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펼치기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 KCI등재
      • KCI등재
      • KCI등재

        M. 에크하르트의 『요한복음 주석』에 나타난 시원의 문제

        이부현 대동철학회 2017 大同哲學 Vol.79 No.-

        M. 에크하르트는 자신의 『요한복음 주석』 N. 28 - 51에서 요한복음 1-2장의 성경 말씀을 철학 그리고 자연, 기술(예술) 등에 대한 논의를 토대로 해석하고 있다. 시원은 모든 것의 제1원인을 뜻한다. 제1원인은 본질적 원인 또는 근원적 원인이라고도 불린다. 이때 시원은 신, 곧 아버지-신이다. 아버지는 모든 것의 제1원인이다. 그의 시원론은 제1원인인 낳는 아버지-신과 아버지에 의해 낳아진 아들-신 사이의 일의적 관계에 대한 논의이다. 물론 아버지와 아들은 위격에 따라서는 낳는 자와 낳아지는 자로 구분된다. 이것이 아버지와 아들의 ‘위격적 구별’이다. 하지만 실체에 따라서는 온전히 똑 같다. 따라서 시원론은 신성(神性/Gottheit) 안에서 일어나는 신적 위격의 유출과 신적 위격의 구분(divinarum personarum emanatio, et ipsarum distinctio)에 대해 논하는 내재적 삼위일체론이다. 내재적 삼위일체론은 창조 이전의 영원 가운데 생기하는 신성의 끊임없는 생성 사건에 대한 논의라면, 구원 경륜적 삼위일체론은 창조 이후의 시간과 관계하고 있다. M. 에크하르트는 창조 이전의 영원 속에 계신 하느님을 신성이라 부르고, 창조 이후의 하느님을 신(Gott)라 부른다. 그는 창조 이전과 창조 이후, 영원성과 시간성을 구분하고 있다. 이러한 구분을 이해할 때, 우리는 비로소 그의 사상을 제대로 이해할 수 있다. 인간은 영원성에도, 시간성에도 머물 수 있다. 그가 말하는 버리고 떠나 있음이란 시간성을 완전히 벗어나, 어떠한 매개도 없이 영원성으로 이동하는 것이다. 신적 근원으로의 돌파이다. 가난과 돌파의 지점에서 영혼의 근저에 신의 아들이 탄생한다. 내재적 삼위일체론에서 아들은 아버지로부터 아버지의 것을 온전히 다 수용한다. 그래서 아들은 아버지와 똑 같게 된다. 이것이 ‘신적 유출’이다. 이와 마찬가지로 인간도 버리고 떠나 있게 되면, 아버지의 것을 깡그리 다 받아, 아버지와 똑 같게 된다. 이것 영혼의 근저에서 아버지의 탄생 사건이다. 그의 독일어 설교의 기조를 이루는 이런 논의는 그의 『요한복음 주석』의 N. 28– 51에 나오는 시원론을 바탕으로 한다. 그는 요한복음을 철학적 이성으로 주석하고 있다. 그는 신·구약 성경의 말씀이 철학, 자연, 기술(예술) 영역 전반에 걸쳐 두루 통용되는 보편적 진리라는 확신에서 출발하고 있다. 따라서 이 글의 몸통은 위의 논의에 따라 ⓵ M. 에크하르트가 『요한복음 주석』 N. 28– 51에서 잣대로 삼고 있는 철학 이론은 무엇인가? ⓶ 『요한복음 주석』의 N. 28– 39에 나오는 시원론 제1부 ⓷ 『요한복음 주석』의 N. 40–50에 나오는 시원론 제2부 ⓸ ‘시원 안에 말씀이 계셨다.’는 구절의 도덕적 의미, 그리고 시원과 영혼의 근저 등으로 전개된다. M. Eckhart interprets the phrases in the 『the Gospel according to John』 as follows “In the beginning was the Word, and the Word was with God, and the Word was God. He was in the beginning with God.”』 in N. 28-51 of his 『The Commentary on John』 with philosophy and arguments on nature and technique(art). The Beginning means the first cause of all things. This first cause is also called the essential cause or the essential principle. His theory of the Beginning is the arguments on the univocal relation between bearing Father and born Son. Father and Son is divided in person because one bears and the other is born. But both is all the same in the substance. So his theory of the Beginning is the theory of the immanent trinity(immanente Trinitätslehre) which deals with the divine emanation and the division between Father and Son. Wheres the theory of the immanent trinity is the arguments on the continual generation before the creation in the region of the eternity, the theory of the economical trinity(ökonomische Trinitätslehre) is related with the time after the creation. M. Eckhart divides between the eternity before creation and time after creation strictly. we can’t understand his thoughts rightly untill we accept this division. Human beings can remain in the region of the eternity or in the region of the time. His theory of the detachment(Abgeschiedenheit) means that we can be suddenly freed from the region of the time and move into the region of the eternity without any medium. This is his theory of the breakthrough into Godhead. In this place, God gives birth to his Son in the ground of human being’s soul. In the generation occurring in the immanent trinity, Son totally accepts all of Father’s. So Son become all the same with his Father. As the same, if man be detached from all, he can also accept all of Father’s and be all the same with Father. This is the fundamental themes of his german sermons. His themes of the german sermons is based on the theory of the Beginning in N. 28-51 of his 『The Commentary on John』. The main themes of this paper are as follows ① what is his philosophy here used as the means to interpret N. 28-51? ② The first part of his theory of the Beginning(N. 28-39). ③ The second part of his theory of the Beginning(N. 40-50). ④ The moral meanings of the phrase “In the beginning was the Word”, and the relation between the Beginning and the ground of human soul.

