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펼치기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 KCI등재
      • KCI우수등재
      • KCI등재

        충청도 청안 사마소와 사마록 연구

        윤희 서강대학교 인문과학연구소 2017 서강인문논총 Vol.0 No.50

        By the time of 1610 when several Saengwon & Jinsa passed an examination all together, Samaso was built and Samarok was recorded in Cheongan County. Afterward when Saengwon & Jinsa were not produced any more, the activity became stagnant. In the 29th year of King Sukjong(1703) four Saengwon and Jinsa asked help from a county magistrate and built Samaso at the southern Hyangkyo. And they listed 38 Saengwon and Jinsa chronologically ; including a county magistrate and current 5 members ; recording fourty four Samarok. Saengwon and Jinsa who took the initiative in recording Samarok again were influential Yangban Sajok. They intended to establish the dominant position and reestablish the county order. Around the first year of King Jeongjo, Samaso accepted twenty five successful Saengwon and Jinsa candidates who did not have any status flaw through the processes of nineteen times, and it also recorded seven Saengwon and Jinsa among county magistrates of Cheongan county(original Samarok). In the fourth year of King Youngjo (1728) the county magistrate named Lee Jeong-yol died in sin and his name was deleted in Samarok in the aftermath of a rebellion led by Lee In-Jowha. In the fourteenth year of King Youngjo(1738) Jinsa Yang Min-ik was executed because of high treason. Therefore the names of nine people including Yang Min-ik were deleted. Cheongan Eupji made in the twelfth year of King Jeongjo(1788) recorded the names of forty three Saengwon & Jinsa and sons of a concubine were extraordinarily included, and that was because Hyangjok and Hyangri class on the behalf the shrunk Yangban Sajok, made Eupji. By the time of 1894, Saengwon and Jinsa whose status were Yangban Sajok were listed in Samarok(Samarok 1). Meanwhile in Eupji written by Hyangjok and Hyangri class, sons of a concubine, who were still excluded in Samarok, continued to be listed ; in Eupji of 1899 Hojang’s sons, top of Hyangri class, were recorded. These facts showed an aspect of county power in Cheong county. In 1915 the descendants of Saengwon and Jinsa organized a fraternity and repaired Samaso, and utilized the lent money at high percent interest. Their purpose of the action was to pay their respect to their ancestors and show off their status as the descendants of Yangban. In 1970 Samaso was moved to the current location and it was converted to a Sama Shrine. The descendants recorded Samarok(Samarok 2) a little differently than original Samarok. Saengwon and Jinsa who did not pass the examination were listed to make their ancestors shine and to secure the finance. 청안현에 사마소가 설립되고 사마록이 작성된 때는 선조 39년(1606년)에 6명이, 광해군 4년(1612)에 3명이 한꺼번에 생원 진사에 합격하던, 1610년 전후라 짐작된다. 그 후 생원 진사가 많이 나오지 않아 침체되었다. 숙종 29년(1703)에 진사 延世華가 비슷한 시기에 합격한 3명과 함께 현감에게 도움을 요청하여 향교 남쪽에 사마소를 다시 건립하였다. 그리고 자신들 이전의 사마 38명을 연대 순서에 맞게 수록하고, 수령과 현재의 생원 진사 5명을 담아 모두 44명의 사마록을 작성하였다.(『사마록』) 사마록에 이름을 올리지 못한 생원 진사가 모두 5명인데, 서얼이거나 정치적 이유(인조반정) 때문이었다. 다른 고을의 생원 진사도 이름을 올릴 수가 있는데, 이들 대부분은 읍지에 등재되어 있고 묘소가 청안에 있는 인물들로 본인, 또는 선조들의 연고가 있었다. 사마소, 사마록을 다시 만드는데 앞장섰던 생원 진사들은 여러 명의 생원 진사를 배출한 청안의 유력한 양반 성관들로, 양반사족들의 신분적 우위를 내세우는 목적을, 그리고 변해가는 향촌질서를 재확립하려는 의도를 가졌다고 할 수 있다. 청안 사마소는 재임을 두어 운영하였고, 講信을 열어 향음주례를 하고 우의를 다졌으며, 새로운 생원 진사가 합격하면 신분을 가려 천거와 권점을 하고, 신참례를 거행하였다. 정조 원년(1777년)까지 신분적 하자가 없는 생원, 진사 합격자와 청안과 연고를 가진 다른 고을 생원 진사를 모두 19번에 걸쳐(際의 표시) 24명을 받아 들였으며, 청안 현감 가운데 생원 진사에 합격한 사람 7명도 이름을 등재하였다. 1728년(영조 4)의 戊申亂의 여파로 현감(이정열)이 罪死하여 사마록에서 刀削되었고, 1738년(영조 14)에는 진사 양민익이 대역부도죄로 처형되는 사건이 발생하였다. 그리하여 양민익을 포함하여 전후에 등재된 9명의 생원 진사 이름이 지워졌다. 위축된 청안 양반사족들의 형세를 반영하듯 정조 12년(1788)경에 만들어진 『청안현읍지』에는 43명의 생원 진사의 이름이 수록되어 있는데, 사마록에서 배제되었던 서얼이 수록되는 이례적인 모습을 보이고 있다. 향족과 향리들이 읍지를 작성하였기 때문일 것이다. 위축된 사마소이지만 1894년까지 여전히 양반 신분만을 가려 생원 진사를 사마록에 등재하였으며(『사마록 1』), 반면에 향족과 향리들이 작성한 읍지에는 사마록에서 배제된 서얼을 계속 기재하였고, 1899년의 읍지에는 戶長의 아들과 역둔토 마름을 수록하고 있어 향권의 일면을 엿보게 해주고 있다. 1915년에 후손들이 계를 결성하여 사마소를 중수하였고, 남은 돈을 식리전으로 활용하였다. 선조를 기리고 자신들이 양반의 후예임을 과시할 목적이었다. 향리 후예가(진사 차재준) 사마소계에 참여하였지만, 『선생자손록』(1930년)에는 이름을 올리지 못하는 등 여전히 반상을 가리는 관행을 이어가고 있었다. 1957년에 사마소계를 해체하여 사마소를 중수하고, 1970년에 사마소를 현재의 위치로 이건하면서 선조들의 위패를 모시는 사우로 전환하고 청안향교에 관리를 넘기기까지 후손들은 사마록을 原案과는 조금씩 다르게 작성해 왔다. 1957년에 작성된 『사마방목초안』부터 1971년에 작성된 『사마선생성손친목회』까지 후손들의 이해관계, 거주 여부, 성금 납부에 따라 인원의 출입이 계속 일어났으며, 선조를 빛내려는 후손들의 열망과 재정 확보책으로 미합격자들이 명단에 올라 지금까지 이어지고 ...

