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 KCI등재
      • KCI등재
      • KCI등재

        중국 고등교육 역사 교재 중국사강요 의 편찬과 개정 : 노예사회, 봉건사회 서술을 중심으로

        이유표(Lee Youpyo) 한국문화융합학회 2021 문화와 융합 Vol.43 No.11

        중국사강요 는 중국 대학에서 가장 널리 쓰이고 있는 역사교재다. 본서는 1960년대 처음 출간된 이후, 1994년과 2006년 두 차례에 걸쳐 수정과 보완이 이뤄졌다. 초판은 마르크스적 사회발전단계에 따라 집필되었고, 1994년 수정본도 이러한 관점에서 수정되었다. 한편 2006년 증정본은 기존의 유물사관을 기반으로 편집되었으나, 관련용어는 제한적으로만 사용되고 있고, 목차 또한 마르크스주의적 사회발전단계가 아닌 왕조를 기준으로 구성되어있다. 이는 시대의 변화에 따라 변화고 있는 교육현장의 요구에 발맞춘 것으로, 비교적 자연스러운 변화로 평가할수 있다. 그러나 현재 중국은 중고등학교 역사교과서를 국정화 하였고, 이른바 ‘마공정’과 ‘사사’공정 등의 명목으로 국가가 대학교 역사교재를 편찬하고 있다. 이는 국가가 교육현장의 변화를 통제하는 것으로 기존의 변화와 비교해 봤을 때 상대적으로 부자연스러운 변화라 평가할 수 있을 것이다. The Essential History of China is the most widely used history textbook in Chinese highereducations. Since its first publication in the 1960s, it has been supplemented in 1994 and 2006. The first edition was organized according to the Marxist stage of social development, and the1994 edition was also revised from this point of view. Meanwhile, the 2006 edition was alsocompiled based on the historical materialism, however, terms related to the historical materialismwere used only in a limited way, and the table of contents was also composed based on thedynasty, not the Marxist stage of social development. This is in line with the demands of theeducational field that are changing with the trend of the times, and can be evaluated as aelatively natural change. However, China has decided to change middle and high school historytextbooks to unified textbooks, also compiling universty history textbooks in the name of “Marxisttheoretical research and construction projects”. This is the state’s control of changes in theeducational field, and can be evaluated as a relatively unnatural change compared to the existingchanges.

