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 등재정보
        • 학술지명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후보

        논문 : 만해의 도덕적 상상력과 문학의 상관성

        이성천 ( Seong Chun Lee ),이은영 ( Eun Young Lee ) 경희대학교 인문학연구원 2011 인문학연구 Vol.0 No.19

        이 논문은 만해 한용운의 사상체계에 나타나는 도덕적 상상력과 문학의 상관성에 관한 의미 규명을 목적으로 삼는다. 본고에서는 이러한 문제제기를 통해 만해의 문학적 글쓰기가 논설, 실천적 행위로써의 불교개혁운동 및 독립운동이 서로 분리된 것이 아니라 ``도덕적 상상력``을 매개로 해서 유기적인 관계를 맺고 있음을 입증하고자 했다. 뿐만 아니라 그의 문학 창작 활동은 우연적이거나 다른 활동과 무관한 일종의 선택적 사안이 아니라 그의 전체적인 삶과 활동에서 자연스럽게 어우러지는 것임을 제시하고자 했다.구체적 논의로 본고의 2장에서는 상상력과 실천의 관계에 대해 만해의 불교 철학을 중심으로 살펴보았다. 그리고 3장에서는 만해의 도덕적 상상력의 형성과 그 내용에 대해 주로 「조선불교유신론」을 통해 고찰하였다. 4장에서는 만해의 도덕적상상력이 그의 문학과 실천에 어떻게 표출되고 있는가를 구체적으로 살펴보았다.이 과정에서 본고는 만해의 문학과 실천은 별개의 활동이 아니며 동일한 상상력의 외부적 표출임을 입증했다. 개인적 측면에서 만해 내면의 도덕적 상상력은문학과 논설이라는 ``언어적`` 형식으로 표출되고, 불교개혁운동과 독립운동이라는 ``신체적`` 형식으로 표출된다. 또한 언어로 표출된 문학은 만해 개인을 넘어서 독자의 도덕적 상상력을 자극하고 함양시키는데, 이렇게 해서 독자 내면의 상상력도결국은 외부적 실천으로 이어지게 된다. 결국 만해의 도덕적 상상력은 그 자신의 언어적, 신체적 행위의 동인(動因)일 뿐만 아니라 그의 시, 소설을 읽는 독자의 마음에 변화를 일으켜 행동하게 만든다. 따라서 만해의 문학은 자기 자신의 실천을 이끄는 도덕적 마음을 닦는 수단이자, 타자들의 도덕적 상상력을 함양시키는 실천적 수단이라고 할 수 있다. This paper appears in the system of thought of Han deserve moral imagination and literature on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purpose of identifying serve as means. This paper raises these issues through the Han`s literary writing editorials, and practical action as a Buddhist reform movement and the independence movement, rather than isolated from each other ``moral imagination`` organic relationship with the medium that it would prove. His literary creation, as well as activities unrelated to the accident or any other kind of activity, not an optional matter in his whole life and activity would suggest that naturally harmonious. Specifically, chapter 2 of the paper is to discuss about the relation- ship between imagination and practice Buddhist philosophy of Man- hae looked around. Chapter 3 of the moral imagination and the formation of the Manhae and the information primarily for the (``Korea Buddhist theism``) was investigated through. Chapter 4 of Manhae and his literary and moral imagination in practice what is being expressed and examined in detail. In the process, this study literature and practice of the Manhae is not a separate activity of the external manifestation of the imagination proved to be the same. Manhae in terms of personal moral imagi- nation of the inner discourse of the literary and ``linguistic`` is expre- ssed in the form of Buddhism called reform movement and the independence movement ``physical`` is expressed in the form. Also expressed in the language of literature over the Manhae individuals to stimulate the reader`s moral imagination wont recharge, so the reader inside the external action of the imagination, after all, is leading to. Manhae moral imagination of the end of his own verbal or physical conduct of a motive, as well as one of his poems, novels and a change in the mind of the reader to act, make up. Thus, the literature of Manhae led his own practice and ethical means of wiping the mind, the other practical means to cultivate their moral imagination can be said.

