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학위유형
        • 주제분류
          펼치기
        • 수여기관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지도교수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이영미의 "The Holy Cross" for Two Pianos (2008) 분석 연구

        이영미 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2009 국내석사

        RANK : 247711

        본 논문은 이영미의 “The Holy Cross" for Two Pianos (2008)에 관한 분석 연구이다. 이 작품은 석사학위 이수를 위한 졸업연주회 작품이며 2008년 11월 24일 이화여자대학교 리사이틀홀에서 초연되었다. 1890년경부터 1910년경까지 음악사의 흐름은 ‘낭만주의’(Romanticism) 음악과는 뚜렷하게 구분되는 변화를 보여주었다. 그래서 이 시기를 단순히 ‘후기 낭만시대’(Post-Romanticism)로 보기보다는 독자적인 의미를 가지는 시기로 보려는 시도들이 나타났다. 이 시기는 낭만주의 전통에서 급격하게 벗어나 다양한 변화가 보여 지고 있었으며 20세기의 양식을 예견하는 과도기적 시기였다. 그렇기에 많은 작곡가들은 자신만의 독특한 음악적 색채나 음향, 음악적 재료나 전개방식 등을 찾고자 하였다. 그 하나의 방안으로 화성과 음계를 통해 다양한 변화를 시도해 자신만의 작곡 방식을 만들어 냈다. 그 예로 본인 작품에 영향을 준 림스키-코르사코프(Rimskii-Korsakov, 1804-1915)와 스크리아빈(A. Scriabin, 1872-1915)은 8음 음계(Octatonic Scale)를 사용하였다. 림스키-코르사코프는 신비적인 분위기와 초자연적인 인물을 묘사하기 위해 조적 기능이 덜한 8음 음계를 효과적으로 사용하였으며 스크리아빈은 장·단조 체계를 불분명하게 하고 음향적으로 신비적인 음색을 갖게 하기 위해 8음 음계를 사용하였다. 이들이 사용한 8음 음계(Octatonic Scale)는 중심음(Tonal Center)이 존재하지 않고 모든 음을 서로 동등하게 취급한다. 이 음계의 ‘음의 동등성’은 기능적인 화성에서 벗어나는 음악을 구상하는 요소가 되기도 한다. 본인의 작품 “The Holy Cross" for Two Pianos (2008)는 예수님을 믿지 않는 이들이 이 곡을 통하여 복음을 접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하여 예수님의 ‘십자가 고난의 길’을 보여주는 복음서의 말씀을 바탕으로 작곡하였다. 전체적인작품 형식은 A-B-Coda-C-A'-B'-A''의 ‘변형 제 3 론도 형식(Departures from Prescribed Rondo Form)’이며 단악장 곡이다. 세부적으로는 일곱 개의 Section과 열여섯 개의 Subsection으로 나누어져 있다. 주제는 두 개의 주요 주제로 이루어져 있으며 이 주요 주제인 제 1, 2 주제가 각각 Section A와 Section B에 나타나고 있다. 그리고 Section C는 제 1, 2 주제가 확대 및 축소되어 발전하는 구조로 이루어져 있으며 Section A', B', A''는 주제의 재현으로 이루어져 있다. 이 곡 전체의 화성은 감 7화음 구성(Dim.7 Chord Structure)으로 이루어진 8음 음계(Octatonic Scale)로 이루어져 있으며 림스키-코르사코프와 스크리아빈과는 다르게 8음 음계(Octatonic Scale) 안에서 각 Section에 중심음(Tonal Center)을 두어 그 중심음의 연관을 병진행 기법(Parallel Progression)으로 전개 시키고 있다. 중심음(Tonal Center)을 사용한 이유는 ‘십자가 고난의 길’ 을 통해 세상의 구원자로서 ‘중심’이 되신 ‘예수님’을 표현하기 위한 본인의 의도이며 또한 림스키-코르사코프와 스크리아빈이 사용한 음악적 어법과는 다른 가능성을 제시하기 위함이다. 그리고 보다 다양한 음악어법을 작품 활동에 반영하는데 있어 이번 연구가 하나의 기반이 되었으면 하는 바이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conduct an analytical study of "The Holy Cross" For two pianos (2008). This work is composed for graduation concert in partial fulfillment of the requirements for the degree of master of music and premiered on November 24, 2008 at Recital Hall, College of Music, Ewha Womans University. From 1890 to 1910, the flow of musical history showed distinct changes from 'Romanticism' music. Therefore there are some attempts to interpret the period as not Post-Romanticism but era which has independent meaning. It is transitional period to predict 20th-century form and there is rapid escape from romantic tradition to show various changes. So many composers were trying to find their own musical color, sound, musical material and evolvement method. One of the solutions is to try a variety of attempts to change of harmony and scale for making their own composition style. Rimskii-Korsakov and A. Scriabin, who give effect on my work, used octatonic scale. Rimskii-Korsakov used less tonal octatonic scale effectively to represent mysterious atmosphere and supernatural people and A. Scriabin used octatonic scale to make major-minor system ambiguous as well as to represent the mysterious musical sound. Octatonic scale which they used has no tonal center and treats all sound equally. "Equality of a note" of this scale may be element of planning for beyond dynamic harmony. My work "The Holy Cross" for Two Pianos was composed based on word of the gospels which shows the way of the cross to make many people who do not believe in Jesus Christ had godsend. This work is a single movement and has departures from prescribed rondo form which consist of A-B-Coda-C-A'-B'-A. This work is divided to 7 section and 16 subsection in detail. The main subject consists of 2 primary theme and the 1st theme and the 2nd theme are appeared in section A and section B respectively. In section C, the 1st and the 2md theme are expanded and reduced for developing and section A', section B', and section A'' are expressed for reproduction of the theme. The main chord of this work is octatonic scale which consists of Dim7. chord structure and relation of tonal centers are evolved using parallel processing by set tonal center to each section of octatonic scale unlike Rimskii-Korsakov and Scriabin. The reason of using tonal center is to represent Jesus Christ who is messiah of the world through 'Cross-road of suffering' and to suggest the possibility of the musical language which is different to the language which Rimskii-Korsakov and A. Scriabin used. I wish to this thesis shows another example for advanced musical work activity.

