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후보

        조지 무어의 “열린 질문 논증”과 피터 레일톤의 환원론적 자연주의

        윤화영 ( Hoayoung Youn ) 한국윤리학회 2013 윤리학 Vol.5 No.2

        본 논문은 도덕적 자연주의 이론들 중 하나인 피터 레일톤의 환원론적 자연주의를 비판적으로 검토한다. 자연주의 일반에 대한 유명한 비판으로 조지 무어(G. E. Moore)의 “열린 질문 논증(Open Question Argument)”이 있다. 이 논증은 도덕 가치를 어떠한 자연주의적 용어로 정의할 수 없음을 말한다. 이 논증은 부정적 논증인 바, 필자는 이 논증을 새롭게 해석하여 두 개의 논점을 도출하였다. 이 논점들을 중심으로 레일톤의 자연주의를 비판한다. 필자의 첫 번째 비판은, 레일톤이 도구적 도덕관을 피력한다는 점이다. 이것은 상식적 도덕관념을 잘 설명하지 못한다고 본다. 자연주의의 본래 의도는 일반적 도덕관념과 체계를 자연주의적 방법으로 가장 잘 설명할 수 있다는 것인데, 그렇지 못하다는 것이 필자의 주장이다. 두 번째로는 레일톤의 “사회적 이성”이라는 개념이다. 그는 이 개념을 도구적 이성의 개념이라고 하는데, 그 실체가 애매하고 개인들의 이성과 어떤 연관성이 있는지 알 수가 없다. 이 문제는 결국 개인들의 도구적 이성에 의한 이익추구가 서로 간의 이익추구 또는 사회전체의 이익추구와 충돌할 수 있음을 깊게 고려하지 않은데서 온다고 본다. 이런 문제들로 인해 무어의 논증은 여전히 유효하다고 할 수 있다. 필자는 결론에서 환원론적 자연주의가 대답하지 못하는 부분을 이성론으로 해결할 수 있음을 지적하면서, 상식적 도덕관이 이성론과 멜 수 없는 관계에 있을 것이라고 덧붙인다. This article examines critically Peter Railton’s reductive naturalism, a theory of ethical naturalism. A well-known criticism of naturalism in general is George E. Moore’s Open Question Argument which holds that any naturalistic definition of morals cannot succeed. Since this argument is negative, the author draws two points of argument from it Railtons naturalism is criticized in terms of the points. First, the author points out Railton’s instrumental view of morality. This view is, the author argues, frequently in conflict with commonsense moral view. Contrary to naturalists claim, naturalism would not give a good account of commonsense morality. Second, the author focuses on what Railton calls “social rationality.” He holds that the concept of reason means instrumental rationality. But its nature is ambiguous, and its relation to individual's reason is enigmatic. This problem has something to do with ignoring that individual person’s pursuit of self-interests along with his or her instrumental rationality can conflict with each other or even with social interest So it can be said that Moore’s “Argument” is still effective. The author mentions in the conclusion that problems with the reductive naturalism can be resolved by rationalism, and adds that commonsense morality is more closely linked to rationalism than naturalists may think.

