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영양교사의 교직경험 분석

        이정숙,Lee Jeongsook 부경대학교 인문사회과학연구소 2015 인문사회과학연구 Vol.16 No.2

        본 연구는 질적연구방법을 활용하여 영양교사들의 교직경험을 총체적이고 심층적으로 탐색하는 것을 목적으로 하고 있다. 기존 연구들의 제한점을 극복하기 위해 영양교사들의 교직경험을 현상학적 질적연구방법을 통해 구체적으로 파악하고자 하였다. 영양교사들의 교직경험은 일차적으로 정체성 확립 과정에서의 혼란과 갈등이 었다. 업무수행상의 애로와 불합리한 제도 가운데서도 교사로서 수업 수행과 표준교 과서의 필요성을 직시하며 준비하고 있었으며, 긍정적인 자세로 전문성 및 역량강화를 위한 노력을 자조적으로 계속하면서 서서히 교직문화에 적응하고 정체성을 확립 해나가고 있음을 알 수 있었다. 본 연구 결과로 보아 영양교사가 정체성을 확립하고 교육자로서의 직무를 수행하기 위해서는 첫째, 영양교육수업과 관련된 구체적인 하위 규정이 마련되어 영양수업시수가 확보되고, 체계적이고 표준화된 영양교육과정의 개발 및 교과서 개발이 요구 된다. 둘째, 업무에 대한 세부지침과 업무의 재분장 뿐만 아니라 업무의 전문성 확보를 위해서 영양장학사의 배치가 반드시 필요하다. 셋째, 영양교사는 직무분야 특성이 다르므로 업무의 특수성을 충분히 고려한 별도의 평가기준을 마련하고 평가항목을 제시하여 사기진작과 교육의 질 향상을 지향해야 한다. 넷째, 전문인으로서의 자기계발을 위해 노력하고 긍정적인 자세로 자신의 발전을 추구할 수 있도록 직무수행도와 만족도를 높일 수 있는 현실적인 방안 마련도 필요하다. The purpose of this research is to analyze the nutrition teachers' experiences in schools. This study was conducted through depth interview with 7 nutrition teachers through an analysis of the qualitative materials which are the data from in-depth interviews, field notes and materials. Data was analyzed using Colaizzi's phenomenological research methods. Overall 95 significant statements, 18 formulated meanings(sub-theme), and 6 theme clusters were deduced. the 6 theme clusters for the nutrition teachers experience in school were 'confusion and conflicts in the identity establishment process', 'opinion about teaching', 'need for standardized text book', 'difficulty on job accomplishment', 'awareness of irrationality of system', and 'effort for empowerment'. Findings from this study can lead us to understand the inner reality of nutrition teachers' experiences and interaction between teachers in the complicated school environment. The results suggesting nutrition education curriculum and standardized text books are needed to teach and enhance nutritional status of the students. Improvement of legal background and making a school inspector of nutrition teacher in the Office of Education Support should be intensified.

      • KCI등재

        텍스트마이닝 분석을 통한 대학생의 문화예술향유 지속력 탐색 -문화예술향유 교양수업을 중심으로-

        이정숙 ( Jeongsook Lee ),박진영 ( Jinyoung Park ),김동진 ( Dongjin Kim ) 사단법인 아시아문화학술원 2020 인문사회 21 Vol.11 No.6

        본 연구는 대학생이 문화예술 교양수업 경험을 통해 인식하고 있는 문화예술향유 지속력의 의미를 탐색하였다. 분석자료는 광주광역시 A대학의 다양한 문화예술 분야 전문가 릴레이 특강으로 진행되는 교양수업을 수강한 184명의 13회차 성찰일지를 수집하였다. 빅데이터 기반 텍스트마이닝(text mining) 분석기법을 활용하여 분석하였다. 연구결과 첫째, 문화예술향유 교양수업에서 대학생은 수업(강의)을 통해 문화예술 및 작품에 대한 관심이 증가하였다. 그리고 그들은 신기하고 흥미로운 생각과 느낌을 갖게 된다는 점을 확인하였다. 둘째, 교양수업 후 대학생이 인식하는 문화예술향유 지속력의 변화는 문화예술 작품에 대한 관심을 넘어 참여와 집중, 노력 등 문화예술 일상화를 위한 적극적인 향유 의지를 보인다는 점을 확인하였다. 본 연구는 문화예술향유 교양수업을 통해 대학생은 문화예술향유 지속력을 갖게 됨을 확인할 수 있었다. 연구결과를 중심으로 대학생의 문화예술 일상화를 위한 대학교양교육의 방향과 정책을 제언하였다. This study explored the meaning of persistence in cultural and artistic enjoyment that university students had perceived through their experience in cultural arts classes. The analysis data was collected from the 13th reflection diary of 184 students who took a special lecture on the relay of experts in various fields of culture and arts at A university in Gwangju. The analysis method used a text mining technique based on big data analysis. As a result of the study, first, in the culture and arts enjoyment classes, it was confirmed that university students have increased their interest in culture and arts and works through classes (lectures). they have confirmed that they will have amazing and interesting thoughts and feelings. Second, it was confirmed that the change in persistence of cultural and artistic enjoyment perceived by university students was not only interested in cultural arts, but also confirmed participation, concentration, and efforts. This study confirmed that university students have the ability to enjoy culture and arts through arts classes. Based on the research results, the direction and policy of university education for the everyday use of culture and arts for university students were suggested.

