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펼치기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 KCI등재

        초중고 한문 학습 자전의 현황과 편찬 방안 한문 학습자전 수록 한자의 대표 자의(字義) 및 의미항(意味項)선정과 조직

        이동재 ( Dong Jae Lee ) 한국한문교육학회 2013 한문교육논집 Vol.41 No.-

        The purpose of this article is to come up with principles for selecting the representative letter meanings and semantic units of Chinese characters in learning dictionaries of Chinese characters for Sino-Korean to be edited in future.The current letter meanings in dictionaries of Chinese characters inKorea can be classified into thoseconsisting of pure Korean words, thoseassigned by letter sounds, those consisting of predicative ending added letter sounds, those consisting of Sino-Korean words, and those consisting of predicative ending added Sino-Korean words. Of those letter meanings, some are difficult to understand, have low utility due to their archaic forms, or have some errors in them.As for semantic units, every character has at least one unit including its representative letter meaning, and some characters have more than 20 semantic units. Also, the semantic units in current dictionaries ofChinese characters that are widely used are problematic in that they have insufficient relations with repres ntative letter meanings, and there is insufficient relatedness among letter meanings presented in the semantic units.Learning dictionaries of Chinese characters for Sino-Korean has strong characteristics as bilingual dictionaries,which are different from dictionaries of Korean for learners. Thus, it is most important to adjust the levels of learning dictionaries of Chinese characters for Sino-Korean to learners’level of knowledge and experience. Accordingly, we can present the following principles of the selection of representative lettermeanings and semantic units in learning dictionaries of Chinese characters for Sino-Korean.First, letter meanings should be presented in specific and generalized modern terms. Second, characters should be easily explained and when the delivery of meaning is unsatisfactory, accounts of letter meanings should be added. Third, meanings that are familiar in linguistic environments and have high utility should be selected as representative meanings. Fourth, Chinese characters t have the same letter meanings but different connotations should be distinguished by specific notation and additional accounts. Fifth, the letter meanings of connected characters should be consistently explained. Sixth, in the case of polysemic letters, a meaning with high utility should be takes as the representative meaning among others. Seventh, heteronymous characters should be presented in accordance with their letter sounds. Eighth, letter meanings that are difficult to understand due to their semantic vagueness should be explained in a novel way while observing the existing meanings. Ninth, errors should be corrected.Also, learning dictionaries of Chinese character are for novices orlearners who are interested in Classic Chinese literature. They do not well understand connotations, examples of usage etc. as well as detailed letter meanings due to their insufficient basic knowledge of Classic Chinese. Thus, the semantic units of learning dictionaries of Chinese characters for Sino-Korean should meet t following conditions. First, semantic units should be presented in connection with representative letter meanings. Second, semantic units should be maximally extended for the convenience of usage [translation]. Third, kind accounts should be added to the letter meanings presented in semantic units, and when necessary, pho toes, pictures, figures etc.should be attached.

