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목은 이색의 시문에 나타난 서예관 고찰

        이기범(Lee, Gi-bum) 한국서예학회 2020 서예학연구 Vol.37 No.-

        Mokeun(牧隱) Lee Saek(李穡, 1328-1396) was a scholar and writer who contributed greatly to the spread of Jujahak(朱子學) after studying in Yuan Dynasty and returning from abroad while living in a turbulent period of transition to the dynasty, which goes on to Joseon from Goryeo. He was ever respected as Yujong(儒宗) thanks to having trained Shinjin-Sadaebu(新進士大夫, new aristocrats) while acting as Seonggyun Daesaseong(成均館大司成), but was also a writer of great literature(大文豪) who left about 6000 poem(詩)s and around 200 prose(散文)s. He is a figure as well who left the most records in terms of calligraphy and painting(書畵) in the end of the Goryo Dynasty period. As for a modern scholar’s evaluation on Mokeun(牧隱), he is rated mostly as having Jaedo-based(載道的) literary view. However, Mokeun(牧隱) tended to show ‘Munjongdochul(文從道出)’ that affirmed the literary effective value. Because of this, even Mokeun(牧隱) himself left many poetic works. Moreover, as Sadaebu(士大夫) who learnt Jujahak(朱子學), which is neo-confucianism, most of his literary men became a leading figure in the founding of Joseon Dynasty. Thus, the tradition of affirming the literary effective value was continued until before the appearance of Sarimpa(士林派) in the mid-Joseon period. Munjongdochul(文從道出) as saying that this literature(文藝) of including calligraphy(書藝) needs to come from Do(道) is demanded cultivation(修養) so that literature and Do(道) can become the same stage. It was recognized that doing so leads to being available for the united stage of literature(文藝) and Do(道) and to what such calligraphy is true one. Hence, Nonseosi(論書詩, Discussible Poetry) that Mokeun(牧隱) described on writing recited natural scenery or objects, thereby having indicated the united state with Do(道). In this way, the natural objects that Mokeun(牧隱) expressed in poetry allowed a reader to have an opportunity of fostering an individual temperament(性情). Accordingly, the tendency was manifested that aims for a poetical style with Pyeongdam(平淡) and that hesitates to decorate sentence with a florid rhetoric(修辭法). This matter is closely related to the theory of poetic utility(效用論). With regard to King Gongmin(恭愍王)’s writing that left the most critical comment, six beautiful elements were suggested. And the six things that were presented corresponded to both the image of ideal king and the shape of Gunja(君子) that are requested in confucianism. That is to say, a king’s writing was emphasized with being regarded as the extreme point, which will need to be emulated by people, and as Gunja(君子)’s virtue, which originated from a king’s Deokhwa(德化). The critical style of poetry did put forward the possession of clean and elegant character with likening it to natural objects, and mentioned that even writing is naturally excellent because of having come from such clear personality. Unlike the poems by Lee Gyu-bo or Lee Gok, Lee Saek(李穡)’s poetry can be noticeably seen an interest in natural objects like ‘sky(天)’·‘wind(風)’·‘mountain(山).’ This shows the united state with Do(道) through natural objects. This seems to have intended to ultimately enlighten the contemporaries through poetry and prose(詩文). 목은(牧隱) 이색(李穡, 1328-1396)은 고려에서 조선으로 넘어가는 혼란했던 왕조교체기를 살아가며, 원나라에 유학하고 귀국하여 주자학의 보급에 공로가 큰 학자이자 문인이었다. 그는 성균관대사성(成均館大司成)을 지내며 신진사대부들을 양성하여 유종(儒宗)으로 추앙되기도 하였지만, 6000여 수의 시(詩)와 200여 편의 산문(散文)을 남긴 대문호이기도 하였다. 여말 서화(書畫)에 관한 가장 많은 기록을 남긴 인물이기도 하다. 목은에 대한 현대 학자의 평가는 대체로 재도적(載道的) 문학관을 지녔다고 평가하지만, 목은은 문예의 효용을 긍정한 ‘문종도출(文從道出)’의 경향을 나타내었다. 이 때문에 목은 자신도 많은 시작을 남겼을 뿐만 아니라, 그의 문인들은 신유학(新儒學)인 주자학을 익힌 사대부(士大夫)로서, 대부분 조선 건국의 주역이 되었음으로 문예를 효용을 긍정하는 전통은 조선 중기에 사림파(士林派)가 등장하기 전까지 계속되었다. 이러한 서예(書藝)를 포함한 문예(文藝)는 도(道)로부터 나와야 한다는 문종도출은, 문예가 도와 같은 경지가 되도록 수양(修養)이 요구된다. 그래야 문과 도가 합일된 경지를 이룰 수 있고, 그러한 서예가 진정한 서예라고 인식하였다. 그렇기에 목은이 글씨에 대하여 묘사한 논서시(論書詩)는 자연의 풍경이나 사물을 읊음으로써 도와 합일된 경지를 나타내었다. 이렇게 목은이 시에서 나타낸 자연 사물을 통하여 읽는 독자가 개인이 성정(性情)을 함양하는 계기가 되도록 하였다. 그래서 평담(平淡)한 시풍을 지향하고 화려한 수사법(修辭法)으로 문장을 꾸미는 것을 꺼리는 경향을 나타내었다. 이러한 점은 시의 효용론(效用論)과 밀접한 관계가 있다. 가장 많은 비평을 남긴 공민왕의 글씨에 대해서는 여섯 가지 아름다운 요소를 제시하였다. 그리고 제시된 여섯 가지는 유학에서 요구하는 이상적인 임금상이요 군자(君子)의 형상이었다. 곧 임금의 글씨는 사람들이 본받아야 할 극치 점이요, 임금의 덕화에서 나온 군자의 덕이라 여겨 중시하였다. 시의 비평방식은 자연의 사물에 비유하면서 맑고 고아한 인품을 가졌음을 제시하고, 그러한 맑은 인품에서 나온 것이기에 글씨도 저절로 훌륭하다고 했다. 이색의 시는 이규보나 이곡의 시와는 달리 ‘천(天)’·‘풍(風)’·‘산(山)’과 같은 자연물에 대한 관심이 두드러짐을 볼 수 있는데, 이는 자연물을 통하여 도와 합일된 경지를 나타내고, 이는 결국 시문을 통하여 동시대 인을 교화하려는 의도 있었던 것으로 보인다.

