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학위유형
        • 주제분류
          펼치기
        • 수여기관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지도교수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이영미의 "The Holy Cross" for Two Pianos (2008) 분석 연구

        이영미 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2009 국내석사

        RANK : 247711

        본 논문은 이영미의 “The Holy Cross" for Two Pianos (2008)에 관한 분석 연구이다. 이 작품은 석사학위 이수를 위한 졸업연주회 작품이며 2008년 11월 24일 이화여자대학교 리사이틀홀에서 초연되었다. 1890년경부터 1910년경까지 음악사의 흐름은 ‘낭만주의’(Romanticism) 음악과는 뚜렷하게 구분되는 변화를 보여주었다. 그래서 이 시기를 단순히 ‘후기 낭만시대’(Post-Romanticism)로 보기보다는 독자적인 의미를 가지는 시기로 보려는 시도들이 나타났다. 이 시기는 낭만주의 전통에서 급격하게 벗어나 다양한 변화가 보여 지고 있었으며 20세기의 양식을 예견하는 과도기적 시기였다. 그렇기에 많은 작곡가들은 자신만의 독특한 음악적 색채나 음향, 음악적 재료나 전개방식 등을 찾고자 하였다. 그 하나의 방안으로 화성과 음계를 통해 다양한 변화를 시도해 자신만의 작곡 방식을 만들어 냈다. 그 예로 본인 작품에 영향을 준 림스키-코르사코프(Rimskii-Korsakov, 1804-1915)와 스크리아빈(A. Scriabin, 1872-1915)은 8음 음계(Octatonic Scale)를 사용하였다. 림스키-코르사코프는 신비적인 분위기와 초자연적인 인물을 묘사하기 위해 조적 기능이 덜한 8음 음계를 효과적으로 사용하였으며 스크리아빈은 장·단조 체계를 불분명하게 하고 음향적으로 신비적인 음색을 갖게 하기 위해 8음 음계를 사용하였다. 이들이 사용한 8음 음계(Octatonic Scale)는 중심음(Tonal Center)이 존재하지 않고 모든 음을 서로 동등하게 취급한다. 이 음계의 ‘음의 동등성’은 기능적인 화성에서 벗어나는 음악을 구상하는 요소가 되기도 한다. 본인의 작품 “The Holy Cross" for Two Pianos (2008)는 예수님을 믿지 않는 이들이 이 곡을 통하여 복음을 접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하여 예수님의 ‘십자가 고난의 길’을 보여주는 복음서의 말씀을 바탕으로 작곡하였다. 전체적인작품 형식은 A-B-Coda-C-A'-B'-A''의 ‘변형 제 3 론도 형식(Departures from Prescribed Rondo Form)’이며 단악장 곡이다. 세부적으로는 일곱 개의 Section과 열여섯 개의 Subsection으로 나누어져 있다. 주제는 두 개의 주요 주제로 이루어져 있으며 이 주요 주제인 제 1, 2 주제가 각각 Section A와 Section B에 나타나고 있다. 그리고 Section C는 제 1, 2 주제가 확대 및 축소되어 발전하는 구조로 이루어져 있으며 Section A', B', A''는 주제의 재현으로 이루어져 있다. 이 곡 전체의 화성은 감 7화음 구성(Dim.7 Chord Structure)으로 이루어진 8음 음계(Octatonic Scale)로 이루어져 있으며 림스키-코르사코프와 스크리아빈과는 다르게 8음 음계(Octatonic Scale) 안에서 각 Section에 중심음(Tonal Center)을 두어 그 중심음의 연관을 병진행 기법(Parallel Progression)으로 전개 시키고 있다. 중심음(Tonal Center)을 사용한 이유는 ‘십자가 고난의 길’ 을 통해 세상의 구원자로서 ‘중심’이 되신 ‘예수님’을 표현하기 위한 본인의 의도이며 또한 림스키-코르사코프와 스크리아빈이 사용한 음악적 어법과는 다른 가능성을 제시하기 위함이다. 그리고 보다 다양한 음악어법을 작품 활동에 반영하는데 있어 이번 연구가 하나의 기반이 되었으면 하는 바이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conduct an analytical study of "The Holy Cross" For two pianos (2008). This work is composed for graduation concert in partial fulfillment of the requirements for the degree of master of music and premiered on November 24, 2008 at Recital Hall, College of Music, Ewha Womans University. From 1890 to 1910, the flow of musical history showed distinct changes from 'Romanticism' music. Therefore there are some attempts to interpret the period as not Post-Romanticism but era which has independent meaning. It is transitional period to predict 20th-century form and there is rapid escape from romantic tradition to show various changes. So many composers were trying to find their own musical color, sound, musical material and evolvement method. One of the solutions is to try a variety of attempts to change of harmony and scale for making their own composition style. Rimskii-Korsakov and A. Scriabin, who give effect on my work, used octatonic scale. Rimskii-Korsakov used less tonal octatonic scale effectively to represent mysterious atmosphere and supernatural people and A. Scriabin used octatonic scale to make major-minor system ambiguous as well as to represent the mysterious musical sound. Octatonic scale which they used has no tonal center and treats all sound equally. "Equality of a note" of this scale may be element of planning for beyond dynamic harmony. My work "The Holy Cross" for Two Pianos was composed based on word of the gospels which shows the way of the cross to make many people who do not believe in Jesus Christ had godsend. This work is a single movement and has departures from prescribed rondo form which consist of A-B-Coda-C-A'-B'-A. This work is divided to 7 section and 16 subsection in detail. The main subject consists of 2 primary theme and the 1st theme and the 2nd theme are appeared in section A and section B respectively. In section C, the 1st and the 2md theme are expanded and reduced for developing and section A', section B', and section A'' are expressed for reproduction of the theme. The main chord of this work is octatonic scale which consists of Dim7. chord structure and relation of tonal centers are evolved using parallel processing by set tonal center to each section of octatonic scale unlike Rimskii-Korsakov and Scriabin. The reason of using tonal center is to represent Jesus Christ who is messiah of the world through 'Cross-road of suffering' and to suggest the possibility of the musical language which is different to the language which Rimskii-Korsakov and A. Scriabin used. I wish to this thesis shows another example for advanced musical work activity.

