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중소벤처기업의 기술혁신역량, 협업, 신제품개발성과 간의 구조적 관계 분석

        이설빈 한국벤처창업학회 2020 벤처창업연구 Vol.15 No.1

        This study is intended to determine that there is a casual relationship between technological innovation capability and new product development performance in small and mid-sized venture companies, and that the introduction of collaboration as a means to step up technological innovation capability will improve new product development performance. To achieve this, a survey was carried out to employees who are engaged in R&D work for small and mid-sized venture companies based in Korea, and the results were analyzed by regression analysis. The findings showed that technology strategy, technology learning and open innovation belonging to technological innovation capability in small and mid-sized venture companies had an effect on new product development performance. In other words, the selection of collaboration as a wider array of core strategies on new product development performance showed that collaboration was a strategy affecting new product development performance. In addition, the moderating role of technological innovation capability in boosting new product development performance through the introduction of collaboration showed that common collaboration had a positive effect on stepping up technology strategy, and collaboration as a core strategy had a positive effect on the size of new product development performance by strengthening technology strategy and open innovation. 본 연구에서는 중소벤처기업의 기술혁신역량과 신제품개발성과가 상호 인과관계가 있음을 밝히고, 기술혁신역량을 강화하기 위한 수단으로 협업을 도입하면 신제품개발성과가 향상됨을 규명하였다. 연구방법으로는 국내 소재 중소벤처기업 R&D업무에 종사하는 실무담당자들을 대상으로 설문조사를 실시하였다. 연구결과, 중소 벤처기업의 기술혁신역량에 속하는 기술전략, 기술학습, 그리고 개방형 혁신이 신제품개발성과에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즉 신제품개발성과에 미치는 다수의 핵심전략으로서 협업을 선택한 결과, 협업이 신제품개발성과에 영향을 주는 전략임을 규명하였다. 아울러 협업을 도입하면 기술혁신역량이 신제품개발성과를 강화하는데 조절역할을 하는 지도 함께 살펴보았는데, 일반적인 협업은 기술전략 강화에는 직접적인 영향을 미치지 않지만, 협업에 따라서는 기술전략과 개방형 혁신이 강화되어 신제품개발성과의 크기에 긍정적인 영향을 주는 것으로 평가되었다.

      • KCI등재후보

        전사적 경영혁신 활동이 프로세스 개선과 생산성에 미치는 영향 : 프로세스 개선에 따른 조절 효과를 중심으로

        이설빈,김상영 한국경영컨설팅학회 2015 경영컨설팅연구 Vol.15 No.3

        본 연구는 전사적 경영혁신 활동이 프로세스 개선과 생산성에 미치는 조절 효과를 파악하는 데 목적을 갖고 연구하였다. 전체적인 연구결과 전사적 경영혁신 활동이 프로세스 개선과 생산성에 미치는 영향에 있어 혁신과 품질이 유의적인 변수로 채택되고 프로세스 개선에서도 팀과 개인 단위 중심의 경영혁신활동이 유의적인 것으로 나타내 6시그마, 리엔지니어링, 고객 만족, BSC, 리스트럭처링의 경영혁신 활동 자체가 과업의 목표달성을 위한 생산성을 전제로 한 활동인 점에서 과업 중심의 목표달성이 기각되고 팀이나 개인역량에 따른 혁신성과 품질개선에 실질적인 도움을 주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는 경영혁신활동이 지금까지 대다수 기업에서 활용되고 있는 경영혁신활동이 모든 생산성 향상에 반드시 긍정적이지만은 않음을 의미하고 또한 프로세스 개선에서도 획일적 또는 전사적 차원에서 운영되고 있는 현실을 고려할 때 본 연구를 통해 검정된 결과에서 보듯이 과업 중심보다 팀 단위나 개인역량 중심으로 개선될 필요가 있음을 시사한 것으로 평가할 수 있다. This study was intended to identify the effects of enterprise management innovation activities on process improvement and productivity. The effects of enterprise management innovation activities on process improvement and productivity showed that innovation(creativity) and quality(service value) were adopted as significant variables. In process improvement, team- and individual-centered management innovation activities were significant, which task-centered goal achievement was rejected in that management innovation activities such as 6 sigma, reengineering, customer satisfaction, BSC and restructuring were premised on productivity for achieving the goal of task. And the activities actually helped innovation and quality improvement by team or individual capabilities. In other words, management innovation activities in most companies have not been necessarily positive in all the productivity and the process improvement has been made at the uniform or corporate level. Consequently, enterprise management innovation activities need to be improved by team or individual capabilities than by task-centered goal achievement as this study has shown.

