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래플마케팅 속 사회적 증거 메시지가 제품태도, 브랜드태도, 구매의향에 미치는 영향: 브랜드 친숙도의 조절효과를 중심으로

        이성미 ( Lee Sungmi ) 커뮤니케이션디자인학회 2022 커뮤니케이션 디자인학연구 Vol.81 No.-

        많은 소비자들이 남들보다 특별해지고 싶은 욕구를 충족시키기 위해 소비를 하는데 언제 어디서나 인터넷에 접속하여 다른 사람들의 생활을 구경하고 자신에 대해 노출 시키는 미디어 환경속에서 이런 욕구는 더욱 증가하고 있는 추세이다. 기업들은 소비자들의 이러한 독특성 욕구를 충족시켜 줄 수 있는 ‘한정판’ 제품을 제작하고 소비자의 주의를 끌고 있다. 특히, 수량이 한정되어있는 제품을 선택받은 소수가 구입할 수 있게 하기 위해 소비자가 사전에 응모를 하고 추천을 통해 구매자를 결정하는 래플(Raffle) 방식이 하나의 마케팅으로 자리잡았다. 기존에 진행된 래플마케팅 중 성공 사례를 보면 대중의 인지도가 높은 나이키, 삼성전자, 스타벅스와 같은 유명 브랜드가 주를 이루는데 이는 단시간에 구매의사결정을 내려야 하는 래플마케팅에 노출되었을 때 브랜드 명성이 중요한 요인이 될 수 있음을 시사한다. 제한된 수량만 한정된 소비자에게 판매하는 래플마케팅은 신규 브랜드에게 효율적인 마케팅 방식이 될 수 있음에도 불구하고 아직까지 이에 대한 연구가 부족한 실정이다. 따라서, 본 연구는 브랜드 친숙도 수준에 따라 소비자들의 래플마케팅에 대한 반응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을 탐색하여 래플마케팅에 대한 학술적 이해도를 높이고자 한다. 래플마케팅과 같이 제한된 시간 안에 한정적인 정보에 의존하여 의사결정을 내려야 하는 경우 다수의 의견이나 행동을 정량적 지표로 참조하는 것은 소비자의 의사결정에 도움을 준다고 알려져 있다. 따라서, 본 연구는 래플마케팅에서 “현재 000명이 참여중/응모중”과 같이 다수의 의견을 정량적인 지표로 보여주는 사회적 증거 메시지 유무가 래플마케팅 효과에 미치는 영향이 브랜드 친숙도 수준에 따라 어떻게 달라지는지 검증하고자 한다. 이에 본 연구는 래플마케팅을 진행하는 브랜드의 친숙도 수준이 낮을 때 (vs. 높을 때) 소비자들은 사회적 증거 메시지를 제시하는 래플마케팅에 더욱 호의적인 반응을 보일 것이라 가정하였다. 본 연구에서 제시한 가설들을 검증하기 위해 실험연구를 진행하였고 2x2 집단 간 요인설계를 이용하였다. 연구결과 브랜드 친숙도가 낮은 상황에서 사회적 증거 메시지를 제시한 래플마케팅에 노출된 소비자들이 더욱 호의적인 제품태도, 브랜드 태도, 높은 구매의향을 보였다. 본 연구는 지금까지 거의 다루지 않았던 래플마케팅 연구에 새로운 이론적 기반을 제공하는 동시에 사회적 영향 이론(social influence theory)에 대한 기존 연구를 확장시켰다는 점에서 학술적 의의를 가진다. 또한, 래플마케팅에 관심을 가지고 있는 실무자들에게 브랜드 속성을 고려한 래플마케팅 전략의 기반을 제시하고 있다는 점에서 실무적 의의를 함께 제공한다. Many consumers seek products, services, and experiences that make themselves differentiate from others. Advances in social media leads consumers to purchase products that few other possess. This tendency to desire unique products leads companies to make limited edition products. Creating limited edition products have been considered as an effective marketing strategy to attract more consumers. Raffle, a lottery system in which only winners can purchase the product, has become a powerful marketing strategy. In general, raffle marketing strategy focuses on the concept of “scarcity of the good”, and this strategy make the product attractive, exclusive, and highly unique. However, such marketing strategy can call the consumer to action when famous brands like Nike, Samsung, and Starbucks launch and sell limited edition products. In fact, brand reputation is critical to use raffle marketing because a positive brand reputation increases consumer confidence in brand and product. Since raffle marketing creates high expectation around the product and brand, this can be effective marketing strategies for startups. Although raffle marketing for startups is crucial, there is a lack of research examining factors that influence effectiveness of raffle marketing. Thus, investigating how to increase positive attitudes and purchase intention for raffle marketing is needed to understand consumers’ responses to raffle marketing and to find a way to increase effectiveness of raffle marketing. The purpose of this research is to examine how social proof message in raffle marketing influence product attitude, brand attitude, and purchase intention, which would determine the effectiveness of raffle marketing. This study uses a 2 (social proof vs. no social proof message) x 2(high brand familiarity vs. low brand familiarity) factorial desigh to test the effects of social proof message and brand familiarity on consumers’ responses to raffle marketing. Results reveals the interaction effects of social proof message and brand familiarity on product attitude, brand attitude, and purchase intention. Both theoretical and managerial implication are addressed.

