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펼치기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MPEG 비디오 스트림에서의 카메라 동작 추출

        이상혁(Sanghyuk Lee),한근주(Kunju Han),낭종호(Jongho Nang) 한국정보과학회 1999 한국정보과학회 학술발표논문집 Vol.26 No.1B

        디지털 동영상에 포함되어 있는 카메라 동작을 검출해 내는 것은 전체 비디오 영상에 대한 개관을 만들 때 의미 있는 대표 화면을 추출하기 위해 필요하다. 본 논문에서는 MPEG형식의 동영상 비디오 스트림에 대하여 움직임 벡터 정보와 DC값을 이용하여 Panning과 Tilting 검출 알고리즘을 제안하고 이를 구현하였다. 제안한 방법에서는 B 또는 P 프레임의 움직임 벡터를 이용하여 이를 8개 방향으로 분류하고, 각 방향에 대한 histogram을 구하여 카메라의 움직임을 구했고, I 프레임에 대하여서는 블록 정보를 기반으로 DC값의 변화를 분석하여 카메라 움직임을 추출하였다. 이와 같이 움직임 벡터와 DC값을 조합하여 Panning과 Tilting을 추출함으로서 좀더 정확한 추출을 할 수 있었다. 또한 본 논문에서는 Zooming의 경우 움직임 벡터 정보로 검출이 가능하다는 기존의 연구의 문제점을 지적하였다.