      • 다문화가정 부모의 지시적 양육태도와 아동의 정체성혼란이 학교생활 적응에 미치는 영향: 자아존중감과 사회적지지의 매개효과 검증

        이영미 호남신학대학교 기독상담대학원 2018 국내석사

        RANK : 247647

        국 문 초 록 다문화가정 부모의 지시적 양육태도와 아동의 정체성혼란이 학교생활 적응에 미치는 영향: 자아존중감과 사회적지지의 매개효과 검증 이영미 기독상담학과 호남신학대학교 기독상담대학원 어린이집에 근무하면서 점차 다문화 가정이 늘어나고 또한, 다문화가정의 부모님들께서 어린이집에 찾아와 상담을 요청을 할 때가 많았다. 그러면서 다문화가정의 아이들의 정서적 문제가 발생하는 경우가 일반가정의 아이들보다 좀 더 빈도가 있음을 느꼈고, 부모님들과 상담하고 나서 아이들을 보면 안쓰럽고 그들을 위해 돕고자하는 마음이 강하게 들어 상담이라는 공부를 시작하게 되었고 논문을 통해 다문화 아이들의 자아존중감과 학교생활이 궁금하여 논문 주제를 선정하게 되었다. 다문화 아동의 정체성 혼란과 지시적 양육태도와 학교생활적응 관계에서 자아존중감과 사회적지지의 매개효과를 검증하고자 가설을 세우고 설문지를 만들어 다음 과 같이 설문조사를 실시하였다. 사회적 지지의 매개효과 검증을 위하여 전북에 거주는 초등학교학생 300명을 대상으로 조사를 진행하였다. 조사기간은 2017년 9월 1일부터 10월 30일까지 진행하였으며, 총 300부를 배포하여 275부를 수거하였고 설문처리에 부적절하다고 판단되는 15부를 제외하고 260부를 자료 분석에 활용하여 분석하였다. 첫째, 본 연구는 남녀가 비슷하게 표집되었고, 주로 초등학교 6학년이 응답하였으며, 부모님과 선생님과의 관계, 부모님과 내 친구와의 관계가 대부분 좋은 것을 나타났다. 다문화 관련 교육은 1회~5회가 가장 높게 나왔고, 친근감을 느끼는 사람은 엄마, 아빠, 친구가 높게 나왔다. 둘째, 지시적 양육태도는 중간 값에 가깝게 나타났고, 정체성 혼란은 중간정도의 값으로 나타났으며, 정체성 혼란은 낮게 나왔고 사회적 지지도 중간보다 상위로 나와 지지체계도 비교적 잘 되어 있으며 학교생활적응도 4점에 가까운 점수로 나타났다. 셋째, 인구사회학적 특성에 따른 학교생활만족도를 알아본 결과 성별, 지역, 종교행사참여횟수, 다문화 관련 교육은 학교생활적응 차이를 나타내지 못했으며, 학년, 친한 친구, 부모님과 선생님관계, 부모님과 내 친구관계, 자신의 외모, 친근감을 느끼는 사람에게는 학교생활적응에 차이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넷째, 가설에 있어서는 지시적양육태도가 높을수록 자아존중감은 낮은 것으로 나타났으며, 지시적양육태도가 높을수록 사회적 지지는 낮았고, 지시적 양육태도가 높을수록 학교생활적응은 낮은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지지적 양육태도와 학교생활적응관계에서 자아존중감은 매개효과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지지적 양육태도와 학교생활적응관계에서 사회적 지지는 매개효과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정체성혼란이 높을수록 자아존중감은 낮았으며, 정체성혼란이 높을수록 사회적 지지와 학교생활 적응은 낮은 것으로 나타났다. 정체성혼란과 학교생활적응관계에서 자아존중감은 매개효과가 있었으며, 정체성혼란과 학교생활적응관계에서 사회적지지 또한 매개효과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가설을 세운 것에 대한 부합한 결과를 보여준다. 다음으로 향후 연구를 위한 제언을 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본 연구는 전북 고창군을 중심으로 연구하였는데, 향후 연구에서는 전국적으로 대상자를 확대하여 연구를 실시할 필요가 있다. 둘째, 현재 조사된 대상들이 주로 초등학교 고학년을 대상으로 연구되었으므로 초등학교 저학년도 골고루 표집하여 연구하는 것이 필요하다. 셋째, 변수 선정에 있어 보다 다양한 변인들을 선정하여 학교생활적응 영향요인들을 밝힐 필요가 있다. 넷째, 다문화 아동에 대한 연구들은 많은 것으로 나타났고, 앞으로는 결손가족의 아동에 대한 연구도 이루어져야 한다고 느낀다. 다문화 가정에 대한 사회적 지지와 관심은 상당부분 잘 이루어지고 있지만, 결손가정에 대한 아동들의 사회적 지지와 관심은 소외되고 있는 것 같은 느낌을 받았고, 한부모가정, 조부모가정의 아동들의 자아존중감과 학교생활적응에 대한 연구와 사회적 지지, 관심이 절실히 필요하다고 느끼며, 다음에 논문 쓸 기회가 주어진다면 농어촌을 중심으로 결손가정의 아동들에 대한 연구를 꼭 해보고 싶다.

