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후보

        한국어의 다문화 언어 수용과 변용 연구- 다문화 접촉과 언어 차용의 관점을 중심으로

        이윤자(Lee, Yun-Ja) 한국문화융합학회 2016 문화와 융합 Vol.38 No.2

        언어와 문화의 관계는 오랜 동안 많은 학자들의 관심을 받아왔으며, 학자들은 각자의 사유방식을 통해 정치, 경제, 사회, 민속, 종교, 문학, 예술 등의 다양한 측면에서 문화와 언어의 의미를 고찰해왔다. 즉 언어를 통해 문화의 특징과 정보를, 문화를 통해 언어의 특징과 정보를 상호교류 할 수 있기 때문이다. 언어와 문화는 사회와 역사의 변화와도 밀접한 관계가 있어 끊임없는 변화와 다양성으로 시대와 사회를 반영하고, 한 민족의 사상과 감정, 생활양식 등을 담아왔다. 인류의 모든 언어와 문화는 타 언어 공동체나 타 문화, 타 민족과의 자연스런 접촉과 교류 속에서 이루어져 다문화와 다문화어의 성격을 띠고 있다 하겠다. 이때에 얻어진 언어 차용은 차용되는 과정에서 생성·발전·소멸의 언어 생태 양상을 보여준다. 언어 접촉과 문화 접촉으로 한국어에 차용된 언어들은 문화를 형성하면서 한국어에 수용되고 변용되어 오면서, 한국어와의 공존과 조화를 이루며 발전해왔다. 차용 언어들은 한국어의 내적 요인에 의한 언어 체계의 문제들과 더불어 외적 요인을 형성하며 시대와 사회문화, 생활양식의 변화들과 함께 발전해왔다. A lot of researchers have long concentrated their attention on the relationship between language and culture, and they have contemplated the meaning of culture and language in their own way and from diverse angles such as politics, economics, social studies, folk customs, religion, culture and the arts, since language facilitates the interchange of cultural characteristics and information and culture expedites the exchange of linguistic characteristics and information. Language and culture are closely bound up with the shifts of society and history. They are mirrors of contemporary age and society thanks to their characteristics like ceaseless variation and diversity, and represent the thought, sentiment and life style of a race that they belong to. Every language and culture of mankind have evolved through natural contact and exchange with other linguistic communities, other culture and other races. Therefore it could be said that every language and culture of mankind are basically multicultural, and language borrowing takes place during the exchange, which shows the generation, development and disappearance process of language. Loanwords that have been introduced into the Korean language through language contact and cultural contact have been received and adapted in Korean society as part of Korean culture, and they have developed through coexistence and harmony with the Korean language. The loan words have developed along with the contemporary changes of society, culture and life style as one of the internal and external factors of the Korean language.

