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금융 프로덕트팩토리를 위한 복합상품 설계시스템의 개발

        이성하(Seong-ha Lee),주정은(Jung-eun Ju),최성철(Seong-cheol Choi),구상회(Sang-hoe Koo) 한국지능정보시스템학회 2004 지능정보연구 Vol.10 No.2

        프로덕트팩토리는 온라인 고객을 위한 실시간 금융상품 설계시스템을 의미한다. 복합상품이란 두개의 서로 다론 상품의 속성을 적절히 결합하여 설계한 새로운 상품을 의미한다. 복합상품프로덕트팩토리는 위 두 개념을 결합한 것으로서 두개의 서로 다른 상품을 비즈니스 규칙과 사용자의 요구에 근거하여 적절히 결합하여 새로운 복합상품을 설계하는 프로덕트팩토리를 의미한다. 금융 및 보험 산업에서 자동화된 프로덕트팩토리의 필요성에 대하여 많은 논의는 있었지만 현재까지 이렇다 할 연구 성과는 보이지 못하고 있는 실정이다.<br/> 본 연구에서 우리는 복합상품을 설계할 수 있는 프로덕트팩토리를 개발하였다. 복합상품을 설계하기 위해서는 상품의 구조화된 표현 방법이 필요하며, 이렇게 표현된 서로 다른 상품의 속성을 결합하여 복합상품의 속성을 정의 할 수 있는 속성결합방법이 필요하고, 또한 이들 속성의 결합방법을 채어하는 비즈니스 규칙을 표현하기 위한 방법 이 필요하다. 본 연구에서 우리는 상품을 기술하는데 필요한 네 종류의 속성을 규명하였고, 이들 속성을 결합하기 위한 결합연산자를 개발하였으며, 또한 비즈니스 규칙을 표현하는 방법을 제시하였다. 또한, 본 연구의 효과를 검증하기 위하여 복합상품설계시스템을 구현하여 대출상품에 적용해 보았다.<br/> Product factory is a real-time financial product design system for the Internet customers. The hybrid product is a product taking combined characteristics of two different products. Hybrid product factory is a product factory that designs hybrid products from two different products based on both business rules and customer requirements. Though the importance of product factory is emphasized in the industry, there has not been much research peformed regarding product factory.<br/> In this research, we developed a product factory system that designs hybrid products. To design a hybrid product, it is necessary to have a method to combine attributes and values of two different products, and a method to control the combining operations to properly reflect business requirements. In this research, we developed four different combining operators and business rule representations. In addition, to prove the effectiveness of this methods, we implemented a prototypical system and demonstrated on cases regarding financial loan products.<br/>

      • KCI등재

        발달장애인의 중등교육이후 전환프로그램 모형 개발 연구

        이성하 ( Seong Ha Lee ),나운환 ( Woon Hwan Na ) 한국지적장애교육학회(구 한국정신지체아교육학회) 2012 지적장애연구 Vol.14 No.4