      • 러일전쟁 후 일본문학에 나타나 있는『교사상』-『파계』, 『도련님』, 『구름은 천재이다』를 중심으로- : 이영미

        이영미 경북대학교 교육대학원 2007 국내석사

        RANK : 247647

        제 1장은 명치시대 개관으로 에도막부가 종말을 고하고,1868년 명치유신으로 명치천황의 즉위와 함께 일본의 근대가 시작되었다. 에도시대 후기막부를 쇄국에서 개국한 명치정부는 천황친정을 기본으로 부국강병을 슬로건으로 한 적극적으로 스스로 구미열강에 대항 할 수 있는 내실을 조기에 육성하고, 독립국가로서의 자립하려고 하였다. 그것을 위해서 구미열강을 모델로 한 여러 가지 개혁에 착수했다. 명치정부의 기본방침은 다음해 1868년의 5개조의 어조문에서 구체적으로 명문화되었다. 합의체제, 궁민일체의 국가형성, 구습의 타파, 세계열국에 합류할 수 있도록 실력을 배양하는 것 등이 그 내용이다. 그리고 명치정부는 지조개정, 식산흥업, 학제, 징병령을 시작으로 정치 군사 경제 교육 등 모든 부문에서 개혁을 추진했다. 그러나, 성급한 수용이 가져온 부담의 증대는 사회의 혼란과 국민각층의 저항을 불러 일으켰다. 여기서 자유민권운동이 일어나게 되고, 정부는 운동의 부흥에 대해여 언론탄압의 법령으로 대항했다. 결국에는 10년 후 국회개설을 약속한 <국회개설의 칙유>를 내기에 이르렀다. 그리고1889년 대일본제국 헌법, 황실전범을 발포, 게다가 다음해의 부현제, 군제의 제정과 교육칙어의 알림까지 일련의 정책은 천황을 중심으로 하는 독립적인 입헌체제의 구축을 지향했다. 헌법에는, 천황의 절대성, 신성성을 전제로 광범위한 천황대권을 규정하여 강대한 권력을 집중해서 천황중심의 국가의 완성을 도모했다. 그 후 일청전쟁과 러일전쟁의 승리에 의해 일본은 강대국의 대열에 합세하게 되고, 본격적인 식민지 경영에 착수할 필요성을 느껴, 강대국에 걸맞은 군비의 확장과 철도 국유화, 공업의 확대, 정비 등 경영 기반의 내실을 과제로 삼았다. 그리고 교육은 1871년 문부성을 설립한 명치정부는 1872년 근대적통일국가의 건설을 위해 <학제>에 의한 교육개혁을 거행했다. 전국에 학교를 설립하고 의무교육을 도입하여 프랑스와 독일의 학제를 모델로 해서 근대 교육제도를 확립했다. 그 후, <학제>는 <교육령시대>그리고 <학교령 시대>로 변해가면서 교육목적은 급속하게 국가주의화 되어갔다. 결과적으로 1872년의 <학제>의 공표는 문명개화와 함께 개인의 입신양명을 위한 지식, 기술의 습득이 중요시 되었으나, 자유민권운동의 고양에 위기를 느낀 명치정부는 운동을 직접 탄압함과 동시에 학교 교육을 통제하기 위해 인의충효를 핵심으로 하는 도덕교육에 중점을 두게 된다. 부국강병과 천황중심의 명치국가를 확립하기 위한 정책과 방침은 교사가 일방적으로 교수하도록 하여 교육은 기계화 되고 ,형식화되었다. 이와 같은 교육은 생도의 자유나 발달을 방해하고 개인의 신장을 속박하게 된 것이다.『破戒』、『坊っちゃん』『雲は天才である』는 그 명치시대의 학교를 배경으로 쓰여진 소설로 작품 속에는 명치시대의 폐단을 예리하게 비판하고 있다. 특히 근대학교의 실정을 비교적 자세하게 그리고 있다. 제 2장은 지금까지의 선행론과 떨어져 학교와 교사를 중심으로 『破戒』를 분석했다. 형식주의자에 국가주의교육을 맹신하고 있는 교장을 비판하면서 청년 교사 우시마츠의 모습을 통해 오늘날 우리들이 교사로서의 가져야 할 올바른 자세를 제시한 소설이다. 『破戒』는 고모로의숙에서의 교사로서의 경험에 기초하여 당시의 학교교육이 행하고 있는 교육내용을 사실적으로 묘사한 소설로 당시의 일반적인 교육자의 학교생활이나 마음가짐을 우시마츠의 눈을 통해 비난하고 있다. 동경명치학원에서 공부하면서 신사상에 눈뜬 토손은 인본주의를 맛본 것이다. 시골교사는 <교육세목>에 기초하여 ‘규칙’을 지키고 ‘명령’에 따르도록이라고 생도를 훈도하면 자신의 역할은 완전히 수행했다고 착각하고 있다. 그리고 자신의 이익을 위해서 군장학사에게 아첨하여 자신의 자리를 강건히 하는데만 관심이 있는 교장이다. 이러한 의미에서 우시마츠와 같은 민주적이고 생도에게 애정있는 인물을 그린 것 일 것이다. 굳이 우시마츠와 같은 교사를 그린 것은 당시의 교육계를 걱정한 토손으로부터의 메시지 일 것 이다. 학교의 안에 신구집단의 대립도 당면과제로서 제시되고 있다. 이것은 명치 사회의 당면과제이기도 했다 토손은 그것을 간과하지 않았다. 여기까지 본 결과, 토손은 교장을 통해서 군국주의에 기초하여 행해지고 있는 교육을 비판하고 봉건적인 색채가 짙은 교육과 구파라고 부를 수 있는 교장 등의 교사에 대해서 강하게 항의하고 있다. 토손은 명치 교육의 현실을 비판함과 동시에 학교 내의 신구의 대립을 확실하게 하여 새로운 교사상의 필요성을 역설하고 있는 것으로 보인다. 게다가 토손이 바라는 사표(師表)를 분명하게하기 위해 아버지와 렌타로를 극명하게 대립시켰던 것이다. 