      • 성소수자 혐오의 범죄화와 사법적극주의: 브라질 연방대법원의 ADO 26, MI 4733 병합사건을 중심으로

        이상혁 ( Lee Sanghyuk ) 서울대학교 공익인권법센터 2020 공익과 인권 Vol.20 No.-

        지난 2019년, 브라질 연방대법원(Supremo Tribunal Federal)은 브라질 사회주의인민당(Partido Popular Socialista)과 브라질 게이, 레즈비언, 트랜스젠더 연합(Associacao Brasileira de Gay, Lesbica, e Trans-genero)에 의해 제소된 입법부작위위헌직접소송인 ADO 26 및 입법부작위명령인 MI 4733 병합사건에 대한 판단을 통해 브라질 내 성소수자에 대한 혐오와 차별행위를 범죄화하는 획기적인 결정을 내렸다. 이러한 결정은 특히 최근 자이르 보우소나루(Jair Bolsonaro) 대통령이 이끄는 극우파 정권의 수립 이래 브라질 사회 내 성소수자 혐오가 지속적으로 심화되어왔음을 고려할 때 성소수자 인권 보호의 관점에서 더욱 유의미한 사법적 결단이라 평가될 수 있다. 이 사건 결정의 요지는 결국 성소수자 대상 혐오범죄를 기존에 이미 존재하고 있던 인종차별범죄 처벌에 관한 특별법인 Lei 7.716/1989로 포섭함으로써 그 처벌의 근거를 마련한다는 것에 있다. 연방대법원은 성소수자 혐오가 이른바 사회적 인종주의(racismo social)의 한 태양에 해당한다는 전제 하에 이와 같은 결론에 다다랐는데, 따라서 이 사건 결정을 이해함에 있어 자연히 가장 우선적으로 요구되는 과제는 과연 성소수자에 대한 혐오를 인종차별로 바라볼 수 있는 논리적 근거가 어디에 있는지에 대한 점검이다. 연방대법원은 인종차별이란 단지 생물학적·형질학적으로 정의될 수만은 없는 정치적이고 사회적인 개념으로서, 이는 어떠한 취약집단을 특정의 사회구조속에서 열등한 지위에 위치시키고, 그러한 위계화로 말미암아 당해 집단에 속한 이들의 존엄성과 인간성이 부정되는 상황을 정당화하며, 이들을 변태적이고 일탈적인 타자적 존재로 묘사함으로써 그 사회의 법체계가 제공할 수 있는 온당한 법적 보호로부터 괴리시키는 권력적 표상으로서의 이데올로기라고 판시하였다. 그렇다면 성소수자에 대한 차별을 정당화함으로써 이들을 사회적 다수집단으로부터 배제시키는 성소수자 혐오의 작동방식은 인종차별과 일치한다는 점에서 성소수자를 사회적 인종의 하나로 보아 인종차별처벌법을 적용할 수 있다는 결론이 도출된다. 한편 이처럼 인종차별처벌법의 적용을 통해 성소수자 혐오를 형사적으로 규제하겠다는 이 사건 결정의 내용은 권력분립의 원칙과 죄형법정주의에 관하여도 일련의 물음을 제기한다. 민주적 헌정질서의 근간을 이루는 권력분립의 원칙으로부터 의회의 입법형성재량이 존중되어야 한다는 요청이 도출되고, 동시에 죄형법정주의는 오직 의회의 입법권에 의해 제정된 법률만이 새로운 범죄를 창설할 권한을 가진다는 제한을 가한다. 그럼에도 연방대법원이라는 사법기관의 결정을 통해 성소수자 혐오에 기인한 차별행위를 형사적으로 규율할 수 있는 근거는 어디에서 도출되는가· 이러한 의문에 대하여 연방대법원은 이른바 사법적극주의를 통해 답하였다. 즉 권력분립의 원칙이란 단지 국가권력기관 사이의 상호배타적 분리를 넘어 서로가 헌법적 가치에 부합하는 방향으로 움직이게끔 추동하는 상호통제 역시 포함하는 개념이고, 그렇다면 사회 내 취약집단의 보호를 위한 법률을 제정할 헌법적 책무를 의회가 스스로 저버린 경우 사법부는 헌법재판 내지 사법심사를 통해 개입할 수 있다는 것이다. 특히 다수결제 의사결정기관인 의회는 본질적으로 소수자의 권익 보장에 있어 어려움을 겪을 수밖에 없다는 점에서, 이 사건 결정이 사법적극주의적 태도에 기반을 두고 헌법규범의 수호자로서의 연방대법원이 이른바 헌법합치적 해석을 시도한 것이라 평가할 여지가 존재한다. 이와 같은 분석 위에서 이 글에서는 마지막으로 이 사건 결정이 대한민국의 인권 상황에 주는 함의에 대하여도 간략히 짚어본다. 성적 지향 또는 성별정체성에 기한 차별을 금지하는 명문의 법률규정이 거의 전무하는 법제도적 현실 속에서, 입법부는 물론 사법부 역시 국내 성소수자의 보호에 소극적인 태도로 일관해온 것이 사실이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사법부의 주요한 존재이유, 나아가 민주헌법의 근본 가치는 결국 국민의 인권 보호에 있다는 점을 고려하면, 성소수자를 포함한 많은 사회적 소수자들의 인권 보장 문제를 다수결제 기관인 입법부에만 일임하기에는 그 한계가 분명하다는 사실을 소극적으로 묵과하여서는 안 된다. 따라서 이 사건 결정은, 사법적극주의적 태도를 취함으로써 성소수자가 처한 차별과 혐오의 현실에 대응할 수 있는 가능성을 보여주는 동시에 성소수자의 인권 보장이라는 과제 앞에 선 사법부의 역할이 무엇인지에 대한 논의의 필요성을 던져준다는 점에서 보편적 함의를 지닌다. In 2019, the Federal Supreme Court of Brazil (“the Court”) criminalised discrimination and hate incidents against gay and transgender people in its ruling on the consolidated cases of ADO 26 and MI 4733, which were brought before the Court by the Popular Socialist Party and the Brazilian Association of Gay, Lesbian, and Transgender. The Court’s ruling is even more noteworthy in terms of the human rights protection of LGBTQ+ people as it came at a time where the political climate of Brazil is witnessing a resurgence in visible homotransphobia. The Court ruled that homotransphobic acts can be penalised through application of the already-existing anti-racism law (“Lei 7.716/1989”). The Court’s ruling assumes that homotransphobia is an expression of ‘social racism.’ Therefore, an analysis of the ruling requires understanding of the logical grounds that constitute the Court’s assumption. According to the Court, racism is a socio-political notion which cannot simply be defined in a purely biological or physical sense. The Court saw that racism is essentially a political ideology which relegates certain vulnerable groups of people to an inferior status within the social structure by branding them as the perverted and deviant “Others” and alienating them from fair protection within the society’s legal system. From this viewpoint, since the mechanisms of racism and homotransphobia are homogeneous, it is logically plausible to liken homotransphobia to racism and to apply the anti-racism law to discrimination and acts of hate against gay and transgender people. This ruling also bears a series of legal conundrums regarding the principles of separation of powers and rule of law, especially the principle of nulla poena sine lege in criminal law. These principles declare that one can only be penalised by laws established via legislative measures and that the legislative power of the parliament shall be respected. Then on what grounds could the Court in this case criminalise certain acts against LGBTQ+ people? Does this ruling inevitably violate the limitations set by these principles? Judicial activism may be the key towards answering these questions and reconciliating the tensions between the Court’s ruling and the aforementioned principles. As the separation of powers theory focuses on maintaining checks-and-balances rather than mere non-intervention among different branches of government, one can argue that the judiciary can engage in judicial activism, mainly using the measures of constitutional or judicial review, when the legislators fail to fulfill their constitutional duty to pass the laws that adequately protect the rights of social minorities. Since the parliament’s majoritarian nature poses serious challenges to its capability to solve the minority problems, it is plausible to view this ruling as the Court’s judicial attempt of constitutional interpretation on the basis of judicial activism. Upon such analysis, this paper also briefly examines the probable implication of this ruling on the issues of human rights in South Korea. Besides the near absence of any written law that explicitly prohibits discrimination based on one’s sexual orientation or gender identity, both the National Assembly and the Judiciary have willingly neglected their constitutional duties of protecting the rights of the social minorities, including the LGBTQ+ people. However, given that both the main raison d’etre of the judicature and the fundamental values of democratic society are rooted in the human rights protection of its citizens, the South Korean courts should step up their role in protecting minority groups when the legislative institution is limited in its ability to deal with minority problems because of its majoritarian decision-making character. Therefore, this ruling on the consolidated cases of ADO 26 and MI 4733 has rather universal implications in terms that it shows the possibility of protecting the human rights of LGBTQ+ citizens via judicial activism and opens up a discussion on the role the judiciary should play in guaranteeing protection of human rights of the sexual minorities.