      • KCI등재

        학문 목적 한국어 읽기 교육의 전략 기반 지도 방안 연구- 전략 기반 지도의 교수-학습 절차와 수업 설계를 중심으로 -

        이윤자(Lee, Yun-Ja) 한국문화융합학회 2017 문화와 융합 Vol.39 No.2

        문자언어를 통하여 읽기는 독자와 글이 상호작용하면서 의미를 이해하는 행위이자 언어 공동체의 주체로서 문자를 통해 의사소통하는 가장 본질적인 언어 기능이다. 외국어로서의 한국어교육에서 한국어 읽기는 한국어 학습자가 글을 읽는 행위를 통해서 다양한 지식과 정보를 받아들이고 소통하며, 개인적․사회적 의미를 구성해 나가는 과정이라 할 수 있다. 학문 목적 한국어의 바람직한 읽기 교육이 진행되기 위해서는 먼저 교수자에게는 읽기에 대한 개념과 읽기 학습의 중요성을 충분히 인식하게 하고, 학습자에게는 글을 읽는 목적과 목표에 따라 읽기에 대한 전략적인 지도 방법이 마련되어야 한다. 읽기의 전략 기반 지도(SBI: Strategies Based Instruction)는 학습자가 접하는 교재를 비롯한 모든 글을 잘 배우도록 지도해야 한다는 것이 아니라, 글을 접하는 학습자의 잠재력을 증진시키는 방향에 초점을 둔 것이다. 즉 읽기 전략 기반 지도는 글과의 상호작용 속에서 학습자가 글을 이해하는 과정의 학습 방법을 지도하는 것에 초점을 둔다. 학습자가 읽기 수업의 진행 과정에서 교수자와의 상호작용으로 유의미한 맥락 속에서 학습의 읽기 기능과 활동을 함으로 학습자에게 읽기 능력의 향상에 도움을 줄 수 있는 읽기 전략을 모색하고 연구하여 교수-학습에 적절하고, 적합한 지도 방법을 찾는 것은 의미 있는 연구가 될 것이다. Reading is a behavior that the reader interacts with the writing through written language to understand what it means, and that is the most substantial language skill to communicate with letters in a language community. In teaching Korean as a foreign language, reading Korean can be defined as a process that the learner who learns Korean receives various knowledge and information and communicate through the behavior of reading to construct his or her own personal social meaning of it. To ensure the efficiency of reading education for KAP, in which way teachers should be helped to be fully aware of the concept of reading and the importance of learning reading should carefully be considered, and diverse strategic teaching methods that serve the purpose of reading should be mapped out for the sake of students. Reading SBI is not to teach learners to properly read every kind of writing to which they are exposed including textbooks. Instead, that primarily aims at improving their potentials. In other words, reading SBI is to teach how to understand writing through interaction with it. Learners are able to foster their own reading skills by engaging in reading activities in significant contexts and through interaction with their teacher. And it will be worth doing to find the right teaching method by exploring what kind of reading strategies can be helpful for the improvement of the reading skills of learners. This study is expected to help teachers to boost their own teaching efficiency by applying reading SBI, and to help KAP learners to grow into independent and autonomous learners by acquiring successful learning strategies about reading.

      • KCI등재

        학문 목적 한국어 학습자의 미디어 리터러시 향상을 위한 교육 방안 연구- 문제중심학습(PBL) 활용의 강의 사례를 중심으로

        이윤자(Lee, Yun-Ja) 문학과언어연구회 2018 문화와 융합 Vol.40 No.3

        끊임없이 쏟아지는 지식과 정보의 21세기 현대사회는 매체환경의 다변화 속에서 언어의 소통 방식도 미디어가 만들어내는 사회문화적 영향 아래 진화해가고 있다. 이러한 현실은 특히 일반 목적 한국어의 고급과정이나 학문 목적 한국어의 교육에서도 체계적인 미디어 리터러시(media literacy)의 교육에 대한 필요성을 시사해주고 있다. 즉 미디어를 통해 소통하는 현실은 언어교육에 있어서도 체계적인 교육적 변화를 요구하고 있는 것이다. 미디어 리터러시 교육의 주요 목적은 미디어에 대한 의미 해석과 이해를 바탕으로 더 나아가 스스로 미디어를 통해 창의적으로 의미를 구성하여 표현하고 소통할 수 있는 능력을 기르는 데 있다. 그러나 교육 현장에서는 미디어 리터러시의 교육에 대한 필요성을 인식하면서도 언어교육의 한정적이고 제한된 여건 속에서 이를 독립된 교과로 다루기가 쉽지는 않았다. 이에 본고는 학문 목적 한국어 학습과정에서 접하는 여러 과목들 중에서 다양한 미디어 자료들을 접하여 미디어 리터러시의 향상을 위한 교육적 방안에 초점을 두었다. 이는 지금까지 미디어 자료들이 한국어 학습의 보조 자료나 학습 활동으로 활용되어 온 측면이 아닌, 독립적 영역으로서의 미디어 리터러시의 교육적 기능과 역할을 살펴보고자 했다. 그리고 이를 학문 목적 한국어의 교수-학습으로 연계될 수 있는 교육적 방안도 모색해보고자 하였다. 이러한 목적을 수행하기 위해서 미디어 리터러시의 교육 특성상 교과 중심 교육 방법보다는 언어 기능의 통합적 접근이 용이하고 비교적 효과적이라고 보는 문제중심학습(problem-based learning:PBL)의 교육 방법을 활용하였다. In modern society of the 21st century inundated with knowledge and information, the ways of communication in language have evolved along with the diversification of media environments, being affected by the sociocultural influence of media. This reality suggests the necessity of systemized media literacy education in advanced Korean language courses for general purposes and in Korean courses for academic purposes. That is, well-planned educational shifts are required in language education under the circumstances that communication is done through media. The main purpose of media literacy education is to interpret the meaning of media, to understand them and to foster an ability to construct meanings in a creative way through media on one s own, to express oneself and to communicate. In the educational sector, however, it s not easy to deal with media literacy education as a separate subject due to the limited given conditions for language education, though the necessity of this education is well recognized.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develop an educational plan to improve media literacy in various KAP(Korean for academic purposes) courses as part of media education by which learners are exposed to a wide variety of media materials. It s especially meant to examine the educational functions and roles of media literacy as an independent area, unlike existing practices that media materials have just used as auxiliary materials for Korean language learning or learning activities for the language. In addition, this study also attempted to explore how to link it with KAP teaching and learning. To achieve the purpose of the study, problem-based learning(PBL), which makes it easier to take an integrated approach to language functions and is considered to be relatively effective, was utilized because of the characteristics of media literacy education instead of subject-centered educational methods.