참교사의 바른 자세는 물론 인간으로서의 인생을 살아가는 태도를 가르쳐 주었다. 부모라는 사람은 아이가 태어나서 처음으로 만나는 인생의 선생이다. 그 의미에서 아버지의 가르침인 훈계는 사회를 살아가기 위한 지혜였지만 진실이 결여되어 있는 지혜는 사회에서 살아가기 위한 하나의 요령에 불과하다. 아버지가 우시마츠에게 가르쳐야 했던 것은 사회를 혼자 헤쳐갈 수 있는 힘이었다. 아버지와 다르게 자각한 인간인 우시마츠는 아버지의 훈계와 진실의 사상을 두고 고뇌 할 수밖에 없었던 것이었다. 아버지의 훈계보다 진실의 사상을 가지고 정의를 지켜내려고 하는 렌타로의 행동이 우시마츠를 감동시킨 것이다. 여기서 확실해진 것은 토손이 진정으로 그리고 싶었던 이상의 교사는 우시마츠의 교사상을 뛰어넘는 인물이었다는 것이다. 토손의 이러한 강한 희망이 렌타로라는 사표를 낳은 것은 아니었을까. 진실을 위해서라면 목숨도 아까워하지 않고 사회에 대항한 렌타로의 진정한 삶의 방식. 이 진정한 삶의 방식 앞에서는 아무리 엄한 아버지의 훈계라 할지라도 무기력해져 버린 것이다. 렌타로가 장렬한 죽음을 맞이한다는 행동은 우시마츠의 사표로서 그에게 새로운 삶의 길을 안내해 준 것이 아닐까. 이러한 의미에서 시대의 사표로서 렌타로를 선생이라고 불러도 무리는 없을 것이다. 제3장에서는 소세키의 소설 『坊っちゃん』을 중심으로 소세키의 교사상에 대해서 고찰해 보았다. 그리고 소세키가 동경제국대학 시절 쓴 『중학 개량책』을 분석해, 그의 교육관을 조사해 『坊っちゃん』에 어느 정도 반영되어 있는가를 고찰해 보았다. 그 결과, 소세키의 교사로써의 체험과 소세키의 교육관이 대부분 반영되어 있다는 것을 알았다. 등장인물을 중심으로 분석했으나, 『坊っちゃん』에 등장하는 인물을 신교육을 받은 근대교사 보짱과 전근대교사라고 말 할 수 있는 빨간셔츠를 대별해서 그것을 인물이 가진 성향을 중심으로 인격사회 지향의 도련님과 이익사회 지향의 빨간셔츠로 분류해서 순석해 보았다. 인격 사회를 지향하는 교사 도련님은 성급한 판단을 내리기도 하고 자기 위주에 제멋대로인 정격의 소유자라는 결점을 가지고 있으나, 근본적으로는 정의와 의리 그리고 정직을 기본으로 하여 도덕심을 중요시 여기는 교사이다. 그러나 소세키가 말한 바와 같이 교사가 되기 위해 준비한 것도 전혀 없고 성격적인 면에서는 자질이 없는 교사이다. 게다가 교육애도 없고 노력해 보겠다는 의지도 없이 겨우 1개월로 교사를 그만두는 책임감 없는 인물이기 때문에 그다지 올바른 교사상이라고는 말 할 수 없다. 특히 생도와의 관계에 있어서는 생도의 심리를 이해하려고 하기 이전에 그들에 대한 편견을 가지고 보기 시작해 , 튀김사건을 시작으로 메뚜기 사건까지의 사건이 일어 날 때마다 그들을 악이라고 간주해 버리는 것은 교사로서의 자질 부족이 확실한 부분이다. 자질 부족이라는 것에서 보면『破戒』와『雲は天才である』에 비교해서 생도에게 친근감을 느끼는 교사와 정반대여서 아쉽다. 그러나, 이와 같은 설정도 당시의 실용주의 중심의 교육을 비판하기 위한 소세키가 만든 장치이지 않았을까. 그는 학교교육이 정신적인 면에서는 등한시되고 있다고 보고 생도의 여러 가지 장난사건 후에 행동을 통해 도덕심이 없는 것을 강하게 비판하였다. 전근대 성향을 가진 이익사회 지향의 교사를 대표하는 너구리와 빨간셔츠는 형식적인 면만을 강조하는 위선자이고 표리부동으로 표면상에는 항상 교육자다운 언동을 하고 있으나 내면은 추악하고 삐뚫어진 인물이다. 임기응변의 처세술이 뛰어난 권력지향의 인물로 참교육에는 관심이 없다. 소세키에게 있어서 그들은 근대 사회가 탄생시킨 부도덕의 상징인 것이다. 소세키 자신이 혐악하는 인간의 구체적 유형에 그들을 이용한 것이다. 『坊っちゃん』의 등장인물은 소세키의 일관된 교육철학인 정직하고 도덕적인 인간상의 표출이라고도 말 할 수 있다. ‘세상에 정직이 이기지 않으면 무엇이 이긴단 말인가’라고 도련님의 입을 빌려 소세키는 자신의 교육관을 분명히 해 두고 있다.『坊っちゃん』은 근대 사회의 변모에 따라 학교 교육계에서 일어나는 문제점을 전망하고 교육계에 처방을 내린 것이 도덕적 양심을 가진 정의에 넘치는 도련님과 같은 교사였다. 소세키가 지지하는 도련님과 거센바람은 이익사회지향의 교사 집단에 의해 학교에서 쫓겨나게 되는데 여기서 소세키는 명치 교육의 어두운 단면을 그린 것이다. 거기에는 시대의 흐름에 말리지 않고 자신의 소신을 굽히지 않는 정직한 참용기를 가지고 있는 도련님이나 거센바람과 같은 교사가 교육계에서 인정받게 되고 존경 될 때 참교육이 성립한다는 작가의 메시지라 생각된다. 제 4장에서는 『雲は天才である』를 중심으로 타쿠보쿠의 교사상을 고찰해 보았다. S마을보통고등소학교의 대용교사인 주인공 아라타의 모습은 시부타미 보통소학교에서 근무한 작가타쿠보쿠가 그대로 반영되어 가르치고 있다는 것을 알 수 있다. 