      • 국토환경 녹색복원 추진전략 수립을 위한 대국민 인식의 인구통계적 접근

        이상혁(Lee Sanghyuk),손승우(Son Seung-Woo),윤정호(Yoon Jung-ho),최희선(Choi Hee-sun) 한국환경정책학회 2022 한국환경정책학회 학술대회논문집 Vol.2022 No.2

        오늘날 국제사회에서는 기후위기 대응 및 탄소중립 이행을 위한 효과적이고 지속가능한 해결방안으로 자연기반해법이 부각되고 있으며, 특히 2020년부터 모든 국가가 기후변화행동에 참여하는 파리협정(Paris Agreement)을 통해 자연자원의 지속가능한 관리 등 기후변화 완화 · 적응을 위한 생태계의 회복력증진을 촉구하고 있다. 이에 맞추어 우리나라의 다양한 국가계획에서도 생물다양성 증진을 위한 국토의 복원방향과 목표치를 제시하고 있다. 이를 위해서는 국토공간의 녹색화를 통한 온실가스 저감, 이를 통한 기후변화 완화 및 적응 수준을 높이는 차원의 국토발전 도모가 필요한데, 우리나라는 2020년 한국판 뉴딜과 탄소중립 발표에 이어 「기후위기 대응을 위한 탄소중립 · 녹색성장 기본법」을 2021년 9월 제정함으로써, 전세계에서 14번째로 탄소중립 비전과 이행체계의 법제화를 마련하였다. 이에 따라 탄소중립사회의 실현과 이를 위한 국토공간, 산업 및 사회구조, 경제시스템 등의 전면적 개편을 목표로 정책방향이 전환 제시되어 탄소중립 사회로의 전환이 가속화되고 있으며, 최근 코로나19 등으로 인해 자연공간에 대한 수요와 이용이 증가할 것으로 예상됨에 따라 거주공간과 인접한 지역의 녹색기반 확대가 더욱 요구되는 시점이다. 본 연구에서의 ‘녹색복원’의 의미는 ‘국토공간을 대상으로 질적, 양적으로 자연환경의 회복(Recovery)을 촉진함으로써 국토의 건강성과 회복탄력성(Resilience)을 도모하는 과정’으로 정의하였으며, ‘국토공간’은 자연환경 뿐만 아니라, 준자연공간, 인공적인 공간을 모두 포함하고자 하였다(환경부, 2021). 국토환경 녹색복원 전략은 지속가능한 공간구조를 위한 ①국토의 생태적 연결성 강화, 탄소중립 기반확보를 위한 ②녹색공간의 확대 및 다양성 확보, 녹색회복 체계 확립을 위한 ③국토의 건강성 증진기반 확보, 녹색복원 산업생태계의 지속성 확보를 위한 ④녹색복원 추진 및 확산 전략, 이렇게 4가지로 선정하였다. 추진전략 수립에 앞서 체계적인 전략의 방향을 수립하기 위하여 복원업 관련 이해관계자와 함께 대국민 인식 조사를 실시하였는데, 본 고에서는 국민들의 녹색복원에 대한 인식의 차이를 인구통계학적으로 살펴보고자 하였다. 설문의 대상은 우리나라 17개 특별시 및 광역시 · 도에 거주 중인 만 19세~69세 성인 남 · 여 응답자 1,000명을 대상으로 지역별, 성별, 연령별 인구 구성비를 고려한 비례 할당을 통해 2021년 10월 온라인 방식으로 조사하였다. 세부 내용은 크게 ‘국토 전반에 대한 자연환경 인식’, ‘거주 지역에서의 생태복원인식’, ‘녹색복원에 대한 인식’으로 구분하였다. 첫째, 국토 전반에 대한 자연환경의 인식에서 일반국민 10명 중 8명(82.7%)은 우리나라 자연환경 훼손이 ‘심각하다’고 생각하고 있으며, 서식처 유형별로는 ‘해양 생태계’(83.3%), ‘도시 생태계’(80.4%), ‘하천 생태계’(79.0%) 순으로 자연환경 훼손의 심각성을 느끼고 있었다. 5점 리커트 척도 기준으로 평균 3.96으로 전국토의 훼손정도가 심각성이 높다고 응답하였는데, 특히 도시 생태계의 훼손 정도가 4.09로 높게 평가되었다. 일원배치분산분석(Analysis of Variance; ANOVA)을 통해 그룹 간 차이를 비교한 결과 주목할만한 점은 나이대가 높을수록 환경문제에 대한 관심이 높고, 농/임/어/축산업 종사자가 다른 직업군 보다 기후변화에 대하여 미치는 영향과 자연환경 훼손 정도(4.18)를 더욱 중요하게 고려하고 있으며, 이를 위한 해결요소로서 보호지역 확대 지정(4.34)이 두드러지게 나타났다. 둘째, 거주 지역에서의 자연생태 복원 인식을 파악하기 위하여 자연공간 만족도를 분석한 결과 자연공간 접근성이 좋을수록, 복원이 필요한 곳의 수가 적을수록, 훼손된 자연환경을 접하는 빈도가 낮을수록 높아지는 특성을 지닌다고 해석할 수 있었다. 특히 우리 사회에서 가장 변곡점인 코로나-19 전 · 후 자연공간 이용빈도를 비교해 보았다. 연령대에서는 19~20대와 60대가, 지역적으로는 세종시 거주자가 다른 그룹보다 자연공간 방문 빈도가 높은 것으로 나타났으며, ‘기능/작업직’ 종사자가 평균적으로 자연공간 방문 빈도가 낮았다. 특히 자연공간으로 접근성이 좋아질수록 자연공간 방문 빈도가 높아지는 것으로 나타났는데, 최저임금 수준의 저소득 계층과 영업직, 강원도 거주자, 50대 연령 및 미혼 그룹 등에서 코로나-19로 인한 방문빈도가 줄어들며 영향을 미친 것을 알 수 있었다. 반면 세종시 거주자, 전업주부, 고소득자, 고학력자 등의 그룹에서는 방문빈도가 늘어난 것으로 분석되었다. 셋째, 녹색복원에 대한 인식 설문은 기존의 녹색 복원 방식에서 현재 그리고 미래의 복원 방식이 달라져야 할 필요성이 있다는 문제 인식에서 출발하였으며, 응답자로 하여금 다양한 녹색 복원 고려사항을 제시함으로써 가장 타당한 사항을 도출하고자 하였다. 훼손된 자연환경이 국가 또는 지자체 주도의 복원필요성에 대하여 4.14로 높게 나타났는데, 특히 전라남도에서 그 요구도가 큰 것으로 나타났다. 녹색복원 방향을 ‘인간 이용 중심’, ‘자연 생태계 보전 중심’으로 나누어 선호도를 파악한 결과, 인간 이용 중심의 생태 복원에 대한 선호도가 높게 나타났다. 향후 온실가스 흡수, 폭염, 홍수에 대응할 수 있는 녹색복원 추진의 중요성이 가장 높게 도출되었으며(86.2점), 이를 위해서는 지자체가 주도적으로 계획을 세우고, 중앙정부가 이를 지원하는 형식을 선호하였으며(55.5%). 훼손을 야기시킨 사업자에게서 부담금 강화를 통한 재원조달이 필요하다고 응답(70.7%) 하였다.