      • KCI등재

        기획주제: 중세의 동물에 대한 인식과 문학적 형상(1) : 한국 한시에 나타난 “호랑이”의 형상화 양상 연구

        이동재 ( Dong Jae Lee ) 동방한문학회 2014 東方漢文學 Vol.0 No.61

        본고는 한국 한시에 나타난 호랑이의 형상화 양상을 고찰하여, 전통적으로 내려온 호랑이에 대한 이미지를 보완하는데 기여하였다. 우리나라는 예로부터 ‘호랑이 나라’라고 불리었으며, 이로 인해 호랑이는 우리나라를 상징하는 동물이었다. 그리하여 호랑이는 우리나라가 건국 이래 최대의 행사였던 1988년 서울올림픽을 상징하는 마스코트였다. 민간에서는 호랑이를 인간과 가축을 헤치는 猛獸라는 이미지 외에도 백수의 왕이라는 신령스러운 존재나 인간과 교감할 수 있는 인격화된 동물, 받은 은혜를 저버리지 않고 보은하는 영물, .邪와 吉祥의 이미지로 받아들여졌다. 반면에 우리나라의 한시에는 이와 다르게 惡獸로서의 이미지가 매우 강했으며, 간간히 영물로서 묘사하거나 繪畵化하여 인간의 삶을 감계하는 이미지로 형상화하였다. 먼저, 惡獸로서의 호랑이를 살펴보았다. 호랑이를 惡獸의 이미지로 형상화한 것은 조선이 건국초부터 멸망까지 전시기에 걸쳐 虎患에 시달렸기 때문에 호랑이에 대한 이미지가 좋지 않은 것이 주된 이유였다. 그리고 문인들의 호랑이에 대한 인식은 민간의 시각과 다르게 성리학적 세계관과 인식에 기반하고 하고 있다. 유가서에는 호랑이를 인간이 경험할 수 있는 동물 가운데 가장 포악한 동물로 기술하고 있다. 나아가 문인들은 지방관으로 나아가서 호환을 막기 위해 호랑이 사냥을 직접지휘하는 입장에서, 호랑이는 자신의 근무 고과를 좌우하는 변인이 되었으므로 호랑이에 대한 인식이 좋을 수가 없었다. 둘째, 靈物로서의 호랑이에 대한 형상화를 살펴보았다. 문인들이 민간의 이미지와 다른 차원에서 호랑이를 영물로 본 가장 큰 이유는 호랑이가 동물 가운데 인간을 제외한 먹이사슬의 가장 윗자리에 있으며, 인간을 능가하는 강력한 발톱과 이빨등, 신체적 위의에서 느끼는 공포감에서 기인한다. 이에 따라 호랑이는 동물로서 신성시되는 신격으로 추앙받는 존재로 인식되기는 하였지만 인간사의 문제를 해결해 주는 해결사의 이미지는 보이지 않는다. 셋째, 鑑戒로서의 호랑이를 살펴보았다. 호랑이가 갖는 포악한 본성은 惡獸로서의 이미지와 영물의 이미지가 복합적으로 작용하게 하였다. 이러한 이미지는 인간사에 投射되어 감계의 이미지로 드러나기도 하였다. 즉 호랑이가 갖고 있는 猛獸로서의 이미지는 폭압적인 권력자의 이미지와 동일시되어 ‘호랑이라 할 지라도 함정에 빠지면 조금도 두려운 존재가 아닌 것처럼, 권력자가 권력을 잃어서 하루아침에 목숨을 구걸하게 될 신세가 됨을 경계’하는 말인 ‘허리 부러진 범’과 같은 다양한 속담으로 만들어져서 膾炙되었다. 한시를 비롯하여, 소설, 산문, 등 한국 한문학의 나타난 호랑이의 이미지 연구는 우리문화의 상징 가운데 하나인 호랑이의 이미지를 보완하는데 매우 중요한 연구중에 하나임에는 분명하다. 이에 관한 연구는 후속의 연구과제로 남긴다. This study purposed to examine the pattern of tiger configuration in Sino. Korean poems and to contribute to supplementing the traditional image of the tiger in Korea. Korea has been called ‘a tiger country’ from ancient times, and because of this the tiger became an animal symbolizing Korea. For this reason, the tiger was used as the mascot representing the 1988 Seoul Olympics, the greatest event since the foundation of the nation. Among people, the tiger had various images including a beast hurting people and domestic animals, a sacred being as the king of beasts, a personalize animal associable with humans, a spiritual being repaying kindness, and a symbol of exorcism and good auspice. In Sino.Korean poems, on the contrary, the image of the tiger as an evil beast was very strong and it was occasionally depicted or caricatured as a spiritual being that admonished human lives. First, with regard to the image of the tiger as an evil beast, the reason that the tiger was configured as the image of an evil beast was that the Joseon Dynasty suffered disasters caused by tigers from its foundation to the fall. In addition, the literati’s perception of the tiger was based on the Confucian world view and ideas distinguished from the folk’s perception. In Confucian books, the tiger was described as the fiercest animal that humans might experience. When they worked as provincial governors, furthermore, the literati experienced disasters caused by tigers by themselves, and such experiences aggravated their view of the tiger. Second, with regard to the configuration of the tiger as a spiritual being, the biggest reason for the literati to see the tiger as a spiritual being different from the image of the tiger viewed by the folk was that the tiger was on the top of the food chain except man and its physical dignity with powerful claws, teeth, etc. evoked fear. Although the tiger was adored as a sacred divinity, however, it was not showed the image of a savior solving problems in human affairs. Third, with regard to the tiger as an admonition, the fierce nature of the tiger induced both its images as an evil beast and as a spiritual being. Such images were projected on human affairs and developed into the image of admonition. That is, the image of the tiger as a beast was identified with the image of an oppressive man of power, and various related proverbs were created including ‘a tiger with the waist broken,’ which is the warning that a man of power may lose his power overnight and have to beg for his life like a tiger that fell into a pit and thus became powerless. Various contents related to the tiger as a part of Korean traditional culture are drawing people’s attention in many different areas. However, the development of such contents should be preceded by research on the tiger in relevant areas. Studies on the image of the tiger observed in Sino.Korean literature including poems, novels, and prose are very crucial for supplementing the image of the tiger as one of the symbols of Korean culture, and such studies may be made in future research.

