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 등재정보
        • 학술지명
        • 주제분류
        • 발행연도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 KCI등재

        전문대학생의 성취목표지향성과 고용가능성의 관계에서 직업기초능력의 매개효과

        이애화(Ae Hwa Lee) 중앙대학교 한국인적자원개발전략연구소 2017 역량개발학습연구 Vol.12 No.2

        본 연구의 주요 목적은 전문대학생의 성취목표지향성이 고용가능성에 미치는 영향관계에서 직업기초능력의 매개효과를 분석하는 것이었다. 이를 위하여 D대학교 재학생 603명을 대상으로 자기보고식 설문조사를 실시하였다. 분석결과 첫째, 성취목표지향성 하위변인 중 숙달접근목표는 고용가능성에 직접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고, 수행접근목표, 숙달회피목표, 수행회피목표는 고용가능성에 직접적 영향을 미치지 않는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직업기초능력은 고용가능성에 직접적으로 유의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수행접근목표와 수행회피목표는 고용가능성과의 관계에서 직업기초능력이 완전매개효과를 지니는 반면 숙달접근목표는 고용가능성과의 관계에서 직업기초능력이 부분매개효과를 지니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러한 결과는 전문대학생들이 취업 준비과정에서 직업기초능력을 배양하면 고용가능성에 긍정적인 영향을 준다는 점과 성취목표지향성을 고려한 직업기초능력 관련 교과 및 비교과 프로그램을 개발ㆍ운영할 필요성을 시사한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analyze the mediating effect of occupational basic competency on the relationship between achievement goal orientation and perceived employability. For this purpose, a self-report questionnaire survey was conducted on 603 students at D college located in Daegu. The results of this study were as follows: First, the mastery-approach goal had a direct influence on perceived employability, and the performance-approach, performance-avoidance, and mastery-avoidance did not directly affect perceived employability. In addition, vocational basic competency had a direct effect on employability. Second, the performance-approach and the performance-avoidance were found to have a perfect mediating effect on the occupational basic competency in relation to perceived employability, while the mastery-approach had a partial mediating effect on the occupational basic competency in relation to the perceived employability. These results suggests that college students have a positive effect on perceived employability when they cultivate their vocational basic competency in preparation for perceived employment, and colleges need to develop a teaching-learning model of vocational basic competency and career-related programs based on achievement goal orientation.

      • KCI등재

        전문대학생의 직업기초능력, 긍정심리자본, 사회적 자기효능감, 고용가능성의 구조적 관계

        이애화 ( Lee Ae Hwa ),이재도 ( Lee Jae Do ) 충남대학교 교육연구소 2017 교육연구논총 Vol.38 No.2

        본 연구의 목적은 전문대학생의 직업기초능력과 긍정심리자본, 사회적 자기효능감, 고용가능성의 인과적 관계를 밝히는데 있었으며, 선행 연구를 바탕으로 가설적 모형을 설정하여 적합도 검증 및 변인 간의 영향관계를 분석하였다. 이를 위한 분석 자료는 대구시에 소재하고 있는 D대학교 재학생 603명이었으며, Amos 21.0을 활용하여 구조방정식모형으로 분석하였다. 주요 연구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직업기초능력은 고용가능성에 직접적으로 영향을 미치지 않는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직업기초능력과 고용가능성의 관계에서 긍정심리자본의 매개효과는 유의미한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직업기초능력과 고용가능성의 관계에서 사회적 자기효능감의 매개효과는 유의미한 것으로 나타났다. 본 연구의 시사점은 직업기초능력을 배양할 때 구직 준비와 실패에 대한 좌절 또는 스트레스를 극복할 수 있는 긍정심리자본과 타인으로부터 적극적인 도움과 피드백을 받을 수 있는 사회적 관계와 소통에 대한 사회적 자기효능감을 고려하는 교과 및 비교과 프로그램을 제공한다면 고용가능성은 더욱 향상된다는 점을 확인하는데 있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clarify the structural relationship between occupational basic abilities, positive psychological capital, social self-efficacy, and employability of college students. The survey were administered to 603 students at D University in Daegu city and analyzed by structural equation model using Amos 21.0. The main results are as follows. First, occupational basic abilities do not directly affect employability. Second, the mediating effect of positive psychological capital is significant in the relationship between occupational basic ability and employability. Third, the mediating effect of social self-efficacy was found to be significant in the relationship between occupational basic ability and employability. The implications of this study are that it is necessary to provide curricular programs and can overcome frustration or job preparation stress, but also social self-efficacy required to receive practical information and advice of employment preparation or employment market from the alumni, professors and experts.

