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후보
      • KCI등재후보
      • KCI등재후보
      • KCI등재
      • KCI등재

        주요 국가별 보건의료시설 가이드라인의 체계 비교 및 시사점 연구 - 미국, 호주, 영국을 중심으로

        이승지 ( Lee Seung Ji ),김미애 ( Kim Mi Ae ) 한국의료복지건축학회(구 한국의료복지시설학회) 2020 의료·복지 건축 Vol.26 No.3

        Purpose: A solid system in the process of establishing guidelines can increase social acceptance and utilization. The paper aims to comparatively analyze the system in which guidelines for health care facilities in the US, Australia, and the UK and suggest implications for Korea. Method: It conducted literature analysis of the system in the framework of composition, governance, and procedure for the Facility Guidelines Institute's Guideline for US, Australia's Australasian Health Facility Guidelines for Australia, and Health Building Notes for UK. Results and Implications: First, in terms of composition, the guidelines for health care facilities can be divided into composition by space and composition by issue. It is proposed to establish a system that space and issues are clearly separated, such as Australia's AusHGF, and complete it step by step. Second, in terms of governance, despite the fact that the medical supply is privately oriented, the medical system is controlled by the government in Korea. Therefore, it is suggested to form a separate organization in the public sector that establishes, researches, and revises the guideline that will serve as a focal point for experts in various fields to participate. Third, in terms of procedure, it is suggested to establish a guideline that reflects the experiences and demands of consumers by clearly organizing procedures including collecting opinions.

      • KCI등재후보

        도시 공간적 특성을 고려한 옥외광고물 자유표시구역의 지정 방안

        이승지(Seungji Lee) 한국OOH광고학회 2015 OOH광고학연구 Vol.12 No.1

        우리나라는 옥외광고물에 대한 의존도가 높아서 옥외광고물이 도시경관의 중요한 요소로 자리 잡아 왔다. 옥외광고물의 수량 및 위치 등의 규제가 없이 자유로운 설치가 가능한 옥외광고물 자유표시구역은 도시경관에 미치는 영향이 더욱 클 것으로 예상되며, 본격적인 도입에 앞서 도시 차원에서의 공생방안의 모색이 필요하다. 본 연구는 도시경관과 조화되는 옥외광고물 자유표시구역의 도입을 위하여 도시 공간적 특성을 고려한 지정 방안의 제시를 목적으로 한다. 우리나라 옥외광고물 관련 법제도의 분석을 통하여 옥외광고물 특별구역의 실태를 분석하고, 해외 사례에 대하여 도시-지구-가로의 도시 공간적 특성을 분석하다. 이를 토대로 도시경관을 고려한 옥외광고물 자유표시구역의 지정방안을 제안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활발한 도시 활동이 일어나는 상업지역에 지정한다. 면적으로 형성된 상업지역을 중심으로 주거지역과의 관계를 고려하여 지정을 검토한다. 둘째, 지역의 성격이 특화된 지역에 지정한다. 옥외광고물 자체를 특화하여 특정 지역을 특화시키고자 하는 경우 상업성만 부각될 우려가 있으므로, 기존의 문화적 흡입력이 높은 지역을 대상으로 특화 요소와의 연계를 도모한다. 셋째, 위요된 도시구조가 형성된 지역에 지정한다. 옥외광고물의 시각적 영향이 제한된 지역으로 한정될 수 있도록 도로가 아닌 건축물 전면부 기준으로 범위를 명확히 설정한다. 넷째, 보행자 중심의 가로에 지정한다. 보행자가 옥외광고물을 문화적 요소로서 향유할 수 있도록 보행자가 우선이 되는 가로를 대상으로 지정한다. Outdoor advertising has been one of the main element of urban landscape of Korea, since we has a high level of dependence on the outdoor advertising. Free Outdoor Advertising Zone(FOAZ), where the outdoor advertising can be installed freely without the constraints on the number, location, etc, will have a big influence on the urban landscape. We need to seek for a symbiotic plan in the urban level before the implementation of FOAZ. Therefore, this study aims to suggest principles for the designation of FOAZ considering the quality of urban space, so the harmony between the FOAZ and the urban landscape can be achieved. The study analyzed the condition of special districts of outdoor advertising through the analysis of the legal system related to the outdoor advertising and analyzed the characteristics of urban spaces by the frame of urban-district-street for the foreign cases. Based on the above analysis, the suggested principles for the designation of FOAZ considering the quality of urban space are as follows: 1)Designate at the commercial zone where the live urban activities take place. It should be the area-based commercial zone instead of linearly designated commercial zone considering the residential zone nearby. 2)Designate at the area where has the specialized characteristics. Connect with the specialized cultural attractions of the area such as Special Tourist Zone and Cultural District. 3) Designate at the area where has the enclosed urban structure. The boundary of the Zone should be the street wall created by architectures instead of the street itself. 4) Designate at the pedestrian friendly street so that the pedestrians can enjoy the outdoor advertising as a cultural element.