      • KCI등재
      • KCI등재후보

        반복 유한요소 결함 성장 해석을 위한 결함 모델링 및 응력확대계수 계산 절차의 타당성 검증

        이기범(Gi-Bum Lee),장윤영(Youn-Young Jang),허남수(Nam-Su Huh),박성훈(Sunghoon Park),박노환(Noh-Hwan Park),박준(Jun Park) 한국압력기기공학회 2021 한국압력기기공학회 논문집 Vol.17 No.1

        As the material aging of nuclear power plants has been progressing in domestic and overseas, crack growth becomes one of the most important issues. In this respect, the crack growth assessment has been considered an essential part of structural integrity. The crack growth assessment for nuclear power plants has been generally performed based on ASME B&PV Code, Sec. XI but the idealization of crack shape and the conservative solutions of stress intensity factor (SIF) are used. Although finite element analysis (FEA) based on iterative crack growth analysis is considered as an alternative method to simulate crack growth, there are yet no guidelines to model the crack-tip spider-web mesh for such analysis. In this study, effects of various meshing factors on FE SIF calculation are systematically examined. Based on FEA results, proper criteria for spider-web mesh in crack-tip are suggested. The validation of SIF calculation method through mapping initial stress field is investigated to consider initial residual stress on crack growth. The iterative crack-tip modeling program to simulate crack growth is developed using the proposed criteria for spider-web mesh design. The SIF results from the developed program are validated by comparing with those from technical reports of other institutes.

      • 인공위성 Time Code Bit Stream 적용 PMU 연구

        이기범(Gi-Bum Lee),김영식(Young-Sik Kim) 한국지능시스템학회 2011 한국지능시스템학회 학술발표 논문집 Vol.21 No.1

        본 논문에서는 인공위성에서 보내오는 time code bit stream를 사용하여 동기 클럭을 만들고, 만들어진 동기 클럭을 사용하여 전원선에 흐르는 전력의 위상차를 비교할 수 있는 PMU(Phase Management Unit)에 대하여 기술하였다. PMU는 지역에 상관없이 원거리에 떨어져 있는 전원선에 흐르는 전력의 위상차를 정밀하게 비교 분석할 수 있는 기술이다. PMU 하드웨어는 GPS 위성시각 수신부, 위성시각을 1usec 트리거 펄스로 분주해 주고 샘플링해주는 FPGA 로직부, 그리고 사용자가 샘플링을 원하는 시간에 설정할 수 있는 트리거 스위치로 구성되어 있다.