      • 리눅스 사용자를 위한 개인용 방화벽 설계 및 구현

        이성미(Sungmi Lee),권문상(Moonsang Kwon),현상원(Snagweon Hyun),조유근(Yookun Cho) 한국정보과학회 2003 한국정보과학회 학술발표논문집 Vol.30 No.1A

        최근 개인용 컴퓨터 사용자들의 인터넷 사용이 빈번해지면서, 개인용 컴퓨터 시스템에 대한 다양한 네트워크 공격의 피해가 늘고 있다. 이에 개인용 방화벽이 개발되었으나 현재 대부분이 윈도우 시스템에 기반하고 있다. 하지만 최근 리눅스 시스템이 개인용 컴퓨터의 운영체제로 많이 사용되고 있고, 피해 사례가 상당히 많음에도 불구하고 아직까지 리눅스 기반 개인용 방화벽은 전무한 실정이다. 본 논문에서는 기존의 리눅스 기반 네트워크 방화벽에서 제공하는 기능들 외에 동적 정책 설정 기능과 악의적인 네트워크 프로그램 실행의 제어 기능들을 추가적으로 포함하는 리눅스 기반 개인용 방화벽을 설계하고 구현하였다.

      • KCI등재
      • KCI등재후보

        온라인 추천시스템의 신뢰도가 브랜드 태도에 미치는 영향: 제품 유형의 조절효과를 중심으로

        이성미 ( Sungmi Lee ) 인천대학교 사회과학연구원 2020 사회과학연구 Vol.13 No.2

        본 연구는 소비자들이 온라인 추천 시스템에 대한 반응을 살펴보기 위해 귀인이론을 적용하여 인지된 전문성, 신뢰성, 브랜드 태도, 구매의도 관계를 탐색하였다. A 2 (추천유형 : 전문가 vs. 소비자 후기)X 2(제품유형:경험재 vs. 탐색재) 실험을 실시하였다. 진실성 및 전문성과 신뢰도는 태도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쳤으며 제품에 대한 긍정적인 태도는 온라인 추천시스템에서 추천한 브랜드의 구매의향과 정관계를 보였다. 하지만, 제품 유형과 온라인 추천시스템 유형의 상호작용 효과는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가 발견되지 않았다. 연구결과는 온라인 추천시스템에 대한 학문적인 시사점과 실무적인 시사점을 함께 제시하였다. This study measures attitude, purchase intentions, and brand credibility to investigate how consumers make attributions about different types of online recommendation systems regarding their product knowledge and product involvement. A 2 (recommendation systems: Expert vs. Customer Review) X 2(product type: experience vs. search) experiment was conducted to investigate the phenomenon. A significant positive influence of credibility (trustworthiness and expertise) on attitude was found in the results. Positive attitude towards a recommended brand generated positive purchase intention. However, no significant effect of interaction between product type and recommendation system type was found in the analysis.