      • KCI우수등재

        범죄예방 환경설계 관점에서 공동주택 단지 내 공공보행통로의 개선방안 연구

        이승지(Lee, Seung-Ji) 대한건축학회 2018 대한건축학회논문집 Vol.34 No.6

        A public pedestrian passage induces traffic into the apartment complex, and therefore, it requires the application of Crime Prevention Through Environmental Design(CPTED). This paper aims to analyze the conditions and to suggest the improvements of public pedestrian passages in apartment complexes, applying a 3-D approach from CPTED aspect. The first aspect is “Designation”: 1)The linkage between the public pedestrian passages is weak, and their designated purpose becomes unclear. 2)When the designated purpose is not considered for each complex, the closure rate is high. 3)The closure rate of the “Through type” is high. It suggests that the pedestrian network should be built and vitalized at the local urban level. The second aspect is “Definition.” The public pedestrian passage lacks a social, cultural, and legal definition and only has a passive physical definition. It suggests that a legal definition and specialized guildline be prepared. The third aspect is “Design”: 1)Insufficient territoriality exists between the public pedestrian passage and the inside of the complex. Territoriality should be reinforced between the public pedestrian passage and the rest of the internal territory. 2)The landscaping adjacent to the public pedestrian passage lacks deliberation. Since this is where safety and privacy collide, detailed design and maintenance of the landscaping is required. 3)It lacks systematical crime prevention facilities and should compensate accordingly.