      • KCI등재

        요서 출토 상말주초 족씨(族氏) 명문(銘文)에 대한 일고찰

        이유표 동북아역사재단 2019 東北亞歷史論叢 Vol.- No.63

        As is well known, there have been a number of excavations of Central plains-style bronze ritual vessels stemming from the late Shang/early Zhou period at the ruins of the Liaoxi (遼西) region since the 1950s. Some scholars interpret these excavations as an active advance of Cental plains culture to this region. However, it is a conclusion drawn based on a few fragmentary materials and leaves much room for discussion. A great proportion of the bronze ritual vessels excavated in the Liaoxi region have clan insignias (族氏 銘文), from which it can be inferred that they were fabricated by adhrents from the Yin-Shang dynasty, given that the people of Zhou did not leave clan insignias, as demonstrated by Zhang Mao-rong (張懋鏞) in his hypothesis that the Zhou people do not use clan insignia (周人不用族徽說). Over the long period during which the Yin-Shang dynasty was gradually replaced by the Zhou dynasty, the Zhou court implemented various policies to control the Yin adherents. First, it appointed Yin- Shang royal families to control Yin adherents. Second, it displaced the Yin adherents to Zongzhou (宗周) or Chengzhou (成周) to control them directily. Third, it appointed feudal lords to control the Yin adherents dispersed across the Zhou territory. It was in this context that Central plains-style bronze vessels of the late Shang/early Zhou period are found in the Liaoxi region. Classification of the related clan insignias shows how the Yin adherents moved northwards when various feudal lords, such as Wei (衛), Xing (邢), Yan (燕), were given the authority to rule them. It also gives clues leading to the assumption that bronze vessels came to the northern regions through the interactions between various clans. This is also indicative of temporary success of Zhou’s advance into northern regions. However, Zhou’s northern campaign seems to have failed towards the middle of the Western Zhou period, judging from the absence of Central plains-style cultural remains in and around Beijing (北京). It is presumably due to the resistance by the Upper Zhangjiayuan culture (張家園上層文化) and the Weiyingzi culture (魏營子文化) that thrived in the Northern Hebei (河北) and Liaoxi region, respectively. In other words, excavations of Central plains-style bronze ritual vessels of the late Shang/early Zhou period in the Liaoxi region may be ascribed to the defence of indigenous culture against the intrusion of Central plains culture rather than to the active advance of Central plains culture to the Liaoxi region. 주지하다시피, 1950년대 이후로 중국 요서지역에서는 商末周初 중원계 靑銅 禮器가 적잖이 출토되었다. 일부 학자들은 이를 중원문화의 적극적 요서 진출을 증명하는 것으로 이해하고 있다. 그러나 이는 몇몇 단편적 자료만 가지고 내린 결론으로, 재론의 여지가 남아 있다. 요서 출토 청동예기는 族氏 銘文이 새겨진 것이 많은데, 張懋鏞 선생이 ‘周 人不用族徽說’에서 밝힌 바와 같이, 周族은 대체로 족씨 명문을 쓰지 않았다는 것을 통해, 요서 출토 청동예기는 殷遺民이 제작했을 가능성이 크다. 상주 교체기, 주왕실은 은유민을 통제하기 위해 다음과 같은 여러 정책을 시행하였다. 첫째, 殷商 王族을 책봉하여 은유민을 통제하게 하였고, 둘째, 은유민을 周의 도읍인 宗周 혹은 成周로 이주시켜 周王이 직접 통제하였으며, 셋째, 諸侯를 각지에 冊封하여 은유민을 통제하게 하였다. 요서 출토 상말주초중원계 청동예기의 출현 또한 이러한 배경 속에서 이해할 수 있다. 관련 족씨 명문을 정리한 결과, 衛·邢·燕 등 제후가 책봉될 때 여러 은유민들이 북쪽으로이동한 정황을 확인할 수 있었고, 여러 족씨들 간의 상호작용으로 청동기가 북쪽으로 흘러들어왔을 가능성도 파악할 수 있었다. 이는 주의 북방 진출이 일시적으로 성과를 거두었다는 것을 보여준다. 그러나 주의 북방 공략은, 서주 중기 이후 좌절을 겪었던 것으로 보인다. 지금의 북경 및 그 주변에 중원문화유적이 보이지 않기 때문이다. 당시 하북 북부에 있었던 張家園上層文化와 요서지역에 있었던 魏營子文化의 대응에 결국북방 진출을 포기할 수밖에 없었을 것이다. 곧 요서지역에서 商末周初 중원계 靑銅禮器가 출토된 것은, 중원문화의적극적인 요서 진출이라기보다는 중원문화의 진출에 대한 토착문화의 대응이라는 요인 때문일 것이다.

      • KCI등재

        북한이 기억하는 고대 아시아:최광국 아시아고대사 의 특징과 한계

        이유표 단국대학교 동양학연구원 2022 東洋學 Vol.- No.89

        This article discusses the purpose and composition of the writings of Asian Ancient History written by Choi Kwang-guk, a professor of history at Kim Il-sung University in North Korea, and its characteristics and limitations. The author set the scope of ‘Asian Ancient History’ as the time when the struggle between the ‘slavery owner’ and the masses (including slaves) unfolded. The author suggested the purpose of this book to explore the development of Asia’s own history from the perspective of ‘de-westernism’. In this context, the author constructed a chapters according to the rise and fall of the ‘slavery owner society’. And the last chapter presents the influence of Asia on the development of Western history. In this respect, this book has characteristics and significance. However, due to the lack of references, there are limitations such as the ups and downs of content description, excessive interpretation (e.g., interpretation of the “nine squares” system), and the use of unverified literature. 본 논문은 북한 김일성종합대학 력사학부 최광국 교수가 집필한 아시아고대사 의 저술 목적과 구성, 그리고 그 특징과 한계에 대해 토론한 것이다. 저자는 ‘아시아고대사’의 범위를 ‘노예소유주’와 인민대중(노예를 포함한)의 투쟁이 전개된 시기로 규정하면서, ‘탈서구중심주의’적 관점에서 아시아 나름대로의 역사 발전 단계를탐구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고 밝혔다. 이러한 맥락에서, 저자는 ‘노예소유자사회’의 흥망성쇠에 따라 장절을구성하면서, 마지막 장에서 서구 역사 발전에 대한 아시아의 영향을 제시하였다. 바로 이러한 면에서 본서의특징과 의의를 발견할 수 있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참고문헌의 부족으로 인한 내용 서술의 부침, 자료의 과도한 해석(예컨대 서주 시기의 ‘정전제’), 그리고 검증되지 않은 사료를 직접적으로 인용한 한계가 엿보이는 것이아쉽다.