      • KCI등재

        중소·벤처기업의 창업 성공요인에 대한 상대적 중요도 분석

        이설빈 한국벤처창업학회 2017 벤처창업연구 Vol.12 No.3

        With increasing the importance of venture startup in the national economy, a trend shows that the government's policy support for venture startup is not only strengthened, but also entrepreneurial enthusiasm is increasing. In order for this trend to continue as an ongoing phenomenon, not a temporary phenomenon, venture startups should continue to grow with survival competitiveness. In this respect, there is a time when it is necessary to study the factors affecting the success of venture startups more than ever. There is a limit to seeing main factors, which affect the entry into the growth stage with survival competitiveness for the success of venture startups, as only ‘entrepreneur capacity’ and ‘differentiation strategy’ claimed by existing previous studies. As a more fundamental factor, entrepreneurial behavior is important in terms of opportunity discovery and opportunity utilization, but research into this falls short of expectations. This study is intended to look into success factors of venture startup. To achieve this, a survey was empirically carried out to CEOs in 100 small and medium venture startups through AHP analysis. The results are as follows. As stated above, entrepreneurship of success factors in venture startups is considered most critical, followed by innovation, economics, and technology. And ‘entrepreneur's competency’, ‘positive entrepreneurial motivation’, ‘creative technology utilization’, and ‘continuous investment in technical development’ are considered most critical for ‘entrepreneurship’, ‘innovation’, ‘technology’, and ‘economics’ as sub-factors, respectively. Consequently, entrepreneur's entrepreneurship that has been required in general startups is a critical factor to be also in common required in venture startups. This means that they can secure the competitiveness of venture startup along with continuous investment support in business startup with a positive mindset and their own technological competence as innovators to overcome the risk and uncertainty of business startup as entrepreneurship that marks the start of a new enterprise. 벤처창업이 국가경제에서 차지하는 중요성이 증가함에 따라 벤처 창업에 대한 정부의 정책적 지원도 강화되고 있고, 창업 열기도 점점 확산되는 추세를 보이고 있다. 이러한 추세가 일시적 현상이 아닌 지속적으로 이어지기 위해서는 벤처창업기업이 생존 경쟁력을 갖춰 성장세를 이어갈 수 있어야 한다. 이러한 점에서 벤처창업기업의 성공에 미치는 영향요인에 대한 연구가 그 어느 때보다 필요한 시점이다. 벤처창업기업의 성공을 위한 생존 경쟁력을 갖추고, 성장단계로 진입하는데 영향을 미치는 주요 요인으로 기존 선행 연구에서 주장하는‘창업가 역량’,‘차별화 전략’만으로는 한계가 있다. 보다 근원적인 요인으로 기회발견과 기회활용이란 측면에서창업행동이 중요성을 갖는데 이에 대한 연구는 상대적으로 미흡했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벤처창업의 성공요인을 밝히는데 목적을 갖고 중소·벤처경영기업 100개사 CEO를 대상으로 AHP분석 방법을 통해 실증 조사하였으며, 그 결과를 보면 다음과 같다. 먼저, 벤처창업 성공요인으로 창업가정신이 가장 중요시되는 것으로 나타났고 그 다음 혁신성과 경제성, 기술성 순으로 상대적 중요도를 가지는 것으로 나타났다. 그리고 하위요인에서의 창업가정신에서는 창업자의 역량과 혁신성에서는 긍정적 창업동기, 기술성에서는 창조적 기술 활용이 경제성에는 기술개선을 위한 지속적인 투자지원을 가장 중요시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는 일반 창업에서 가장 요구돼왔던 창업자의 기업가 정신이 벤처창업에서도 공통적으로 요구되는 요인임을 실증해 주었다. 또한 새로운 기업의 시작을 알리는 창업정신으로서의 창업의 위험과 불확실성을 극복하기 위한 혁신자로서의 긍정적인 마인드와 독자적 기술역량을 가지고 창업에 임할 때 지속적인 투자지원과 함께 벤처창업의 경쟁력을 확보할 수 있음을 시사해 준 것으로 평가할 수 있다.

