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소셜TV 비이용자의 혁신저항과 이용의도에 관한 연구: 혁신확산 이론과 혁신저항모델을 중심으로

        이병혜 한국인터넷정보학회 2017 인터넷정보학회논문지 Vol.18 No.6

        본 연구는 혁신확산이론과 혁신저항모델을 적용하여 소셜TV 혁신저항과 이용의도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을 탐색하였다. 주요결과를 중심으로 살펴보면, 첫째, 소셜TV 비이용자의 지각된 혁신특성 중 적합성과 복잡성은 혁신저항에 통계적으로 유의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소셜TV 비이용자의 인지된 위험은 혁신저항에 통계적으로 유의한 정적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나타났다. 셋째, 소셜TV 비이용자의 지각된 혁신특성 중 적합성과 복잡성은 이용의도에 통계적으로 유의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나타났다. 넷째, 소셜TV 비이용자의 인지된 위험은 소셜TV 이용의도에 통계적으로 유의한 영향을 미치지 못한 것으로 나타났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xamine the factors affecting innovation resistance and intention of use of social TV non-users focused on innovation diffusion theory and innovation resistance model. The results were as follows: First, compatibility among perceived innovation characteristics by social TV non-users influenced negatively on innovation resistance, and complexity among perceived innovation characteristics by social TV non-users influenced positively on innovation resistance. Second, perceived risk by social TV non-users influenced positively on innovation resistance. Third, compatibility among perceived innovation characteristics by social TV non-users influenced positively on social TV intention to use. And complexity among perceived innovation characteristics by social TV non-users influenced negatively on social TV intention to use. Fourth, perceived risk by social TV non-users influenced not significantly on social TV intention to use. Fifth, innovation resistance by social TV non-users influenced negatively on social TV intention to use.

      • KCI등재

        공감과 자아존중감이 대인관계에 미치는 영향: 대학생들을 중심으로

        이병혜 한국커뮤니케이션학회 2019 커뮤니케이션학연구 Vol.27 No.2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xamine the effects of empathy on self-esteem and interpersonal relation focused on college students. A total of 417 questionnaires were distributed using convenience sampling method to college students. The results were as follow. First, social skill empathy excluding cognitive empathy of college students influenced positively on self-esteem. Second, cognitive empathy and social skill empathy influenced positively on understandability, satisfaction and openness among interpersonal relation. Third, self-esteem influenced positively on understandability, satisfaction and openness among interpersonal relation. 본 연구는 대학생 417명을 대상으로 공감과 자아존중감이 대인관계에 미치는 영향을 살펴보았으며, 주요 결과를 간략하게 제시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공감이 자아존중감에 미치는 영향을 살펴본 결과, 공감의 하위요인 중 인지공감을 제외한 사회기술공감이 자아존중감에 통계적으로 유의한 정적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공감이 대인관계에 미치는 영향을 살펴본 결과, 인지공감과 사회기술공감은 모두 이해성과 만족감, 개방성에 통계적으로 유의한 정적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나타났다. 셋째, 자아존중감이 대인관계에미치는 영향을 살펴본 결과, 자아존중감은 이해성과 만족감, 개방성 등 대인관계에 통계적으로 유의한 정적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 KCI등재후보

        이종격투기 프로그램 시청과 공격성향, 스트레스 해소 및 상태분노의 관계에 관한 연구: 수도권 여대생 인식 조사를 중심으로

        이병혜 경희대학교 사회과학연구원 2010 社會科學硏究 Vol.36 No.1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the relationship among the television viewing time, trait aggressiveness, stress settlement and anger of no-holds-barred fighting program. For this study, female students attending university who have seen no-holds-barred fighting program were selected as the population. total, 168 female students were finally surveyed and analyzed. As a result of this study, following results were deducted. first, television viewing time influenced positively on verbal aggression. second, physical aggression influenced positively on verbal aggression. third, verbal aggression influenced positively on stress settlement. fourth, physical aggression influenced positively on anger. fifth, stress settlement influenced positively on anger. 본 연구는 여성 이종격투기 시청자를 대상으로 이종격투기 프로그램 시청량과 신체적/언어적 공격성, 스트레스 해소 및 상태분노의 관계를 규명하고자 하였으며, 그 결과를 간략하게 요약 제시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여성의 이종격투기 시청량은 언어적 공격성에 통계적으로 유의한 정적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여성 이종격투기 시청자의 신체적 공격성은 언어적 공격성에 통계적으로 유의한 정적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여성 이종격투기 시청자의 언어적 공격성은 스트레스 해소에는 통계적으로 유의한 정적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넷째, 여성 이종격투기 시청자의 신체적 공격성은 상태분노에 통계적으로 유의한 정적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다섯째, 여성 이종격투기 시청자의 스트레스 해소는 상태분노에 통계적으로 유의한 부적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 KCI등재