        이 연구는 발달장애인의 중등교육이후 전환프로그램의 구성 요인들을 추출하여 우리나라에 적합한 발달장애인 중등교육이후 전환프로그램 요인을 구명하고, 전환프로그램 모형을 개발하는데 그 목적을 두고 있다. 연구의 목적을 밝히기 위해 전환교육의 이론적인 모형과 전환교육 프로그램의 구성요인을 중심으로 문헌 분석하고 수집한 내용을 토대로 전문가 대상 포커스 그룹 인터뷰를 실시하였다. 이 후 델파이 방법에 의한 설문조사를 2차에 걸쳐 실시하고 프로그램 구성요인에 대한 합의는 평균, 표준편차, 왜도로 나타냈으며 분석의 타당성을 밝히기 위해 켄달의 W검정을 실시하였다. 이렇게 구명된 중등교육이후 전환프로그램 요인을 최종적으로 탐색하여 한국형 발달장애인 중등교육이후 전환프로그램 모형을 제시하였다. 이 연구를 통하여 다음과 같은 결과를 얻었다. 첫째, 발달장애인 중등교육이후 전환프로그램 구성요인은 크게 운영구성요인과 프로그램요인으로 분류되었다. 운영구성요인에서 운영주체는 특수학교, 장애인복지관 등이 있으며 이 중에서 장애인복지관 등 지역사회기관에서 운영하는 것이 적절하다. 교육연한은 2~3년이 적절하며, 스텝구성은 직업재활전문가, 특수교사, 상담사, 사회복지사로 구성한다. 재정은 국가지원 무상교육이거나 국가와 본인이 적절하게 배분하여 부담하는 것이 적절하며, 연령은 18세~25세 혹은 18세~30세로 비슷한 연령대로 구성하는 것이 적절하다. 입학 자격은 고등학교 졸업 또는 이와 동등한 학력을 가진 자이며, 입학사정에서는 고등학교생활기록부 또는 IEP, 면접, 시험이 필요하고 이 중 면접이 가장 적절한 방법이다. 생활 형태는 기숙사 생활, 가정에서 생활, 이를 혼합한 형태 모두가 적절하다. 프로그램 요인은 크게 독립생활, 지역사회생활, 기능적 학업, 직업생활, 지원서비스 5개 영역으로 분류되었다. 셋째, 한국형 발달장애인을 위한 중등교육이후 전환프로그램의 모형을 제시하였다. 이 모형은 고등학교에서 사회로의 전환, 특히 고등교육으로의 전환에 초점을 두며 계속적인 추수지도와 지원, 기관간의 협력을 강조하는 모형이다. The purposes of this study are to develop a model of the post-secondary education program for people with developmental disabilities. This study suggested the key factors of the post-secondary education program and developed a model of post-secondary education program for people with developmental disabilities. After a literature review, focus group interview was conducted by the experts for post-secondary education program. Then questionnaire surveys which asked about essential factors of the program were conducted twice with the special education teachers, professors, experts for the post-secondary education program. The data from surveys was analyzed by using Delphi method. The consensus on the factor of post-secondary education program for people with developmental disabilities were marked with mean, SD and skewness. To clarify the validity of analysis, Kendall`s W test was used. The results of this study are as follows: First, the essential ingredients for the post-secondary education program were categorized into 13 factors. 8 operating factors include the central operating body, period of training, staffs, funding, age of participations, requirements, admission, and place of the living. 5 program factors include the independent living skills, community-based living skills, functional academic skills, employment, supportive service. Second, post-secondary education program for people with developmental disabilities for are divided operation factors and program factors. Among the operating factors, Special education school and local organizations as the welfare center for people with developmental disabilities are qualified for management agent. That proved 2~3 years training period is most effective and the rehabilitation counselor, special educators, social workers are needed as staffs. For funding, most of specialists think both local government and one`s own self are responsible for it. Program factors are divided into 5 major factors - Independent living, Community- based living, Functional academic skills, Employment, and Supportive service. Third, based on the findings from the analysis, model of post-secondary education program for people with developmental disabilities was presented. This model focused on transition from high school to vocational education and training that emphasized the independent living and cooperation between post-secondary education program and community agencies, follow-up services.

      • KCI등재

        When 'No' Does not Mean 'No'

        Lee Seong Ha(이성하) 언어과학회 2003 언어과학연구 Vol.27 No.-

        Grammaticalization research has been predominantly concerned with analyzing fully grammaticalized items, and studies dealing with the items that are at the incipient stages have been largely underrepresented. Since grammaticalization is a result of meaning negotiation in discourse, rhetorical strategies constitute an important research issue, because these are often central in discourse. This paper deals with rhetorical negations, i.e., those with which the speakers do not literally `negate` a meaning of a linguistic sign, but instead use for strategic effects. Of diverse negation words, four lexical negatives were selected: anita `not:be`, epsta `not:exist`, moluta `not:know`, and malta `not:continue`. Based on real life data, this analysis presents grammaticalization phenomena displayed by these rhetorically used lexical negatives currently in the course of changing into discourse markers, auxiliary verbs and auxiliary adjectives. There are diverse discourse markers resulted from this grammaticalization process, carrying special discourse functions such as attention-attracting, attenuating, etc. Likewise, there are auxiliary verbs that takes a verb as their complements and add diverse modal meanings. There is also an instance of auxiliary adjective, which, however, is in decline in use frequency, gradually being replaced by auxiliary verbs with similar semantics.