      • 학급 도우미 역할 부여가 위축행동유아의 또래상호작용에 미치는 영향

        이영미 대구대학교 2010 국내석사

        RANK : 247647

        저 출산 및 핵가족화, 맞벌이 가정의 증가로 인해 가정에서 부모, 형제와의 상호작용 기회를 충분히 제공받지 못하고 어린이집이나 유치원과 같은 구조화된 또래집단과 더 많은 시간들을 보내고 있는 사회적 상황 속에서 또래와의 관계가 원만하지 못하거나 사회적 기술과 의사소통 기술의 부족으로 또래들로부터 거부, 무시, 고립, 소외되거나 위축되어 일상적인 놀이와 활동에 참여하지 못하는 위축행동유아가 점점 늘어나고 있다. 위축행동유아는 다양한 사회적 상황에서 매우 수줍어하고 수동적이며, 타인과 잘 어울리지 못하고 활동이나 놀이를 회피하거나 거부한다. 그러나 교사와 부모는 그들의 위축행동을 단순히 발달속도상의 문제라고만 여길 뿐, 이후 성장과정에서 나타날 정서·행동 상의 추가적인 문제점에 대해 깊이 인식하지 못하고 있는 실정이다. 본 연구에서는 위축행동유아에게 학급에서 일상적으로 사용되고 있는 학급 도우미 역할을 부여하여 위축행동유아의 또래상호작용에 미치는 영향에 대하여 알아보고자, 평소 위축행동을 보이는 유아들 중 Bower, Clarke, Quay의 정서행동장애 A, B형 선별지를 통해 불안, 위축항목 중 A형은 1개 이상, B형은 2개 이상에 해당되는 유아들을 1차 선정하였고 K-CBCL의 위축척도가 70T점 이상에 해당하는 유아 3명을 최종연구대상으로 선정하였다. 선정된 위축행동유아들에게 대상자간 중다기초선설계를 사용하여 3가지의 학급 도우미 역할(간식, 편지, 치약)을 매일 수행하도록 하였고 자유선택활동 10분 동안 부분간격기록법을 사용하여 다음과 같은 결과를 얻었다. 첫째, 학급 도우미 역할부여는 위축행동유아의 대화하기를 증가시켰다. 둘째, 학급 도우미 역할부여는 위축행동유아의 활동공유하기를 증가시켰다. 본 연구의 결과를 종합해 보면, 학급 도우미 역할 부여는 위축행동유아의 또래상호작용을 증가시켰고 위축행동유아에게 자연스럽게 또래와 상호작용 할 기회를 제공하였고 교사에게도 프로그램 개발 및 실험환경의 조작을 위한 수고나 부담 없이 유치원 현장에서 쉽게 제공할 수 있다는데 그 의의가 있다. These days, children tend to spend more time with their peers at nursery schools or children’s care centers and as a result they lack the opportunity to have sufficient interaction with the parents and siblings. this is largely due to the low birth rate, increasing number of nuclear families, and the increase in the number of families where both the husband and wife work. Amidst this social situation, the number of children showing withdrawal behavior who are neglected, alienated, rejected and belittled by their peers is increasing due to the lack of social and communication skills. Likewise, they are unable to participate in every day games and activities. Children showing withdrawal behavior tend to be very shy in diverse social situations. They tend to be passive and tend to dodge from activities and games and struggle along with others. However, teachers and parents consider their withdrawal behavior as merely a stage that they will grow out of with time. They fail to be aware of the additional problems such as emotional and behavior related problems that will surface later on during the formative process. In this research, children showing withdrawal behavior were assigned to the role of class helper to study the effect of peer interaction on children showing withdrawal behavior. Among the children showing withdrawal syndrome, Bower, Clarke, Quay’s method for discerning Type A or type B of the emotional disorder was leveraged to measure anxiety levels. Among the withdrawal categories, Type A selected children correspond to at least one, while type B selected children who correspond to at least two. Three children who correspond to at least 70T points on the K-CBCL withdrawal measure were selected for the final research. Single Subject Design was used to study the selected children showing withdrawal behavior, and the children were asked to perform three roles as the class helper (snack, letter, toothpaste) every day. The following results were obtained by using the partial-interval recoding method during 10 minutes of free time. First, assignment of the role as the class helper helped the children showing withdrawal behavior to hold conversations more with the peers. Second, assignment of the role as the class helper helped the children showing withdrawal behavior to participate in the activities. When the results of this research are summarized, assignment of the role as the class helper increased interaction with the peers, and provided the children showing withdrawal behavior the opportunity to interact with their peers naturally. This research is meaningful in the sense that the teachers can apply this method easily without having to develop a special program or to alter change the testing environment.