      • KCI등재후보

        기후변화에 따른 우리나라 미선나무의 분포변화 예측

        이상혁(Sanghyuk Lee),최재용(Jaeyong Choi),이유미(You Mi Lee) 충남대학교 농업과학연구소 2011 농업과학연구 Vol.38 No.2

        Changes in biota, species distribution range shift and catastrophic climate influence due to recent global warming have been observed during the last century. Since global warming affects various sectors, such as agriculture and vegetation, it is important to predict more accurate impact of future climate change.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xamine the observed distribution of Abeliophyllum distichum in the Korean peninsula. For this purpose, two period (present and future) climate data were used. Mean data between 1950 and 2000, were used as the present value and the year 2050 and 2080 data from A1B senario in IPCC SRES were used for the future value. Potential habitation is analyzed by MaxEnt(Maximum Entropy model), and Abeliophyllum distichum’s coordinates data were used as a dependent variable and independent variables are composed of environmental data such as BioClim, altitude, aspect and slope. The result of six types GCM mean calculation, the potential habitability decreased by 40-60% of the average existing distribution. The methodogies and results of this resarch can be applicable to the climate changing adaptation stratiegies for the biodiversity conservation.

      • KCI등재

        상장중소기업의 강화된 내부회계관리제도 모범규준 적용과 주가급락위험

        이상혁(Lee Sanghyuk),최진욱(Choi Jinwook),정남철(Jung Namchul) 한국국제회계학회 2021 국제회계연구 Vol.- No.98

        [연구목적] 국내 상장중소기업은 내부회계관리제도 모범규준(‘모범규준’)을 적용함에 있어, 대기업에 적용되는 모범규준과는 달리 현저하게 완화된 특례기준을 적용할 수 있다. 본 연구는 상장중소기업이 이와 같은 특례기준을 적용하지 않고, 상장대기업에 적용되는 모범규준을 적용(‘강화된 적용’)하는 것이 해당 회사의 주가급락위험에 미치는 영향을 분석한다. [연구방법] 상기 연구목적을 위하여 한국채택국제회계기준 적용 이후인 2011년부터 2018년까지 코스닥시장에 상장된 중소기업 4,017 회사-연도를 연구표본으로 설정한다. 주가급락위험 측정치는 선행연구에서 사용되는 2가지의 주요한 측정치(skewness and volatility)를 사용한다. [연구결과] 분석 결과, 상장중소기업의 강화된 모범규준 적용과 주가급락위험 간에는 유의한 음(-)의 관련성이 나타났다. 이와 같은 결과는 강화된 모범규준 적용이라는 상장중소기업의 자발적인 회계투명성 제고 노력이 회사의 가치평가에 대한 이견을 줄이고 정보비대칭 수준을 낮추어, 궁극적으로 주가급락위험의 감소와 관련됨을 시사한다. [연구의 시사점] 본 연구는 상장중소기업의 내부회계관리제도 모범규준에 대한 자율적 선택의 경제적인 효과를 실증적으로 제시한 공헌점이 존재한다. 특히 본 연구는 2019년도부터 단계적인 외부감사가 도입되어 내부회계관리제도의 중요성이 높아진 상황에서, 상장중소기업의 모범규준에 대한 적극적인 적용이 투자자의 실질적인 부에 미치는 영향을 제시하여 기업, 투자자 및 감독당국에 중요한 시사점을 제공한다. [Purpose] Domestic listed small and medium-sized companies (SMEs) can apply a relaxed Standard in applying the internal control over financial reporting (ICFR) unlike the Standard applied to large companies. This study analyzes the effect of applying the Standards applied to large-scale listed companies (‘strengthened application’) to stock price crash risk in listed SMEs. [Methodology] The study used a sample of 4,017 company-year listed companies for 8 years from 2011 to 2018 after the adoption of the Korean International Financial Reporting Standards. In addition, we used two major measures (skewness and volatility) proxied for stock price crash risk. [Findings] We found a significant negative relationship between strengthened application of ICFR for listed SMEs and stock price crash risk. These results suggest that the voluntary efforts of listed SMEs to enhance accounting transparency are related to reducing information asymmetry about the company, ultimately reducing stock price crash risk. [Implications] This study empirically suggested the economic effects of voluntary selection of Standard f or I CFR of listed SMEs. In p articular, this study provided important implications f or companies, investors, and supervisory authorities by suggesting the impact of active application of the Standard of listed SMEs on the real wealth of investors.