        소셜미디어의 이용이 정치참여에 미치는 영향 : 대학생집단의 정치효능감과 정치참여를 중심으로

        이병혜 한국정치커뮤니케이션학회 2013 정치커뮤니케이션 연구 Vol.30 No.-

        본 연구는 소셜미디어를 이용하는 젊은 층의 정치참여행위를 결정하는 요인이 무엇 인지를 확인하기 위하여 소셜미디어 이용동기, 정치적 관심 및 이용, 그리고 정치효능감 을 통해 살펴보고자 하였다. 주요 결과를 제시하면, 우선 소셜미디어 이용동기는 정치참 여의도에 긍정적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나 소셜미디어 이용자들이 사회적 관계, 즉 필요한 정보를 얻거나 타인과의 의견 교류를 추구할수록 정치참여의도도 높아지는 것으 로 볼 수 있다. 둘째, 소셜미디어 이용자들의 정치적 관심은 소셜미디어의 정치적 이용 과 정치효능감, 그리고 정치참여의도에 긍정적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나 소셜미디 어 이용자들이 정치에 관심이 높을수록 소셜미디어를 정치적인 측면에서 이용하고, 자 신의 정치적 행위가 정치적 과정에 영향을 미칠 것이라는 신념 정도인 정치효능감, 그리 고 정치참여의도도 높아지는 것으로 볼 수 있다. 셋째, 소셜미디어의 정치적 이용은 정 치효능감과 정치참여의도에 긍정적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나 소셜미디어를 정치적 으로 이용할수록 정치효능감과 정치참여의도도 높아지는 것으로 볼 수 있다.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the effect of SNS use on political participation of social media users. Total of 321 participated in this study. The results were as follows. First, use of motive in social media influenced positively on intention of political participation. Second, political interest of social media users influenced positively on using social media with political purpose, political efficacy and intention of political participation. Third, using social media with political purpose influenced positively on political efficacy and intention of political participation.

      • KCI등재후보

        소셜미디어의 이용이 정치참여에 미치는 영향 :대학생집단의 정치효능감과 정치참여를 중심으로

        이병혜 한국정치커뮤니케이션학회 2013 정치커뮤니케이션 연구 Vol.0 No.30

        본 연구는 소셜미디어를 이용하는 젊은 층의 정치참여행위를 결정하는 요인이 무엇인지를 확인하기 위하여 소셜미디어 이용동기, 정치적 관심 및 이용, 그리고 정치효능감을 통해 살펴보고자 하였다. 주요 결과를 제시하면, 우선 소셜미디어 이용동기는 정치참여의도에 긍정적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나 소셜미디어 이용자들이 사회적 관계, 즉필요한 정보를 얻거나 타인과의 의견 교류를 추구할수록 정치참여의도도 높아지는 것으로 볼 수 있다. 둘째, 소셜미디어 이용자들의 정치적 관심은 소셜미디어의 정치적 이용과 정치효능감, 그리고 정치참여의도에 긍정적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나 소셜미디어 이용자들이 정치에 관심이 높을수록 소셜미디어를 정치적인 측면에서 이용하고, 자신의 정치적 행위가 정치적 과정에 영향을 미칠 것이라는 신념 정도인 정치효능감, 그리고 정치참여의도도 높아지는 것으로 볼 수 있다. 셋째, 소셜미디어의 정치적 이용은 정치효능감과 정치참여의도에 긍정적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나 소셜미디어를 정치적으로 이용할수록 정치효능감과 정치참여의도도 높아지는 것으로 볼 수 있다.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the effect of SNS use on political participation of social media users. Total of 321 participated in this study. The results were as follows. First, use of motive in social media influenced positively on intention of political participation. Second, political interest of social media users influenced positively on using social media with political purpose, political efficacy and intention of political participation. Third, using social media with political purpose influenced positively on political efficacy and intention of political participation.