      • KCI등재후보

        프로젝트 담당자의 개인역량이 프로젝트 성과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 연구 : 관리적 역할의 매개효과 중심으로

        이설빈,김상영 한국경영컨설팅학회 2016 경영컨설팅연구 Vol.16 No.1

        본 연구는 프로젝트 담당자의 개인역량이 관리적 역할의 매개에 따라 프로젝트 성과에 미치는 영향력을 밝히는데 목적을 갖고 창원지역 소재 프로젝트를 수행하는 기업의 프로젝트 참여 유경험자 200명을 대상으로 2014년 6월 11일~6월 30일까지 20일간 조사를 하였다. 연구 결과 본론으로 첫째, 지식이 프로젝트 성과의 인지된 성과에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프로젝트 담당자의 관리적 역할이 프로젝트 성과에 미치는 영향에 있어 사업관리, 의사소통관리, 인적자원관리가 프로젝트의 인지된 성과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프로젝트 담당자의 관리적 역할에 따른 긍정적인 프로젝트 개인역량과 프로젝트 성과 관계에서의 매개역할이 긍정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 같은 결과는 결론적으로 제한된 자원과 시간, 원가절감 성과도출의 제약 하에서 정해진 목표를 수행하기 위해서는 프로젝트 담당자의 개인역량으로 지식과 기술이 고도화된 전문성이 뒷받침되어야 함을 의미하며 이는 종국적으로 프로젝트 관리에 있어 이 같은 전문성을 바탕으로 한 사업관리에 부합하는 지식, 기술, 인성을 갖춘 담당자의 개인역량을 중시하여 프로젝트에 접목시켜 응용할 때 높은 성과로 이어짐을 시사한 것으로 평가할 수 있다. This study is intended to look into the effect of project coordinators' responsibility on productivity and the moderating effect of individual-, team- and task-centered organizational types in organizational environment. To achieve this, a survey was carried out to 200 project participants in Changwon through March 17 to 26, 2014. The results were as follows. In the items of LDQ(Leeds Dependence Questionnaire), Dulewicz and Higgs (2005) made the point that the qualification to be project coordinators with intellectual, managerial and emotional abilities is the need for their responsibility, which their abilities are main factors to support their performance. The studies involved showed that they should put the focus on employees separately within the limit of rapid response to various changes, time of payment and low budget in performing a project unlike the existing general organizations to lead a goal-oriented organization , maximizing corporate performance(Min Seung-ni, Gang Chang-wook, 2012; Eom Hye-mi, 2014). Especially, their leadership remained a priority in the relationship between bosses and employees, or individuals, departments in a project organization, and they could perform the project successfully when they had a good understanding and responsibility for it(Sim Deok-seop, 2007; An Tae-hoon, 2012). Based on the theories above and previous studies, the results of this study were summarized as follows: ① In the effect of project coordinators' responsibility on organizational diversity, the managerial and emotional abilities had an effect on task-centered organization, the intellectual and emotional abilities on team-centered organization, and the intellectual and managerial abilities on individual-centered organization. ② In the effect of project coordinators' responsibility on productivity, the intellectual and managerial abilities had an effect on job satisfaction, the intellectual, managerial and emotional abilities on organizational commitment and group cohesiveness. ③ In the effect of organizational diversity on productivity, the team- and task-centered organizations had an effect on job satisfaction, organizational commitment and group cohesiveness. As stated above, project coordinators' responsibility had a positive effect on organizational diversity and productivity, which it was useful. Consequently, organizational members should be properly placed and utilized by a variety of organizational types as their responsibility is a mechanism to raise job satisfaction, organizational commitment and group cohesiveness depending on organizational diversity, and an important factor to improve the productivity or positive effect of project.