아라타는 방과 수업을 즐기면서 생도의 가슴에 뜨거운 열기를 불어넣는 교사로 정신없이 이야기하는 아라타에 대해서 같이 열기가 올라 수업에 열중하는 생도는 서로의 뜨거운 호흡을 느끼고 있는 것으로 보인다. 이러한 광경은 시부타미일기에서도 알 수 있듯이 타쿠보쿠의 교사 생활을 그대로 가지고 온 것이다. 아라타가 교우가를 만든 것이 교장과의 대립의 동기가 되어버린다. 여기서 아라타는 형식을 중시하는 교장의 형식주의를 비판하고 <교육세목>의 모순에 대해 강한 공격을 하고 있다. 여기서 타쿠보쿠가 명치의 형식주의교육관을 얼마나 배격했는지를 알 수 있다. 교장 측에 대립하고 동맹파업을 상상하는 장면은 3개의 작품 중에 가장 진보된 교사상을 그리고 있다고 말 할 수 있을 것이다. 그리고 아라타의 항의에 자발적으로 힘이 되어준 생도의 모습에서 교사는 적극적으로 능동적으로 생도를 변화 시킬 수 있는 힘을 가져야 한다고 주장한 것이다. 타쿠보쿠가 바라고 있는 교사상은 어떠한 상황에도 능동적으로 대처하고 불의를 넘기지 말고 그것을 변화시키려고 노력을 하는 교사일 것이다. 또한 『林中書』에서 타쿠보쿠는 명치 교육의 형식주의를 강하게 비판하면서 <학제>자체를 부정하고 있는 것이 분명하다. 그는 교육은 인간을 만드는 것 이다.라고 주장 하고 교육은 개인의 정신을 존중해야한다는 것을 역설했다. 그리고 생도를 마음으로부터 사랑하는 인간적인 교사가 되어야 한다고 주장했다 여기서 알 수 있듯이 타쿠보쿠는 진정한 교사를 꿈꾼 것이다. 형식적인 것이 아니라 능동적으로 교육하여 지식만을 가르치는 교사가 아닌 인간의 인성을 존중하는 교사를 요구하고 있는 것이다. 이와 같은 교사상은 현재 교육의 문제에도 연결되는 것으로 우리들에게 참교육사상을 제시한 것으로 보여 진다. 지금까지의 고찰을 정리해 보면, 명치시대의 사람은 사회 변화의 흐름에 타지 못했던 피해자도 나오고, 새로운 사상에 눈뜬다던지 하면서 명치유신 후 사회의 급격한 변화에 정신적인 혼란을 맛보았다. 청일‧러일 전쟁의 승리로 세계강국과 어깨를 나란히 하게 되어 천황을 중심으로 하는 국가권력은 강해졌다. 명치정부의 사회 변화와 함께 교육에 있어서도 문부성을 설치부터 <학제>의 제정이 실시되고 근대의 학교가 탄생했다. 그러나 학교자체는 근대적인 면을 갖추었으나, 교육에 있어서는 <교육세목>을 만들어서 철저히 국가와 천황에 충성하는 국민을 만드는 것이 학교 교육의 목적으로서 행해지고 있었던 것이다. 본론에서 분석한 3개의 작품에는 주인공의 눈을 통한 명치 사회의 단면이 그려져 있다. 쇄락한 사족과 자신의 문제, 그리고 근대인의 고뇌 등이 소설 속에서 생생하게 그려지고 있다. 또한 3개의 작품에는 교사로서의 작가 자신의 경험을 살려서 소설을 쓴 것과 학교가 배경이 된 것 이외에 몇 개의 공통점이 있다. 국가의 교육정책에 따라서 <교육세목>을 맹신하는 교장을 중심으로 하는 주변인물이 세 작품에 공통으로 등장하고 있다.<규칙>을 지키는 것을 무엇보다 중요하게 생각하고 교사로서의 사명보다<교육세목>을 정확히 지키고 적당하게 자신의 자리를 지키려고 하는 것이 제1 관심사이다. 그리고 주인공으로서 등장하는 인물도 공통점을 찾아낼 수 있다. 주인공은 교장등의 형식적인 교육에 대항하고 있고 특히 <교육세목>에는 강한 반감을 가지고 있다 . 그리고 어떤 문제로 해서 교장등과 대립하고 있으나, 지지 않고 자신의 의지를 피력하는 교사이다. 명치교사의 문제점을 지적하고, 작가 제각각의 교사상을 제시하고 있는 것이다. 우선, 『破戒』에서는 우시마츠를 통해 양심에 기초를 둔 교사상을 그려냈다. 우시마츠는 아이들을 사랑하는 우수한 교사지만 천민이라는 신분을 숨기고 있는 것이 그를 고뇌하게 했다. 그러나 그는 렌타로라는 스승을 만나 렌타로의 당당한 행동에 감동을 받고 이이들 앞에서 고백을 하게 된다. 자신을 속이고 생도까지 속이는 것은 나쁘다고 생각한 그의 양심적 고백이었다. 그래서 학교를 떠나게 됐지만 후회없이 렌타로의 길을 따르게 된다. 또한 렌타로를 제시한 것은 교사를 넘는 사표로서의 선생을 그리려고 했던 토손의 의지표명이었을 것이다. 『坊っちゃん』에서 소세키는 정직과 정의감이 넘치는 교사상을 그려냈다. 도련님은 막무가내로 자기만 생각하는 성격이지만, 자신의 이익에 관계없이 어떠한 때에도 정직하고 정의를 지키는 교사이다. 자신의 손해를 각오해서까지 동료를 배반하지 않는 교사로 교감의 부조리를 응징한다. 마지막으로『雲は天才である』에서 타쿠보쿠는 생도에 대한 참교사를 제시했다, 적극적이고 능동적인 교사가 되어 생도에 대해 애정을 가진 인간교육을 하려고 하는 것을 중요시여기는 교사상이다. 스스로 적극적으로 교육하려고 하는 의지를 가진 교육과 생도에 열정을 쏟는 교사상을 제시해서 진정한 교육자를 그려내고 있는 것이다. 이와 같이 각각에 그려져 있는 작가의 교사상은 다르지만 그들이 생각하는 바른 교사상은 시대가 지나도 있어야하는 교사로 오늘날 교사의 길을 걸어갈 우리들에게는 마음에 새겨 두어야 할 교사로서의 바른 태도일 것이다.