      • KCI등재
      • KCI등재

        사진예술 교양과목이 대학생의 문화예술창의성 역량에 미치는 효과

        이정숙 ( Jeongsook Lee ) 인문사회 21 2023 인문사회 21 Vol.14 No.1

        연구 목적: 이 연구는 문화예술 창작활동이 중심이 되는 사진예술 교양과목이 대학생의 문화예술창의 성역량에 미치는 영향을 탐색하는데 목적을 두고 있다. 연구 방법: 본 연구의 대상은 G시에 소재한 A대학교의 사진예술 교양과목을 수강한 19명의 학생을 실험집단으로 설정하고, 일반교양 과목을 비교집단으로 설정하여 문화예술창의성역량 사전사후 분석을 실시하였다. 연구 내용: 이 연구의 내용은 4차산업혁명 시대 요구되는 핵심역량을 반영하여 개발된 문화예술창의성 역량 진단도구를 활용하여 사진예술 교양과목에 참여한 대학생의 자기표현, 감성능력, 자긍심, 창의성에 미치는 효과를 탐색하였다. 결론 및 제언: 연구결과, 사진예술 교양과목의 경우 문화예술창의성 역량 사전사후 점수가 모두 향상되었고, 통계적으로 의미는 결과를 보인 역량은 감성능력, 자긍심, 창의성으로 확인되었다. 본 연구결과를 반영하여 대학 교양과목에서 문화예술 창작활동이 중심이 되는 사진예술 교양과목의 효과를 확인하였고, 4차산업혁명 시대 문예술창작 교양과목의 확대 필요성을 제언하였다. The purpose of the study is to explore the effect of photograph liberal arts on the culture and arts creative competency of university student. The subjects of the study were 19 students who took a photograph liberal arts at A university located in G city. Photograph liberal arts students were experimental groups, and students in general liberal arts were comparative groups. A pre-post analysis of cultural and artistic creativity competence such as self-expression, emotional ability, pride, and creativity was conducted on them. According to the result, positive changes were found in emotional ability, self-esteem, and creativity. In light of this, this study confirmed the effectiveness of the photograph liberal arts and suggests the need to expand the liberal arts for the 4th Industrial Revolution

      • KCI등재

        4·19세대의 ‘국토’인식과 리얼리즘의 재편

        이정숙 ( Jeongsook Lee ) 사단법인 아시아문화학술원 2021 인문사회 21 Vol.12 No.1

        본 연구는 ‘국토’를 적극적으로 의미화한 1970년대 작가들의 경험들을 추적함으로써 작가들의 문학적 실천을 보다 구체적으로 조명하고, 그간 문학비평 담론 연구에서 조명되지 못한 ‘현장’, ‘상황’개념의 의미를 ‘국토기행’과 관련하여 밝히는 데 목적이 있다. 이를 위해 ‘국토기행’을 기록한 박태순의 문학적 생산물 및 문학장의 흐름을 연구하는 방법으로 접근하였다. 본 연구결과 기층민중의 삶을 찾아나선 ‘국토기행’이 ‘개발국토’에 대항하여 근대화에 대한 비판적 성찰을 문학적 방법론으로 정립하려는 작가적 노력이었음이 논구되었다. 1970년대 중견작가로서 창작의 변곡점을 맞이한 ‘4·19세대’가 ‘국토’를 통해 리얼리즘을 재편하는 주체로서 문학장을 견인했으며 ‘국토-역사’라고 표현할 수 있는 역사인식으로 나아간 점을 밝힌 데 의의가 있다. This study concretely highlights the literary practices of writers who actively signified the meaning of ‘National Land’ through tracing the experiences of writers in the 1970s, and aims to clarify conceptual meaning of ‘Site’ and ‘Situation’, that have not been highlighted in the literature criticism discourse studies, in relation to the ‘travels around national land.’ For this, it approaches to Park Tae-soon’s literary products which recorded ‘Land trip’, and the flow of literary field.Through the study, it discusses that the ‘travel around national land’ going to find the lives of the populace was an author’s effort to establish a critical reflection on modernization, through a methodology of literature, against the ‘National land development.’ It has a signification of revealing that the ‘4.19’ generation, who met the inflection point of creation as veteran writers in the 1970s, led the literary field as the subject to reorganization of realism through ‘National Land’ and made the progress toward a historical perception which is expressed as ‘Land-history’.