      • KCI등재
      • KCI등재

        누가 모바일 광고의 어떤 정보에 반응하는가

        김미경(Kim, Mikyoung),이성미(Lee, Sungmi) 한국광고홍보학회 2017 광고연구 Vol.0 No.114

        모바일 및 통신 기술의 급속한 발전에 따라 많은 기업들이 모바일 광고를 집행하고 있다. 특히, 1인 매체인 스마트폰을 통한 광고는 노출도가 높아 기업들이 선호하는 광고유형이나 그 효과는 기대에 미치지 못하는 실정이다. 모바일 광고에 대한 기존 연구는 모바일 사용자의 개인적 특성보다는 사용자의 환경, 상황, 메시지 특성과 같은 외적 요인이 광고 효과에 미치는 영향에 초점이 맞춰져 왔다. 이에 본 연구는 기존에 주로 연구되어 왔던 모바일 광고 속성을 비롯한 외적요인 이외에 소비자의 개인적 특성이 모바일 광고 효과에 미치는 영향을 알아보고자 한다. 구체적으로 소비자의 인지 양식(cognitive style) 중 이미지 선호 성향에 따라 모바일 광고에 대한 태도가 어떻게 달라지는지 알아보기 위해 296명을 대상으로 설문 조사를 실시하였다. 연구 결과 소비자의 이미지 선호성향에 따라 광고의 정보적 가치와 오락적 가치에 대한 인식이 다르게 나타났으며, 이와 같이 지각된 광고의 정보적 가치와 오락적 가치는 모바일 광고 태도에 긍정적 영향을 미쳤다. 구체적으로 소비자의 이미지 선호 성향이 높을수록 모바일 광고의 오락성과 정보성이 가치가 있다고 인식하였다. 또한 본 연구는 지각된 광고의 정보적 가치와 오락적 가치가 콘텐츠 성향이 모바일 광고 태도에 대한 영향을 매개하는 것을 입증하였다. 본 연구 결과는 모바일 광고 제작 시 타깃 소비자가 선호하는 콘텐츠를 최적화시켜 광고를 실시하여야 광고 효과를 높일 수 있다는 점을 시사한다. The rapid development of mobile devices has resulted in increasing use of mobile devices to deliver advertising. Although increasing number of companies have adopted mobile advertising, the effects of mobile ad are questionable. Previous studies on mobile advertising have focused on external factors rather than consumer individual differences in the effectiveness of mobile ad. Based on the existing literatures regarding mobile advertising and cognitive style, this study explores how consumers’ content preference influences their responses to mobile advertising. A survey of 296 participants was conducted. The findings of this study show that content preference has positive relationship with consumers’ perceived informative value and perceived entertainment value of mobile ad. Moreover, the results reveal that perceived informative value and perceived entertainment value mediate the effects of content preference on attitude toward mobile ad. Implications and suggestions for further studies are also provided in this study.

      • 감성적 접근을 통한 도시상징물의 인지효과 전략에 관한 연구

        한세민(Han, Seimin),이성미(Lee, Sungmi),윤갑근(Yoon, Gabgeun) 한국디자인지식학회 2013 디자인지식저널 Vol.28 No.-

        세계가 글로벌화 되면서 국가보다는 도시 마케팅의 중요성이 강조되고 있다. 도시상징은 도시경쟁력의 중요한 요소로서 도시의 좋은 이미지를 만들고 도시의 정체성을 표현하는 중요한 역할을 하고 있다. 본 연구에서는 도시상징물이 갖는 감성적 소통 기능이 도시상징의 인지효과에 긍정적인 영향을 준다고 가정하고 군산시를 대상으로 도시상징물의 인지도와 각 상징물이 갖는 감성적 소통과의 관계를 알아보고자 하였다. 연구결과 자연발생적 상징물이 인공적 상징물에 비해 인지효과나 지역상징효과가 큰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감성적 소통정도와 인지효과 간의 관계가 유의한 것으로 나타났으며 감각적 감성보다는 기능적, 관계적 감성이 높을수록 상징효과도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따라서 인공적 상징의 기능적 측면과 관계적 측면의 감성적 소통을 증진 시킬 수 있는 프로그램을 마련하고 인지효과가 높은 자연발생적 도시상징물을 시 상징물로 적극 활용한다면 도시상징물이 도시경쟁력을 향상시키는데 기여할 것이다. As the world is globalized, the importance of city marketing rather than the country is being emphasized. Symbol of the city is an important element for the city competitiveness and it plays a significant role to make a good image of the city and express the identity of the city. This study assumes that emotional function of communication that the symbols of the city has will have positive effect on cognitive effects of the city symbols and investigates the relationship between perception of the city symbols and the sentimental communication that each symbol has in Gunsan area. The study result shows that regional factor has greater perception or regional symbolic effect comparing to secondary symbols. Also, relationship between sentimental communication and regional symbolic effect is significant, and rather than sensible sensibility, higher functional and relational sensibility show high regional symbolic effect.