      • KCI등재

        총체적 언어 접근법에 의한 문학 텍스트 “春香傳”의 읽기교육 연구

        이윤자(Lee, Yun-ja) 중앙어문학회 2015 語文論集 Vol.64 No.-

        외국어교육의 궁극적인 목표는 시대적 요구인 의사소통 능력이라는 듣기·말하기·읽기·쓰기의 기본적인 네 가지 기능을 실제 상황에서 얼마나 자유롭게 사용할 수 있느냐에 달려있다. 본고에서는 현행 대학기관의 한국어교육 통합교재 중에서 공통으로 다뤄진 문학 서사텍스트 “춘향전”의 읽기교육을 언어의 기능들과 연계하여 내용 파악과 맥락의 이해를 효율적으로 교육할 수 있는 “총체적 언어 접근법”으로 그 방안을 찾고자 하였다. 총체적 언어 접근법은 통합된 언어과정으로, 학습자 위주로 개인의 필요와 흥미에 맞도록 기능적으로 학습하고자 한다. 따라서 학습의 원리는 의미 이해를 중심으로 전체에서 부분으로 접근하며, 실제적인 자연스런 언어학습을 강조한다. 또한 학습자의 능동적 상호작용을 통해 교수-학습이 이루어진다. The successful attainment of the ultimate goal of foreign language education depends on how well the learner is able to perform the four functions of listening, speaking, reading, and writing, which are the basic communication competencies required to function in society, in real life situations.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xamine the whole language approach as an efficient method of reading education for "Chunhyang-jeon," which is a literary narrative text that every integrated Korean language college textbook deals with. It is specifically meant to teach the functions of language to help learners acquire an accurate semantic and contextual understanding of the text. The whole language approach is an integrated language learning process, and learner-centered functional learning was planned for this study considering individual needs and interests. The principle of learning was to understand the whole meaning of the text, and then the meaning of the parts; natural language learning was stressed. In addition, positive interaction among learners was emphasized to ensure successful teaching and learning.