      • KCI등재

        프로젝트 담당자의 창의적 사고, 기업가정신, 프로젝트 성과 간의 구조적 관계 분석

        이설빈 한국벤처창업학회 2017 벤처창업연구 Vol.12 No.1

        This study is intended to look into the structural relationships between project manager's creative thinking, entrepreneurship, and project performance. To achieve this, research model and hypothesis were established to carry out statistical analysis based on the results of an empirical sample survey. The findings showed that project manager's creative thinking didn't improve project satisfaction directly, but it improved project satisfaction through the mediating effects of project manager's entrepreneurship. While it had a direct effect on perceived project performance, project manager's entrepreneurship was not mediated in this process. This suggests that even if project managers have a high expertise, thinking skill and motivation as creative thinking in working on the project, they have the limitation in leading to customer satisfaction from a personal perspective. 본 연구는 프로젝트 담당자의 창의적 사고, 기업가정신, 프로젝트 성과 간의 구조적 관계를 규명하는데 목적을 둔 연구이다. 이를 위해 연구모형과 가설을 설정하고 표본을 수집하여 실증 조사한 결과를 토대로 통계 분석을 실시하였다. 연구결과, 프로젝트 담당자의 창의적 사고는 직접적으로는 프로젝트 만족도를 향상시키지 못하지만 프로젝트 담당자의 기업가 정신의 매개효과를 통해 프로젝트 만족도를 향상시키는 반면 프로젝트의 인지된 성과에는 직접적으로 영향을 미치지만 이 과정에 있어 프로젝트 담당자의 기업가 정신은 매개효과를 갖지 못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는 프로젝트 추진에 있어 담당자의 창의적 사고로서의 전문지식, 사고기술, 동기부여가 높다고 하더라도 당해 개인적 관점에서의 고객의 만족을 이끌어 내는데 한계가 있음을 시사한 것으로 평가 할 수 있다.

      • KCI등재

        프로젝트 관리자의 리더십이 참여자 개인 역량과 프로젝트 성과에미치는 영향에 관한 연구

        이설빈,부제만,김승철 한국벤처창업학회 2016 벤처창업연구 Vol.11 No.5

        This study is intended to look into the effects of project managers' leadership on participants' individual competency and project performance. To achieve this, a survey was empirically carried out to a sample of 276 researchers who are working on a project with a research and development group in private R&D centers. The results of this study were summarized as follows. First, the leadership competency of project managers had a significant positive effect on the individual competency of project participants. Second, the leadership competency of project managers had a significant positive effect on the project management performance. Third, the leadership competency of project managers had no significant effect on the project completion performance. Fourth, the individual competency of project participants had a significant positive effect on the project management performance. Fifth, the individual competency of project participants had no significant effect on the project completion performance. Sixth, the project management performance had a significant positive effect on the project completion performance. Seventh, the project completion performance was indirectly mediated in the effect of project managers' leadership competency on project completion performance. Eighth, the project management performance was indirectly mediated in the effect of project participants' individual competency on project completion performance. Based on the findings stated above, a combination of project management performance can generate better results in the effect of project participants' individual competency on project completion performance. 본 연구는 프로젝트 관리자의 리더십이 참여자 개인 역량과 프로젝트 성과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 연구로써 기업부설연구소 및 연구개발부서를 갖추고 프로젝트를 수행하는 연구원 276명을 표본으로 실증조사 하였으며, 그 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프로젝트 관리자의 리더십 역량은 참여자의 개인 역량에 유의한 정(+)의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프로젝트 관리자의 리더십 역량은 프로젝트 관리 성과에 유의한 정(+)의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프로젝트 관리자의 리더십 역량이 프로젝트 완료성과에는 유의한 영향을 미치지 못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넷째, 프로젝트 참여자의 개인 역량이 프로젝트 관리 성과에는 유의한 정(+)의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다섯째, 프로젝트 참여자의 개인 역량은 프로젝트 완료 성과에는 유의한 영향을 미치지 못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여섯째, 프로젝트 관리 성과가 프로젝트 완료 성과에 유의한 정(+)의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일곱째, 프로젝트 관리자의 리더십 역량이 프로젝트 완료 성과에 미치는 영향에 있어 프로젝트 관리 성과의 매개효과를 분석한 결과, 프로젝트 관리 성과의 간접효과는 유의한 것으로 나타났다. 여덟째, 프로젝트 참여자의 개인 역량이 프로젝트 완료 성과에 미치는 영향에 있어 프로젝트 관리 성과의 매개효과를 분석한 결과, 프로젝트 관리 성과의 간접효과가 유의한 것으로 나타났다. 이러한 연구 결과를 통해, 프로젝트 참여자의 개인 역량이 프로젝트 완료 성과에 미치는 영향에 있어 프로젝트 관리 성과가 병행되어진다면 더 큰 효과를 볼 수 있음을 시사한다.