      • KCI등재

        영혼과 정신 : 플로티노스의 「 에네아데 」 5 권 3 장 6 절 ~ 9 절에 대한 해석과 재구성

        이부현 한국철학사상연구회 2001 시대와 철학 Vol.12 No.2

        플로티노스의 『에네아데』 V권 3장의 텍스트(인식하는 기체들과 그 너머에 있는 것)는 불완전하게 자신과 세계를 아는 영혼(인간)이 자기 자신의 본래적 모습을 찾아 나서는 여정을 그리고 있다. 이는 아우구스티누스가 자신의 본래 모습을 찾아 나서는 순례 여행을 떠올린다. 영혼은 자신의 본래적 모습을 인식하고자 한다. 이것이 바로 인간의 자기 인식이다. 그리고 인간의 자기 인식은 이미 자신의 영혼 가운데 스며들어 있는 정신을 거점으로 하여 일자를 맛보았을 때, 완결된다. 이러한 인간의 자기 인식의 과정은 다른 말로 하면 인간이 자기 자신을 의식해 가는 과정이다. 플로티노스에서 있어 영혼이란 기체는 세계를 지탱하는 생명력이다. 하지만 영혼이 인간 영혼을 뜻할 때는 인간의 감각적 인식과 추론적 사유 능력으로 대변되는 인간의 개별적 사유 능력을 의미한다. 그리고 플로티노스에서의 정신이란 기체는 자기 자신을 사유하는 순수 정신을 뜻한다. 플로티노스는 플라톤 철학을 아리스토텔레스를 경유하여 다시 해석한 사람이다. 그가 말하는 정신은 아리스토텔레스가 신이라고 칭한 '자기 자신을 사유하는 것'에다 플라톤이 말하는 예지적 세계를 결부시켜 성립된 존재론적 기체이다. 이제 플로티노스에게는 플라톤의 예지적 이데아 세계는 '자기 자신을 있는 대로 사유하고 인식하는 정신'이 된다. 일자 또는 선은 존재 가운데 작용하면서도 동시에 존재를 아득히 넘어서는 근거, 원천으로서 영혼과 정신이 그리로 향하는 목적 지점이다 영혼은 감각을 통해서 수용된 감각 경험들을 판단하고 종합하고 분리한다. 이렇게 판단하고 종합하고 분리하는 영혼의 능력이 바로 영혼의 추론 능력이다. 플로티노스는 영혼의 추론 능력에 대한 반성 작업을 통하여 정신을 추적한다. 곧, 감각적 경험들을 판단하고 종합하고 분리하는 기준은 도대체 어디로부터 비롯되는가에 대한 반성 작업을 통해 정신을 찾아 나선다. 이에 대한 그의 답은 기미 우리 가운데 스며들어 있는 정신 때문이다'라는 것이다. 이것이 영혼 가운데의 정신이다. 이제 우리는 우리 가운데 스며들어 있는 정신의 흔적을 통하여 정신으로 전환할 수 있게 된다. 만약 우리가 모든 것으로부터 벗어나서 자신 안에 있는 정신을 통하여서만 그리고 정신으로부터 만 자기 자신을 바라본다면, 우리도 정신이 자기 자신을 인식하듯이 우리 자신을 인식할 수 있다. 우리도 정신이 될 수 있다. 이런 의미에서 영혼은 정신에 의해 자기 자신을 확신할 수 있으며, 정신에 의해 상승될 수 있다. 『에네아데』 V권 3장의 주제는 일자에 대한 경험에 따른 인간의 자기 인식이다. V권 3장은 영혼과 정신뿐만 아니라, 일자도 또한 다루고 있다. V권 3장 1절에서 9절까지는 영혼과 정신에 대한 논의다. 그리고 V권 3장 10절에서 17절까지는 정신과 일자에 대한 논의다. 이 글은 영혼과 정신에 대해 말하고 있는 V권 3장 6절에서 9절까지의 논의에 국한하여 인간의 자기 인식 문제를 다루고 있다. In Enneade V 3(U¨ber die erkennenden Wesenheiten und das Jenseitige: peri ton gnoristikon hypostaseon kai tou epekeina) versucht Plotin den Ru¨ckwendung der nicht vollkommen sich erkennenden Seele nach ihrer Ursprung zu erkla¨ren. Dies ist sehr a¨hnlich wie Augustin, der durch Reise des Geistes zu Gott seines eigentliche Ich selbst findet. Die Seele mo¨chte ihres eigentlche Ich erkennen. Dies gerade bedeutet die Selbsterkenntnis des Menschen. Das Selbsterkenntnis-Prozeß des Menschen vollzieht sich, wenn die Seele zum Einen durch den Geist in der Seele gelangt. Eben dieser Vorgang des Erkennens ist nichts anders als der Weg zur Selbsterkenntnis des Menschen. Die