      • 배전압 셀을 이용한 비절연형 고승압 컨버터

        이상혁(Sanghyuk Lee),최세완(Sewan Choi),김표수(Pyosoo Kim) 전력전자학회 2011 전력전자학술대회 논문집 Vol.2011 No.7

        본 논문에서는 변압기 없이 작은 듀티로 큰 승압비를 얻을 수 있는 고승압 컨버터를 제안한다. 제안한 컨버터는 배압회로의 단 수를 적절히 선정하여 소자의 전압정격을 줄이거나 소자선택 폭을 넓힐 수 있다. 구조가 간단한 하드스위칭 방식과 영전압 스위칭이 가능한 소프트스위칭 방식의 두 가지에 대한 설계 비교·분석과 1㎾ 시작품에 대한 실험적 분석을 수행하였다.

      • KCI등재

        PLS 구조방정식을 활용한 갈등 프레임의 해상풍력 주민수용성에 대한 요인 분석 - 군산 말도 · 명도 · 방축도를 중심으로 -

        이상혁 ( Lee Sanghyuk ),박재필 ( Park Jaepil ) 한국자치행정학회 2021 한국자치행정학보 Vol.35 No.4

        기존의 해상풍력 주민수용성에 대한 연구들은 빈도분석 및 통계분석을 통해 주민수용성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들에 대해서는 분석하였으나 요인들 간의 구조적 관계를 분석하는 데는 한계를 드러내고 있다. 본 연구의 목적은 갈등 프레임 이론의 기반 위에서 해상풍력 관련 갈등 프레임들이 해상풍력 주민수용성에 미치는 영향을 분석하는데 있다. 이를 위해 갈등 프레임 이론, 해상풍력 주민수용성 선행연구 및 군산 말도·명도·방축도 주민대표들과의 심층 인터뷰 내용을 토대로 갈등 프레임 및 하부 프레임의 관계구조를 도출하였고 도출된 연구모형을 검증하기 위해 군산 말도·명도·방축도 주민들을 대상으로 설문조사를 실시하였으며, PLS 구조방정식을 활용하여 갈등 프레임들 간의 관계와 해상풍력 주민수용성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 가설들을 검증하였다. 분석결과, 손익 프레임(기대 이익), 정체성 프레임1(국책사업 영향에 대한 인식), 정체성 프레임2(정치효능감, 정보활용 관련 자기효능감, 소속감), 특징부여 프레임(정부·지자체의 신뢰 및 협력의지에 대한 인식)은 주민수용성에 유의미한 정(+)의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으나, 위험 프레임과 특징부여 프레임2(타 어촌계·수협의 신뢰 및 협력의지에 대한 인식)은 그렇지 못한 것으로 나타났다. 본 연구는 해상풍력 주민수용성 연구 분야에서 최초로 PLS 구조방정식을 활용하여 실증적 분석을 시도하였으며, 이를 토대로 권역별 해상풍력 주민수용성 비교연구 및 주민수용성 제고 전략을 위한 시사점을 제공하고 있다. Existing studies on residents’ acceptance of offshore wind power have analyzed factors affecting residents’ acceptance through frequency analysis and statistical analysis, but revealed limitations in analyzing the structural relationship between factors. The aim of this study is to analyze the effect of offshore wind power-related conflict frames on residents’ acceptance of offshore wind power based on the conflict frame theory. To this end, first, the relational structure of the conflict frame and the sub-frame was derived based on the conflict frame theory, the exiting research on residents’ acceptance of offshore wind power, and in-depth interviews with representatives of Gunsan Maldo, Myeongdo, and Bangchukdo.. Second, a survey was conducted on the residents of Maldo, Myeongdo, and Bangchukdo. Finally, hypotheses regarding the relationship between conflict frames and the effect on residents’ acceptance of offshore wind power were verified using the PLS structural equation model. The results showed that gain and loss frame (expected profit), identity frame 1(recognition of the impact of national projects), identity frame 2(political efficacy, self-efficacy related to information use, sense of belonging), characterization frame(recognition of trust and willingness to cooperate with the government and local governments) had significant positive effects on residents’ acceptance, but the risk frame and characterization frame 2(recognition of trust and willingness to cooperate with other fishing villages and National Federation of Fisheries Cooperatives) did not. This study attempted an empirical analysis using the PLS structural equation model for the first time in the field of offshore wind power resident acceptability research and based on this, it provides implications for comparative study of residents acceptance of offshore wind power by region.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