      • KCI등재

        프로젝트 리더의 핵심역량과 프로젝트 성공요인간의 구조적 인과관계 분석

        이설빈,노두환,정운호 한국벤처창업학회 2016 벤처창업연구 Vol.11 No.2

        This study is intended to look into the effects of project leader's core competencies(intellectual ability, management ability, emotional ability) on the Critical success factors(job satisfaction, organizational commitment, group cohesion) of project by environmental variables of organization. The results of this study were summarized as follows. First, the intellectual ability, management ability and emotional ability had a significant effect on the job satisfaction, organizational commitment and group cohesion. Second, the functional organization and project organization had a partial effect on project leader's core competencies. But the individual-centered organization had no moderating effect. For the project organization, all intellectual ability, management ability and emotional ability had a moderating effect on the organizational commitment. Consequently, project leader's core competencies are mechanisms to improve the job satisfaction, organizational commitment and group cohesion, and they have a different moderating effect according to the type of organization. 본 연구는 프로젝트 리더의 핵심역량이 조직의 환경변수에 따라 프로젝트 성공에 어떠한 영향을 미치는지 알아보고 그 상호 인과관계를 밝히는 데 목적을 두고 연구하였으며, 그 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프로젝트 리더의 핵심역량의 하위요인들인 지적능력, 관리능력, 감성능력은 프로젝트 성공요인의 하위요인들인 직무만족, 조직몰입, 집단 응집력에 유의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조절변수인 프로젝트조직다양성 중 하위요인인 기능적 조직과 프로젝트 조직은 프로젝트 리더의 핵심역량의 하위요인들에 대한 영향에 일부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하지만 개인중심조직은 아무런 조절효과를 보이고 있지는 않았다. 프로젝트 조직은 지적능력->조직몰입, 관리능력->조직몰입, 감성능력->조직몰입에 모두 유의한 조절효과를 보이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와 같은 결과는 프로젝트 리더의 핵심역량이 직무만족과 조직몰입 및 집단응집력을 높여주는 기제로서 작용함과 프로젝트조직의 종류에 따라 조절효과가 다름을 실증적으로 증명하였다.

      • KCI등재

        중소기업의 SCM활동과 프로세스 혁신 및 품질성과 간의 구조적 관계 분석

        이설빈 한국콘텐츠학회 2019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Vol.19 No.2

        This study is intended to look into the structural relationship between SCM activity, process innovation and quality performance in small and medium sized enterprisers(SMEs). To achieve this, a survey was empirically carried out to 354 SCM operating officers and managers who perform the SCM activities in small and medium sized manufacturing firms. The results are summarized as follows. Overall, the SCM activity and process innovation had a significant effect on the quality performance, having a structural relationship with the quality performance in SEMs. This implies that the strategic alliance of the SCM activities and competence concentration based on technology development in SEMs can organize the unity through organizational members’ information sharing. In other words, when the information integration supports the compatibility and reliability of shared information system by raising technological competence through this, the process innovation can lead to non-financial cost reduction, product quality, delivery compliance and inventory cost reduction as quality performance of the structured process, management and distribution. 본 연구는 중소기업의 SCM활동과 프로세스 혁신 및 품질 성과간의 구조적 관계를 밝히는데 목적을 둔 연구로써 중소제조업 중에서 SCM활동을 수행하는 SCM운영책임자와 실무담당자 354명을 표본으로 실증조사 하였다. 그 결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전체적으로 중소기업의 SCM활동과 프로세스 혁신이 품질성과간의 구조적 관계는 상호상관성을 갖고 유의적인 영향력을 갖는 관계임을 실증해 주었다. 이는 중소기업의 SCM활동의 전략적 제휴와 기술개발 중심의 역량집중화로 구성원의 정보공유를 통해 결집력을 조직화할 수 있음을 의미한다. 이는 곧 이를 통해 기술역량을 높이고 정보 통합의 공유된 정보시스템의 호환성과 신뢰성이 뒷받침된다면 프로세스 혁신을 통해 구조화된 공정, 관리, 물류의 품질성과로서의 비재무적 비용감소, 제품품질, 납기 준수, 재고비용 감소로 나타남을 시사해준 것으로 평가할 수 있다.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