      • 다중 표면결함이 존재하는 배관의 응력확대계수에 미치는 결함상호작용 평가

        이기범(Gi-Bum Lee),장윤영(Youn-Young Jang),허남수(Nam-Su Huh) 대한기계학회 2021 대한기계학회 춘추학술대회 Vol.2021 No.4

        국내 원전설비에서는 건전성 평가를 위해 가동중검사를 주기적으로 시행하며, 이때 많은 다중 결함이 발견될 수 있다. 다중 결함이 발생하면 각 결함선단의 응력 분포와 파괴역학 매개변수는 인접 균열에 의해 크게 영향을 받을 수 있다. 따라서 결함상호작용을 평가하고, 영향이 클 경우 이를 새로운 단 일 결함으로 이상화 할 필요가 있다. 결함상호작용은 결함의 형상이나 하중 조건 등 많은 인자에 의해영향을 받기 때문에, 적절한 다중 결함 이상화에 대한 기준을 정립하기 위해서는 이러한 많은 인자를 고려한 체계적인 분석이 수행되어야 한다. 본 연구에서는3 차원 탄성 유한요소해석을 이용하여 배관에 존재하는 다중 반타원 표면결함에 대한 결함상호작용을 평가하였다. 이를 위해 3 차원 탄성 유한요소해석을 수행하여 결함 선단에 따른 응력확대계수를 산출하였으며, 결함 깊이, 결함 길이, 결함간의 거리 등 다양한 기하학적 변수를 고려하였다. 또한 기존 평판과 배관의 응력확대계수를 비교하여, 기하학적인 곡률에 따른 균열상호작용의 영향을 검토하였다. 또한 평가 결과를 기존 절차법의 기준(ASME Sec. XI, API RP 579 및 BS7910)과 비교하여, 기존절차법의 타당성과 적용성을 확인하였다. 본 연구의 결과는 배관의 다양한 형상에 따른 결함상호작용을 고려한 다중 표면결함 형상 이상화 절차 개선에 활용될 수 있으며, 향후 AI-FEM 을 통한 자연 결함성장을 예측하는데 시행될 예정이다. Periodic in-service inspection(ISI) has been carried out on components of nuclear power plants to evaluate integrity, and many multiple cracks can be found during ISI. When multiple cracks were detected, the stress fields at the crack-tip and fracture mechanics parameters, such as stress intensity factor, can be significantly affected by the adjacent cracks. For this reason, the crack interaction effect should be examined, and these multiple cracks should be idealized as a single crack when the interaction effect are significant. Since the crack interaction is largely affected by various factors, such as crack shape and the loading condition, systematical analyses considering these factors should be performed to establish suitable criteria for idealizing for multiple cracks. In this study, three-dimensional elastic finite element (FE) analyses were performed to evaluate the crack interaction effect for multiple semi-elliptic surface cracks in pipes. To quantify the crack interaction effect, the stress intensity factor was calculated considering various crack depth, crack length, and distance between each of crack. In addition, the stress intensity factors from the cracked plate were compared with those from the cracked pipe to investigate the effect of geometric curvature on crack interaction. The FE results were compared with the existing criteria of codes and standard(ASME Sec. XI, API RP 579, BS7910) to confirm the validity and applicability of the crack combination rule in the existing guidance. The present results can be used to improve the idealization procedure of multiple surface crack considering crack interaction effect for various pipe geometries. The present results will be implemented to AI-FEM to predict natural crack growth.