      • KCI등재

        ‘코로나19’ 위기대응 공식 채널로서 17개 광역자치단체 홈페이지 비교 연구

        송철민 ( Song Chulmin ),이지화 ( Lee Jihwa ),허지수 ( Heo Jisu ),이성미 ( Lee Sungmi ),이서현 ( Lee Seohyeon ) 한국지역언론학회 2021 언론과학연구 Vol.21 No.1

        본 연구에서는 ‘코로나19’ 감염병 위기 상황에서 17개 광역자치단체가 위기대응 공식 채널로서 홈페이지를 어떻게 활용하고 있는지 살펴보았다. 분석을 위해 홈페이지 기능을 정보제공, 상호작용, 편의 증진, 기타로 구분하였다. 분석 결과 대부분의 광역자치단체는 발생 동향, 예방수칙, 방역 현황 등 감염병 예방을 위해 필요한 정보들을 신속하고 일관되게 전달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하지만 대부분의 정보가 일방향적으로 제공되고 있어 홈페이지의 장점이라 할 수 있는 지역주민과의 쌍방향 소통 기능은 미흡한 것으로 확인되었다. 편의 증진 부분에서는 카드뉴스, 지도 등 다양한 방법을 활용하여 관련 정보에 대한 이해를 높이기 위해 노력하고 있었다. 하지만 일부 광역자치단체에서는 보도자료를 통해 텍스트 위주의 정보를 제공하는 등 지역주민들의 정보 접근 용이성을 떨어뜨리는 것으로 나타났다. 전체적으로 광역자치단체들은 위기정보 제공은 잘하고 있으나 홈페이지의 상호작용 기능은 충분히 활용하지 못하고 있음을 확인했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xamine how 17 regional governments have used a webpage as an official crisis response channel during COVID-19. For this study, we separated the webpage functions into categories such as information provision, interaction, and convenience enhancement. Our analysis showed that most of the regional governments promptly and consistently delivered information necessary for infection prevention, such as outbreak trends, precautions, and quarantine status. However, the regional governments provided most of the crisis information in one direction; the two-way communication function with residents, which is the advantage of using a webpage, was insufficient. In terms of convenience enhancement, governments tried to increase the residents’ understanding of crisis information by using various methods, such as Card News and maps. However, some regional governments provided text-oriented information through press releases, which have limited accessibility. Overall, we found that most of the regional governments primarily focused on providing crisis information and did not actively utilize the interactive functions of the webpage.