      • 다문화가정 부모의 지시적 양육태도와 아동의 정체성혼란이 학교생활 적응에 미치는 영향: 자아존중감과 사회적지지의 매개효과 검증

        이영미 호남신학대학교 기독상담대학원 2018 국내석사

        RANK : 247647

        국 문 초 록 다문화가정 부모의 지시적 양육태도와 아동의 정체성혼란이 학교생활 적응에 미치는 영향: 자아존중감과 사회적지지의 매개효과 검증 이영미 기독상담학과 호남신학대학교 기독상담대학원 어린이집에 근무하면서 점차 다문화 가정이 늘어나고 또한, 다문화가정의 부모님들께서 어린이집에 찾아와 상담을 요청을 할 때가 많았다. 그러면서 다문화가정의 아이들의 정서적 문제가 발생하는 경우가 일반가정의 아이들보다 좀 더 빈도가 있음을 느꼈고, 부모님들과 상담하고 나서 아이들을 보면 안쓰럽고 그들을 위해 돕고자하는 마음이 강하게 들어 상담이라는 공부를 시작하게 되었고 논문을 통해 다문화 아이들의 자아존중감과 학교생활이 궁금하여 논문 주제를 선정하게 되었다. 다문화 아동의 정체성 혼란과 지시적 양육태도와 학교생활적응 관계에서 자아존중감과 사회적지지의 매개효과를 검증하고자 가설을 세우고 설문지를 만들어 다음 과 같이 설문조사를 실시하였다. 사회적 지지의 매개효과 검증을 위하여 전북에 거주는 초등학교학생 300명을 대상으로 조사를 진행하였다. 조사기간은 2017년 9월 1일부터 10월 30일까지 진행하였으며, 총 300부를 배포하여 275부를 수거하였고 설문처리에 부적절하다고 판단되는 15부를 제외하고 260부를 자료 분석에 활용하여 분석하였다. 첫째, 본 연구는 남녀가 비슷하게 표집되었고, 주로 초등학교 6학년이 응답하였으며, 부모님과 선생님과의 관계, 부모님과 내 친구와의 관계가 대부분 좋은 것을 나타났다. 다문화 관련 교육은 1회~5회가 가장 높게 나왔고, 친근감을 느끼는 사람은 엄마, 아빠, 친구가 높게 나왔다. 둘째, 지시적 양육태도는 중간 값에 가깝게 나타났고, 정체성 혼란은 중간정도의 값으로 나타났으며, 정체성 혼란은 낮게 나왔고 사회적 지지도 중간보다 상위로 나와 지지체계도 비교적 잘 되어 있으며 학교생활적응도 4점에 가까운 점수로 나타났다. 셋째, 인구사회학적 특성에 따른 학교생활만족도를 알아본 결과 성별, 지역, 종교행사참여횟수, 다문화 관련 교육은 학교생활적응 차이를 나타내지 못했으며, 학년, 친한 친구, 부모님과 선생님관계, 부모님과 내 친구관계, 자신의 외모, 친근감을 느끼는 사람에게는 학교생활적응에 차이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넷째, 가설에 있어서는 지시적양육태도가 높을수록 자아존중감은 낮은 것으로 나타났으며, 지시적양육태도가 높을수록 사회적 지지는 낮았고, 지시적 양육태도가 높을수록 학교생활적응은 낮은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지지적 양육태도와 학교생활적응관계에서 자아존중감은 매개효과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지지적 양육태도와 학교생활적응관계에서 사회적 지지는 매개효과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정체성혼란이 높을수록 자아존중감은 낮았으며, 정체성혼란이 높을수록 사회적 지지와 학교생활 적응은 낮은 것으로 나타났다. 정체성혼란과 학교생활적응관계에서 자아존중감은 매개효과가 있었으며, 정체성혼란과 학교생활적응관계에서 사회적지지 또한 매개효과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가설을 세운 것에 대한 부합한 결과를 보여준다. 다음으로 향후 연구를 위한 제언을 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본 연구는 전북 고창군을 중심으로 연구하였는데, 향후 연구에서는 전국적으로 대상자를 확대하여 연구를 실시할 필요가 있다. 둘째, 현재 조사된 대상들이 주로 초등학교 고학년을 대상으로 연구되었으므로 초등학교 저학년도 골고루 표집하여 연구하는 것이 필요하다. 셋째, 변수 선정에 있어 보다 다양한 변인들을 선정하여 학교생활적응 영향요인들을 밝힐 필요가 있다. 넷째, 다문화 아동에 대한 연구들은 많은 것으로 나타났고, 앞으로는 결손가족의 아동에 대한 연구도 이루어져야 한다고 느낀다. 다문화 가정에 대한 사회적 지지와 관심은 상당부분 잘 이루어지고 있지만, 결손가정에 대한 아동들의 사회적 지지와 관심은 소외되고 있는 것 같은 느낌을 받았고, 한부모가정, 조부모가정의 아동들의 자아존중감과 학교생활적응에 대한 연구와 사회적 지지, 관심이 절실히 필요하다고 느끼며, 다음에 논문 쓸 기회가 주어진다면 농어촌을 중심으로 결손가정의 아동들에 대한 연구를 꼭 해보고 싶다.