      • KCI등재
      • KCI등재

        매계(梅溪) 조위(曺偉)의 “유송도(遊松都)”시(詩) 연구(硏究)

        이동재 ( Dong Jae Lee ) 한국한문고전학회(구.성신한문학회) 2007 漢文古典硏究 Vol.14 No.-

        梅溪 曺偉는 왕을 보좌하고 외교를 담당할 文秉의 자질과 능력을 갖추고 있다는 평가를 받은 조선 전기 成宗시대의 대표적인 관료문인이다. 梅溪의 ``遊松都``詩는 그 자신이 23세(1476년)에 成宗의 知遇를 입어 吏曹正郞 蔡壽 등과 함께 賜暇讀書를 하면서 역사서를 읽다가 의기투합하여, 그 다음해 봄(1477년) 松都를 10여일간 유람하며 지은 시이다. 송도 유람의 목적이 前王朝의 유허지를 찾아 실증을 통한 오늘의 감계를 삼고자 하였기 때문에 이들의 여행지는 주로 고려의 유허지와 승경지였다. 또한 여기에서 作詩를 하였으므로, 역사의 懷古와 鑑戒, 승경지의 절경에 대한 讚歎, 여로에서만 느낄 수 있는 일탈적 감정 등이 시의 주 내용이므로, 본고에서는 이를 勝景의 讚歎·旅路의 遊興·歷史의 鑑戒로 나누어 살펴보았다. 첫째, ``勝景의 讚歎``詩는 조선 초기 관료문인들의 일반적인 문예활동이었지만, 梅溪에게 있어서는 더욱 두드러진 특징이라고 할 수 있다. 이는 그가 성리학에 대한 이해가 깊었기 때문에, 성리학이 가지고 있는 민족성을 바탕으로 한 사유체계와 鮮初의 건국에 따른 상승된 王化의 稱歎이라는 관각적 분위기에서 우리의 경승을 널리 알리려는 具眼者의 입장에서 作詩하였다고 할 수 있다. 둘째, ``旅路의 遊興``詩는 여행기간이 10여일이라는 짧은 기간이었고, 그가 젊은 관원으로 宵衣간食하는 바쁜 일상에서의 벗어난 기쁨으로 인하여, 旅路의 고단함이나 집 생각, 民막에 시달리는 백성들을 고통을 詩化하기보다는 일상에서 벗어난 일탈된 감정을 자연스럽게 들어냈다. 셋째, ``歷史의 鑑戒``詩는 그 구도와 주제가 일반적인 구도와 주제에서 크게 벗어나지 않으나, 동행한 다른 관료문인에 비해 작품 수가 많다. 이는 그 자신의 시대를 태평성대로 인식하고, 그것에 견주어 지난 과거의 부정적인 면을 일깨워 반성하고, 역사는 항상 되풀이되는 것이므로 이를 오늘의 鑑戒로 삼고자 한 것이다 Maegyei Jo Wi(1454-1503) was a high government official and renowned writer, whose diplomatic ability also was highly appreciated under King SungJong of the early Period of Chosun. As with other poets, he left many works where he expressed his feelings of exclamation of amazement, while appreciating the wonderful and unique natural landscapes, found the transient affairs of time-bound men and women when in historic ruins of those days of in power and glory, and deplored the painful reality when he saw the actual lives of the people suffered from the gentry and the poverty - Chosun dynasty was characterized by strict social divisions according to status and occupation - when he got tired of traveling back and forth for a mission, his poems were also so nostalgic for his hometown. One of his works, Songdo Tour was conceptualized and written at the age of 23(1476) while traveling to Songdo with his friend Chae Su for ten days. Chae Su, at that time served as an administrative assistant for the government. From among the poems of Songdo Tour, "Glorious View" is a critical review of Songdo city, showing that Maegyei actively took part in the conduct of reweaving of the city`s new institutions. Identification and protection of cultural heritage begun with the founding the Chosun dynasty, naturally recognizing its originality. In "Indulging in Pleasure in a Journey", another poem from Songdo Tour, Maegyei described the feeling of relaxation and deviation that a busy young man could have, getting out of hard work from morning to night and getting ten days of vacation. The last poem of Songdo Tour, "Take Caution" displayed the intention of the journey. He could explore many historic sites around the city. This poem expresses a warning to the people, using the Koryo dynasty as an example. Songdo was the capital of the Koryo dynasty for 500 years, and the fall of this dynasty was not even more than 80 years.