      • KCI등재

        중국 고등학교 국정 교과서 『중외역사강요』의 고대문명사 서술 특징

        이유표(Lee Youpyo) 동북아역사재단 2020 東北亞歷史論叢 Vol.- No.70

        2019년 9월부터 고등학교 국정 역사교과서 『중외역사강요』(이하 약칭 『강요』)를 베이징, 상하이 등 6개 성/시에서 정식으로 사용하기 시작하였다. 기존 검정제 체제하의 고등학교 『역사』 교과서와 비교해보면, 체제적·내용적 차이를 발견할 수 있다. 체제적으로 보면, 기존의 정치사(『역사』 Ⅰ), 경제사(『역사』 Ⅱ), 문화사(『역사』 Ⅲ)로 나뉘어 있던 체제를 중국사(『강요』상)와 세계사(『강요』하)로 나누어 통사적으로 집필하였다. 내용적으로 보면 상권은 ‘통일적 다민족 국가론’과 ‘유물사관’이, 하권은 ‘서로 다른’ 시간적·공간적 조건에 따른 문명/문화의 다양성, 그리고 ‘서로 다른’ 문명/문화 사이의 교류를 강조하였다. 고대문명사 부분도 마찬가지이다. 상권은 ‘통일적 다민족 국가론’과 이에 입각한 ‘전설과 역사 사이의 줄타기’, ‘유물사관’에 입각한 발전론이 두드러지고, 하권은 ‘서로 다른’ 다양한 지리적 조건 속에서 발전한 고대문명이 무력과 무역이라는 메커니즘을 통해 서로 교류해나갔고, 로마 시기에 이르러 중국과 교류하기 시작하면서 세계사가 중국 속으로 들어오게 되었다고 서술하고 있다. From September 2019, the high school history textbook The Outline of Chinese and foreign history (is referred to as the Outline ) has been officially used in Beijing, Shanghai and other six provinces and cities in China. Compared with the high school textbook history under the existing an authorized textbook system, we can find the differences in system and content. In terms of system, the former system, which was divided into political history(History Vol.1 ), economic history(History Vol.2 ) and cultural history(History Vol.3 ), has been transformed into Chinese history(The Outline Vol.1 ) and world history(The Outline Vol.2 ). In terms of content, The Outline Vol.1 emphasizes the “multi-ethnic and unity country” ideology and “historical materialism”; The Outline Vol.2 emphasizes the differences of civilization and culture under the “different” space-time conditions, as well as the communication between “different” civilizations and cultures. The same goes for the ancient civilizations. The Outline Vol.1 highlights “multi-ethnic and unity country” ideology, “the double image of legend and history” based on it, and narrates the historical development with “historical materialism”. The Outline Vol.2 highlights the exchange and development of ancient civilizations under “different” geographical conditions through the mechanism of force and trade. and describes that by the time of the Roman Empire, “World History” came into the “Chinese History” when it began to interact with Han Dynasty.