      • 러일전쟁 후 일본문학에 나타나 있는『교사상』-『파계』, 『도련님』, 『구름은 천재이다』를 중심으로- : 이영미

        이영미 경북대학교 교육대학원 2007 국내석사

        RANK : 247647

        제 1장은 명치시대 개관으로 에도막부가 종말을 고하고,1868년 명치유신으로 명치천황의 즉위와 함께 일본의 근대가 시작되었다. 에도시대 후기막부를 쇄국에서 개국한 명치정부는 천황친정을 기본으로 부국강병을 슬로건으로 한 적극적으로 스스로 구미열강에 대항 할 수 있는 내실을 조기에 육성하고, 독립국가로서의 자립하려고 하였다. 그것을 위해서 구미열강을 모델로 한 여러 가지 개혁에 착수했다. 명치정부의 기본방침은 다음해 1868년의 5개조의 어조문에서 구체적으로 명문화되었다. 합의체제, 궁민일체의 국가형성, 구습의 타파, 세계열국에 합류할 수 있도록 실력을 배양하는 것 등이 그 내용이다. 그리고 명치정부는 지조개정, 식산흥업, 학제, 징병령을 시작으로 정치 군사 경제 교육 등 모든 부문에서 개혁을 추진했다. 그러나, 성급한 수용이 가져온 부담의 증대는 사회의 혼란과 국민각층의 저항을 불러 일으켰다. 여기서 자유민권운동이 일어나게 되고, 정부는 운동의 부흥에 대해여 언론탄압의 법령으로 대항했다. 결국에는 10년 후 국회개설을 약속한 <국회개설의 칙유>를 내기에 이르렀다. 그리고1889년 대일본제국 헌법, 황실전범을 발포, 게다가 다음해의 부현제, 군제의 제정과 교육칙어의 알림까지 일련의 정책은 천황을 중심으로 하는 독립적인 입헌체제의 구축을 지향했다. 헌법에는, 천황의 절대성, 신성성을 전제로 광범위한 천황대권을 규정하여 강대한 권력을 집중해서 천황중심의 국가의 완성을 도모했다. 그 후 일청전쟁과 러일전쟁의 승리에 의해 일본은 강대국의 대열에 합세하게 되고, 본격적인 식민지 경영에 착수할 필요성을 느껴, 강대국에 걸맞은 군비의 확장과 철도 국유화, 공업의 확대, 정비 등 경영 기반의 내실을 과제로 삼았다. 그리고 교육은 1871년 문부성을 설립한 명치정부는 1872년 근대적통일국가의 건설을 위해 <학제>에 의한 교육개혁을 거행했다. 전국에 학교를 설립하고 의무교육을 도입하여 프랑스와 독일의 학제를 모델로 해서 근대 교육제도를 확립했다. 그 후, <학제>는 <교육령시대>그리고 <학교령 시대>로 변해가면서 교육목적은 급속하게 국가주의화 되어갔다. 결과적으로 1872년의 <학제>의 공표는 문명개화와 함께 개인의 입신양명을 위한 지식, 기술의 습득이 중요시 되었으나, 자유민권운동의 고양에 위기를 느낀 명치정부는 운동을 직접 탄압함과 동시에 학교 교육을 통제하기 위해 인의충효를 핵심으로 하는 도덕교육에 중점을 두게 된다. 부국강병과 천황중심의 명치국가를 확립하기 위한 정책과 방침은 교사가 일방적으로 교수하도록 하여 교육은 기계화 되고 ,형식화되었다. 이와 같은 교육은 생도의 자유나 발달을 방해하고 개인의 신장을 속박하게 된 것이다.『破戒』、『坊っちゃん』『雲は天才である』는 그 명치시대의 학교를 배경으로 쓰여진 소설로 작품 속에는 명치시대의 폐단을 예리하게 비판하고 있다. 특히 근대학교의 실정을 비교적 자세하게 그리고 있다. 제 2장은 지금까지의 선행론과 떨어져 학교와 교사를 중심으로 『破戒』를 분석했다. 형식주의자에 국가주의교육을 맹신하고 있는 교장을 비판하면서 청년 교사 우시마츠의 모습을 통해 오늘날 우리들이 교사로서의 가져야 할 올바른 자세를 제시한 소설이다. 『破戒』는 고모로의숙에서의 교사로서의 경험에 기초하여 당시의 학교교육이 행하고 있는 교육내용을 사실적으로 묘사한 소설로 당시의 일반적인 교육자의 학교생활이나 마음가짐을 우시마츠의 눈을 통해 비난하고 있다. 동경명치학원에서 공부하면서 신사상에 눈뜬 토손은 인본주의를 맛본 것이다. 시골교사는 <교육세목>에 기초하여 ‘규칙’을 지키고 ‘명령’에 따르도록이라고 생도를 훈도하면 자신의 역할은 완전히 수행했다고 착각하고 있다. 그리고 자신의 이익을 위해서 군장학사에게 아첨하여 자신의 자리를 강건히 하는데만 관심이 있는 교장이다. 이러한 의미에서 우시마츠와 같은 민주적이고 생도에게 애정있는 인물을 그린 것 일 것이다. 굳이 우시마츠와 같은 교사를 그린 것은 당시의 교육계를 걱정한 토손으로부터의 메시지 일 것 이다. 학교의 안에 신구집단의 대립도 당면과제로서 제시되고 있다. 이것은 명치 사회의 당면과제이기도 했다 토손은 그것을 간과하지 않았다. 여기까지 본 결과, 토손은 교장을 통해서 군국주의에 기초하여 행해지고 있는 교육을 비판하고 봉건적인 색채가 짙은 교육과 구파라고 부를 수 있는 교장 등의 교사에 대해서 강하게 항의하고 있다. 토손은 명치 교육의 현실을 비판함과 동시에 학교 내의 신구의 대립을 확실하게 하여 새로운 교사상의 필요성을 역설하고 있는 것으로 보인다. 게다가 토손이 바라는 사표(師表)를 분명하게하기 위해 아버지와 렌타로를 극명하게 대립시켰던 것이다. 참교사의 바른 자세는 물론 인간으로서의 인생을 살아가는 태도를 가르쳐 주었다. 부모라는 사람은 아이가 태어나서 처음으로 만나는 인생의 선생이다. 그 의미에서 아버지의 가르침인 훈계는 사회를 살아가기 위한 지혜였지만 진실이 결여되어 있는 지혜는 사회에서 살아가기 위한 하나의 요령에 불과하다. 아버지가 우시마츠에게 가르쳐야 했던 것은 사회를 혼자 헤쳐갈 수 있는 힘이었다. 아버지와 다르게 자각한 인간인 우시마츠는 아버지의 훈계와 진실의 사상을 두고 고뇌 할 수밖에 없었던 것이었다. 아버지의 훈계보다 진실의 사상을 가지고 정의를 지켜내려고 하는 렌타로의 행동이 우시마츠를 감동시킨 것이다. 여기서 확실해진 것은 토손이 진정으로 그리고 싶었던 이상의 교사는 우시마츠의 교사상을 뛰어넘는 인물이었다는 것이다. 토손의 이러한 강한 희망이 렌타로라는 사표를 낳은 것은 아니었을까. 진실을 위해서라면 목숨도 아까워하지 않고 사회에 대항한 렌타로의 진정한 삶의 방식. 이 진정한 삶의 방식 앞에서는 아무리 엄한 아버지의 훈계라 할지라도 무기력해져 버린 것이다. 렌타로가 장렬한 죽음을 맞이한다는 행동은 우시마츠의 사표로서 그에게 새로운 삶의 길을 안내해 준 것이 아닐까. 이러한 의미에서 시대의 사표로서 렌타로를 선생이라고 불러도 무리는 없을 것이다. 제3장에서는 소세키의 소설 『坊っちゃん』을 중심으로 소세키의 교사상에 대해서 고찰해 보았다. 그리고 소세키가 동경제국대학 시절 쓴 『중학 개량책』을 분석해, 그의 교육관을 조사해 『坊っちゃん』에 어느 정도 반영되어 있는가를 고찰해 보았다. 그 결과, 소세키의 교사로써의 체험과 소세키의 교육관이 대부분 반영되어 있다는 것을 알았다. 등장인물을 중심으로 분석했으나, 『坊っちゃん』에 등장하는 인물을 신교육을 받은 근대교사 보짱과 전근대교사라고 말 할 수 있는 빨간셔츠를 대별해서 그것을 인물이 가진 성향을 중심으로 인격사회 지향의 도련님과 이익사회 지향의 빨간셔츠로 분류해서 순석해 보았다. 인격 사회를 지향하는 교사 도련님은 성급한 판단을 내리기도 하고 자기 위주에 제멋대로인 정격의 소유자라는 결점을 가지고 있으나, 근본적으로는 정의와 의리 그리고 정직을 기본으로 하여 도덕심을 중요시 여기는 교사이다. 그러나 소세키가 말한 바와 같이 교사가 되기 위해 준비한 것도 전혀 없고 성격적인 면에서는 자질이 없는 교사이다. 게다가 교육애도 없고 노력해 보겠다는 의지도 없이 겨우 1개월로 교사를 그만두는 책임감 없는 인물이기 때문에 그다지 올바른 교사상이라고는 말 할 수 없다. 