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공개입양가족의 입양 적응과 입양관련 프로그램 참여경험 연구 -초등학생 자녀를 둔 입양모를 중심으로-

        이선형,임춘희,배지연,Lee, Sunhyung,Lim, Choon Hee,Bae, Jiyeon 한국가족자원경영학회 2021 가족자원경영과 정책 Vol.25 No.3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provide information on adoptive families and obtain the basis data for adoption-related programs that are useful to adoptive families by examining their experiences in the adoption process, post-adoption adaptation, and adoption programs. For the study, in-depth interviews were conducted on six mothers who publicly adopted elementary school children and had expressed high satisfaction with adopted families and their willingness to participate in this research voluntarily. The main results exhibited parents' happiness post-adoption along with positive changes, such as internal growth, marital love growth, favorable response from others, and child's unexpected responses to adoption. However, open adoption mothers have coped with efforts to sympathize with and accept their children's feelings as they suffer from adoption, and with active support from their spouses, parents, and their own children. Open adoption mothers participated in various adoption-related programs, support, and voluntary self-help groups provided by adoption agencies or public organizations, and above all, their experience in self-help groups and peer groups of adopted children was found to be very useful. Based on these main results, we suggested strengthening welfare services for open adoption families, implementing education to better understand adoption, education for school teachers, students, and welfare staff, providing practical programs for adoptive families, and promoting self-help groups.

      • KCI등재

        아리스토텔레스의 보편성에 기반한 비극 연구

        이선형(Lee, Sunhyung) 한국외국어대학교 외국문학연구소 2019 외국문학연구 Vol.- No.76

        아리스토텔레스의 보편 개념은 추상 개념으로 객관적 실재는 아니다. 보편적인 존재는 이념이나 명칭으로만 존재할 뿐, 현실적으로 존재하는 모든 것들은 개별적 존재다. 본질은 개별의 보편성을 기반으로 하며 이러한 보편성은 개별성 안에 내재되어 있는 것이다. 개별자 속에 보편자가 내재되어 있다는 이념은 아리스토텔레스의 예술관을 이해하는데 매우 중요하다. 예술이란 개별자 속에 공통적으로 내재하는 보편자를 그려내는 작업이기 때문이다. 비극 또한 개별적인 행동이 아닌 보편적인 행동을 모방하는 예술이다. 청중은 보편성 속에서 카타르시스를 경험하게 되고 궁극적으로 쾌를 느낄 수 있다. 보편적인 행동을 미메시스하는 비극에서 개별자로부터 보편자를 발굴하고 보편적 인간 행동을 미메시스할 때 쾌는 극대화 될 것이다. 그렇다면 비극은 어떻게 보편자를 찾아낼 것인가? 첫째, 플롯을 통해서다. 둘째, 인물의 보편성을 통해서다. 셋째, 사건의 보편성을 통해서다. 이렇듯 『시학』에서 언급된 보편성 추구는 비극에서 주목해야 할 부분이다. 두려움과 연민으로 촉발되는 카타르시스는 다름 아닌 보편성을 기반으로 하기 때문이다. Universality is the main theme of Aristotle s Poetics. According to him, the universal exists only as an idea or a name. In contrast, essence is based on the universality of the individual and this universality is already immanent in individuality. Thus tragedy should be an imitation of universal behavior, not individual behavior. At this moment, the audience can experience catharsis and ultimately feel pleasure. To maximize pleasure, how can we find the universal in tragedy? First, it is through the plot. Second, it is through the universality of the character. Third, it is through the universality of events. The audience experiences empathy and catharsis when individual events connote archetype and universality as the play progresses.