      • KCI등재

        중국 논서시 소고

        이기범 ( Gi Bum Lee ) 한국한문고전학회(구.성신한문학회) 2007 漢文古典硏究 Vol.15 No.-

        시는 인간 내면의 사유를 절제된 언어로 표현하는 예술이다. 따라서 인간의 감정과 사상을 그만큼 함축적으로 잘 표현 주는 것은 없을 것이다. 論書詩는 일반 서론에서처럼 書法을 체계적으로 전달하지 못하는 단점이 있지만, 시가 가지는 함축성과 감성을 잘 전달할 수 있다는 장점이 있다. 때문에 논서시는 서론과 상호보완적인 관점에서 이해해야 할 것이다. 특히, 역사상 많은 서예들이 서론이나 글씨에 관한 글들을 남긴 것이 없이 논서시만 남기고 있기 때문에 논서시를 소홀히 다룰 수 없다. 지금까지의 論書詩 연구는 몇몇 연구자들에 의하여 이루어졌지만, 광범위한 연구는 없었고, 단지 시 자체의 분석만 이루어져 왔다. 본고에서는 中國 論書詩를 살펴봄에 있어서 먼저 ``논서시``라는 용어의 개념과 그 용어가 어디서 유래하였는지를 생각해 보고, 각각의 시들을 대상으로 내용상의 분류를 시도하였다. 또한 논서시는 어디서부터 시작되었으며, 그 발달 양상은 어떠하였는지를 개괄해 보았다. The poetry is the art which describes a man`s inner thinking into a moderate language. The poetry discussing the theory on calligraphy has a strength that it can well deliver its implication and sensitivity. Consequently, the poetry discussing the theory on calligraphy should be understood in a mutually supplementary perspective with a calligraphic theory. In particular, since many calligraphies in the history did not leave any writings on a calligraphic theory or calligraphy but left only the poetry discussing the theory on calligraphy, the poetry discussing the theory on calligraphy cannot be roughly handled. Although the study on poetry discussing the theory on calligraphy has been made by some researchers, there has been no extensive research. Only the analysis on the poetry itself has been made. This study first examined the concept of term like the poetry discussing the theory on calligraphy and its origin with respect to a review on the Chinese poetry discussing the theory on calligraphy and then tried to classify the content regarding each poem. In addition, this study summarized where the poetry discussing the theory on calligraphy began and the aspect of the relevant development.