      • KCI등재

        일반논문 : 디지털 리터러시 교육을 위한디지털 역량의 개념적 특성과 한계

        이애화 ( Ae Hwa Lee ) 인하대학교 교육연구소 2015 교육문화연구 Vol.21 No.3

        본 논문은 디지털 리터러시 교육을 위한 디지털 역량의 개념적 특성과 한계를 탐색하였다. 디지털 역량은 디지털 정보와 자료를 활용하여 문제와 과제를 비판적으로 분석하고 그것을 바탕으로 다른 사람과의 협업과 소통으로 사회적 영향력을 발휘하는 능력이다. 그 개념에는 다차원적이고 복합적인 개념, 역량 수준의 그라데이션, 역량 수준의 진단 기준, 영역-일반과 영역-특수의 통합, 개인 및 조직의 특성과 상황 의존성 등의 특성이 내재되어 있다. 또한 디지털 역량은 지속적인 학습과 사회참여, 창의성, 비판적 사고와 문제해결, 효과적인 의사소통 등의 가능성과 디지털 정보의 과신 및 오용, 디지털 정보 관련 병리 현상, 포장된 정체성 및 소외감 증가, 인성 및 감성 능력 저하, 불건전한 정보 습득과 저작권 침해 등의 한계를 동시에 지니고 있다. 디지털 리터러시의 강화를 위해 디지털 기기와 정보 활용 교육, 디지털 리터러시 관련 과목을 통한 디지털 역량 중심 수업, 디지털 의존 및 병리현상을 예방하거나 치료할 수 있는 생활지도 및 상담과 디지털 시민윤리 교육이 필요하다. The paper explored the conceptual characteristics and limitations of digital competence for digital literacy education. Digital competence is an ability to address the tasks and problems embedded in social actions through the collaboration and communication with other individuals and organizations by using the digital resources and informations and by analyzing and applying them critically and systematically. It is characterized by the multidimensional and ambiguous definition, the gradation of competence levels, the diagnosis criteria of competence, the integration of domain-generic with domain-specific, and the situational context of individuals and organization. It has the possibilities such as lifelong learning and social participation, self-directed utilization of digital technology and media, critical thinking and problem solving ability, and effective communication. But it also has limitations like digital misuse and overuse, digital addiction and uneasiness, information obesity, fake identity, emotional problems, unsound media exposure. In order to enhance the digital literacy, educators need to consider digital devices and resources utilization education, digital-competence based instruction, and digital guidance and digital citizenship education.

      • KCI등재후보

        입원중인 만성 정신분열병환자의 삶의 질과 정신병리의 관계

        정순민(Sun Min Jung),이애화(Ae Hwa Lee),박정숙(Jung Suk Park),조진석(Jin Seok Cho),박광석(Gwang Suk Park),변원탄(Won Tan Byun) 대한생물치료정신의학회 2007 생물치료정신의학 Vol.13 No.1

        본 연구에서 정신분열병은 우울감, 불안감이나 환청이 동반된 경우에 자신의 삶에 대한 만족도가 낮은 것으로 나타났다. 우울이나 불안이 동반된 정신분열병에서 재발 및 자살의 위험성이 더 높다는 보고를 고려한다면, 향후 정신분열병의 치료에서 양성증상 뿐만 아니라 환자의 다양한 정신병리적 특성의 평가가 반드시 필요할 것이다. 또한 치료적인 측면에서도 약물치료적인 접근과 더불어, 정신분열병 환자의 삶의 질을 개선하기 위한 정신사회재활 프로그램의 개발과 활용을 위한 노력이 뒤따라야 할 것이다. Objective : To evaluate the influence of depression, anxiety and auditory hallucination on quality of life in schizophrenic inpatients. Method : One hundred and nine schizophrenic patients were included. Depression was evaluated using Beck Depression Inventory(BDI) and anxiety symptom with Beck Anxiety Inventory(BAI). Psychotic symptoms were evaluated using the Positive and Negative Syndrome Scale(PANSS) and Psychotic Symptom Rating scale(PSYRATS). The Quality of life was evaluated using the Schizophrenia Quality of Life Scale(SQLS). Result : BDI, BAI, PANSS total, PANSS general psychopathology subscale, PSYRATS total and PSYRATS hallucination subscale were negatively correlated with quality of life scale in schizophrenia. SQLS were significantly lower in depressed and anxious patients and slightly lower in hallucinatory patients. Conclusion : Because of strong association to their quality of life, we should pay attention to depression, anxiety and auditory hallucination in schizophrenic inpatients.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