through qualitative study. Finally the study concludes that design can achieve the 'user-designer consensus' have more creative results and even reach designer's self-reflection through the qualitative approach as design's epistemology not a method to seek user needs.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