      • KCI등재

        일반논문 : 김명순의 일본어 소설 『인생행로난(人生行路難)』 고찰

        이성천 ( Seong Chun Lee ),권선영 ( Sun Young Kwon ) 한민족문화학회 2015 한민족문화연구 Vol.48 No.-

        본고는 중편소설 『인생행로난』을 중심으로 김명순 문학세계의 전반적 성격과 새로운 논의의 가능성을 타진하는 데 그 목적이 있다. 논의의 단초는 잡지 『조선 및 만주』에 실려 있는 일본어 소설 『인생행로난』을 김명순의 작품으로 전제하는 데 놓여 있다. 본고가 『인생행로난』을 김명순의 소설로 전제하고 논의를 전개한 이유는 다음과 같다. 첫째, 작가가 다양한 필명을 사용했다는 점, 둘째 동명의 문인이 존재하지 않는 상황에서 2회 연재분에 기재된 ‘김명희’는 단순 오기일 가능성을 배제할 수 없다는 점, 셋째, 한국문학을 전공하는 일본 학자들의 견해가 뒷받침되고 있다는 점, 넷째, 김명순의 수준작 『외로운 사람들』과 주제 및 문체적 측면에서 유사성을 보인다는 점 등이 그것이다. 이 과정에서 본고는 김명순의 이 작품이 일제강점기의 암울한 현실과 만주국 이데올로기의 허상을 적시하고 있다는 것, 또한 식민지 지식인의 내면을 입체적으로 조명하고 있다는 사실을 확인할 수 있었다. 본고가 시도한 『인생행로난』의 연구는 한국 문학사에서 아직까지 소개되지 않은 김명순의 일본어 소설을 대상으로 집중 분석했다는 차원에서 나름의 의의를 부여할 수 있다. 거듭 강조하는 바, 김명순 문학연구의 선결과제 중 하나는 텍스트 확정 및 서지작업과 밀접한 관련이 있다. 1920,30년대의 우리 문단이 ‘부정한 피’의 소유자로 지목된 신여성 김명순에 대해 호의적인 시선을 보내지 않았다는 것, 그로 인해 발표지면 및 작품 활동에 상당한 견제와 제재가 가해졌다는 것 등은 역설적으로 김명순 문학의 새로운 출현을 기대하게 한다. 특히 1930년대 이후 그가 주로 일본에서 창작활동을 수행했다는 점을 감안하면 김명순의 문학의 외연은 점차적으로 더욱 넓어질 것으로 판단된다. 마지막으로, 『인생행로난』이한국 연구자들에 앞서 일본인 연구자들에 의해 발굴되었다는 사실은 필자를 포함한 후속 연구들에게 반성을 촉구하는 계기가 되어야 할 것이다. This paper is aims to exploring the possibility of a novelette "Difficulties of the life course" and the new center to discuss the overall nature of the literary world of Meongsoon Kim. Discussion of the clue lies in the premise of the work of Meongsoon Kim``s Japanese novel "Difficulties of the life course" as listed in the magazine "Chosun and Manchuria". This paper is one reason presupposes the "Difficulties of the life course" as a novel by Meongsoon Kim and deploy discussed are as follows: First, the point that the author used a variety of pseudonyms, the second series of the same name twice in the situation described in the statement does not exist, ``Meongsoon Kim`` is that you can not rule out the possibility of simply misrepresented, and the third of Japanese scholars who studied literature in Korea that view is supported, and the fourth shows a similarity in the "Lonely people" and the themes and stylistic aspects of Meongsoon Kim is a point and so on. In the process, this paper is that the work face the grim reality in Japanese occupation and illusion of Manchuria ideology, and it was confirmed that the three dimensional lighting and the inner surface of the colonial intellectuals. Research in this paper attempts "Difficulties of the life course" may be given its own significance in terms of the analysis was focused to target the Japanese novel by Meongsoon Kim not yet been introduced in Korea literacy history. It is reiterated, one of the priorities of Meongsoon Kim literature is closely related to the fixed text and bibliographic work. The paragraph in 1920 and 1930, we did not send it a favorable eye on the New Woman Meongsoon Kim was cited as the owner of ``unclean blood``, and thus presented a significant delay, and works such as checks and sanctions will be applied to work activities paradoxically Meongsoon Kim should expect the emergence of new literature. Especially when considering the fact that after she received the creative activities mainly in Japan in the 1930s is expected extension of the literature of Meongsoon Kim gradually became more broad. Finally, the "Difficulties of the life course" is the fact that Japanese researchers have excavated by researchers ahead of South Korea will be the occasion to call for reflection for future research, including the author.