      • KCI등재

        학술용어로서의 차용어와 외래어의 용어 구분 문제 연구- 선행연구로 본 용어 정의의 검토와 제안을 중심으로 -

        이윤자(Lee, Yun-Ja) 한국문화융합학회 2017 문화와 융합 Vol.39 No.5

        An interest in and a systematic approach to linguistic borrowing in the linguistics field have been actively inquired since the 1950s. However, the center of the research has been restricted to lexical borrowing. The research methodology has also shown the aspect of being concentrated to lexical layer. Accordingly, it is the reality that a general discussion or a research of the borrowing phenomenon and foreign element has been continued in the relatively poor condition. Also, even the technical terms related to linguistic borrowing have been used according to a researcher’s subjective individuality with failing to secure systematic and general naming(命名) based on individual layer, or have been designated sometimes with being limited to lexical layer. Especially, the description of terms in ‘loan word’ and ‘borrowed word’ has a task that will need to be solved, first of all, the vagueness & ambiguity, the upper concept & lower concept, and the equivocal use & classification of ‘loanword’ and ‘borrowed word’ in English writing. In terms of this, the key of this study is just what proceeds with seeking the pivot of a concept and classification according to the description of terms in ‘loanword’ and ‘borrowed word’ amidst a discussion in previous researches. This matter is being premised to be necessarily described with a synchronic method based on diachronic methodology. In addition, a research of foreign word will not need to be overlooked an interest in foreign elements on borrowing owing to being biased only to the aspect of lexical dimension merely with the terms dubbed ‘loanword’ and ‘borrowed word.’ In this regard, a viewpoint is needed that approaches with a more overall concept through covering up the phonological, lexical and syntactic dimension in foreign word without remaining only in a vocabulary section, through dividing a concept of the conventional ‘loanword’ and ‘borrowed word.’ 언어차용에 대한 언어학계의 관심과 체계적인 접근은 50년대 이래로 활발히 연 구되어 왔다. 그러나 그 연구의 중심은 어휘의 차용에 제한되어 왔고, 연구의 방법론 역시 어휘 층위에 집중된 양상을 보여 왔다. 따라서 차용현상과 외래요소에 대한 전반적인 논의나 연구는 상대적으로 빈약한 상태로 지속되어 온 것이 현실이다. 또한 언어차용에 관련된 전문용어들도 개별 층위별로 체계적이고 종합적인 명명을 확보하지 못한 채 연구자의 주관적 개별성에 따라 사용되어 왔거나, 때론 어휘 층위에 한정되어 명명되어 왔다. 특히 ‘차용어’와 ‘외래어’ 용어의 문제는 애매성과 모호성, 상위개념과 하위개념, 영어 표기의 ‘borrowed word’와 ‘loanword’의 불분명한 사용과 구분이 무엇보다 먼저 해결되어야 할 과제다. 이에 대해 선행연구들의 논의 속에서 차용어와 외래어의 용어 문제에 따른 개념과 분류 유형의 구심점을 찾아가는 것이 바로 본 연구의 핵심이다. 이러한 점은 통시적 방법론을 기본으로 공시적인 방법으로 기술되어야 함을 전 제하고 있다. 또한 외래 언어의 연구가 단순히 ‘차용어’, ‘외래어’라는 용어만으로 어휘 차원의 면모에만 치중되어 차용현상에 대한 외래요소들에 대한 관심도 간과해서는 안 될 것이다. 이런 점에서 종래의 ‘차용어’와 ‘외래어’의 개념을 구분하여 어휘 영역에만 머물지 않고 외래 언어의 음운, 어휘, 통사 차원까지 망라하여 보다 총체적 개념으로 접근하는 시각이 필요하다.

      • KCI등재후보

        대학 교양 한국어 학습자의 時調 읽기를 통한 詩的 정서와 文化의 이해 교육 연구- 황진이 時調“ 동짓달 기나긴 밤을”을 중심으로

        이윤자(Lee, Yun-Ja) 한국문화융합학회 2016 문화와 융합 Vol.38 No.6

        문학을 매개로 언어교육을 할 경우 학습자는 문학 작품의 다양한 언어 표현을 통해 언어의 기능을 향상시킬 수 있으며, 문학적·문화적 요소를 살펴봄으로써 관련 지식을 자연스럽게 학습할 수 있게 된다. 외국인의 한국어 학습에서 읽기 교육을 통한 학습자의 정서적 체험을 극대화 할 수 있는 것은 바로 문학 작품을 다루며, 작품 텍스트 읽기를 통한 작품의 내재된 형상화들을 접하는 것이다. 이것은 바로 학습자들로 하여금 작품 속의 정서와 문화들을 통해 문학 교육의 본질인 ‘이해와 감상’의 측면에서 뿐만 아니라 보편적 정서와 특수한 정서들을 접하는 문화 교육의 측면도 되는 것이다. 한국적 고유의 운문양식인 시조 텍스트의 읽기를 이용한 수업은 시조의 특성과 특징을 이해하고, 관련된 시대적 상황들을 접하게 되는 문화 교육 뿐 아니라 의사소통적 교육으로도 읽기를 함으로 듣기(시조창)·말하기(느낌 발표와 의견 나누기의 토론과 토의 연계)·쓰기(생각 정리하기, 텍스트의 내용 재구성하기) 등으로 학습 활동을 꾀해볼 수 있다. 또한 이를 학문 수행의 학문 목적 교양 한국어 수업 시간을 이용한 텍스트 자료로 활용하여 보다 심화적인 작품 관련 내용들을 다루며, 학습자들의 흥미와 동기 유발적인 학습 활동으로도 유도할 수 있을 것이다. 한국의 고전 문학 교육에서 만나는 황진이의 시조 텍스트는 바로 위와 같은 수업의 지적 호기심과 학습 동기 유발을 충족해줄 수 있고, 관련된 제반 학습 활동들도 가능하게 해주는 명품의 수업 자료가 된다. In case of making language education by having literature as a medium, a learner can improve linguistic function through diverse language expressions of a literary work and comes to be capable of naturally learning knowledge by examining literary and cultural elements. What can maximize a learner s emotional experience through the reading education in a foreigner s Korean language learning is just to address a literary work and to come into the imageries immanent in a work through reading a work text. This directly becomes even the aspect of culture education that learners get universal emotions and special emotions as well as the aspect of understanding and appreciation, which correspond to the essence of education in the literature education through emotions and cultures in a work. A class of using the reading of Korea s peculiar Sijo text in a poetical style is read even with the communication-based education as well as the culture education that understands a characteristic and a feature of Sijo and comes into the related historical situations, thereby being able to devise the learning activity with listening(Sijo-chang(唱))·speaking(connection of discussion and debate between expressing a feeling and sharing an opinion)·writing(arranging a thought, reconstructing text contents). Also, this is applied even to text data using the college Korean-language class time with the aim of studying the learning performance, thereby addressing the deeper contents relevant to a work and being able to be led even to the learning activity of interest and motivation in learners. Hwangjine s Sijo text, which is met in the literature education of Korea s classics, can satisfy the intellectual curiosity and the learning motivation just of the above class and becomes a class material in brand name that makes even all the related learning activities available.