특히 생도와의 관계에 있어서는 생도의 심리를 이해하려고 하기 이전에 그들에 대한 편견을 가지고 보기 시작해 , 튀김사건을 시작으로 메뚜기 사건까지의 사건이 일어 날 때마다 그들을 악이라고 간주해 버리는 것은 교사로서의 자질 부족이 확실한 부분이다. 자질 부족이라는 것에서 보면『破戒』와『雲は天才である』에 비교해서 생도에게 친근감을 느끼는 교사와 정반대여서 아쉽다. 그러나, 이와 같은 설정도 당시의 실용주의 중심의 교육을 비판하기 위한 소세키가 만든 장치이지 않았을까. 그는 학교교육이 정신적인 면에서는 등한시되고 있다고 보고 생도의 여러 가지 장난사건 후에 행동을 통해 도덕심이 없는 것을 강하게 비판하였다. 전근대 성향을 가진 이익사회 지향의 교사를 대표하는 너구리와 빨간셔츠는 형식적인 면만을 강조하는 위선자이고 표리부동으로 표면상에는 항상 교육자다운 언동을 하고 있으나 내면은 추악하고 삐뚫어진 인물이다. 임기응변의 처세술이 뛰어난 권력지향의 인물로 참교육에는 관심이 없다. 소세키에게 있어서 그들은 근대 사회가 탄생시킨 부도덕의 상징인 것이다. 소세키 자신이 혐악하는 인간의 구체적 유형에 그들을 이용한 것이다. 『坊っちゃん』의 등장인물은 소세키의 일관된 교육철학인 정직하고 도덕적인 인간상의 표출이라고도 말 할 수 있다. ‘세상에 정직이 이기지 않으면 무엇이 이긴단 말인가’라고 도련님의 입을 빌려 소세키는 자신의 교육관을 분명히 해 두고 있다.『坊っちゃん』은 근대 사회의 변모에 따라 학교 교육계에서 일어나는 문제점을 전망하고 교육계에 처방을 내린 것이 도덕적 양심을 가진 정의에 넘치는 도련님과 같은 교사였다. 소세키가 지지하는 도련님과 거센바람은 이익사회지향의 교사 집단에 의해 학교에서 쫓겨나게 되는데 여기서 소세키는 명치 교육의 어두운 단면을 그린 것이다. 거기에는 시대의 흐름에 말리지 않고 자신의 소신을 굽히지 않는 정직한 참용기를 가지고 있는 도련님이나 거센바람과 같은 교사가 교육계에서 인정받게 되고 존경 될 때 참교육이 성립한다는 작가의 메시지라 생각된다. 제 4장에서는 『雲は天才である』를 중심으로 타쿠보쿠의 교사상을 고찰해 보았다. S마을보통고등소학교의 대용교사인 주인공 아라타의 모습은 시부타미 보통소학교에서 근무한 작가타쿠보쿠가 그대로 반영되어 가르치고 있다는 것을 알 수 있다. 아라타는 방과 수업을 즐기면서 생도의 가슴에 뜨거운 열기를 불어넣는 교사로 정신없이 이야기하는 아라타에 대해서 같이 열기가 올라 수업에 열중하는 생도는 서로의 뜨거운 호흡을 느끼고 있는 것으로 보인다. 이러한 광경은 시부타미일기에서도 알 수 있듯이 타쿠보쿠의 교사 생활을 그대로 가지고 온 것이다. 아라타가 교우가를 만든 것이 교장과의 대립의 동기가 되어버린다. 여기서 아라타는 형식을 중시하는 교장의 형식주의를 비판하고 <교육세목>의 모순에 대해 강한 공격을 하고 있다. 여기서 타쿠보쿠가 명치의 형식주의교육관을 얼마나 배격했는지를 알 수 있다. 교장 측에 대립하고 동맹파업을 상상하는 장면은 3개의 작품 중에 가장 진보된 교사상을 그리고 있다고 말 할 수 있을 것이다. 그리고 아라타의 항의에 자발적으로 힘이 되어준 생도의 모습에서 교사는 적극적으로 능동적으로 생도를 변화 시킬 수 있는 힘을 가져야 한다고 주장한 것이다. 타쿠보쿠가 바라고 있는 교사상은 어떠한 상황에도 능동적으로 대처하고 불의를 넘기지 말고 그것을 변화시키려고 노력을 하는 교사일 것이다. 또한 『林中書』에서 타쿠보쿠는 명치 교육의 형식주의를 강하게 비판하면서 <학제>자체를 부정하고 있는 것이 분명하다. 그는 교육은 인간을 만드는 것 이다.라고 주장 하고 교육은 개인의 정신을 존중해야한다는 것을 역설했다. 그리고 생도를 마음으로부터 사랑하는 인간적인 교사가 되어야 한다고 주장했다 여기서 알 수 있듯이 타쿠보쿠는 진정한 교사를 꿈꾼 것이다. 형식적인 것이 아니라 능동적으로 교육하여 지식만을 가르치는 교사가 아닌 인간의 인성을 존중하는 교사를 요구하고 있는 것이다. 이와 같은 교사상은 현재 교육의 문제에도 연결되는 것으로 우리들에게 참교육사상을 제시한 것으로 보여 진다. 지금까지의 고찰을 정리해 보면, 명치시대의 사람은 사회 변화의 흐름에 타지 못했던 피해자도 나오고, 새로운 사상에 눈뜬다던지 하면서 명치유신 후 사회의 급격한 변화에 정신적인 혼란을 맛보았다. 청일‧러일 전쟁의 승리로 세계강국과 어깨를 나란히 하게 되어 천황을 중심으로 하는 국가권력은 강해졌다. 명치정부의 사회 변화와 함께 교육에 있어서도 문부성을 설치부터 <학제>의 제정이 실시되고 근대의 학교가 탄생했다. 그러나 학교자체는 근대적인 면을 갖추었으나, 교육에 있어서는 <교육세목>을 만들어서 철저히 국가와 천황에 충성하는 국민을 만드는 것이 학교 교육의 목적으로서 행해지고 있었던 것이다. 본론에서 분석한 3개의 작품에는 주인공의 눈을 통한 명치 사회의 단면이 그려져 있다. 쇄락한 사족과 자신의 문제, 그리고 근대인의 고뇌 등이 소설 속에서 생생하게 그려지고 있다. 또한 3개의 작품에는 교사로서의 작가 자신의 경험을 살려서 소설을 쓴 것과 학교가 배경이 된 것 이외에 몇 개의 공통점이 있다. 국가의 교육정책에 따라서 <교육세목>을 맹신하는 교장을 중심으로 하는 주변인물이 세 작품에 공통으로 등장하고 있다.<규칙>을 지키는 것을 무엇보다 중요하게 생각하고 교사로서의 사명보다<교육세목>을 정확히 지키고 적당하게 자신의 자리를 지키려고 하는 것이 제1 관심사이다. 그리고 주인공으로서 등장하는 인물도 공통점을 찾아낼 수 있다. 주인공은 교장등의 형식적인 교육에 대항하고 있고 특히 <교육세목>에는 강한 반감을 가지고 있다 . 그리고 어떤 문제로 해서 교장등과 대립하고 있으나, 지지 않고 자신의 의지를 피력하는 교사이다. 명치교사의 문제점을 지적하고, 작가 제각각의 교사상을 제시하고 있는 것이다. 우선, 『破戒』에서는 우시마츠를 통해 양심에 기초를 둔 교사상을 그려냈다. 우시마츠는 아이들을 사랑하는 우수한 교사지만 천민이라는 신분을 숨기고 있는 것이 그를 고뇌하게 했다. 그러나 그는 렌타로라는 스승을 만나 렌타로의 당당한 행동에 감동을 받고 이이들 앞에서 고백을 하게 된다. 자신을 속이고 생도까지 속이는 것은 나쁘다고 생각한 그의 양심적 고백이었다. 그래서 학교를 떠나게 됐지만 후회없이 렌타로의 길을 따르게 된다. 또한 렌타로를 제시한 것은 교사를 넘는 사표로서의 선생을 그리려고 했던 토손의 의지표명이었을 것이다. 『坊っちゃん』에서 소세키는 정직과 정의감이 넘치는 교사상을 그려냈다. 도련님은 막무가내로 자기만 생각하는 성격이지만, 자신의 이익에 관계없이 어떠한 때에도 정직하고 정의를 지키는 교사이다. 자신의 손해를 각오해서까지 동료를 배반하지 않는 교사로 교감의 부조리를 응징한다. 마지막으로『雲は天才である』에서 타쿠보쿠는 생도에 대한 참교사를 제시했다, 적극적이고 능동적인 교사가 되어 생도에 대해 애정을 가진 인간교육을 하려고 하는 것을 중요시여기는 교사상이다. 스스로 적극적으로 교육하려고 하는 의지를 가진 교육과 생도에 열정을 쏟는 교사상을 제시해서 진정한 교육자를 그려내고 있는 것이다. 이와 같이 각각에 그려져 있는 작가의 교사상은 다르지만 그들이 생각하는 바른 교사상은 시대가 지나도 있어야하는 교사로 오늘날 교사의 길을 걸어갈 우리들에게는 마음에 새겨 두어야 할 교사로서의 바른 태도일 것이다.