      • KCI등재

        論書詩의 槪念과 發展

        이기범(Lee, Gi-Bum) 동서미술문화학회 2014 미술문화연구 Vol.5 No.5

        본고는 ‘書藝’를 다룬 ‘論書詩’가 어떻게 형성되고 발전하였는지의 과정을 고찰한 논문이다. 한자의 역사에 있어서 詩와 書의 관계는 매우 깊고 유구하다.공자가 “시를 배우지 않으면 남들과 더불어 이야기 할 수 없다[不學時無以言].” 고 말 했듯이 시는 고래로 문인들의 가장 중요한 문학적 표현수단이었고, 그것을 시간과 공간의 제약을 극복하고 더욱 많은 사람들에게 시의 내용과 함께 다양한 공간의 구성을 통하여 시각적 감흥을 전달하는 書는 상호 보완적이면서도 긴밀한 관계 속에 있었다. 그것은 한편으로 문학을 시각예술로 표현하는 것이기도 하였지만, 글자들 속에 담겨 있는 의미들을 붓으로 표현되는 다양한 點?속에 담아내는 일이기도 하였다. 아무튼 시라는 것은 그 사람이 當時에 가장 몰입했던 생각을 시어들을 통하여 문학적으로 표현한 것이고, 書는 그것을 다른 사람들이 읽을 수 있게 하는 하나의 장치였다. 어떤 일에 대한 자신의 감정을 보다 아름다운 언어로 표현하고자 詩와 그것을 보다 아름다운 글씨로 표현하려는 書藝와의 관계는 漢字가 생긴 이래로 오래도록 이루어져 왔던 일상의 일이었다. 본고는 시 속에 담겨 있는 자세한 의미나 작가들이 가지고 있던 미학사상을 밝히기 보다는, 詩와 書와의 관계 속에서 논서시가 어떻게 발전 했는가를 살피는데 주안점을 두었다. 또한 운문이 가지는 특징을 이해하고 그것들이 가지는 묘미를 제대로 알고 감상해야 할 필요성이 있다.이러한 것들을 정리하면 다음과 같다. 논서시의 남상에 대하여 고찰한 작품 중 崔瑗의 「草書勢」는 押韻法이나 구성법 상 완벽한 漢賦에 해당된다. 운문의 한 갈래인 賦는 漢代의 주요한 문학적 표현 수단이었으므로, 이 또한당연히 논서시 목록에 넣어야 할 것이다. 東漢이후 5言과 7言詩가 많이 쓰이는 때와는 상황이 다르며, 더군다나 후대에 지어진 산문에 가까운 文賦들과는 다른 문제인 것이다. 이 작품은 내용 면에 있어서도 문자의 발생과 초서로의 변천 및 초서의 필법과 필세를 완벽하게 표현하고 있을 뿐만 아니라, 당시 서단의 상황과 작가의 미학사상을 잘 나타내 주고 있다. 때문에 논서시의 범위를 후대에 많이 지어진 5言과 7言詩의 시로 한정하지 않은 이상 당연히 최초의 논서시로 보아야 할 것이며, 지금까지 이 작품을 산문으로 이해했던 태도를 버리고 운문의 특징을 살려서 감상해야 할 것이다. 唐代에 이르러 李白과 杜甫에 의하여 論書詩는 그 典型이 形成성되었다. 글씨를 품평한 시는 이백의 시는 ?王右軍?, 두보의 ?觀薛稷少保書?壁?과 ?贈秘書監江夏李公邕?·?寄張十二山人彪三十韻?가 그 전형이 되었고, 서체의 형태미를 묘사한 시는 이백의 ?草書歌行?과 ?獻從叔當塗宰陽氷?, 두보의 ?殿中楊監見示張旭草書圖?·?李潮八分小篆歌?·?送顧八分文學適洪吉州?·?觀公孫大娘弟子舞劍器行幷序?·?醉歌行?·?飮酒八仙歌?가 그 모범이 되었다. 서가의 성취를 노래한 시는 이백의 ?送賀賓客歸越?과 두보의 ?壯游?가 전형이 되었고, 두보의 ??爲六絶?은 청대에 성행한 ‘論詩絶句’의 효시가 되었다. 이러한 논서시는 宋代에 질적으로나 양적으로 폭발적인 신장세를 이루었고,이후 이러한 전통은 변함없이 淸代까지 이어지게 되었다.