      • KCI등재

        제품 이미지의 위치가 쇼핑 검색광고 태도에 미치는 영향

        이성미 ( Lee¸ Sung-mi ) 커뮤니케이션디자인학회 2021 커뮤니케이션 디자인학연구 Vol.77 No.-

        많은 소비자들이 온라인에서 제품을 검색하면서 검색광고에 빈번하게 노출되지만, 항상 구매로 연결되는 것은 아니기 때문에 검색광고를 집행하는 마케터, 소상공인들은 구매율을 높이기 위해 다양한 방법으로 소비자의 주의를 끌고 있다. 보편적으로 제품 이미지, 브랜드 로고와 같은 시각적 요소는 활용하여 소비자들이 검색광고에 주의를 기울이고 활발하게 정보처리를 할 수 있도록 유도한다. 한편, 선행연구에서는 광고 내 제품 이미지가 배치되는 방향에 따라 광고의 효과가 달라질 수 있다고 하였다. 이는 소비자들이 검색사이트에서 제품을 검색하고 노출되는 쇼핑 검색광고를 평가할 때, 제품 이미지가 나타나는 위치가 광고 및 광고하는 제품의 가치를 평가할 수 있는 단서가 될 수 있음을 시사한다. 기존의 연구에서는 동일한 제품의 광고라 할지라도 제품 이미지의 위치에 따라 소비자가 인식하는 제품의 무게감이 달라질 수 있다고 검증하였다. 따라서, 본 연구는 쇼핑 검색광고 내 제품 이미지의 수평적 위치에 따라 소비자들의 광고에 대한 반응이 어떻게 달라지는지 살펴보고자 한다. 광고 내 제품의 수평적 위치가 소비자들의 제품 무게감에 대한 인식과 광고평가에 영향을 준다는 것은 이미 많은 선행연구에서 검증 되어왔다. 보편적으로 오른쪽은 무거운, 왼쪽은 가볍게 인식한다는 것은 널리 알려진 사실이다. 이에 제품의 무게감이 긍정적인 제품의 속성으로 작용할 때, 제품 이미지가 오른쪽에 위치한 광고에 대해 소비자들이 긍정적으로 평가할 것으로 예측할 수 있다, 반면, 제품의 무게감이 제품의 가치를 평가하는 속성이 되지 않을 때, 제품 이미지의 위치는 광고효과에 큰 영향을 미치지 않을 것이다. 본 연구는 쇼핑 검색광고 내 제품의 무게감이 중요한 속성일 때, 제품 이미지의 수평적 위치는 소비자들의 광고 평가에 중요한 단서가 될 수 있다고 가정한다. 구체적으로, 본 연구는 제품 이미지의 수평적 위치가 가벼움-왼쪽, 무거움-오른쪽과 같은 심적 정렬구조와 일치할 때 (vs. 불일치 할 때) 소비자들은 광고 및 광고제품에 더욱 호의적인 반응을 보일 것이라 가정하였다. 본 연구에서 제시한 가설들을 검증하기 위해 실험연구를 진행하였고 2x2 집단 간 요인설계를 이용하였다. 연구결과 쇼핑 검색광고 내 제품 이미지가 소비자의 무게감 인식과 같은 심적 정렬 구조와 일치할 때 광고태도, 지각된 거래가치, 구매의향이 모두 높게 나타났다. 본 연구는 쇼핑 검색광고 연구에 새로운 이론적 기반을 제시하고 제품 이미지의 위치효과(location effect)에 대한 기존 연구를 확장시켰다는 점에서 학술적 의의를 가진다. 또한, 쇼핑 검색광고를 집행하는 마케터에게 제품 이미지 활용 전략을 제시하고 있다는 점에서 실무적 의의를 함께 제공한다. Many consumers search for something online, but they often leave the site without buying. For online marketers and retailers who are interested in search engine advertising, it is important to get consumers’ attention to increase the buying intention. Using visual elements like product image and brand logo has been a general strategy that enhances consumers’ motivation to process search engine advertising. Specifically, several research has revealed that the position of product image in advertising affects consumers’ responses to advertising. When consumers browse search engine results, they may use the position of product image as a clue to evaluate the value of advertised product. Extant research has found that location of the product image in advertising affects consumers’ perception of product weight. This research demonstrates a new aspect- the horizontal location of product image in search engine advertising- that influences consumers’ response to search engine advertising. The horizontal location of product image in advertising is shown to influence consumers’ perceptions of the visual heaviness of the product and evaluations of the search engine advertising. In general, the heavier locations are on the right and the lighter locations are on the left of the advertising. When a products’ heaviness is considered as a positive attribute, advertising with the product image placed on the right are preferred; whereas for products for which the heaviness is not considered as a positive attribute, the location of product image may not influence consumers’ preferences. This research propose that when considering search engine advertising for a product for which heaviness is a relevant component, consumers will incorporate location information into their processing advertising. Specifically, this research hypothesized when the horizontal location of product image is congruent (vs. incongruent) with the light-left, heavy-right weight representation, consumers would be more favorable toward the advertised product. To test the hypotheses, this research conducted an experimental study that was a 2 (location of product image: left vs. right) x 2 (product type: paper cup vs. apple juice) between-subjects design. The results of this study revealed that consumers showed more favorable attitude towards advertising, higher transaction value, and stronger purchase intention when the product image of search engine advertising is located congruently with the manner in which consumers perceive the heaviness. This study provides theoretical implications to extent the existing research regarding location effects of product image. Also, this study suggests a meaningful implications to provide marketers with practical insights to search engine advertising.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