      • KCI등재

        의사-환자 간의 의사소통 장애요인 인식 차이와 소통만족도에 미치는 영향

        이병혜 ( Byung Hye Lee ) 한국커뮤니케이션학회 2011 커뮤니케이션학연구 Vol.19 No.1

        본 연구는 의사-환자 간의 효율적인 의사소통을 가로막는 장애요인을 추출하고 그에 따른 의사-환자의 인식 차이를 살펴보고자 하였으며 다음과 같은 결과를 도출하였다. 첫째, 의사소통 장애상황에 대해문항을 중심으로 살펴본 결과, 환자들은 의사가 자신을 존중하지 않는다고 느껴질 때, 가장 높은 의사소통 장애를 느끼는 것으로 나타났고, 그 다음으로 의사가 전문용어를 사용하거나 충분히 알아듣도록 설명하지 않을 때, 그리고 의사가 급하게 일을 하거나 재촉할 때 의사소통 장애를 느끼는 것으로 나타났다. 반면에 의사들은 환자가 자신의 증상이나 기타 상황에 대해 의사가 충분히 알아듣도록 설명하지 않을 때 가장 높은 의사소통 장애를 느꼈으며, 그 다음으로 환자가 길게 설명하면서 분명하게 얘기하지 않을 때 또는 말을 끝내기 전에 환자가 말을 가로막을 때 환자와 의사소통 장애를 느끼는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의사소통 장애요인에 대한 의사-환자의 차이를 살펴본 결과, 환자들은 의사가 일방적으로 소통하거나 권위적인 소통을 할 때 의사와의 의사소통 장애를 느낀다고 지각하는 반면에 의사들은 환자와 대화가 제대로 이루어지지 않을 때 환자와의 의사소통 장애를 느끼는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의사소통 장애요인이 소통만족도에 미치는 영향을 살펴본 결과, 의사소통 장애요인 중 권위적 소통을 제외하고 일방적 소통과 소통부재가 소통만족도에 통계적으로 유의한 부적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따라서 의사나 환자 모두 상대방이 일방적으로 소통하거나 소통이 제대로 이루어지지 않는다고 인식할수록 소통만족도는 낮아지는 것으로 볼 수 있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the communication barriers between doctors and patients. Data were analyzed through exploratory and confirmatory factor analysis, reliability analysis and hierarchical multiple regression. Factor analysis showed that communication barriers between doctors and patients had three dimensions: unilateral communication, prescriptive communication and absence of communication. The results were as follows: First, patients reported higher communication barrier scores when patients didn`t feel respected. On the other hand, doctors perceived the highest communication barrier scores on absence of communication by patients. Second, patients perceived the highest barrier scores on unilateral communication and prescriptive communication. And doctors perceived the highest barrier scores on absence of communication. Third, unilateral communication and absence of communication related to communication barriers factors between doctors and patients had significantly negative influence on communication satisfaction.

      • KCI등재

        SNS 이용자들의 소셜미디어 피로감과 이용중단의도: 페이스북 이용자들을 중심으로

        이병혜 ( Byung Hye Lee ) 한국커뮤니케이션학회 2016 커뮤니케이션학연구 Vol.24 No.2

        본 연구는 소셜미디어 이용자, 특히 페이스북 이용자들을 대상으로 소셜미디어피로감 결정요인을 살펴보고, 이들 요인들이 소셜미디어 피로감에 미치는 영향, 그리고 소셜미디어 피로감이 이용중단의도에 미치는 영향을 살펴보았다. 주요결과를 간략하게 제시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프라이버시침해 우려가 소셜미디어 피로감에 미치는 영향을 살펴본 결과, 프라이버시침해 우려는 소셜미디어 피로감에 통계적으로 유의한 영향을 미치지 못한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평판근심이 소셜미디어피로감에 미치는 영향을 살펴본 결과, 평판근심은 소셜미디어 피로감에 통계적으로 유의한 정적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인간관계 피로가 소셜미디어 피로감에 미치는 영향을 검증한 결과, 인간관계 피로는 소셜미디어 피로감에 통계적으로 유의한 정적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넷째, 소셜미디어 피로감이 이용중단의도에 미치는 영향을 검증한 결과, 소셜미디어 피로감은 이용중단의도에 통계적으로 유의한 정적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xamine the determinant of social media fatigue and intention to discontinue using social media focused on facebook users. The results were as follows. First, privacy concerns perceived by facebook users influenced not significantly on social media fatigue. Second, concern of reputation perceived by facebook users influenced positively on social media fatigue. Third, interpersonal relationship fatigue perceived by facebook users influenced positively on social media fatigue. Fourth, social media fatigue perceived by facebook users influenced positively on intention to discontinue using social media.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