      • KCI등재

        중학교 현대 문학사 교육의 현황과 문제점 고찰

        이동재 ( Dong Jae Lee ) 민족어문학회 2009 어문논집 Vol.- No.59

        교과서 개정을 앞두고 있는 현재 시점에서 현행 교과서의 문제점에 대한 검토는 중요한 문제다. 이 논문에선 중학교 현대 문학사 교육의 현황과 문제점을 살펴보았다. 현행 제7차 중학교 교과서에서 현대 문학사에 관한 것은 3학년 1학기 『국어』 교과서에 실려 있는 「한국 현대 문학의 이해」란 단원이다. 이 단원에 실려 있는 조남현의 「한국 현대 문학의 흐름」은 한국 현대 문학사의 흐름을 압축해서 간략하게 설명해놓고 있다. 방대한 문학사적 사실을 개괄적으로 서술하고 있는 글이다 보니 다소 일관성이 없거나 적절하지 않은 단어를 사용한 문장, 앞뒤가 모순된 문장, 필자의 무리한 생각이 노출된 문장 등이 눈에 띄었다. 중학교 국어 교과서에 실리는 글은 되도록 모호한 단어나 용어 사용을 피하고 논쟁의 여지가 많은 사항이나 특정한 문학관이 노출된 글은 피해야 한다. 일관성 있는 합리적 기준으로 시대를 구분하고 작품을 분류하는 것이 중요하다. 근대 문학이라고 해야 하는지 현대 문학이라고 해야 하는지 언제까지 모호하게 설명하고 넘어갈 순 없는 문제이며, 사상시·자연시·저항시·생명시 등 기준과 개념이 모호한 장르의 분류는 학생들이 작품을 이해하는데 혼란만 가중시킨다. 문학과 역사의 욕망과 지향점을 단순하게 일치시키는 것도 학생들이 문학과 역사의 변별을 어렵게 하는 요인이 되고 있다. 문장이나 단어 하나, 부호 하나라도 고칠 수 있는 계기가 된다면 이 논문의 의의는 거기에 있을 것이다. Reviewing the problems regarding the textbooks currently in use is essential especially with the revision of the textbook just around the corner. This paper tells us the present state of current history of literature education for junior high school and the problems facing it. The unit 「The understanding of modern korean literature」 appearing in 『Korean』textbook studied by third graders in their first term is regarding the modern history of literature in the seventh junior high school textbook. When it comes to modern history of literature in the seventh middle school textbook currently in use, the unit 「The understanding of modern korean literature」 in 『Korean』textbook studied by third year students in their first term has it. 「The stream of modern korean literature」 by Jo Nam-hyeon in that unit summarizes the current of the korean history of modern literature and gives the brief and simple explanation. Since it describes massive or even bulky literary facts, it contains some sentences that have no consistent or appropriate words, make no sense or lack coherence, show the writer`s unreasonable thoughts. Obscure words or terms, disputable facts and writings that expose particular views of literature should all be avoided when studied by middle schoolers. Dividing the times and classifying the works with the consistent and reasonable standard are very important. We can`t always go on giving an ambiguous explanation on whether it is a modern literature or current(contemporary) literature, the classification of the genre whose standard and concept are uncertain or vague such as ideological poetry, natural poetry, resistant poetry, life-giving poetry only adds confusion for students to understand the works. Simply identifying the desire and intention(inclination) of literature with those of history is another factor that makes it difficult for students to distinguish between literature and history. If this paper can contribute to the slight modification of single sentence, word or even a mark, I would say this would pay off.