      • 다문화 인식 제고를 위한 초등학교 3학년 사회과 수업 설계 및 적용

        이영미 서울교육대학교 교육전문대학원 2014 국내석사

        RANK : 247631

        여러 연구 결과에 의하면 대다수의 다문화 가정 아동들은 일반 아동들의 편견과 따돌림으로 인해 고통 받으며 학교생활 부적응의 문제를 겪고 있다. 이러한 문제점을 극복하고 일반 아동과 다문화 가정의 아동들의 공존을 통해 교실 내의 다양성이 긍정적으로 발휘되기 위해서는 일반아동을 대상으로 하는 다문화 인식 변화를 위한 체계적인 교육이 필수적이며 또한 교육 현장의 과제임에 틀림없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초등학교 3학년 사회과 3단원 <다양한 삶의 모습>단원의 제재를 활용하여 전체 학생들을 대상으로 하는 사회과 다문화 수업을 설계하였다. 수업 내용과 활동의 구성은 학생들이 단원 학습을 마쳤을 때, 다양한 문화가 우리 사회에 존재하고 있음을 인식하여 문화의 차이를 이해하고 수용할 수 있는 태도와 가치를 지니도록 이루어져 있다. 본 연구는 초등학교 3학년 사회과 단원 재구성을 통한 다문화 인식 제고 수업을 설계, 적용한 후 학생의 다문화 인식 변화를 알아보고자 하는 것이다. 구체적인 연구문제는 다음과 같다. 1. 다문화 인식 제고를 위한 사회과 교수학습 과정안은 어떻게 개발할 것인가? 2. 개발된 사회과 교수학습과정안은 학생들의 다문화 인식 향상에 효과적인가? 이러한 목적을 위해 먼저 다문화 인식에 대한 여러 학자들의 논의를 살펴본 후 일반인, 학생, 교사들의 다문화 인식 실태를 각각 살펴보고 문제점을 진단하여 보았다. 또한 다문화 교육에 대한 개념의 정립, 다문화 교육과정의 접근 모형, 학교 교육과정에서의 방향성을 목표, 내용, 방법, 교수학습 방면으로 나누어 살펴봄으로써 본 연구의 사회과 교육과정 재구성 및 교수학습 과정안 개발에 반영하였다. 2007년 개정 교육과정의 3학년 사회과 교육과정을 분석하여 다문화 인식 수업에 가장 적합한 단원 <3단원 다양한 삶의 모습>을 선정하여 목표와 제재를 분석하였다. 연구 문제와 수업 목표에 가장 적합한 모형으로는 Wiggins와 Mctighe(2004)의 이해중심교육과정 모형을 사용하였다. 이해 중심 교육과정(Understanding by design)은 학습 결과(학습 목표)를 명확히 하는 것에서 출발하여 성취 준거를 설정하고 학습 설계로 나아가는 단계의 설정으로 무엇을 가르쳐야 하는지 주요 아이디어를 먼저 추출하여 관련 활동을 개발하고 현장에서 실시하는 모형이다. 학교에서 연구자가 담임을 맡고 있는 반의 학생(남16명, 여19명 계35명)을 연구의 대상으로 하여 다문화 인식에 관한 사전 검사를 실시하였고, 이와 더불어 연구에 참고가 될 수 있도록 학생들의 가정환경 분석 및 다문화에 대한 사전 이해 정도를 알아 볼 수 있는 다문화 개념 검사, 학생들이 요구하는 수업 중 활동이나 수업 방법을 알아보기 위한 다문화 수업 관련 학생 요구 조사도 사전 검사로 병행하여 실시하였고 이를 토대로 수업을 설계하였다. 효과적이고 흥미로운 수업을 위해 수업 관련 요구 조사에서 얻어진 결과를 바탕으로 적절한 교수학습 방법을 탐색하여 수업 설계에 적용하고, 적용된 교수학습 방법에 알맞은 과정 중심의 평가방법을 개발하였다. 개발된 교수학습 과정안을 적용하여 15차시 분량의 수업을 8주에 걸쳐 진행하였고 다문화 인식에 관한 사후 설문을 실시하여 사회과 교수학습과정안의 개발과 적용의 효과성을 검증하였다. 사전, 사후설문 응답을 i-STATistics program으로 분석해 본 결과 연구 집단의 다문화 인식 평균이 68점에서 77점으로 향상된 것을 볼 수 있었다. 비교 집단의 평균이 68점에서 69점으로 1점 상승한 것에 비하여 향상의 정도가 유의한 차이가 있음을 보여주는 결과이다. 또한 양적 연구와 병행하여 실시된 질적 연구의 결과물들을 분석해 본 결과 에서도 학생들의 개방성, 수용성, 존중성의 다문화 하위 요인이 발전된 것을 볼 수 있었다. 본 연구의 결론을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개발된 다문화 인식 교수학습 과정안은 학생들의 인지적 변화를 가져왔다. 이 수업을 통하여 학생들은 다양한 제재와 활동을 통하여 세계 여러 나라의 문화에 대한 많은 지식과 에티켓을 습득하고 다른 문화에 대한 인식과 이해의 폭을 넓혀가는 모습을 보여주었다. 둘째, 다른 사람이나 다른 문화를 이해하고 수용하고자 하는 태도의 변화가 있었다. 학생들은 이 수업을 통하여 다른 문화에 대한 개방적이고 수용적인 태도와 함께 다른 사람이나 문화를 존중해야 한다는 생각을 가지게 되었다고 응답하였다. 셋째, 다문화 인식 수업을 통하여 학생들은 수업에 적극적으로 참여하고 친구들과 적극적으로 소통하며 문제를 해결해 나가려는 심리, 내면적인 변화를 보여주었다. 본 논문이 다문화 교육에 주는 시사점은 다음과 같다. 첫째, 다문화 교육은 단기적인 프로그램이 아니라 체계적이고 지속적으로 실시될 수 있도록 교육과정 안에서 명시되고 다루어져야 한다는 점이다. 또한 이러한 교육과정을 개발하기 위하여서는 우리나라만의 다문화 실태와 국민의 다문화 인식의 특수성이 반드시 고려되어야 한다. 마지막으로 이러한 다문화 교육과 적극적인 다문화 관련 교육과정의 재구성이 이루어지기 위해서