      • KCI등재

        19세기말 전라도 남원의 司馬所 鄕戰

        윤희 조선시대사학회 2006 朝鮮時代史學報 Vol.39 No.-

        The Saengwon(classics licentiate) and Chinsa(literary licentiate) gathered to study at the Samaso in the Yi dynasty. Samaan was the roster for this literary class. Samaso was a school which had a close relationship with Hyanggyo. It was maintained as an exclusive organization of the Yangban. Only Yangban could register the name in Samaan. In Namwon in the 19th century people who were not Yangban passed the test to become Saengwon and Chinsa. In the period of King Kojong an increasing number of people were passing the test. In 1877 members of Chungdo(middle men) and Seochul(illegitimate sons) classes, and then 1892 the Ijok(lineages of local clerk) class, made an effort to be recognized as Yangban by listing their names in Samaan. Local officials admitted that they were qualified, but the Yangban who wanted to keep their aristocratic and moral superiority objected. They risked imprisonment and ceaselessly petitioned the royal court. Local officials tried to avoid their responsibility and advised them to follow tradition or to compromise. As a result their stance was to co-operate with the Yangban stance. Yangban living in Namwon tried to keep Samaso and maintained this position until the official government exam system was abolished in 1894. Non-Yangban economic power and social status and academic growth was noticeable but they could not move out of the bondage of the class system. It can be interpreted that we can measure the extent of disintegration of the social class in the Yi dynasty. 조선시대에는 생원, 진사들이 모여 공부하는 사마소가 있었다. 생원, 진사의 명단을 적은 사마안도 작성하였다. 사마소는 향교와 밀접한 관계를 맺고 있는 학교이고, 양반들의 독점적인 향촌기구로 유지되어왔다. 사마안도 양반이 아니면 이름 올리기가 불가능하였다.사마소는 서원의 등장으로 없어졌다가 18세기 이후에 여러 고을에서 중건되었다. 신분제 변동 속에서 양반사족들이 지배신분으로서의 지위와 신분적 우위를 도모하기 위한 목적에서였다. 남원 사마소도 성종 때에 설립되었고, 다른 고을의 경우처럼 없어졌다가 숙종 이후에 향교 곁에 복설된 것으로 짐작된다.19세기에는 中徒, 庶出, 吏族 등 양반이 아닌 사람들이 생원, 진사에 합격하는 경우가 계속 늘어났다. 고종대에는 더욱 늘어났다. 남원 고을도 예외는 아니었다. 그러나 이들이 사마안에 이름을 올리고 사마소에 참여하지는 못하였다. 1877년에 중도와 서출이, 1892년에 이족 출신들이 사마안에 이름을 올려 양반으로 인정받으려고 온갖 노력을 기울였다. 지방관들도 이들도 생원, 진사이니 사마안에 들어올 자격이 있음을 인정하였다. 양측은 치열하게 감영과 관아, 암행어사에게 上書를 올렸고, 상서 작성과 여론 조성에 앞장섰던 양반사족들 몇몇은 官權을 능멸하였다는 죄목으로 여러 달 감옥에 갇히는 수모를 겪기도 하였다. 그러나 문벌과 명분을 지키려는 양반들은 끈질기게 감사와 수령, 암행어사에게 상서를 하면서 반대하였다. 결국 지방관들은 전례대로 하라든가, 좋은 방향으로 타협하라는 등의 애매한 판결로 책임을 비켜나갔고, 결과적으로 양반들의 입장에 동조하는 셈이 되고 말았다.남원양반들의 사마소 고수는 1894년 과거제가 폐지될 때까지 관철될 수 있었다. 비양반들의 경제력, 사회적 진출, 학문적 성장이 괄목할 만 하였지만 신분의 굴레를 쉽게 벗어날 수가 없었다. 양반들의 사마소 독점은 바로 조선시대 신분제의 해체 정도를 나타내는 척도라 판단하고 싶다.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