      • KCI등재

        김일엽 문학에 나타난 "신여성: 담론 고찰

        이성천 ( Seong Chun Lee ) 한민족문화학회 2012 한민족문화연구 Vol.39 No.-

        이 논문은 김일엽 문학에 나타난 ``신여성`` 담론에 대한 고찰을 목적으로 한다. 김일엽은 한국근대문학을 논의하는 데 있어 빠뜨릴 수 없는 주요 작가 중의 한 사람이다. 그것은 그가 근대 초기의 몇 안 되는 여성작가라는 희소성과 작가의식의 선진성 및 당시로서는 도발적이라고 할 만큼 과감하고 ``낯선`` 문학적 상상체계를 지녔기 때문이다. 이에 따라 본고에서는 ``「신여자」의 가능성과 한계``, ``일본 <모성보호논쟁>과 김일엽 문학사상의 상관체계``와 같은 세부 주제를 중심으로 김일엽의 문학을 이해하는 데 하나의 실마리를 제공하고자 했다. 먼저 2장에서 본고는 1920년 김일엽이 발간한 최초의 여성잡지 『신여자』를 중심으로 이 시기 그의 문학사상의 한계와 가능성을 살펴보았다. 이 과정에서 논문은 김일엽의 문학사상이 자기논리의 모순성을 내재한다는 사실을 지적하고, 1920년대 조선의 사회현실과 ``여성해방``의 문제에 대한 당대의 인식 수준 등을 고려하여 논의를 전개하였다. 다음 장에서는 일본의 <모성보호논쟁>과 김일엽 문학사상의 상관체계를 살펴보았다. 여기서 논문이 일본의 ``모성보호논쟁``을 소개한 이유는 이 논쟁이 『신여자』 폐간 이후 김일엽의 변모된 문학사상을 이해하는 데 매우 요긴한 것으로 판단되었기 때문이다. 특히 그 동안 일부의 논의들이 김일엽과 히라쓰카 라이초의 연관성을 지속적으로 언급해 온 만큼, 히라쓰카가 직접 참여한 ``모성보호논쟁``에 관한 검토 작업은 불가피했다. 이 과정에서 본고의 결론은 김일엽의 문학을 히라쓰카와의 단순 비교로만 파악하기는 어려우며, 1920년대 김일엽 문학 사상의 변모 과정의 온전한 이해에 도달하기 위해서는 동시대 식민지 조선의 사회적 정황, 개인사적 특수성, 일본 신여성운동의 영향관계 등 복합적이고 중층적인 시각의 접근이 필요하다는 데 도달했다. 아울러 이러한 접근 방법은 김일엽 문학의 사상적 변모과정을 총체적으로 이해하는 일인 동시에, 자유연애와 같은 근대사상을 적극적으로 수용하면서도, 한편으로는 전통적 사유체계에 깊이 침윤된 제1세대 신여성들의 복합적이고 모순적인 사유방식을 이해하는 궁극적인 일에 해당함을 주장하였다. 한편, 불교에 귀의한 이후의 김일엽 문학연구의 현황과 추후 과제는 글의 마무리 부분에서 언급해두었다. This paper about a Kim, Il-Yeop appeared in the literature on ``New Women`` discourse intended. Kim, Il-Yeop is Korean modern literature discussion never got to be putting one of the major writers are not. It is only a few of her early modern women writers and artists called the scarcity of advances in time would suspect as provocative as she imagined ``stranger`` literary system. Nevertheless, the study of Kim, Il-Yeop literature ever, somewhat passive as negative. First, in 1920 she published one of the first women`s magazine ``Shin Yeo Ja(New Women)`` in this period her think on the limitations and possibilities. In this process, and this is an idea that Kim, Il-Yeop`s literary self contradictory logic inherent in the fact that last name, to point out the reality of the 1920s, the community on the issue of the feminist ``Women``s Liberation`` of the level of awareness with respect to the discussion. The following are seen as Japan`s <Motherhood protection controversy> and Kim, Il-Yeop will scan the system of the correlation. In this process, the existing research are comprehensive and holistic approach has failed to try, as a result, the existing discussion on the literature of the world`s intact, a proper understanding of the literature of the world not reached will prove that. Since the last time you saw an her Buddhist literature research of present situation and future challenges.