      • 게임 중독 청소년의 충동성과 불안 감소를 위한 노래 만들기(songwriting) 기법

        이영미 이화여자대학교 교육대학원 2005 국내석사

        RANK : 247631

        Building world top internet infrastructure has created new trend and changes in traditional hierarchy of Korean people and Cultural attribution. These changes have created new life style and way of thinking for not only old generations but also young generations. Especially, adolescent those who are sensitive to new trend and changes fulfill their never-satisfied demand for new and changes in real world via internet games. Internet games not only provide interesting impetus to young generations, but also become 'the culture' which represent today's young generation by allowing them to share their mutual interests and play role game in virtual world. But their over-interest towards internet games resulted in Game Addiction. This eventually increased the anxiety and over-expose to such conditions created Negative effect for those adolescent who are in processor building up self-control ability and personal goals in long term. This research will show how 'songwriting' can affect and help those adolescent experience impulse and anxiety problems due to Internet Game Addiction. In the other words, the research is carried out to see whether songwriting can reduce the level of anxiety or such as fretfulness caused by keeping juveniles away from Internet Games. The research was carried out with 6 adolescent who were addicted to Internet Games. The selected people were divided into 2 groups. One of the groups (named as 'treatment-croup') was given 'songwriting' treatment as a group (12 times a week) and individual (5 times a week). 'Songwriting' technique program was consist of 3 levels and each level has such as Listening Music, Writing lyrics, Creating Melody and instrument Playing according to each level's target achievement. To prove the decrease of impulse and anxiety problems through 'songwriting' technique, this research analyzed and compared the differences before and after the treatment between the 'treatment -group' and 'comparative group' in various aspects like the level of Game Addiction, Impulse, anxiety and fretfulness, Musical Behavior statically by using 't' test. To find the variation of treatment group's impulse and anxiety through 'Songwriting' technique, I analyzed quantitative data before and after music treatment of 'Game addiction test', 'impulsiveness Scale', 'State-Trait anxiety examine' and 'scale of musical behavior' and I analyzed statistically with 't' test Also, I described qualitatively with affirmative expression and negative expression about the self control after quantitative analysis and analyzed the contents of text, which could be seen each treatment group through each example analysis. With the result of this study, even though I couldn't show the significant difference statistically due to the insufficient number of treatment -group and comparative group, but it showed difference of change. 'songwriting' treatment showed significant change about the musical behavior and expression in game addiction adolescent, and it indicated that as the affirmative musical behavior and express were increased, impulse (unplanned impulse, perceive impulse, motor impulse) and anxiety (State anxiety, Trait anxiety) were decreased. Therefore, this study presented the possibility of 'songwriting' technique was good for changing the emotion of adolescent who were suffering from Internet game addiction and indicated that 'songwriting' technique could be worked efficiently to decrease the impulse and anxiety. 세계 최강의 인터넷 인프라가 구축되면서 우리 사회의 전통적인 사회 위계질서와 문화적 속성에는 커다란 변화를 가져 왔으며, 이러한 문화적 변동은 기성세대뿐만 아니라 아동에 이르기까지 다양한 계층들의 의식과 행동에 변화를 가져왔다. 특히, 호기심 많고 유행에 민감한 청소년들에게 인터넷 게임은 오프라인에서 충족되지 않는 흥미로운 자극을 제공하고 가상세계를 통한 역할 놀이 문화와 , 또래 간의 공통의 관심사를 나눌 수 있는 매개물의 역할을 수행하며 그들만의 새로운 대표 문화로 정착 되었다. 그러나 인터넷 게임에 대한 충동성을 조절하지 못하고 지나치게 몰입하게 되면서 불안의 과민 상태를 초래하게 되었으며 불안이 고조된 상태에서의 장시간 노출로 인해 자기 조절을 통해 자신의 목표를 계획하고, 자신의 장기적인 목표를 달성해야 하는 청소년들의 발달 과업에는 부정적인 영향을 미치게 되었다. 이에 본 연구는 게임 중독 청소년들이 갖게 되는 충동성과 불안이 노래 만들기(songwriting) 기법을 통해 감소될 수 있는지를 규명하고자 하였다. 다시 말해 게임 몰입과 같은 특정 행위에 대한 과도한 집착이나 이러한 행위를 하고자 하는 충동성 조절 문제와 그러한 몰입에 의존하지 않을 때 생기게 되는 초조함과 불안감을 노래 만들기(songwriting) 기법을 통해 감소될 수 있는지에 관해 연구하였다. 연구 방법은 게임 중독 검사를 통해 6명의 게임 중독 청소년들을 선정하였으며, 선정된 대상자들을 치료 집단과 비교 집단에 각각 3명씩 배정하였다. 치료 집단의 3명의 대상자들에게는 5회의 개인 치료와 12회의 그룹 치료를 시행하였으며, 시행된 노래 만들기(songwriting) 기법은 3단계로 나누어 각 단계의 치료 목표에 따른 노래 감상, 가사 만들기, 선율 만들기, 악기 연주의 방법을 통해 제시하였다. 충동성과 불안 감소가 노래 만들기(songwriting) 기법에 의한 효과임을 입증하기 위해서는 음악 치료를 중재하지 않은 비교 집단과 음악 치료를 중재한 치료 집단 간의 게임 중독 검사, 충동성 검사, 상태-특성 불안 검사, 음악적 행동의 차이를 사전 사후로 비교하여 집단 간 비교하였으며, 집단 간 비교는 t 검증을 통해 통계적으로 분석하였다. 노래 만들기(songwriting) 기법을 통한 치료 집단의 충동성과 불안의 변화를 보기 위해서는 음악 치료의 사전과 사후에 게임 중독 검사, 충동성 검사, 상태-특성 불안 검사, 성악과 악기 연주활동에서 보여 지는 음악적 행동 척도를 이용하여 양적인 데이터를 t 검증하여 통계적으로 분석하였다. 치료 집단의 사례 별 분석에서는 각각의 검사에서 보여 지는 양적 분석과 가사에서 표현되어지는 내용을 내용 분석하여 자기 조절력에 관한 긍정적인 표현과 부정적인 표현으로 나누어 질적으로 서술하였다. 본 연구의 결과, 치료 집단과 비교 집단의 게임 중독, 충동성, 불안, 음악적 행동의 사전 사후 반응은 대상 수의 부족으로 통계학적인 유의미한 차이는 없었으나 변화의 차이는 알 수 있었다. 노래 만들기(songwriting) 기법은 치료 집단 청소년들의 게임 중독, 충동성, 불안, 음악적 행동과 표현력에 의미 있는 변화를 보여주었다. 노래 만들기(songwriting) 기법의 사례별 연구에서 보여 지는 긍정적인 음악적 행동과 표현력의 증가는 충동성(무계획 충동성, 인지 충동성, 운동 충동성)과 불안(상태 불안, 특성 불안) 감소에 유의미한 영향을 주었다. 따라서 본 연구는 인터넷 게임 중독 청소년들의 정서를 수정함에 있어 음악 치료의 효과성을 보여 준 것이라 할 수 있으며, 노래 만들기(song writing) 기법이 충동성 조절과 불안 감소에 효과적으로 작용될 수 있다는 점에서 이 연구의 의의가 있다 하겠다.

