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윤희도 安東大學 1997 安東大學 論文集 Vol.19 No.1
A parametric design model is suggested for use in the railgun system optimization. Design parameters can be organized in four groups : design parameters of target effects, of hyper-velocity flight, of launcher and launch package, and of energy storage and pulse power system's. Some electromagnetic, thermal and structural design considerations of the launcher and launch package group are presented. Parameters are inter-related within their own design group as well as with ones outside. Therefore, a systematic parametric modeling is a must for successful optimum design of railgun systems.
윤희면 ( Hee Myeon Yoon ) 전남대학교 호남학연구원 2010 호남학 Vol.0 No.48
주 포충사는 임진왜란 때 의병을 일으켜 순절한 고경명 삼부자의 충절을 기리기 위하여 건립한 충렬 사우이다. 1601년에 광주에 사는 고경명의 친족과 문생, 사림들이 포충사를 건립하자는 의견을 모았다. 포충사의 터는 광주 서쪽의 제봉산 남쪽 기슭으로 정하였다. 사림과 후손들이 돈을 모으고 전라감사와 수령의 도움을 받아 1602년 가을에 완공하였다. 사우 중앙에는 고경명을, 동쪽에는 고종후, 유팽로를, 서쪽에는 고인후, 안영의 위패를 모셨다. 사우가 완성되자 광주 사림들은 사액을 요청하는 상소를 올려「포충」이라는 이름을 얻었다.. 나라에서는 포충사를 충렬의 모범으로 간주하여 자주 제관을 보내 특별제사를 지내고 각별한 보호와 관심을 기울였다. 포충사는 처음부터 서인계 사우의 면모를 보여주고 있다. 광주, 나주에서 서인 유생과 남인유생들의 대립은 포충사에도 여파가 미치기도 하였지만 숙종 20년 이후 노론계 서원으로 계속 유지되어 왔다. 포충사는 전답, 노비, 액외원생, 원보, 그리고 서원촌 등의 경제기반을 가지고 제사, 도서 보관 등 여러 가지 활동을 전개하였다. 1810년에 광주 유림들과 후손들은 고경명의 다섯째 아들인 고용후를 모시는 청사영당을 포충사 곁에 건립하였다. 그리고 청사영당은 제례는 따로 거행하지만 포충사의 한 부분으로 대우를 받았다. 1868년에 청사영당은 철폐되었다. 1871년에는 전국에 47개만 남겨놓고 사액서원 모두를 모두 철폐하라는 명령이 내려왔지만 포충사는 고경명 부자의 충절을 높이 샀기에 남겨지게 되었다. 철폐를 면한 포충사는 예전보다 사회적 위치가 한층 고양되었지만 경제적 형편은 훨씬 열악해졌다. 이를 반영하듯 양반유림들도 사우운영에 소홀하였다. 반면에 포충사 운영에 후손들이 더욱 적극적으로 참여하게 되었다. 그리하여 후손들이 돈을 내어 건물을 수리하고 기념비를 세우기도 하였다. 일제시대에는 포충사가 항일 유적으로 간주되어 여러모로 활동의 제약을 받았고 감시의 대상이 되었다. Pochung Shrine in Gwangju was set up to honor Go Kyeong-myeong and his two sons who gathered the volunteer armies to protect the nation at the time of Japanese invasion in 1592 and died for the country while fighing for the country. Relatives, students, rustic literati(Sarim) living in Gwangju reached a consensus to establish the Shrine. The location of the shrine was chosen at the southern foot of Mt. Jebong. Sarim and descendants raised the fund and also received financial support from cholla governor and local magistrates. The shrine finally completed construction in 1602. When the shrine was completed, Gwangju sarim asked royal charter and was given the name called “Pochung”. The government thought Pochung Shrine as an example of patriotism and often sent celebrants to hold rites, thereby expressed interest and special concern. The character of Pochung reflected the traits of Westeners(Seoin). The struggle between Seoin and Southerners(Namin) gave an impact Pochung Shrine but it was maintained as Old Doctrine faction since 20th year of King Sukjong. The economic foundations of Pochung Shrine were fields, serfs, extra students, Wonbo and duty free village and engaged in the activities such as memorial rites and maintaining books. Yangban sarim and descendants set up Cheongsa Youngdang(shrine held the portrait) which honored Go Yong-hu, the 5th son of Go Gyeong-myeong. Youngdang separately held the commemorative ceremonies but it was treated as part of Pochung Shrine. Youngdang was closed in 1868. There was an nation-wide order to close all the private schools except 47 seowon but Pochung shrine survived because the patriotism of Go Gyeong-myeong and his sons were hightly esteemed. After escaping the abolition, the prestige of Pochung Shrine got soared, but economic conditions grew worse. Reflecting this, Yangban sarim neglected management of the shrine. However the descendants actively participated in maintaining it. As a result descendants donated fund to renovate the building and set up monuments. In Japanese rule of Korea, Pochung Shrine was thought as the remains of resisting Japan and it kept under observation.
윤희도 安東大學校 工業技術硏究所 1999 공업기술연구논문집 Vol.6 No.1
철심형 3MJ 보상펄스발전기의 설계, 그리고 이에 대한 전자기력의 해석 방법, 결과에 대하여 기술하였다. 발전기로부터 요구되는 사양을 충족하는 최소한의 전기적, 기계적인 변수들의 선정, 지지구조물의 기계적인 기초설계, 그리고 방전시 발생하는 전자기력의 계산방법, 전자기력의 분포 등에 대하여 상세히 고찰하였다. A design procedure used for a 3 MJ, iron core, prototype compulsator is presented. The electromagnetic force calculation and its results for the proposed new design are presented. The design parameters were carefully selected so that they satisfied both electrical and mechanical performance requirements. The rotor and stator support- structure's design, the discharge force distribution and the torque pulse calculation are present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