      • KCI등재
      • KCI등재

        『청록집』에 나타난 현실 수용 양상과 전통의 문제

        이성천 ( Seong Chun Lee ) 한민족문화학회 2012 한민족문화연구 Vol.41 No.-

        본고는 『청록집』에 나타난 현실 수용양상과 전통의 창조에 대한 고찰을 목적으로 한다. 1946년 『청록집』을 펴내면서 이른바 청록파로 지칭된 박목월, 조지훈, 박두진의 시세계는, 자연과 순수 서정의 세계를 노래했다는 것으로 집약된다. 그러나 지금까지 해방기의 당대 현실을 배제한 채 논의되었던 『청록집』의 자연과 순수서정의 문제는 시대적 상관관계 속에서 새롭게 고찰되어야 한다. 이에 본 논의는 『청록집』에 나타난 자연의 구체적 양상을 통해 세 시인이 해방기라는 특수한 역사적 시기를 어떠한 방식으로 수용했는지를 살펴보고자 한다. 『청록집』에 나타나는 일단의 특성은 시집 전체를 관통하는 자연의 순수성, 정적이고 관조적인 시적 태도로 정리될 수 있다. 하지만 『청록집』에서 공통적으로 나타나는 ‘자연’은 현실과 동떨어진 곳에 위치하면서도, 궁극적으로 그것은 인간 삶의 문제와 밀접한 연계성을 확보한다. 이 과정에서 주목할 사실은 『청록집』을 에워싼 ‘자연’의 의미망안에는 해방기의 혼란과 갈등을 보다 근원적인 자연 질서 속에서 치유하려는 의도가 담겨 있다는 점이다. 즉 청록파의 자연은 현실의 대안적 공간으로 설정되어 있다. 한편, 『청록집』에 그려진 감각적 자연의 세계는 ‘전통’이라는 삶의 양식을 자연적 세계로 동화시키면서 ‘옛 것’은 곧 민족적이고 순수한 것으로 동일화한다. 그리고 이러한 세계 안에서 인간의 삶이 회복될 수 있다는 가능성을 보여준다. 요컨대 『청록집』에는 ‘해방’ 이후의 삶에 대한 이념적 지향으로써 순수한 민족의 세계를 구축해야 한다는 민족주의적 바람과 동시에 전통적인 것에 반하는 사회주의 이념에 대한 배제가 담겨 있다고 볼 수 있다. 결과적으로 청록파에게 반사회주의로서 전통적인 것 ,즉 민족적인 것이 곧 자연과 동일시될 수 있는 순수한 세계로 인식되었던 것이다. This thesis is an acceptance of the reality shown in <Chung Rok Jib> aspects and traditions with the aim of looking into remarks about the problem. In the late 1930s, a new Korean modern literature in the ``the Coterie of Chung Rok`` poets Karam, Jiyong, Sangheo traditionalist literature, genealogy of the deficit position. Especially since it was published in 1946, <Chung Rok Jib> the modern discovery of the nature of these: the world or ``the nature coterie`` of innocence by saying, it decided Canon. But this and that A discussion of the Liberation period remains the reigning, so I think that excluding the reality of an era as pure justice issues and consider the interrelationships of would have to be considered as new reflections. This article is based on the acceptance of reality shown in teal House through analysis of the natural aspect of the <Chung Rok Jib>. <Chung Rok Jib> wide features penetrates the entire House at nature``s purity and contemplative attitude. <Chung Rok Jib> commonly seen walking away from the secular and natural location. Social and political reality is located in a secluded from protesting the call of ``nature`` space inside of human nature in that embraces human beings called space while at the same time non-secular atmosphere consistently. <Chung Rok Jib> to penetrate the entire House in the spectrum of ``natural`` individuals each artist in the world and has to reflect the utopian city. But the <Chung Rok Jib> liberation and emancipation was announced shortly after the creation of poems. Is out of the <Chung Rok Jib> in chaos and discord in nature than fundamental life of Liberation period, sources and who want to see an intent based on life. In a nutshell the world of sensual <Chung Rok Jib> described nature traditional incorporated the natural life form is soon as old ethnic and pure as identical. And these can be recovered within a human life in the world. A pure nationalist wind and at the same time, contrary to the traditional socialist principles for exclusion as it should be. As an anti-Socialist-``the Coterie of Chung Rok`` on par with traditional means can be identified with an ethnic pure nature and would soon be the world awareness.