Seele als Hypostase bei Plotin ist die gru¨ndende Lebenskraft der Welt. Falls sie jedoch das menschliche Seele bedeutet, wird sie als die einzelne Denkkraft des Menschen, das die sinnliche Wahrnehmung und das diskursive Denken entha¨lt, verstanden. Der Nous als Hypostase ist bei Plotin der reine Geist als der sich selbst denkende. Plotin versucht, die Philosophie Platons durch das Denken des Aristoteles zu reinterpretieren. Der Nous bei Plotin ist nichts anders als die ontologische Hypostase, die aus der Verbindung des von Aristoteles als das Sich-Selbst-Denken gennanten Gottes, mit der platonischen intelligiblen Welt herauskommt. Nun wird die platonische intelligible Welt zum Geist, der rein denkt und sich selbst erkennt. Das Eine (oder das Gute) nicht nur bewirkt innerhalb des Seins, sondern es ist der transzendierende Grund und Ursprung des Seins(Seele und Geist) und zugleich das Ziel des Seins. Die Seele vollzieht die Beurteilung der aus sinnlichen Wahrnehmung vorliegenden vorstellungen, sie zusammenfuehrend und unterscheidend. Eben dieses Vermo¨gen der Seele ist die diskursive Denkkraft der Seele. Der Geist wird bei Plotin von der Reflexion der diskursiven Denkkraft der Seele erkannt. Dies bedeutet eben das Reflexion der diskursiven Denkkraft der Seele erkannt. Dies bedeutet eben das Nachdenken der Seele, woher die Kriterium des Zusammenfu¨hrens, Unterscheidens und Beurteilens des seelischen Vermo¨gens kommt. Die Antwort darauf ist 'der immer schon in uns bestandende Geist'. Dies ist der Geist der Seele. Nun ko¨nnen wir durch den Geist der Seele in den reine Geist ru¨ckwenden. Wenn wir von allem ablo¨sen und durch dne Geist in uns und nur vom Geist in uns uns selbst betrachten, ko¨nnen wir auch zum Geist werden. Aus diesem Grund kann die Seele durch den Geist zu der Selbst-Gewisserung gelangen und zum Geist aufsteigen. Das Thema von Enneade V 3 ist die Selbsterkenntnis des Menschen als die Erfahrung am Einen. Plotin behande n Enneade V 3 nicht nur die Seele und den Geist, sondern das Einen. In V 3, 1-9 thematisiert sich die Frage nach der Seele und dem Geist. In dieser meiner Untersuchung jedoch geht es nur um die Selbsterkenntnis des Menschen, die in Enneade V 3, 6-9ausfu¨hrlich behandelt ist.