      • 학급 도우미 역할 부여가 위축행동유아의 또래상호작용에 미치는 영향

        이영미 대구대학교 2010 국내석사

        RANK : 247647

        저 출산 및 핵가족화, 맞벌이 가정의 증가로 인해 가정에서 부모, 형제와의 상호작용 기회를 충분히 제공받지 못하고 어린이집이나 유치원과 같은 구조화된 또래집단과 더 많은 시간들을 보내고 있는 사회적 상황 속에서 또래와의 관계가 원만하지 못하거나 사회적 기술과 의사소통 기술의 부족으로 또래들로부터 거부, 무시, 고립, 소외되거나 위축되어 일상적인 놀이와 활동에 참여하지 못하는 위축행동유아가 점점 늘어나고 있다. 위축행동유아는 다양한 사회적 상황에서 매우 수줍어하고 수동적이며, 타인과 잘 어울리지 못하고 활동이나 놀이를 회피하거나 거부한다. 그러나 교사와 부모는 그들의 위축행동을 단순히 발달속도상의 문제라고만 여길 뿐, 이후 성장과정에서 나타날 정서·행동 상의 추가적인 문제점에 대해 깊이 인식하지 못하고 있는 실정이다. 본 연구에서는 위축행동유아에게 학급에서 일상적으로 사용되고 있는 학급 도우미 역할을 부여하여 위축행동유아의 또래상호작용에 미치는 영향에 대하여 알아보고자, 평소 위축행동을 보이는 유아들 중 Bower, Clarke, Quay의 정서행동장애 A, B형 선별지를 통해 불안, 위축항목 중 A형은 1개 이상, B형은 2개 이상에 해당되는 유아들을 1차 선정하였고 K-CBCL의 위축척도가 70T점 이상에 해당하는 유아 3명을 최종연구대상으로 선정하였다. 선정된 위축행동유아들에게 대상자간 중다기초선설계를 사용하여 3가지의 학급 도우미 역할(간식, 편지, 치약)을 매일 수행하도록 하였고 자유선택활동 10분 동안 부분간격기록법을 사용하여 다음과 같은 결과를 얻었다. 첫째, 학급 도우미 역할부여는 위축행동유아의 대화하기를 증가시켰다. 둘째, 학급 도우미 역할부여는 위축행동유아의 활동공유하기를 증가시켰다. 본 연구의 결과를 종합해 보면, 학급 도우미 역할 부여는 위축행동유아의 또래상호작용을 증가시켰고 위축행동유아에게 자연스럽게 또래와 상호작용 할 기회를 제공하였고 교사에게도 프로그램 개발 및 실험환경의 조작을 위한 수고나 부담 없이 유치원 현장에서 쉽게 제공할 수 있다는데 그 의의가 있다. These days, children tend to spend more time with their peers at nursery schools or children’s care centers and as a result they lack the opportunity to have sufficient interaction with the parents and siblings. this is largely due to the low birth rate, increasing number of nuclear families, and the increase in the number of families where both the husband and wife work. Amidst this social situation, the number of children showing withdrawal behavior who are neglected, alienated, rejected and belittled by their peers is increasing due to the lack of social and communication skills. Likewise, they are unable to participate in every day games and activities. Children showing withdrawal behavior tend to be very shy in diverse social situations. They tend to be passive and tend to dodge from activities and games and struggle along with others. However, teachers and parents consider their withdrawal behavior as merely a stage that they will grow out of with time. They fail to be aware of the additional problems such as emotional and behavior related problems that will surface later on during the formative process. In this research, children showing withdrawal behavior were assigned to the role of class helper to study the effect of peer interaction on children showing withdrawal behavior. Among the children showing withdrawal syndrome, Bower, Clarke, Quay’s method for discerning Type A or type B of the emotional disorder was leveraged to measure anxiety levels. Among the withdrawal categories, Type A selected children correspond to at least one, while type B selected children who correspond to at least two. Three children who correspond to at least 70T points on the K-CBCL withdrawal measure were selected for the final research. Single Subject Design was used to study the selected children showing withdrawal behavior, and the children were asked to perform three roles as the class helper (snack, letter, toothpaste) every day. The following results were obtained by using the partial-interval recoding method during 10 minutes of free time. First, assignment of the role as the class helper helped the children showing withdrawal behavior to hold conversations more with the peers. Second, assignment of the role as the class helper helped the children showing withdrawal behavior to participate in the activities. When the results of this research are summarized, assignment of the role as the class helper increased interaction with the peers, and provided the children showing withdrawal behavior the opportunity to interact with their peers naturally. This research is meaningful in the sense that the teachers can apply this method easily without having to develop a special program or to alter change the testing environment.

      • 모의 성격특성과 유아의 기질이 양육행동에 미치는 영향 연구 : 사회적지지의 매개효과를 중심으로

        이영미 칼빈대학교 대학원 2021 국내박사

        RANK : 247631

        본 연구에서는 모의 성격특성과 유아의 기질이 양육행동에 미치는 영향 연구에서 사회적지지의 매개 효과를 검증함으로써 양육행동의 요인의 활동방안을 제시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이를 위해 202년 11월 12일부터 12월 4일까지 경기도 소재 어린이집에 다니는 모를 대상으로 설문을 실시 하였으며, 총 445명을 대상으로 하여 SPSS WIN 22.0과 AMOS26.0을 사용하여 분석하였다.