      • KCI등재

        일반논문 : 안함광 초기 비평의 자의식과 발생론적 배경

        이성천 ( Seong Chun Lee ) 한민족문화학회 2015 한민족문화연구 Vol.50 No.-

        이 논문은 1930년대 안함광 초기 비평의 자의식과 그 발생론적 배경을 살펴보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본고의 일차적인 문제의식은 안함광 비평의 주요 개념으로 평가되는 <조선적 특수성> 혹은 <경험적 구체성>이 생성, 전개되는 과정에 대한 이해에 있었다. 이를 위해 본 연구자는 1930년대 안함광의 문단사적위치를 우선적으로 파악하고자 했다. 구체적으로 언급하면, 해주지부<연극공장> 소속 안함광과 카프 경성지부의 관계에 대한 고찰이었다. 이 과정에서 연구자는 안함광의 초기 비평이 카프를 대표하는 주요 논객들, 즉 박영희와 권환과의 논쟁을 의도적으로 유도하고 있다는 점을 확인했다. 그리고 이러한 배경에는 카프의 <중앙과 지부=내부와 외부=안과밖>의 경계에 선 자가 느끼는 이중적 심리가 직.간접적으로 작용하고 있음을 분석했다. 이런 안함광의 초기 비평적 자의식은 그간의 적지 않은 선행연구들이 방치해온 「朝鮮 푸로 藝術運動의 現勢와 混亂된 論壇」과 「무산연극운동의 촉진」을 통해서 견인할 수 있었다. 이에 따라 논문에서는 후속 연구자들이 이두 편의 평문은 물론 기타 장르까지 체계적으로 탐구할 것을 제의하였다. 한편, 이상의 논의를 통해 결과적으로 이 논문은, 1930년대 초반 안함광의 비평적 자의식은 경계에 선 자가 느끼는 이중의 압박에서 벗어나지 못했으며, 이는 향후 전개되는 그의 농민문학론과 동반작가논쟁 및 창작방법논쟁에 많은 영향을 끼치고 있다는 견해를 제시했다. 이때, 남는 과제는 이상에서 분석한 안함광의 비평적 자의식이 다음에 오는 그의 문학적행보에 끼친 영향관계를 구체적이고 체계적으로 고찰하는 일이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understand the self-consciousness of initial criticism and its genetic background of Ahn, Hamgwang in 1930`s. The primary awareness of the issue lies on understanding the process of creation and development of <Distinct Characteristics of Joseon> and <Concreteness of Experiment> which are evaluated as the primary conception of criticism of Ahn. In order to understand this, I have intended to understand the literary situation of Ahn in 1930`s. To add more detail, it was the consideration regarding the relationship between KAPF kyungseong branch and Ahn of <Theatre Factory> of Haeju branch. It has been confirmed that the early criticism of Ahn intentionally induced the arguments with the representative disputants of KAPF including Park Young-hee and Kwon Han on purpose. It has been also analyzed that there had been direct and indirect effects on dual mentality for the ones on boundary of <Center and Branch = Inside and Outside = Interior and Exterior> of KAPF. Ahn`s self-consciousness of early criticism could be led by 「presents and a forum`s confusion of Joseon proletariat art movement」 an 「Promotion of proletariat Play Movement」which had been neglected by a number of previous studies. As a result, this study has proposed that the follow-up researchers should systematically explore plain texts of these two pieces along with other genres. On the other hand, this study had proposed the point of view that explains the self-consciousness of criticism of Ahn at the early 1930`s could not deviate from the dual pressure felt by the ones on boundary and this eventually had a great impact on the theory of peasant literature, accompanied writer dispute and creative method dispute. In this regard, the only project left is to specifically and systematically consider the influencing relationship on his later literary trail by Ahn`s self-consciousness of criticism.