      • KCI등재

        그리스의 음악정신과 비극의 코러스에 관한 연구

        이선형(Lee, Sunhyung) 한국외국어대학교 외국문학연구소 2018 외국문학연구 Vol.- No.69

        그리스인들은 음악이 감정과 행동을 변화시킬 뿐 아니라 영혼을 정화시키는 힘이 있다고 믿었다. 이성과 감성에 두루 영향을 미치는 음악을 일종의 드라마로 본 것이다. 포이에시스나 뮤지케의 용어에서 알 수 있듯, 그리스인들은 시와 음악을 구분하지 않았다. 그리스 음악은 운율과 리듬을 바탕으로 시와 춤이 통합된 형태였으며 이러한 예술의 통합 개념은 훗날 비극의 코러스로 발전하는 중요한 요소가 된다. 그리스 비극은 음악에 그 기원을 둔다. 비극의 기원으로 간주되는 디티람보스는 디오니소스 제의에서 거행된 노래와 춤이다. 코러스는 노래를 부르는 무용수일 뿐 아니라 춤추는 시인이었다. 집단으로 춤을 추면서 노래를 불렀던 코러스의 역할이 비극에서 커다란 비중을 차지하게 된 것은 결코 우연이 아니다. 그리스 비극에서 코러스의 중요도에 따라 인물과 공간이 변화하였으므로, 비극의 탄생과 발달과정 및 그 특징을 정확하게 파악하기 위해서는 그리스인들의 음악정신을 이해할 필요가 있다. 본고는 그리스의 음악정신을 밝히고, 이로부터 비극에서의 코러스의 역할과 가치를 살펴보고자 한다. 그리스 음악정신과 비극의 코러스에 대한 이해는 그리스 비극을 새로운 시각으로 바라볼 수 있는 단초를 제공할 것이다. The Greeks believed that music had the power to change emotions and behavior and to purify the soul. Greek music was an integration of poetry and dance based on rhythm; this concept of integration of arts becomes an important factor developing later into the chorus of tragedy. Dithyrambos, regarded as the origin of tragedy, is a song and dance performed at the cult of Dionysos. The chorus was not only a dancer singing but a dancing poet. It is no coincidence that the singing and dancing group known as the chorus become an important part of tragedy. This study aims to reveal the Greek musical spirit based on myth or philosophy and explore the role and value of chorus in tragedy. Understanding the Greek musical spirit and the chorus of tragedy will provide a new perspective on the Greek tragedy.

      • KCI등재

        장 주네, 트라우마의 표현으로서 극적 창작행위

        이선형(SunHyung LEE) 프랑스학회 2016 프랑스학연구 Vol.77 No.-

        Jean Genet, qui est sacré martyr par Sartre, est considéré comme l’auteur particulier par sa vie, ses carrières de l’écrivain et le thème du mal. Bien que son nom soit bien connu comme auteur, il ne quittait pas le monde du voleur. En tout cas, certaines oeuvres de Genet ont parfois fait un éclat et parfois interdit la publication. Il semble que l’amour de Genet sur le vol signifie qu’il a principalement une tendance antisociale. Il dit dans Notre-Dame-des-Fleurs que “m’inhumaniser est ma tendance profonde.” Alors, il ne flatte jamais la société, ni se débat pour entrer dans la majorité. Plutôt, plus la société fixe les yeux sur lui, plus ses actions sont hardis. On peut dire que, chez Genet, le geste du vol est une révolte passive, la révolte sur l’autorité publique est l’action active. Quand on regarde la naissance et la vie de Genet sur la conception psychanalytique, l’absence du père signifie celle de l’ordre social et l’absence de la mère signifie la carence affective et le désordre mental. L’absence du monde de la règle et de la relation de l’objet incite l’angoisse profonde de la vie. Donc, chez lui, pour dissiper cette angoisse, il se semble laisser entraîner une cleptomanie. Dans cette situation, on peut se demander pourquoi Genet ne cesse d’écrire. En un mot, il semble que l’action de la création de Genet est une volonté de l’expression des idées antisociaux ou de la rébellion contre l'autorité. Un des caractéristiques de la littérature de Genet est qu’il y a pas de ceusure de soi-même et que l’expression est brutale. Surtout dans ses théâtres où insistent sur le théâtre dans le théâtre et le jeu du rôle, les langage dramatiques deviennent une projection du soi-même. Le théâtre de Genet, qu’il existe divers jeux du rôle, serait un essai pour la satisfaction psychologique et une recherche pour sa personnalité. Dans la mesure où des expériences terribles de l’enfance reste, en générale, comme une vulnération dans l’inconscient, l’acte de la création de Genet peut être considéré comme un geste de la domination sur la mémoire traumatique. L’expression même est une sorte de cicatrisation. Alors, on va poser des questions suivantes; chez Genet, qu’est-ce que ça veut dire le geste de l’écriture? Pourquoi écrit-il quelques pièces dramatiques? Pourquoi Genet s'enfonce-t-il dans le mal? Son acte de la création est-il l’expression de son trauma? Fait-il quelque chose à la guérison de l’auteur?

      • KCI등재

        노인요양시설의 스마트 기술 도입에 대한 탐색적 연구

        이선형(Sunhyung Lee),안준희(Joonhee ahn) 한국콘텐츠학회 2014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Vol.14 No.8