      • KCI등재
      • KCI등재

        마이스터 에크하르트와 수도자 영성 - M. 에크하르트의 Die rede der underscheidunge에 대한 재구성 -

        이부현 대동철학회 2004 大同哲學 Vol.28 No.-

        이 글은 M. 에크하르트의 최초의 저서 『Die rede der underscheidunge』(영적 강화)의 전반적 내용을 다루고 있다. 에크하르트는 중세 독일어로 되어 있는 이 글을 자신이 에어푸르트 수도원원장과 튀링겐 관구의 관구장 대리를 수행했을 때인 1294년과 1298년 사이에 썼다. 수도원장은 자신에게 맡겨진 수련자와 젊은 수도자들이 질문을 하고 자신이 답변함으로써, 가르치는 대화를 수행하는 임무를 맡는다. 하지만 이 글은 단순히 수도자들만을 위한 글은 아니다. 오히려 올바른 삶을 살고자 하는 그리스도인에 대한 메시지이다. 그의 글에는 금욕주의적 엄격성, 지옥, 마귀, 영벌() 등에 관념은 완전히 배제되어 있다. 또한 죄가 인간을 파괴하지도 않는다. 에크하르트는 인간이 자기 자신이 아니라, 신에만 속하고자 하는 한에서 인간은 불안에서 벗어나 자신의 본래 모습으로 되돌아 갈 수 있다고 믿었다. 그는 능동적으로 신 가운데 머무는 만큼 평화 가운데 머물 수 있다고 믿었다. 그의 글은 체계적이지 못하다. 하지만 대개 세 부분으로 나누어 볼 수 있다. 제 1부는 1-8장까지이며, 기본적 주제는 ‘자기를 버리고 떠나 있기’이다. 제 2부는 9-16장까지이며, 기본적 주제는 ‘죄’이다. 제 3부는 17-23장까지이며, 기본적 주제는 ‘자신을 놓아두기와 그리스도를 따라 살기’이다. 『영적 강화』는 후에 전개될 그의 고유한 신비주의적 사상의 단초가 이미 제시되어 있다. 마음을 비워라, 네 뜻을 버려라, 풀러나 있어라, 버리고 떠나 있어라. 이런 말들은 번잡한 외적 삶, 피상적 삶으로부터 풀러나서 참다운 존재로 귀환하라는 메시지이다. 가장 내적인 자신의 핵심으로 귀환하라는 것이다. 그 때 나의 행위는 거룩하게 된다는 것이다. 나의 뜻을 버리고 온전히 신에 헌신하라는 것이다. 그 때, 신이 그 자리에 들어선다는 것이다. 이러한 그의 주장은 그의 신비주의 사상의 항구적이고 결정적인 모티브로 자리 잡는다. Die Absicht der vorliegenden Untersuchungen is es, den ganzen Inhalt der 『Die rede der underscheidunge』E. Eckharts zu analysieren und zu interpretieren und rekonstituieren. 『Die rede der underscheidunge』sind mit der üblichen Übersetzung 『Die Reden der Unterweisung』mit hinreichender Sicherheit in den Jahren zwischen 1294 und 1298 in Erfurt entstanden. Der Prior führte das Lehrgespräch(collatio) mit seinen geistlichen Kinder, den ihm anvertrauten Brüder und den jüngeren Mitgliedern einschliesslich der Novizen, die zu wahren Ordensleuten erzogen werden sollten. Die Lehrgespräch bezieht sich auf eine Einführung in die richtige Lebensführung und -haltung im Kloster, doch keineswegs auf sie allein. Darüberhinaus sind『Die rede der underscheidunge』als eine christliche Lebenslehre schlechthin zu betrachten, von allen aufnehmen und erfüllen, die guten Willens sind. 『Die Reden』lassen sich in die drei Hauptgruppen von Kapiteln unterscheiden, die sich deutlich von einander abheben:1-8, 9-16, 17-23. In der ersten Hauptgruppen von den Ordengelübden ausgeht und vor allem die Entäusserung des Selbst zum Gegenstande hat. Die Hauptheme der 2 Gruppe ist die Sünde. Die Leitthema der dritten Gruppe ist die Aufgabe des eigenes Selbst, damit Gott an dessen Stelle treten kann und Immitatio Christi. Eckhar ts 『Die Reden』stellen hohe und höchste Anforderungen an den Christenmenschen, der nach dem rechten Leben strebt. Trotzdem sind sie ohne asketische Härte. Die Vorstellung von Hölle, Teufel, und Strafen fehlt gänzlich. Die Sünde braucht den Menschen nicht zu zerstören. Gott ist immer nahe. Eckhart nimmt dem Menschen die Daseinsangst und führt ihm in die Wesenltlichkeit zurück, sofern er Gott gehören will und nicht sich selbst. Dieses Denken Eckharts ist grundlegende Motif seiner eigenen Mystik. Er verkündet ein ganz vom Geiste her bestimmtes Christentum, ein Christentum in seiner Lauterkeit.