      • KCI등재

        일반 논문 : 『주체문학론』 이후의 북한시 연구

        이성천 ( Seong Chun Lee ) 한민족문화학회 2006 한민족문화연구 Vol.19 No.-

        이 논문의 목적은 김정일의 『주체문학론』 발간 이후, 북한시의 흐름을 총체적으로 살펴보는 데 있다. 김정일의 『주체문학론』과 이를 바탕으로 창작된 작품들은 궁극적으로 북한 문학의 오래된 `전통`인 당의 공식적인 지배 이데올로기를 재생하는, 일종의 체제 종속적 문학 담론의 연장선상에 놓여 있는 것으로 판단된다. 단지, 오늘날의 북한문예창작이론의 전통은 `주체문학론`이라는 이름으로 새롭게 호명될 뿐이다. 한편, 90년대 북한의 주요 정책들은 체제종속적인 북한 문예의 성격상, 이 시기 문예이론과 창작방법론에 적극적으로 수용된다. 이 무렵의 북한문학은 `붉은기 사상`, `고난의 행군`, `강성대국과 선국정치` 등 각각의 정치적 과제에 민감하게 반응하며, 이것들을 주제로 한 작품들이 주를 이룬다. 특히 90년대 후반기부터는 `선군정치`가 북한의 핵심정치 이념으로 제기되는 까닭에 선군정치의 시대정신을 형상화하는 작품들이 속출한다. 현재 북한에서 선군정치는 <만능의 정치방식>으로 인식된다. 이에 따라 최근까지도 대부분의 북한 문학은 선군정치를 문학적으로 형상화한, 이른바 선군혁명문학을 표방하고 있다. 이는 정치적 이념과 미학적 실천을 동일시하는 북한 문학의 특성을 뚜렷하게 보여준다고 하겠다. 아울러 북한문학의 오래된 주제인 김일성 부자 우상화 작업과 반제반미의 문학적 표출 양상도 이 시기 들어 한층 강화되어 나타난다. 이는 "선군정치시대"의 북한 문학에 나타나는 주목할 만한 현상이다. The purpose of this thesis is to gain wide picture of the stream of North Korean Poems after the publication of Kim Jung-il`s `Juche Literary Theory`. The `Juche Literary Theory` published on 1992 functioned as textbook for the creative writing of North Korea until these days. This fact is confirmed by the pieces from North Korean magazine <Joseon Literature> that follows the creative standards proposed in `Juche Literary Theory`. Even though slightly different depend on time and matter, it primarily operates as a ideological weapon against imperialism and the United States or a strong tool for maintenance of Kim Il-sung and his son`s power and North Korean socialism system focused on the party, people and leader. Therefore the works based on `Juche Literary Theory` are laid upon the prolongation of North Korean literature tradition that reproduces the ideology of the Communists. This tradition of creative writing of North Korea, that is, literature depended on socialism recently called as `Juche Literary Theory`. On the other hand, creative writing and literature theory accepted the principal policies of 1990`s. In this period, the main stream of North Korean literature sensitively deals with political issue, namely `Red Flag Phenomenon`, `Marching of Hardship`, `Big Country and Songun Policy` and so forth. Especially, from the 90`s, a series of works emerged that formalize the spirit of the age, `Songun Policy`, as it became the North Korean`s principal political issue. So to speak, `Songun Policy` is the North Korean national management system of military first politics that insist on the succession of predecessor`s revolutionary achievement. Around 1998, the North Korea formally announced `Songun Policy` for the inside and outside of the country. Nowadays, `Songun Policy` is regarded as <Almighty Political Method> and thus most of the North Korean literature claims the literature of Songun revolution that literarily formalize `Songun Policy` until late. This shows the specific character of the North Korean literature that regards political belief as aesthetic practice. In addition, time-honored subject of the North Korean literature, Kim Il-sung and his son`s idolization, anti- imperialism and anti- America are strengthened in the time span. That is a significant phenomenon of the North Korean literature in the period of Songun Policy.