      • KCI등재
      • KCI등재

        한국 한시에 나타난 국화의 의미

        이동재 ( Dong Jae Lee ) 동방한문학회 2013 東方漢文學 Vol.0 No.56

        본고는 우리나라 한시에서 국화가 어떤 이미지로 인식되었는가를 살펴보기 위해 고려시대부터 조선 후기까지 지어진 시 가운데, 이를 ‘고결한 인격의 승화물’, ‘음주와 교유의 매개물’과 ‘가을 절서의 인식물’ 등으로 나누어 살펴보았다. 국화는 가을을 대표하는 꽃으로서 외면적 자태의 아름다움뿐만 아니라 고정된 이미지를 가지고 있다. 즉 가을 서리 속에서 꽃을 피우는 국화는 절개와 함께 은자를 상징한다. 이후 문인들에게서는 도덕적 상징으로 선비로서 가져야 되는 하나의 관습적 상징이 되었다. 국화가 갖는 은일적 상징과 도덕적 상징은 우리나라의 문인들에게 지대한 영향을 미쳤으며, 문인들은 다음과 같은 이미지로 이를 시화하고 있다. 첫째, ‘고결한 인격의 승화물’로 인식하였다. 유학의 영향을 받은 우리 선조들은 벼슬을 그만둘 때에는 자연에 은거하면서 도연명처럼 집안에 국화를 손수 심어서 가꾸었다. 이는 국화가 세찬 바람과 된서리 속에 고고한 자태를 드러내고, 절개를 굳건히 지키는 지사나 충신의 상징을 가지고 있기 때문이다. 또한 문인들은 국화를 손수 심고 가꾸기만 한 것이 아니라 이를 문학의 소재로 차용하여 자신의 고고한 절개, 지조 등을 표현하였다. 둘째, ‘음주와 교유의 매개물’로 인식하였다. 가을날 국화 옆에서 국화주를 마셨다는 이야기는 굴원의 『이소(離騷) 』에서 출발한다. 이후 한자문화권에서는 9월 9일 중양절에 국화 아래에서 술동이를 두고 술을 마시는 일을 국화준(菊花樽)이라고 하였으니, 일상화된 행사였다. 우리 선조들은 국화를 감상하기 위해 국화주를 마시고, 국화꽃 감상을 핑계로 친구들과 교유를 하였으며, 또는 달밤에 적적함을 달래기 위해 국화를 감상하며 홀로 국화주를 마시고, 이때의 심회를 국화에 붙여 시화하였다. 그렇기 때문에 국화는 가을을 상징하는 국화와 음주의 배경으로 노래된 국화와는 그 차별화의 경계가 매우 모호한 관계에 있다. 셋째, ‘가을 절서의 인식물’로 인식하였다. 한자문화권에서는 계절의 변화를 자연물, 특히 꽃과 같이 사람들과 친숙한 사물의 변화를 통해 표현하였다. 국화는 음력 9월을 국월(菊月), 국령(菊令), 국추(菊秋)라고 하였듯이 가을을 상징하는 대표적인 꽃이다. 또한 가을의 이미지는 결실과 시들어 감[죽음]의 이미지를 가지고 있어 시인묵객들은 가을을 통해 환희와 공허감을 동시에 느낀다. 그러므로 국화의 이미지는 화자의 처한 위치나 심리상태에 따라 환희와 공허감을 동시에 갖고 있다. Chrysanthemum is a flower representing fall and has not only beauty in exterior look but also a fixed image. In other words, it symbolizes a hermit with fidelity as a flower blooming in autumn frost. Afterwards, it has been a conventional symbol of morality that a classical scholar should have. The symbolism of chrysanthemum as recluse and morality has made great effects on writers in Korea and they have reflected it in their poetry as follows. First, they perceived chrysanthemum as ``Sublimate of noble personality.`` Our ancestors affected by Confucianism grew chrysanthemum at home while living as a hermit in the nature when they left offices like Tau Yan Ming. It is because chrysanthemum has symbolized loyalty of loyal subjects and patriots to keep fidelity as showing its noble look in wild wind and frost. Additionally, writers not only grew chrysanthemum but also used it as a subject of their literature to express their npb;e fidelity and loyalty. Second, they perceived it as ``a medium of drinking and friendship.’The origin of drinking chrysanthemum wine beside chrysanthemum flowerbed in an autumn day tracks back to 『Iso(離騷)』. Afterwards, on Jungyangjeol (the ninthday of the ninth lunar month) people drink wine keeping wine container under chrysanthemum in Chinese cultural zone making it as an customary event called kukhwajun(菊花樽). Our ancestors drank chrysanthemum wine to appreciate chrysanthemum, interacted with friends appreciating chrysanthemum, appreciated chrysanthemum to deal with loneliness at the moon night, and wrote poems to express their feelings for chrysanthemum. Therefore, it is very difficult distinguish chrysanthemum symbolizing autumn from that as background of wind drinking. Third, they perceived it as ``a representative node order in autumn.`` In Chinese cultural zone, people usually express seasonal changes as changes in the nature such as flowers which are familiar with people. Chrysenthemum (Kukhwa in Korean) is the representative flower of fall calling the ninth lunar month as Kukwol, Kukryeong and Kukchu. Additionally, as autumn had images of harvest and being withering [death], poets and painters felt delight and hollowness together in fall. Therefore, the image of chrysanthemum has delight and hollowness at the same time according to the position and psychology of the speaker.