      • 대학생의 대상관계수준과 심리적 안녕감 간의 관계 : 자기위로능력과 지각된 사회적지지의 매개효과

        이영미 광운대학교 대학원 2016 국내석사

        RANK : 247631

        본 연구의 목적은 대학생의 대상관계수준과 심리적 안녕감 간의 관계에서 자기위로능력과 지각된 사회적지지의 매개효과를 검증하는 것이다.이를 위해 서울, 경기, 인천 지역의 대학생 600명을 대상으로 설문 조사를 실시한 후, 불성실 응답을 제외한 총 537부의 자료를 가지고 SPSS22.0을 이용한 상관분석과 AMOS 22.0을 이용한 구조방정식 모형을 통해 매개효과를 검증하였다. 연구 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대학생의 대상관계수준과 자기위로능력, 지각된 사회적지지 및 심리적 안녕감 간의 관련성을 알아보기 위해 상관분석을 실시한 결과, 대상관계수준이 높을수록 심리적 안녕감이 높은 것으로 확인되었다. 둘째, 대상관계수준은 심리적 안녕감에 직접적인 영향을 미치고, 자기위로능력과 지각된 사회적지지를 통해 심리적 안녕감에 간접적으로도 영향을 미쳤다. 따라서 대상관계수준과 심리적 안녕감 간의 관계에서 자기위로능력과 지각된 사회적지지는 부분매개효과를 나타냈다. 즉 생애 초기에 형성된 부모와의 관계가 심리적 안녕감에 중요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확인이 되었다. 그러나 부모와의 초기관계가 안정적으로 형성되지 않았다 할지라도, 자신의 내적 자원을 사용해 불안을 줄일수 있는 능력을 발달시키고 긍정적인 주변 환경의 지지가 뒷받침되어 이를 자신의 자원으로 활용한다면 심리적으로 건강한 상태를 유지하는 데도움이 되는 것으로 확인되었다. 본 연구의 의의는 개인 내적 요인인 자기위로능력과 환경적 요인인 사회적지지를 통해 대상관계수준과 심리적 안녕감 간의 관계성을 보다 정교화 함으로써, 이들 변인 간의 관계에서 다양한 변인에 대한 이해와 활용의 가능성을 제시했다는 점이다. 연구를 통해 초기 부모와의 안정적인관계 형성이 부족하다 하더라도 자기위로능력을 개발하고 사회적지지를제공해 준다면 대학생들이 심리적 안녕감을 향상하는 데 도움이 된다는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이러한 결과를 바탕으로 환경적, 심리적 압박을 경험하고 있는 대학생들의 심리적 고통을 경감시키고 이들의 정신 건강을 증진하기 위해 자기위로능력 함양을 위한 프로그램을 개발과 사회적지지를 뒷받침할 수 있는 여건 마련에 조력할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

      • 연극치료가 복지시설 여성의 우울감과 자아존중감에 미치는 영향

        이영미 부산교육대학교 교육대학원 2020 국내석사

        RANK : 247631

        본 연구는 A시에 위치한 사회복지시설에 거주하는 20~60대의 여성 7명을 대상으로 연극치료가 우울감과 자아존중감에 어떤 영향을 미치는지 밝히고자 질적 연구와 양적 연구 두 가지 방법을 사용하였다. 본 연구는 2019년 9월~11월까지 3개월 동안 주1회 2시간씩 총10회기에 걸쳐 진행하였다. 연구방법은 연극치료 프로그램을 설계, 적용하여 대상자들의 활동을 회기과정과 대상자별로 분석하였다. 양적 연구는 우울감과 자아존중감을 종속 변인으로 하여 사전에 심리를 검사하였고 연극치료 프로그램 실시 후에는 설문을 통해 연극치료 경험에 대한 심적 변화를 분석하였다. 질적 연구는 연구대상자의 증상 완화를 살펴보기 위해 프로그램 참여 관찰을 통해 현장에서의 반응 변화를 수집하고 본인들의 소감을 통해서도 분석하였다. 본 연구를 위하여 A시의 복지시설에 거주하는 20대~60대의 여성 7명을 대상으로 연극치료 총10회기를 실시한 후 밝혀진 결과는 다음과 같다. 양적 연구에서 밝혀진 결과를 보면, 치료 대상자들은 사전과 사후 검사에서 우울감이 사전에 비해 사후에 더 감소 되었다. 자아존중감과 정서적 안정감도 지속적으로 긍정적인 변화를 보였다. 연구 결과, 연극치료 프로그램은 우울감 감소에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나 효과적인 치료 프로그램으로서의 적용 가능성을 확인할 수 있었다. 또한 질적 분석을 통하여 연구 대상자들의 반응 변화와 프로그램 적용의 변화도 발견할 수 있었다. 따라서 이 연구는 복지시설 여성을 대상으로 프로그램을 설계하고 적용, 수집된 자료를 분석함으로써 연극치료의 효과를 입증하는데 의의가 있다. 본 연구를 통해 밝혀진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연극치료는 복지시설 여성의 우울감을 감소시키는데 도움이 되었다. 둘째, 연극치료는 복지시설 여성의 자아존중감 향상에 긍정적인 효과를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연극치료는 복지시설 여성의 정서적 안정감에 긍정적 효과를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본 연구는 복지시설 특히, 여성을 대상으로 한 연극치료 프로그램을 활용한 연구로서 의의를 갖는다.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