      • KCI등재

        황동규(黃東奎) 초기시(初期詩)에 나타난 ‘불안(不安)’의 정체(正體)

        이성천 ( Lee Seong-chun ) 한국어문교육연구회 2005 어문연구(語文硏究) Vol.33 No.4

        本考는 황동규의 초기 詩世界에 나타난 ‘불안’의 存在論的 意味를 하이데거의 철학적 觀點에서 糾明하는 것을 目的으로 한다. 하이데거의 존재 사유를 이론적 根據로 삼은 이유는, 황동규 초기시세계의 全般的 性格이 하이데거의 存在 哲學的 範疇 안에서 一貫된 흐름을 보인다는 사실과 관련된다. 黃東奎의 초기시는 ‘不安意識’을 강하게 表出한다. 특히 시인의 ‘不安意識’은 자주 ‘이상한 빛’, ‘부름의 소리’ 등의 視ㆍ聽覺 이미지를 同伴하고 나타나는데, 이는 하이데거 철학의 핵심 개념인 ‘존재의 부름’, ‘빛’의 性格과 매우 밀접한 樣相을 보여준다. 따라서 황동규 초기 詩世界의 ‘不安意識’은 하이데거의 존재 철학적 관점에서 接近할 때 보다 積極的인 意味를 부여할 수 있다. 이러한 硏究 作業은 궁극적으로 황동규 시세계의 存在論的 意味를 규명하기 위한 일종의 豫備 作業이며, 또한 그것은 黃東奎 시의 本質的 性格을 검토하기 위한 새로운 詩論에 해당한다. This thesis is intended for elucidating the ontological meaning of ‘misgivings’ found in Hwang, Dong-kyu's primary world of poems through Heidegger's philosophical point of view. The reason this thesis is based on Heidegger's being thinking is related to the fact that overall features of Hwang, Dong-kyu's primary world of poems are seemed to have an uniform flow inside the category of Heidegger's being philosophy. Hwang, Dong-kyu's early poems intensively expose a sense of ‘misgivings’. Especially, the poet's sense of ‘misgivings’ often accompanies with the visual and auditory senses such as ‘strange light’, ‘sound of calling’, etc. This shows a very close phase of ‘calling of being' and ‘light’ which are critical concepts of Heidegger's philosophy. Hence, we can give more active meanings to the sense of ‘misgivings’ in Hwang, Dong-kyu's primary world of poems, when approaching with Heidegger's being philosophical viewpoint. The research work of this thesis is ultimately a kind of preliminary job to shed light on ontological meanings of Hwang, Dong-kyu's world of poems and it is also a new poetic theory to examine the essential characteristic of the poems of Hwang, Dong-kyu.

      • KCI우수등재

        만해 시에 나타난 〈님〉과 〈사랑〉의 존재론적 의미

        김재홍(Kim Jay-Hong),이성천(Lee Seong-Chun) 국어국문학회 2008 국어국문학 Vol.- No.150

        This thesis is intended for elucidating the ontological meaning ofNim and 'Love' found in Manhae's poems. There are two reasons that this writing approaches to essence of Manhae's poetic world in aspect of Heidegger's ontological thinking. For the first, 'Silence of Nim' carries stronger conviction when it understood connected with Heidegger's philosophy. Secondly, the Han Yong-un's poems about ontological meaning can examine the basic and overall character of Manhae's poetic world. Furthermore, the internal motive of characters of his poets as liberty, equality, peace and love is expected to be disclosed, As stated above, there are two points that Manhae's poetic world is approached in aspect of ontological thinking. Hence, this thesis firstly focused on identifying ontological meaning of 'Nim', the key word to understand Han Yong-un's poets. In the world Manhae's poems, 'Nim' is constantly an object that subject 'Dear' and not immutability. Accordingly, identity of 'Nim' is decided by whom the subject of 'Dear', The entity of 'Nim' is suggestive of 'being' reveals the concealed entity by distinctively experienced from subject. This discussion is considering the concepts of Heidegger's 〈Sein of Seinde〉, 〈ontological thinking〉 and the intrinsic meaning of 'enlightenment' in Tao and Zen as Han Yong-un was a Buddhist priest. Now for looking upon the meaning of 'Love', the basis of Han Yong-un's poets, it is comprehensible with Heidegger's philosophical idea that 〈Dasein〉 constantly forms 'being' between dynamic events and courses. Finally, the 'Love' in Han Yong-un's poem is understood by the process of 'Sein of Seiende' is exposed.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