        본 연구는 노인요양시설에 도입가능한 스마트 기술을 탐색해봄으로 시설입소노인들의 삶의 질 향상을 꾀하기 위해 시도되었다. 조사대상자는 노인요양시설에서 노인의 직·간접적 케어에 종사하는 요양보호사, 사회복지사, 간호사 등을 대상으로 실시되었으며 총 6개의 요양시설에 근무하는 종사자들을 통해 총 127명의 자료가 수집되었다. 수집방법은 설문지를 이용하되 4명의 노인복지전공자들이 스마트기기에 대한 설명을 병행했다. 수집된 자료를 바탕으로 평균 및 표준편차를 통한 요구도를 분석한 결과 스마트 기술을 요양시설에 적용할 경우 가장 유용한 영역으로는 가족관계지원 영역, 건강지원 영역, 여가지원 영역, 물리적환경적응지원 영역의 순으로 나타났다. 구체적 항목별로는 물리적환경적응지원 영역에서는 시설직원익히기, 특정공간 방향찾기였으며, 건강지원영역에서는 안전센서, 프로그램 알람이, 가족관계 지원영역에서는 가족사진보기, 자신의 사진/동영상 앨범 활용이, 여가 지원영역에서는 음악듣기, 영화/텔레비젼 시청이 상대적으로 높게 나타났다. 이러한 결과는 응답자의 인구·사회적 특성 및 스마트기기 특성에 따라 다르게 나타났는데, 이를 토대로 향후 연구에서는 노인을 대상으로 스마트 기술에 대한 욕구를 파악함으로 좀 더 심도깊은 연구가 이루어져야 할 것이다. The purpose of this exploratory study is to examine if the application of smart technology(ST) would assist adjustment to the nursing home facilities in the elderly. Since there is not much previous research on this subject, we generated survey questionnaires on our own. Data were collected from the survey of 127 employees at 6 nursing homes including geriatric care workers, social workers and nurses who provide direct as well as indirect care services. Results showed that the utilization of ST would benefit the areas of family relationship support, health support, leisure support, and physical environment adjustment. As for physical environment adjustment, study participants reported that ST would help elders familiarize employees and find directions for specific space the most. As for health support, ST would be best utilized as a security sensor and program alarm system. As for support for family relationship, ST was expected to be utilized as looking at family pictures and playing with self pictures/videos. As for leisure support, ST was expected to assist elders to listen to music and watch movies/TV. These results were different according to the characteristics of the participants and the smartifacts. These results of the study will show the direction for more in-depth studies on application of smart technology for the elderly in the future.

      • KCI등재

        서사극에 기반한 연극치료의 거리두기 연구

        이선형(Lee Sunhyung) 한국예술종합학교 한국예술연구소 2021 한국예술연구 Vol.- No.33

        현재 인류는 코로나19로 인해 거리에 대한 관심이 매우 크다. 거리의 개념은 연극과 연극치료에서도 핵심적인 요소다. 연극에서 대표적인 거리두기는 브레히트의 서사극을 들 수 있다. 연극치료 또한 감정의 몰입과 이화 사이에서 적절하고 균형 있는 거리두기를 시도한다. 거리두기와 거리 없애기를 대립의 개념보다는 조화로운 거리 운용을 위한 지렛대로 삼는 연극치료는 균형 있는 감정이입과 감정이화를 통해 치료의 효용성을 극대화한다. 연극치료는 참여자의 상황과 특성에 따라 적절하고 유효한 거리를 제공하면서 변화의 가능성을 찾아내고 치료를 꾀한다. 따라서 연극치료의 관점에서 합리적이고 객관적인 거리를 알기 위해 거리 없애기와 거리두기의 양극단을 이해할 필요가 있다. 본고는 브레히트의 서사극을 참조하여 연극치료에서 거리의 의의를 살펴보고, 이를 실제에 적용한 연극치료 기법을 소개하고자 한다. When a pandemic strikes, we practice physical distancing. The concept of distancing is also a key element in theater and drama therapy. Brecht"s epic theater is a representative theory of the distancing in theater. Drama therapy attempts to find a proper and balanced distance between immersive, psychological and physical separation through empathy. Drama therapy, which uses flow and distance as leverage for harmonious distance instead of confrontation, maximizes the effectiveness of treatment through emotional reasoning sometimes through empathy. Drama therapy provides an appropriate and effective distance according to the situation and characteristics of the participants, and seeks to find the possibility of changing and treating them. This study is to examine the meaning of the distance in drama therapy by referring to epic theater, and introduces practical applications of drama therapy technique: exchanging roles, jumping roles, quotation, transposition into the third person, transposition into the past.