      • KCI등재
      • KCI등재

        태양광발전시설 설치지역 주민의 에너지에 대한 환경·사회적 가치 인식 비교 : 제주 동광 태양광 그린빌리지와 홍성군 홍동면 사례를 중심으로

        이승지(Seung Ji Lee) 제주학회 2011 濟州島硏究 Vol.35 No.-

        재생가능에너지에 대한 정부와 시민들의 관심이 높아지면서, 재생가능에너지의 이용을 통한 지역 단위 에너지자립에 대한 시도는 다양한 형태로 진행되고 있다. 먼저, 제도적으로 실시한 대표적인 사례가 그린빌리지 (Green Village) 사업이라고 할 수 있다. 이는 행정이 주도가 되어 주민들을 정책사업에 참여하도록 하는 행정주도형 에너지자립마을이라 할 수 있다. 반면, 주민들이 자발적으로 재생가능에너지 시설을 설치하고, 이를 통해 각 가정 뿐 아니라 마을 단위에서 자원이 순환되는 지역 생태 시스템을 구축하려고 노력하고 있는 사례도 있다. 이는 행정주도형과 상반된 개념으로 주민주도형 에너지자립마을이라고 할 수 있다. 이 두 형태의 에너지자립마을은 에너지전환 혹은 자립이라는 측면에서 표면적으로 그 목적이 같아 보이지만 재생가능에너지를 이용하게 된 역사적 배경과 동기, 주민들의 참여정도 등 에너지 자립마을 조성 동기가 다르므로 재생가능 에너지 사용 이후의 주민들의 에너지에 대한 의식과 마을공동체의 지속가능성에 대한 관심과 삶의 태도가 다르게 나타날 것이다. 본 연구에서는 재생가능에너지 시설을 이용하고 있는 에너지자립마을 주민들의 환경과 사회적 가치 인식에 관한 비교연구를 위해 지속가능한 에너지 체제 를 분석의 틀로 이용하였다. 연구의 대상은 먼저 정부주도형 에너지자립마을은 그린빌리지 사업이 최초로 진행된 제주특별자치도 서귀포시 안덕면 동광리의 태양광 그린빌리지를 선정하였다. 그리고 주민주도형 에너지자립마을은 충청남도 홍성군 홍동면의 태양광발전 시설 이용지역을 대상지로 선정하였다. 설문조사를 통한 양적분석의 결과 먼저, 재생가능에너지를 대표하는 태양광발전시설의 환경적 가치 와 사회적 형평성 , 그리고 민주적 절차 의 요소에서 주민주도형 에너지자립마을의 주민들이 정부주도형 에너지자립마을의 주민들보다 더욱 긍정적으로 평가하고 있는 것으로 확인되었으며, 이는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차이를 보였다. 또한 지역의 공동체성 확보 요소에 대해서는 대상지별로 각각 다른 결과가 도출되었다. 이와 같은 결과를 통해 재생가능에너지 시설보급 사업에 앞서 지역주민들의 인식수준을 향상 시키는 것이 지역의 공동체성과 지속가능성 확보라는 측면에 더욱 효과적인 방법이 될 수 있다는 것을 알 수 있다. 한편, 심층면접을 통해 태양광발전 시설을 이용한다 할지라도 시설에 대한 바른 이해가 없다면 정책사업의 목적에 맞지 않는 왜곡된 결과가 도출 될 수 있다는 것을 확인 할 수 있었다. 본 연구를 통해 재생가능에너지 시설을 이용하는 데 있어 시설 설치의 주체에 상관없이 에너지체제의 전환과 지속가능한 마을 만들기에는 한계가 있음을 확인할 수 있었으며, 지속가능한 에너지체제의 전환을 위해 주민들은 재생가능에너지의 환경과 사회적 가치를 바르게 이해하는 동시에 각 마을의 특징과 제반여건에 맞는 정책을 수립하고 시행함으로써 지속적으로 재생가능에너지의 이용을 확대해 나아가야 할 것이다. This study aims to compare and analyze the awareness level of environmental and social values, using the PV System(Photovoltaic Systems) of the Green Village locals and the Community Based Village locals. The theoretical foundation of the study is based on a sustainable energy system . The research was based on a numerous surveys and various serious interviews with two local members. The collected data from the surveys have been analyzed with the Statistical Package for the Social Science (SPSS). The criteria set-up and various factors considered for the entire analysis were environmental value, energy conservation, social equality, democratic procedure, and local community spirit about using the PV systems. The locations of the research were Green Village , Donggwang-ri, Anduck-myon, Soegipo-si, Jeju-do and Hongdong-myon, Hongsung-Gun, Choongchungnam-Do. Jeju Green Village is a government-based, solar-energy-using site and Hongdong-myon is a community-based, solar-energy-using site. Local people in both sites use the PV systems however, they have different motives and methods in using and applying the solar energy. The surveys were intended to study the awareness level of the two locals environmental and social values. Multiple times of serious interviews were held to identify different motives and changes in their lives through using the PV systems. The outcome of the research indicates the followings: First, different views on using the PV systems between the people from the government-based village and community-based village in environmental values, social equality and democratic procedure factors were found. Second, the result of local community spirit factor was different at two research sites. Community-based village people considered using PV systems help create a good local community spirit regardless of the actual application of the system. At Government-based village, on the other hand, people believed that it was necessary to actually use the PV systems to build-up the local community spirit. Overall, the result has shown the needs for some environmental education in advance, for the people who will be using the system. Several serious interviews held with the locals also indicate that there was no visible difference between the two sites from the statistic point of view. They both confirmed that the energy consumption pattern has not changed after all, in spite of using the PV systems. If anything, the study showed that, the government-based village people tend to spend more electricity as the electricity bills with the solar energy system are usually lower and the community-based village people did not care much about the bills anyway as they think highly of the environmental value of the PV systems. The interview results have also demonstrated how crucial it is to spread the correct information and knowledge on renewable energy to the locals. In conclusion, there still is a limit to building a village solely based on sustainable energy and changing the current energy system. The locals should be informed with correct knowledge on renewable energy and the government has to suggest and plan better policies. Such policies need to meet the requirements of the locals as they are trying to overcome the obstacles of the current conditions and moreover, the government should continue on searching for better energy system and relevant policies that could benefit the whole as a society in a long-run.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