      • 삼국유사 가온누리 콘텐츠 연구 : 일연 문화관 건립을 중심으로

        이영미 한국외국어대학교 대학원 2018 국내박사

        RANK : 247631

        본 연구는 현재 국책 과제의 일환으로 경상북도 군위군에 테마파크로 건설중인 삼국유사가온누리의 가칭 ‘일연문화관(一然文化館)’에 구축될 스토리텔링과 생태-인지 체험 중심의 콘텐츠에 관한 연구이다. 본 연구자는 선행연구의 일환으로 삼국유사가온누리의 형성 배경과 일연문화관에 관련한 사례를 분석하고 고찰한 바, 삼국유사가온누리의 핵심 콘텐츠인 얼쑤누리와 아름누리, 그리고 으뜸누리에 반드시 들어가야 할 일연문화관이 결여되어 있음에 주목하였다. 이는 일연문화관이 삼국유사가온누리의 모태가 되기 때문이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삼국유사』의 일연찬시(一然讚詩)와 일연을 기리기 위하여 왕명으로 세운 보각국존비명(普覺國尊碑銘)에 근거해 새로운 제안을 해 보았다. 본 논문은 모두 6장으로 구성되어 있다. 각 장의 주요한 핵심 사항을 간추리면 다음과 같다. 제1장은, 연구의 취지와 더불어 선행연구를 검토하고 연구방법에 대한 도입의 성격을 띤다. 특히 삼국유사가온누리의 공간 구성에 있어 가장 큰 화두인 일연문화관이 빠져 있음에 주목하여, 『삼국유사』에 실린 48수의 일연찬시와 보각국존비명에 실려 전하는 일연의 생애와 업적, 그리고 일연의 사상과 문학세계를 바탕으로 한 스토리텔링의 중요성을 강조하였다. 제2장에서는, 테마파크로서 삼국유사가온누리의 속성과 그 형성의 추이를 살펴보았다. 특히 이 장에서는 그동안 건설 중인 콘텐츠 전반에 대하여 성찰하면서 일연문화관의 내용구성에 필요한 부분을 중심으로 논의를 전개하였다. 제3장에서는, 보각국존비명에 실려 있는 일연선사의 생애와 업적에 대한 화소(話素)들을 재해석해 스토리텔링을 하고 이들을 인지체험으로 이어갈 방안을 탐색하였다. 제4장에서는, 『삼국유사』 전편에 나오는 일연의 찬시 48수의 시화(詩話)의 배경이 되는 화소를 찾아내어 이를 재해석하였다. 특히 이들 스토리의 전개를 〔발단-전개-위기-절정-결말〕의 단계로 구조화하여, 방문객으로 하여금 가상현실(VR)과 정보통신기술(ICT)을 융합한 차세대 콘텐츠를 체험할 수 있게 하였다. 제5장에서는, 일연문화관과 연계해 생태-인지 체험을 할 수 있는 콘텐츠를 구축하고 시뮬레이션 하는 방법을 모색하였다. 특히 생태-인지 체험의 현장으로 인각사(麟角寺)의 보각국존비명과 일연의 부도인 정조탑(靜照塔), 석산리약바람 산촌생태마을, 사라온 이야기마을, 삼국유사 화본마을을 들 수 있다. 이와 관련해 자연 친화적인 콘텐츠를 연계하여 일연의 생애와 『삼국유사』 스토리를 접목하였다. 『삼국유사』 관련 인문학에 관한 학문적인 연구가 많은 것에 비해 실사구시적인 『삼국유사』 콘텐츠에 대한 담론은 매우 드물다. 본 연구의 의의를 찾자면 바로 여기에 있을 것이다. 그리고 특히 삼국유사가온누리는 일연문화관에 대한 진지한 고민 없이 진행된 결과 형식이 내용을 담보하지 못하고 있다. 논문의 전체적인 얼개를 마무리한 제6장에서는 이러한 점들을 재삼 강조하면서 향후 보완해야 할 내용들을 제시하고 전망하였다.