      • KCI등재후보
      • KCI등재

        예비특수교사의 특수학교와 특수학급에 대한 선호도 분석

        강민주(Kang Min Joo),이성하(Lee Seong Ha),이문정(Lee Mun Joung) 한국장애인재활협회 2014 재활복지 Vol.18 No.1

        본 연구는 예비특수교사의 특수학교 및 특수학급의 교사교수활동, 학생학습활동에 대한 선호도를 알아보기 위해 8개 지역(강원, 경남ㆍ부산, 경북ㆍ대구, 광주ㆍ전남, 충청)에 특수교육학과가 개설된 대학교의 예비특수교사들을 대상으로 설문조사를 실시하였다. 연구결과 첫째, 예비특수교사는 특수학급보다는 특수학교에서 교사교수활동을 더 선호하였다. 그러나 장애학생의 학습활동은 특수학교보다 특수학급을 선호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예비특수교사의 배경변인에 따른 특수학급의 교사교수활동에 대한 선호도 차이는 중등특수교육 전공자일수록, 학년은 1학년일수록 더 많은 기대감을 가지는 것으로 나타났다. 반면에 지역별로는 대구ㆍ경북지역 예비특수교사들이 특수학급의 교사교수활동에 대한 기대감이 낮은 것으로 나타났으며 이는 특수학교 학생학습활동에서도 같은 결과로 나타났다. 셋째, 예비특수교사의 특수학교 및 특수학급의 교사교수활동과 학생학습활동 대한 상관관계를 분석한 결과, 유의미한 관계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를 토대로 예비특수교사의 교사교수활동 및 학생학습활동에 대한 시사점과 제언을 제시하였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investigate the prospective teachers' preferences of special schools and classes. The questionnaire of this study consists of teaching and learning activity factors. The results of this study are as follows: First, prospective teachers prefer special classes over special schools for the teaching activity factors. They anticipate that special schools have more chances of interchanging colleagues' idea than special classes have. In addition, they have a lot more expectation on special schools than special classes for the handicapped students' learning activities. Second, in the group expectation analysis about the teaching activities between special schools and classes, younger prospective teachers (especially freshmen) have high expectations on the special classes' teaching activities. They anticipate that special classes include a variety of learning activities more than special schools do. The prospective teachers in Daegu, Gyeongbuk area have low expectations on the teaching activities of special schools and classes. Third, correlation analysis of factors is found to be statistically significant results. Therefore, prospective teachers prefer special schools for teaching activities and special classes for learning activities.

      • KCI등재

        여성 지적장애인의 경제활동상태 관련 요인에 관한 연구

        이문정 ( Mun Joung Lee ),남정휘 ( Jeong Hwi Nam ),이성하 ( Seong Ha Lee ) 한국지적장애교육학회(구 한국정신지체아교육학회) 2014 지적장애연구 Vol.16 No.1