      • KCI등재

        고구마 줄기·잎 추출액과 탄닌을 함유하는 식물염재 추출액을 이용한 견직물의 복합염색

        홍보근(Hong, BoGeun),이정숙(Lee, JeongSook) 한국색채학회 2016 한국색채학회 논문집 Vol.30 No.4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investigate of combination dyeing of silk fabrics with sweet potato stem·leaf extract and tannin-contained plants extract through searching optimized dyeing conditions, examining dyeing properties and assuring values as pleochroic dye to vitalize the resources of sweet potato stem·leaves that are discarded bigger amount compared to sweet potato roots and look for possibility as natural dyeing resources. Combination dyeing with tannin-containing plants extract is carried out for dyeing affinity improvements, the highest K/S value was obtained by giving variety to each pH and examined dyeing property by giving difference to mordanting method and mordant kinds to obtain color difference of various tones. The experiment results for optimized dyeing conditions in combination dyeing with tannin-containing plants extract using sweet potato stem·leaf extraction is as following. The highest K/S value was achieved in combination dyeing of sweet potato stem·leaf extract : chestnut shell extract as 80:20, sweet potato stem·leaf extract : pine bark extract as 50:50, sweet potato stem·leaf extract : chaenomelis fructus extract as 80:20 for 60 minutes of dyeing time at 90℃ dyeing temperature. And all of combination dyeing showed deep color difference from R to RP in after mordanting with Fe. In color fastness (washing, dry cleaning, sunlight, friction and sweat) measurement, it showed slightly lower grade in washing and sunlight fastness of combination dyeing using chestnut shell, pine bark and chaenomelis fructus than exclusive dyeing using sweet potato stem·leaf extract, and highly improved experiment results in friction and sweat fastness.

      • KCI등재
      • KCI등재

        대학생 대상 문화예술창의성 도구 개발 연구

        박진영 ( Jinyoung Park ),이정숙 ( Jeongsook Lee ) 사단법인 아시아문화학술원 2021 인문사회 21 Vol.12 No.5

        본 연구는 4차 산업혁명시대 요구되는 핵심역량을 반영하여 A대학의 대학생이 갖추어할 문화예술 창의성 역량 진단을 위한 도구를 개발하고 타당화하기 위한 연구이다. 본 연구에서 사용한 연구방법과 절차는 다음과 같다. 4차 산업혁명시대 핵심역량 및 문화예술창의성 관련 선행연구 분석을 통해 예비문항 55개를 설정하였고, 구성된 예비문항에 대해 대학교수 15명, 산업체 15명 등 총 30명을 대상으로 델파이조사를 실시하였다. 이를 통해 문항에 대한 삭제와 추가, 수정 등이 이루어졌다. 수정 보완된 문항수 또한 55개로 동일한데, 이 문항에 대한 신뢰도 및 타당도 검증을 위해 A대학교 838명의 자료를 토대로 탐색적 요인분석, 확인적 요인분석, 상관관계 분석을 실시하였다. 문항의 내적 일치도 계수는 기준치 이상이었고, 탐색적 요인분석결과 4개 요인 도출, 확인적 요인분석결과 모형적합도가 충족되었다. 본 연구결과, 문화예술창의성에 대해 자기표현 12문항, 감성능력 7문항, 자긍심 8문항, 창의성 7문항 등 4개 요인, 34개 문항으로 확정하였다. 본 연구의 결과를 토대로 4차 산업혁명시대 요구되는 문화예술창의성역량을 진단하는 도구로 이용될 수 있는 점, 문화예술창의성 관련 대학생 핵심역량 도구를 개발하고자 하는 타 대학들에 기초모델을 제공하는 등의 활용 방안에 대해 제언하였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develop culture and arts creativity scale and verify the validity of that to be expected in the 4th industrial period for university students. The methods and procedures of study were as follows. The 55 preliminary scales of culture and arts creativity were derived through the review of previous studies related to the core competency of the 4th industrial period and culture and arts creativity. The delphi survey was performed by 15 professors and 15 industry worker. Through this process, scales were added, modified, and deleted. And as a result, 55 scales were used in the survey. In order to verify the reliability of the final question and the validity, 838 university students were surveyed, and correlation analysis, exploratory factor analysis, and confirmation factor analysis were conducted. The internal consistency coefficient of the item was more than the standard value, four factors were derived as a result of exploratory factor analysis, and model fit was satisfied as a result of confirmatory factor analysis. According to the results of this study, a total of 34 questions were confirmed, including 12 questions for self-expression, 7 questions for sensitive ability, 8 questions for pride, and 7 questions for creativity as a culture and arts creativity instrument. The results of this study can be used as a measure to understand the competencies of university students. In addition, it can help in the implementation of competency models of other universities that want to develop university students competency scales.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