      • 저온처리 기간, 온도 및 광조건과 GA₃ 처리가 자생초롱꽃의 생육과 개화에 미치는 영향

        이영미 경상대학교 대학원 2009 국내석사

        RANK : 247631

        The genus Campanula with about 300 species comprises important ornamental plants. Campanula, native to Korea, is widely used as a potted or garden plant. The plant has flowering characteristics of an indeterminate inflorescence, and requires chilling for flower bud differentiation. The first experiment investigated the effect of duration and temperature of and light condition during chilling treatment on growth and flowering of four Campanula species in a factorial experiment. Two parent species, Campanula punctata Lam. var. rubriflora Mak. and C. Punctata Lam., and their two F₁hybrids, C. punctata Lam. x C. punctata Lam. var. rubriflora Mak. ('Jiknyeo') and C. punctata Lam. var. rubriflora Mak. x C. punctata Lam. ('Gyeonu'), were used. Plants were cultured in vitro for five weeks at 25℃ under about 75 μmol·m^(-2)·s^(-1) PPFD before being chilled at 4 or 25℃ for 3, 6, or 9 weeks under a darkened or lighted (about 10 μmol·m^(-2)·s^(-1) PPFD) condition. After chilling treatment, plants were transplanted to 10 cm pots filled with a commercial growing medium and were transferred to environment-controlled growth chambers and subsequently to a greenhouse to observe their reproductive growth. Growth of all species and flowering of a F₁hybrid 'Jiknyeo' were affected by duration and temperature of and light condition during chilling treatment. The greatest growth and survival percentage were observed in C. punctata Lam. var. rubriflora Mak. The survival percentage was greater when plants were chilled in a lighted than darkened condition, whereas it decreased when plants were chilled more than six weeks in vitro. Among the four species tested, flowering was observed only in a F1 hybrid 'Jiknyeo' with a percentage flowered plants of 62.5% when it was chilled at 25℃ for three weeks under a lighted condition. Percent flowered plants was affected by duration and temperature of and light condition during chilling treatment. Three-week chilling at 4℃ under a darkened condition significantly reduced days to flowering. These results suggest that the low temperature requirement for flowering is not qualitative but quantitative in Campanula species. An experiment with more number of plants is necessary to ascertain this conclusion. The objective of the second experiment was to investigate effect of GA₃application on growth and flowering of Campanula puntata Lam. var. rubriflora 'Jaju' and F1 hybrid 'Jiknyeo'. Plants were treated with three levels of GA₃, 0, 500, and 1,000 mg·L^(-1), and two levels of spray times. Plants applied with a GA₃ solution produce new shoots, flower stalks, and flowers. Increasing concentration of GA₃induced earlier flowering, and increased plant height and numbers of shoots, leaves and flowers per plant. 'Jaju' responded more sensitively than 'Jiknyeo'. The GA₃treatment resulted in acceleration of plant growth and flowering, while it deteriorated flower quality as compared with the naturally-flowered control. In this experiment, terminal flower buds on all developing stems were aborted, probably because of excessively high GA₃ concentration.

      • 사이버캠퍼스(LMS) 운영현황 및 학습만족도 분석 : C대학교 사례를 중심으로

        이영미 가톨릭대학교 교육대학원 2009 국내석사

        RANK : 247631

        본 연구에서는 오프라인 수업에서의 사이버캠퍼스 사용 현황과 학습만족도를 살펴보고자 한다. 이와 같은 연구 목적에 따라 다음과 같은 연구 문제를 설정하였다. 1. 사이버캠퍼스의 활용 실태는 어떠한가? 2. 학습자 배경변인에 따라 사이버캠퍼스 사용에 대한 만족도에 차이가 있는가? 가. 성별에 따라 사이버캠퍼스 사용에 대한 만족도에 차이가 있는가? 나. 학년에 따른 사이버캠퍼스 사용에 대한 만족도에 차이가 있는가? 3. 사이버캠퍼스 사용 메뉴에 따라 학습만족도에 차이가 있는가? 본 연구의 대상은 C대학교에서 오프라인수업의 보조수단으로 사이버캠퍼스를 활용하고 있는 수업 9개를 임의로 선정하여 대상으로 하였다. 이 수업들을 수강하고 있는 학생들에게 설문조사를 실시하여 데이터를 수집하였다. 사이버캠퍼스의 사용 현황을 알아보기 위해 문항별 빈도와 백분율을 포함하는 기술통계 분석을 실시하였다. 일단, 사이버캠퍼스의 사용 과목수와 용도, 이용기간 및 주당 학습이용시간을 분석한 뒤 사이버캠퍼스를 이용한 학습자의 학습만족도를 분석하기위해 Likert 5점 척도의 평균과 표준편차를 구했다. 성별, 학년 등의 배경변인에 따른 사이버캠퍼스 사용에 대한 만족도를 구하기 위해서 독립표본 t검증과 ANOVA를 통해 분석하였다. 마지막으로 사이버캠퍼스 사용메뉴에 따른 학습자의 학습만족도 차이를 알아보기 위해 독립표본 t검증을 통해 분석하였다. 본 연구의 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사이버캠퍼스 사용 현황을 살펴보면 모든 오프라인 과목에서 사이버캠퍼스를 수업의 보조적인 수단으로 활용하고 있는 것이 아님을 알 수 있었다. 둘째, 학생들은 사이버캠퍼스 메뉴 중에서 ‘강의자료실’의 사용이 가장 높았다. 또한 ‘퀴즈 및 시험’의 사용은 가장 저조한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오프라인 수업에서 사이버캠퍼스를 이용한 학습만족도는 높게 나타났다. 사이버캠퍼스 사용에 대한 만족도는 성별에 따라 유의미한 차이를 나타내지 않았고, 학년에 따른 사이버캠퍼스 사용에 대한 만족도는 2, 3학년에 비해 1, 4학년의 만족도가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넷째, 사이버캠퍼스 메뉴사용 유무에 따른 학습만족도는 ‘강의자료실’, ‘자유게시판’, ‘퀴즈 및 시험’, ‘가상강의 콘텐츠’ 메뉴를 사용할 때 높게 나타났다. This study aims to analyze the current status of using cyber campus. The following subject are set according to such purposes. 1. The current condition of using cyber campus. 2. The measure how satisfied each participating student is with the cybercampus. 3. The difference of learning satisfaction depending on whether to use menus of cyber campus or not. The objects of this study are voluntarily chosen nine subjects among C University cyber campus. The data are collected through questionnaire from the students taking cyber campus. Descriptive statistical analysis is carried out to survey the current status of using cyber campus. At number and use, utilization period studying utilization of use subject of cybercampus learner's studying satisfaction who use cyber campus after analyze to do analysis average and standard deviation of Likert 5 points measure save. T-test and one way ANOVA were used to examine learners satisfaction toward cybercampus by gender, grade. T-test is conducted to find out students' different degree of satisfaction. The result of this study is summarized as follows. Firstly, the result shows that cyber campus is not used as a secondary way for all offline classes. Srcondly, the menu <Lecture library> is the most frequently used one among the others, while the menu <Quiz & Test> is the lest popular. Third, students' satisfaction rate scores high in terms of using cyber campus as a supportive means of offline class. Fourth, the level of satisfaction is higher when students use such menus; <Lecture library>, <Free board>, <Quiz & Test>, and <Virtual contents of the class>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