        본 연구는 여성 지적장애인을 대상으로 경제활동상태의 실태를 파악하고, 경제활동상태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이 무엇인지를 분석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이를 달성하기 위해 2011년 제4차 장애인고용패널데이터(Panel Survey of Employment for the Disabled)를 활용하여 분석대상인 여성지적장애인 81명을 추출하였고, 여성지적장애인에 대한 경제활동상태의 실태와 경제활동상태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을 분석하였다. 먼저 경제활동상태의 차이를 분석한 결과, 여성 지적장애인의 실업비율은 매우 높고, 취업비율은 매우 낮은 것으로 나타났다, 취업자의 특성으로서 연령면에서 주로 20-40대이며, 수급자의 경우 취업비율이 낮게 나타났다. 장애정도가 경할수록 취업비율이 높게 나타났으며 일상생활만족도도 취업자가 실업자에 비해 높은 것으로 조사되었다. 그리고 경제활동상태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을 분석한 결과, 수급자일수록, 타인을 도움을 필요로 하는 정도가 높을수록 취업할 가능성이 낮아지는 것으로 분석되었다. 이러한 결과를 바탕으로 여성지적장애인의 취업활성화를 위한 방안을 제시하였다. This study explores relationships among variables, which are unemployed in the sociological characteristics of population with women intellectual disabilities, disability’s characteristics and characteristics related to life compared women intellectual and economic activity status of disable people by surveying disabilities who participate in Forth Disabled Employment Panel. As a result, the difference in economic activity status was analyzed the unemployment rate of women with intellectual disabilities is very high, and showed a very low rate of employment. Employed as a characteristics is mainly 20s to 40s, unemployed is high ratio receipt of National Basic livlihood Security. As the mild of the degree of disability was higher employed and life satisfaction higher than unemployed workers were investigated. Economic activity status that affects a substantial look at the variable, it was shown lower prospective employment the more recipients and the more other who need help. Based on these findings, the study suggested plans for the activation of employment women with intellectual disabilities.

      • KCI등재

        발달장애인의 중등이후교육 프로그램 인식 비교 연구

        이문정 ( Mun Joung Lee ),이성하 ( Seong Ha Lee ) 한국지적장애교육학회(구 한국정신지체아교육학회) 2013 지적장애연구 Vol.15 No.3

        이 연구는 발달장애인의 중등이후교육에 관한 방향성을 탐색하기 위하여 특수교사와 장애학생 보호자 간의 중등이후교육에 관한 필요성과 운영에 관한 요인, 활성화방안에 관한 인식의 차이를 알아보고 향후 방향성을 제시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이를 위해 대구·경북지역의 발달장애학생을 지도하는 특수교사와 장애학생 보호자를 대상으로 중등이후교육 프로그램에 관한 설문조사를 실시하였다. 연구결과 첫째, 장애학생 보호자와 특수교사 모두 발달장애인의 중등이후교육의 다양한 필요성을 인식하고 있었다. 둘째, 중등이후교육의 운영요인에서는 장애학생 보호자와 특수교사의 의견이 운영환경, 통합형태, 교육연한, 비용부담, 교육대상, 스텝 요인에 있어서는 상이한 결과가 나타났으나 교육내용, 운영주체, 거취형태, 교육형태, 직업경험이나 기회제공, 지원서비스 영역에서는 일치하는 결과를 나타냈다. 셋째, 중등이후교육을 활성화하기 위해서는 국가의 재정적 지원과 책무성 강화, 다양한 형태의 전문교육기관과 교육비용 지원 및 교육관련 서비스 지원이 확대되어야 함을 알 수 있었다. 이를 토대로 발달장애인 중등이후교육 프로그램에 관한 시사점과 제언을 제시하였다. This study examined the perception of special education teacher and parents groups regarding the necessities and requirements which the post-secondary education program for students with developmental disabilities, and suggested direction of the post-secondary education program for people with developmental disabilities. For the purpose, this research reviewed to theoretical background related the post-secondary education program for students with developmental disabilities and samples consisted 107 special education teachers and 114 parents who are residing in Daegu and Gyeongbuk areas were surveyed by questionnaire. The results of this study are as follows:First, the special education teachers and the parents perceived that post-secondary education programs for students with developmental disabilities is very necessary. Second, the government need to take responsibility and support funding for post-secondary education programs and operate a variety of views. Finally, the compare on the operating factors between the special education teachers and parents concerned shows that two groups have the difference of perceptions in some items. Both agreed on factor of curriculum, operating body, place of the living, type of operating, vocational experience, supportive service but disagreed on environment of operating, type of mainstream, period of training, staffs, funding, object of training.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