      • KCI등재

        『老乞大』異本에 따른 表記와 內容의 變化 比較

        이윤자(Lee, Yun-ja) 중앙어문학회 2012 語文論集 Vol.52 No.-

        Chinese research and educational method in our conutry have history of exceeding 1,000 years. A research and education on Chinese cannot only have been long historically, but also are very high even in its level. Especially, the accumulation in marking and its data on the sound of Chinese, which was begun from being originated Hunminjeongeum(訓民正音), cannot help being called the great achievement that had been unable to be done even by Chinese people who use Chinese as native language. In particular, a recent interest in the true nature of modern Chinese and in education of Chinese is being highlighted. A record on Chinese, which was left by our ancestors, is certainly precious data more than anything. In such sense, the academic·documentary meaning and value in Nogeoldae(老乞大) are needless to say further. This study formed aspects of a different version(異本) between Haneo version(漢語本) and Translation(飜譯)·Eonhae version(諺解本) in Nogeoldae(老乞大) as follows. First, it tried to compare the aspect of the translated Haneo(漢語 : Chinese word) with Choe Sejin(崔世珍)"s 『Translated Nogeoldae(飜譯老乞大)』, thereby having examined how the uses of vocabulary or sentence structure in Chinese words were changed by being modified and applied to Eonhae version(諺解本). Second, it examined that the changes in Eonhae version(諺解本) show a few aspects in translation up to 『Junggan Nogeoldae Eonhae(重刊老乞大諺解)』. Third, it examined the changing aspect in Hanjaeum(漢字音: Chinese character sound) through comparing 『Nogeoldae Shinseok Eonhae(老乞大新釋諺解)』, which relatively reflected the realistic sound with 『Old version(Gubon) Nogeoldae(舊本老乞大)』through the corresponding relationship with initial consonant(聲母) in contemporary Chinese.

      • KCI등재

        Meigret 에서 Port-Royal 까지 불문법에서의 접속사 : 1550 년에서 1660 년까지를 중심으로

        이윤자 한국불어불문학회 1999 불어불문학연구 Vol.38 No.2

        Cet article a pour but d'e´tiduer la notion de conjonction dans les grammaires de Meigret jusqu'a` Port-Royal et d`expliquer comment se classait la conjonction. Les grammairiens que nous avons e´tudie´s sont les suivants: Meigret, Ramus, Robert & Henri Etienne, Maupas, Oudin, Chilfet, Arnauld & Lancelot. En faisant la synthe`se de leurs the´ories de la notion de conjonction, on peut de´finir la conjonction comme un mot invariable(inde´clinable) qui lie deux mots, deux propositions ou deux phrases avec quelque signification. Le classement de la conjonction varie selon les grammairiens. Ils la classent par cinq espe`ces au moins, dix espe`ces tout au plus. Mais la diffe´rence entre eux n'est pas tre`s importante, parce que leurs classements e´taient purement se´mantiques ou logiques. Ils n'envisageaient pas la valeur grammaticale de la conjonction, ni ne comprenaient la fonction de la proposition. La syntaxe n'intervenait pas a` l'inte´rieur de la conjonction, donc la distinction de la conjonction de coordination avec celle de subordination n'e´tait pas faite jusqu'a` la grammaire de Port-Royal. Les grammairiens franc¿ais e´taient tout a` fait sous l'emprise de l'analyse du latin. C'est pourquoi l'imperfection de leurs e´tudes peut e^tre un re´sultat tre`s naturel. Malgre´ leur insuffisance, elles sont pre´cieuses, car c'est par elles que la syntaxe franc¿aise cammenc¿ait a` s'e´clairer peu a` peu.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