      • KCI등재

        紫霞 申緯 七言絶句 連作型式의 論書詩 硏究

        이기범(Lee, Gi-bum) 한국서예학회 2013 서예학연구 Vol.22 No.-

        Nonseosi(論書詩:Discussible Poetry) is what expressed the book review such as appreciation of having been felt after seeing other person's writing or sensation of being felt by own writing, own thought about calligraphy, and history or introduction on calligraphy, by using poetry. This Nonseosi is guessed to have been likely progressed early together with development in introduction from the Han Dynasty(漢代). Nonseosi, which was begun together with introduction in this way, was actualized its system by Lee Baek(李白), Du Bo(杜甫) with reaching the Tang Dynasty. These people, who had been a great poet, summarized most of Nonseosi types, which actually appear in future generations. Especially, Du Bo's 「Huiwiyukjeol(戱爲六絶)」 became the beginning of poems in Nonsi-Jeolgu(Chinese quatrain) types(論詩絶句類), which evaluated poem as poem. This Nonseo-Jeolgu was systematized with about 30 poems as the Jeolgu(絶句) poetry in a series form while passing through Yuan Hao-Wen(元好問) in Yuan dynasty, and came to position as a universal flow of literary criticism in the Qing(淸) Dynasty since then. In addition, Nonsi-Jeolgu(論詩絶句) comes to be created by being broadened the sphere into Nonseo-Jeolgu(論書絶句), Nonhwa-Jeolgu(論畫絶句), and Nonin-Jeolgu(論印絶句). What Nonseosi(論書詩:Discussible Poetry) was introduced into the East is from Choe Chi-won(崔致遠) in Silla. Lots of Nonseosi were created with passing through Goryeo(高麗) and Joseon(朝鮮). What Nonseosi in a series form, which had the beginning as Du Bo's 「Huiwiyukjeol(戱爲六絶)」, was transmitted, seems to be the late Joseon period. Its genuine writer is Shinwi(申緯). He seems to have left the majority of Nonseosi among our ancestors. Among about 4500 poems that he had left, Nonseosi includes fully about 350 poems. About 100 poems in Nonseosi among them have a series form with Chileon-Jeolgu(七言絶句). What he composed lots of Nonseosi in a series form with Chileon-Jeolgu(七言絶句), as a person who had pointed to ‘Yusoipdu(由蘇入杜)’ as saying of entering Du Bo(杜甫) through Sosik(蘇軾), had the following objectives. Firstly, the aim was to follow Du Bo's tradition of Nonseosi. Secondly, the aim was to compose a poem, which comes to be exemplary and instructive to future generations like Du Bo. Such thing was the expression of reverence for Du Bo to which he had pointed, and was also the reflection of the state-of-the-art literary trend, which was obtained while exchanging with literary persons in the Qing dynasty. Zaha's art theory includes Siseohwasangsuron(詩書畫相髓論)ㆍHyungjungseongjukron(胸中成竹論)ㆍShinsaron(神似論)ㆍJwaseonjeokyesulron(坐禪的藝術論). However, what is having an insight into the whole of his art worlds is ‘Shin(神:god).’ How it will be expressed is Shinsa(神似). His Shinsa(神似) is also influenced by Wang Sa-jeong(王士禎)'s Shinunseol(神韻說) and Ong Bang-gang(翁方綱)'s Giriseol(肌理說). However, It is connected with Tongshin(通神) in Sosik(蘇軾) and Du Bo(杜甫) upwardly and is reached Yuhyeop(劉勰)'s theory of literary creation far away. 다른 사람의 글씨를 보고 느낀 感賞 등의 書評이나 자신이 글씨를 쓰면서 느끼는 感興, 서예에 관한 자신의 생각, 서예의 역사나 서론 등을 詩로 표현한 것이 論書詩이다. 이러한 논서시는 일찍이 漢代로부터 서론의 발달과 함께 발전해 왔을 것으로 짐작된다. 이렇게 서론과 함께 시작된 논서시는 唐代에 이르러 李白과 杜甫에 의하여 그 체제가 구체화되었다. 대시인이었던 이들은 실로 후대에 나오는 대부분의 논서시 유형들을 槪括하였다. 특히 두보의「戱爲六絶」은 시로써 시를 평가한 論詩絶句類 시들의 효시가 되었다. 이 논시절구는 元代 元好問을 거치면서 연작 형식의 절구시 30수 정도로 체계화되었고, 이후 淸代에는 문학비평의 보편적인 흐름으로 자리하게 되었다. 아울러 論詩絶句는 論書絶句, 論畫絶句, 論印絶句 등으로 영역을 넓혀 창작되기에 이른다. 논서시가 동방에 유입된 것은 신라의 崔致遠부터이며, 高麗와 朝鮮을 거치며 많은 논서시가 창작되었다. 두보의「戱爲六絶」을 효시로 한 연작형식의 논서시가 전해진 것은 조선후기로 보이며, 그 본격적인 작가가 申緯이다. 그는 우리 선조들 가운데 가장 많은 논서시를 남긴 것으로 보이는데, 그가 남긴 4500여 수의 시 중에 논서시는 약 350여 수나 되고, 그 중에 약 100여 수의 논서시가 칠언절구 연작형식이다. 蘇軾을 통하여 杜甫에 들어간다는 ‘由蘇入杜’를 지향했던 그가 칠언절구 연작형식의 논서시를 많이 지은 데에는 다음과 같은 목적이 있었다. 첫째는 두보의 논시시 전통을 잇는다는 것이었고, 둘째는 두보처럼 후인들에게 모범이 되고 교훈적인 시를 짓고자 함이었다. 그러한 것은 그가 지향했던 두보에 대한 존숭의 발로였으며, 청대의 문인들과 교류하면서 얻어진 첨단 문예사조의 반영이기도 하였다. 자하의 예술론은 詩書畫相髓論ㆍ胸中成竹論ㆍ神似論ㆍ坐禪的藝術論 등이 있지만 그의 예술세계 전반을 꿰뚫고 있는 것은 ‘神’이며, 그것을 어떻게 표현할 것인가가 神似이다. 그의 神似는 王士禎의 神韻說과 翁方綱의 肌理說에 영향을 받은 것이기도 하지만, 위로는 蘇軾과 杜甫의 通神과 연결되고 멀리는 劉勰의 문학창작론에 닿아있다.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