      • KCI등재

        不其簋를 秦器로 볼 수 있는가 ― 不其簋 명문 재검토 ―

        이유표 중국고중세사학회 2018 중국고중세사연구 Vol.48 No.-

        不其簋盖为传世器,其器身一直未见,只存其盖,现藏中国国家博物馆。等到1980年,该器身终于在山东省滕县后荆沟现身,现藏滕州博物馆。器身内壁有铭文151字(重文3字),记载了不其受命与猃狁作战,获得战胜的经过。该器是其作器者“不其”为其“皇祖公伯”而作,正与秦庄公“其”与其祖父“公伯”相合,而且不其与猃狁的战役,看成秦庄公征伐西戎之战,因此不少学者认为不其簋是秦国第一铜器。 但是笔者认为其尚存讨论的余地。首先,不其簋的玁狁不一定是《秦本纪》中的西戎。秦的故土,秦和犬丘皆位于今甘肃省天水一带。猃狁在“太原”,今宁夏固原地区,他们常常骚扰周邦,出没在宗周附近,尚未见在今天水一带活动。此外,不其簋的战役,在战争类型上,属于“却退战”,如果猃狁在天水一带活动,周王不能及时派兵救援。因此笔者认为不其簋的猃狁,并非《秦本纪》中的西戎。 其次,应该要注意该铭文的记述方式。不其借伯氏之语而表扬不其之功。这跟其他铭文自卖自夸相比,更加提高可信性。这也许在伯氏为中心的集团上,为了巩固自己的地位,采取这种方式。这就旁证不其隶属于伯氏的事实。但是我们应该要考虑秦的地位。秦在秦仲时已成为大夫,就是直接接受周王的册命。如果秦庄公是不其,在战术上可以接受伯氏之命,但他不会隶属于伯氏,没有理由从伯氏领赏赐。而且,该铭用几个字来记述猃狁的内侵ㆍ击退ㆍ反击ㆍ击退的过程,颇为鲜明。秦成为大夫不久,编撰如此有水平的铭文,笔者认为不可思议。因此笔者不同意不其簋为秦器说。

      • KCI등재

        서주(西周) 초기 `기자(箕子)`의 조선(朝鮮) 책봉(冊封) 가능성 검토 : 제후(諸侯) 책봉(冊封) 양상을 중심으로

        이유표 ( Lee You-pyo ) 경희대학교 인문학연구원 2017 인문학연구 Vol.0 No.34

        이른바 `기자동래설(箕子東來說)`은 주무왕(周武王)이 은(殷) 나라를 멸망시킨 후, `기자(箕子)`를 `조선(朝鮮)`에 `책봉(冊封)`하여 문화를 전파했다는 것을 골자로 한다. 비록 그 신빙성에 대해 그동안 많은 의혹이 제기되었지만, 중국에서는 아직까지도 이를 기본으로 한 논문이 계속 나오고 있다. 따라서 필자는 이를 검증할 필요가 있다고 판단, `책봉`이라는 키워드로 그 가능성을 검증해 보았다. 당시 `조선`이 실재했다고 보는 학자들은, 그 위치를 지금의 중국 요령지방 혹은 한반도 서북부로 보고 있다. 만약 주무왕이 기자를 조선에 책봉하려면, 주의 세력이 조선이라는 지역을 직간접적으로 통제를 해야 했다. 서주(西周) 초기 주(周) 나라의 책봉을 보면, 성왕(成王) 시기에 위(衛)를 책봉했고, 강왕(康王) 시기에 형(邢)과 연(燕)을 책봉했다. 그러나 당시의 교통로와 청동예기의 출토 양상을 고려해 봤을 때, 주 나라의 세력이 지금의 북경 지역을 거쳐서 동북지역까지 미치지는 못했던 것으로 보인다. 따라서 주무왕이 기자를 조선에 책봉했을 가능성은 성립하지 않는다. With stress on investiture, this article examines the historical possibility where Kija was vested with the authority to rule Joseon during the reign of King Wu of Zhou (周武王). Those who argue for the historical presence of Joseon at that time tend to locate the kingdom geographically in the Liaonying area of modern China or the northwestern part of Korea Peninsula. What should be more carefully noted here is the fact that the argument is to prove direct or indirect influences of Zhu upon Joseon for the possibility of the investiture. However, studying the investiture of early Western Zhou, traffic routes of the day, and the excavation of ritual relics in bronze, I contend that the power of Zhou had been far from even reaching the Liaonying area including the contemporary Peking. Therefore, we need to strongly reconsider the historical possibility of Kija`s enfeoffment by King Wu in ancient times.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