      • KCI등재

        M. 에크하르트 ― 신과 인간의 역동적 관계

        이부현 대동철학회 2007 大同哲學 Vol.39 No.-

        이 글은 에크하르트를 전후한 영향사의 관심에서 에크하르트의 라틴어・독일어 저서들을 통해 그의 설교 1을 분석하고 다시 해석하고 구성하는 일을 하고 있다. 이는 다른 설교들에서도 그렇지만, 특히 설교 1에서 인간, 인간과 신의 역동적 관계, 영원한 신성에서 일어나는 사건들과 그것들의 인간으로의 전달 및 인간의 신성으로의 복귀적 이행 등에 대해 비교적 폭넓게 논의되고 있기 때문이다. 설교 1은 ① 인간론 - 성전, 곧 인간영혼의 근저에 대한 이야기, 외적 인간의 내적 인간으로 전환, 곧 일상적 자기의 본래적 자기로의 전환에 대한 논의 ② 신과 인간의 역동적 관계에 대한 논의 ③ 신론 및 범형론 - 영원 가운데의 신적 발출에 대한 논의 ④ 아들과 인간의 관계를 통한 신과 인간의 역동적 관계에 대한 논의 및 그 종착점인 신성으로의 복귀적 돌파 등의 주제를 다루고 있다. 이 글은 그의 작품들에 항상 전제되어 있는 부정 신학, 귀속적 유비, 내재적 삼위일체론, 말씀, 신적 산출, 신적 탄생, 끊임없는 창조, 끊임없는 육화, 범형론, 신성으로 복귀적 돌파 등에 대한 철저한 이해를 통해 설교 1의 논의 주제들을 영향사의 관점에서 음미하고 있다. 특히 플로티노스와 하이데거를 염두에 두고 그렇게 하고 있다. Die Absicht der vorliegenden Untersuchungen is es, den ganzen Inhalt der ꡔPredigt 1ꡕEckharts zu analysieren und zu interpretieren und zu rekonstituieren durch seine Deutsche and Lateinische Werke im Aspekte des Wirkungsgeschichte vor wie nach Eckhart. ꡔPredigt 1ꡕhandelt um die Psychologie, die innerste dynamische Beziehung des Menschen zu Gott, dauernde Ereigniss in der ewiger Gottheit, ihre Mitteilung zu Menschen, und Rückgang des Menschen in die Gottheit äuβerster als andernen Predigten. Also sind die Huptthemen der ꡔPredigt 1ꡕ ① Psychologie - die Tempel, das heiβ die Grund der Seele, Verwandelung des äuβeren Meschens in den inneren Menschen(Erl철sung aus dem alltäglichen Menschen ins eigentlliches Ich) ② die innerste dynamische Beziehung des Menschen zu Gott ③ Gotteslehre und Exemplarismus - g철ttliche Ausfluβ und Rückfluß in Ewigkeit und UrbiIden vor Kreation ohne Zeit ④ die dynamische Relation zwischen Gott und Menschen durch Beziehung des Menschen zu Sohn Gottes - die Offenbarung des Vaters Sprechen durch Sohn, dh. Wort. Zwar analysieren, interpretiern, rekonstituieren diese Untersuchungen vorgetragene Hauptthemen im Perspektiv der Wirkungsgeschichte durch Verstehen der Terminologien dh, der Negativen Theologie, der Attributiven Analogie, des immanenten Trinitätslehre, des Wortes, der g철ttlichen Prozession, des g철ttlichen Geburts, der continua creatio, der continua incarnatio, der Ausgang und Rückgang. Also interpretieren diese Untersuchungen mit dem Denken Plotins und Heideggers.

      • KCI등재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