      • KCI등재

        1980년대 임철우의 소설에 대한 한 가지 독법

        이동재(Lee, Dong-jae) 우리말글학회 2015 우리말 글 Vol.65 No.-

        1980년대의 첫머리는 ‘광주민주화운동’이 열었다. 국가가 자국민에게 쏟아 부운 야만적 폭력에 대한 충격은 사회 곳곳에 다양한 대응을 성립시켰다. 특히 소설의 영역에 있어서만큼은 임철우에 버금갈 만치 이러한 야만에 대한 대응을 성실히 수행해온 작가는 드물다. 이 때문에 임철우는 ‘광주’라는 상징적 대상에 대한 형상화에 있어서 특권적 지위를 인정받고 있다. 이른바 ‘5월 작가’라는 그에 대한 수사는 이러한 사정을 잘 드러낸다. 물론 임철우의 문학적 여정을 통관하여 볼 때 분명 필요하고 타당한 수사임에 틀림없다. 그러나 문제는 그가 ‘광주’에 대한 죄의식을 소설의 장에서 지속적으로 표출해온 바와 더불어 무비한 문장력으로 다수의 서정소설을 써냈다는 사실이다. 이 서정소설들은 ‘5월 작가’라는 수사로는 그 출현의 근거를 설명해낼 수 없다. 본 논문은 이 문제에 대해 칸트의 ‘초월적 이념’이라는 개념에 기대어 접근하였다. 칸트는『순수이성비판』을 통해 이성이 그 허위를 인지하더라도 결코 떨쳐낼 수 없는 가상들을 탐구한다. 이러한 가상들 중 인류사와 더불어 계속해서 반복되어온 ‘신’, ‘자유’, ‘영혼’ 등의 특권적 가상들을 일컬어 ‘초월적 이념’이라고 명명하였다. 이들은 존재값은 없으나 이성이 하나의 사태를 상위 단계로 통합해나갈 때 이성을 인도하는 ‘규제적 기능’을 수행할 수 있다. 그래서 칸트는 『순수이성비판』에서 기각한 초월적 이념들을 『실천이성비판』에 이르러서는 그것이 우리의 실천적 영역에 ‘요청’된다고 기술한 것이다. 임철우의 경우 소설 곳곳에서 가상의 지위를 탐구한다. 특히 이러한 경향은 그의 죄의식 계열 소설에서 도드라지는데, 소설의 인물들은 각자의 현실을 스스로 허위라고 알고 있으나 결코 그 효과를 무시할 수 없는 가상들을 참조하며 유지하고 있다. 이러한 가상과 현실의 관계에 대한 그의 입각점은 그가 제출한 서정소설의 요체를 파악하는데 도움을 준다. 그는 자신의 서정소설을 일종의 ‘요청’된 가상의 세계로 파악하고 이 속에 죄의식 계열의 소설에서는 말소되었던 화해를 부조한다. 실로 그가 그러낸 서정소설의 공간들은 대개 훼손되지 않은 시원적 순수가 돋보인다. 달리 말하자면 국가폭력으로 훼손되지 않은 광주의 참모습과 등가를 이루는 공간이라는 것이다. 이처럼 서정소설은 그가 끊임없이 광주의 총체적 모습을 그려내고자 하고 실패를 반복하는 죄의식계열의 소설을 유지하는데 필수적인 기능을 수행한다. 그는 서정소설과 죄의식소설을 두 축으로 삼아 1980년대를 헤쳐나간 것으로 보인다. 이를 임철우식 균형이라고 명명할 수 있을 것이다. 그러나 이러한 균형은 1987년의 국면을 맞아 새롭게 재편될 위기에 봉착한다. 본 논문은 1980년대에 임철우가 보여주었던 소설적 세계를 살펴보며 그가 자신의 균형을 와해하며 다큐멘터리 형식의 장편『봄날』로 이행한 조건을 동시에 살펴보려 한다.

      • KCI등재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