      • KCI등재

        과정연극 Process Theatre의 관객 연구

        이선형(Lee, Sunhyung) 한국외국어대학교 외국문학연구소 2021 외국문학연구 Vol.- No.84

        무대와 객석의 경계를 해체하고 관객과 소통하며 관객의 지위를 새롭게 하는 과정연극은 기존연극이 추구하는 완성이 아닌 과정에 초점을 맞춘다. 본 연구는 이러한 과정연극에서 관객의 위상과 개념 변화를 구체적으로 탐구하고자 한다. 관객이 적극적인 참여자로 변신하는 과정연극의 예로, 토론극장, 재생연극, 과정드라마, 사이코드라마와 연극치료를 들 수 있다. 토론연극에서는 관객이 공연 중에 스톱을 외치며 끼어들 수 있고 무대 밖에서 관찰자가 되기도 한다. 즉흥극인 재생연극은 관객의 적극적인 참여로 만들어지는 과정연극이다. 과정드라마에서 관객은 진정한 참여자, 공모자 나아가 공동 창작자가 된다. 자발성이 충만한 사이코드라마의 관객은 주인공 또는 보조자아가 되어 무대의 연기자로 변신한다. 사이코드라마에서 주인공-관객은 장면 만들기에 주도적으로 참여하면서, 역할을 통해 현실을 객관적으로 바라보고 자신과 직면한다. 연극치료에서 창조적 연극, 발달변형모델은 관객에 대한 다양한 관점을 제공한다. 이처럼 생성과 변화라는 시대적 이념을 바탕으로 즉흥성과 우연성, 집단창작을 통해 과정에 초점을 둔 과정연극은 관객-참여자에게 자발성과 창조성을 북돋움으로써 연기하는 관객이 되도록 하여 궁극적으로 발견, 자각, 변화, 치료에 이르도록 한다. With the purpose of investigating postdramatic theatre, this paper is based on the dissolution of drama text and drama theater structure, inheriting avant-garde and rejecting drama theatre. Absence of dramatic text, deviation from hierarchy, mixing, direct manifestation and energy of the body are the core of postdramatic theatre. In this definition, this paper focuses on ‘a theatre respecting the process’ namely ‘process theatre’. A theatre that communicates with the audience on the same location and refreshes the audience s status can be called a theatre of a process. This study seeks to specifically explore the change in the status of the audience and the concept of the audience in a process theatre. As an example of a process theatre that encourages the audience to act, it can present forum theatre, playback theatre, process drama, psychodrama, and drama therapy that can be stopped at any time during a performance.

      • 음악 검색을 위한 오디오 핑거프린팅 방법

        이선형(Sunhyung Lee),육동석(Dongsuk Yook) 한국멀티미디어학회 2010 한국멀티미디어학회 학술발표논문집 Vol.2010 No.2

        본 논문에서는 음악을 기반으로 한 다양한 서비스를 제공하기 위한 음악 인식 시스템을 구축하기 위해 필립스 음악 검색 기법에 대한 실험을 수행하였다. 추출된 원본 음악과 신호가 변조된 음악과의 핑거프린트 유사도를 측정하고, look-up table 기반의 핑거프린트 데이터베이스 검색 정확도를 평가하였다. 그리고 비교 대상 음악의 길이를 다양화하여 검색 시스템의 효율성을 측정하였다.

      • KCI등재

        과정연극 Process Theatre의 텍스트 연구

        이선형(Lee, Sunhyung) 한국외국어대학교 외국문학연구소 2020 외국문학연구 Vol.- No.80

        즉흥으로 이루어져 방향을 예견할 수 없는 과정연극의 텍스트는 과정을 중시한다. 공연의 완결을 목적으로 하는 것이 아닌 과정연극은 공연이 진행됨에 따라 텍스트가 점차 구체화되는 연극이다. 과정연극의 텍스트의 특징은 즉흥적이라는 점, 집단창작이라는 점, 관객이 텍스트 창작의 주체라는 점, 공연 과정에서 텍스트 창작은 언제든지 멈춤이 가능하다는 점이다. 구체적으로 토론연극과 재생연극, 과정드라마, 사이코드라마, 연극치료를 과정연극으로 간주할 수 있다. 토론연극은 사회적으로 억압받은 사람들 즉 집단적 억압에 초점을 맞추고, 재생연극은 개인의 억압에 관심을 둔다. 재생연극, 과정드라마 및 사이코드라마의 텍스트는 관객에 의해 창조된다. 다만 사이코드라마의 텍스트는 관객-주인공의 문제에서 이야기가 출발하고 심리치료를 목표로 한다는 점에서 차별적이다. 사이코드라마에서는 즉석에서 언급된 참여자의 이야기가 곧 텍스트가 되므로 과정드라마와는 달리 원형적 텍스트를 전혀 사용하지 않는다. 한편, 연극치료 텍스트는 즉흥적으로 창작될 뿐 아니라 원형적 텍스트 및 고전 텍스트도 활용한다는 점에서 텍스트 선택의 폭이 넓다는 특징이 있다. 본 연구는 이 같은 과정연극에서 텍스트의 위상과 개념이 관객의 성장 및 치유의 관점에서 어떻게 기능하고 있는지 살펴보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The text of the process theater, which is accidental and unpredictable, values the process. A process theater, not aimed at the completion of a performance, is a theater in which text becomes more concrete as the performance progresses. The characteristics of text in the process theater are that it is improvised, that it is collective creation, that the audience is the subject of text creation, and that text creation can be stopped at any time during the performance process. Forum theater, playback theater, process dramas, psychodrama, and drama therapy are included in the process theater.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look at how the status and concept changes of text in process theater are functioning in terms of audience growth and healing.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