      • KCI등재

        도덕가치의 투사와 객관성 : 존 맥키와 사이먼 블랙번의 경우

        윤화영(Hoayoung Youn) 한국분석철학회 2008 철학적 분석 Vol.0 No.18

        데이비드 흄의 전통의 전통에 서있는 존 맥키와 사이먼 블랙번은 도덕가치의 본질을 감정이나 감수성의 표현과 투사로써 설명한다. 투사를 통해서 만들어지지만, 도덕가치는 객관적인 것처럼 다루어질 수 있고, 옳고 그름을 논할 수도 있다는 것이다. 이런 입장은 도덕가치가 이성적 사고의 산물이며 보편성이 있다는 칸트의 전통과 배치된다. 본 논문에서는 맥키와 블랙번이 보편성을 배제하고 어떻게 도덕가치의 객관성을 확보하려 하는가를 살펴보고 비판한다. 필자의 논점은 그들이 말하는 감수성의 투사만으로는 객관성을 보장하기 어렵고, 현실세계의 가치 객관성도 설명하지 못함을 주장한다. 그들의 실패가 보여주는 교훈을 다음과 같이 말할 수 있다. 즉 보편성이라는 개념도 완전한 것은 아니지만, 그것에 의존하는 것이 현실적 도덕가치의 객관성을 설명할 수 있다는 것이다. Modern Humeans like John Mackie and Simon Blackburn explain the nature of moral values as sentiments or sensibilities projected from human mind. Although projected, they believe, moral values can be objectively treated and evaluated. This view is contrasted with Kant's position holding that moral values are produced by transcendental reasoning. This article examines and criticizes the theories of projectivism presented by Mackie and Blackburn. In particular, the author focuses on their theories of acquiring value objectivity, which reject the notion of universalization. The author argues that their idea of projection neither suffices to guarantee the objectivity of moral values, nor explains the value objectivity in the actual world. A lesson from their failure may be as follows: actual value objectivity can be best explained by the idea of universalization although it is far from immaculate in explaining objectivity of values.

      • KCI등재

        감수성이론에서의 도덕적 진리

        윤화영(Hoayoung Youn) 한국분석철학회 2009 철학적 분석 Vol.0 No.19

        데이비드 위긴스와 존 맥도월이 제시한 감수성이론의 두드러진 특징은 도덕적 진리의 인식이 〈속성, 반응〉의 결함에서 온다는 주장이다. 이것을 무선후이론(no-priority view)이론이라고 하는데, 속성과 반응이 동시에 인식된다는 것이다. 이 무선후이론의 중요한 조건은 분석불가능성인데, 상기한 결합이 분석되지 못함을 규정함으로써 무선후이론이 지탱되는 것이다. 이 현상학적 진리가치론은 많은 예외적 상황에 부딪치게 되고, 감수성이론가들은 수렴이라든가(위긴스) 이성의(맥도웰) 개념들을 끌어들여 도덕적 진리를 설명하려고 한다. 이 논문에서 필자가 주장하는 바는 수렴이나 이성의 개념으로 도덕적 진리를 설명하려는 시도는 무선후이론에서 말하는 분석불가능성과 서로 충돌하게 된다는 것이다. 이렇게 주요 부분들이 서로 충돌하게 되면, 감수성이론이 갖는 이론적 독특성과 그 이론이 제시한 인지론이 모두 그 정당성을 잃게 된다고 필자는 또한 주장한다. A unique feature of the sensibility theory proposed by David Wiggins and John McDowell is their claim that moral truth is ascertained in the combination of 〈property, response〉. This is called the no-priority view which means that moral property of external objects and response in sensibility come simultaneously. One of the key conditions for the combination is unanalyzability, without which the no-priority view cannot be sustained. This phenomenological view of moral truth encounters many exceptions, so that the sensibility theorists try to defend their view by incorporating additional theoretical tools like convergence (Wiggins) or practical reason (McDowell) into their theory. The author argues that these additional tools come to collide with the notion of unanalyzability. The author further argues that the sensibility theory's uniqueness and cognitivism would lose its ground, due to the collision.

      • KCI등재
      • KCI등재후보

        반객관주의자인 존 맥키와 자연주의적 실재주의자들의 도덕가치

        윤화영 ( Hoayoung Youn ) 한국윤리학회 2014 윤리학 Vol.3 No.2

        이 논문은 반객관주의자 또는 주관주의자로 일컫는 존 맥키의 도덕가치와 자연주의적 실재주의자들이 상정하는 도덕가치가 얼마나 유사하고 다른가에 대한 탐구를 바탕으로, 그들 이론의 정확한 좌표를 찾는 시도이다. 필자에 의하면, 이들의 공통점은 도덕가치를 도구적으로 보고 가치 상대성이 있다고 보면서도, 도덕적 진술과 주장의 옳고 그름을 판단할 수 있는 인지론자들이라는 것이다. 또한 도덕 판단에 관한 수반이나 투사도 서로 크게 차이가 나지 않는다고 말한다. 물론 이들 사이에 차이점도 있다. 당연히 그들이 주장하는 형이상학적 입장이 다르다. 맥키가 실재주의자로 자처하지도 않고 그렇게 해석되기도 어려운 것이다. 그런데 이런 형이상학적 차이를 가져오는 것은 그들의 도덕가치에 대한 개념이 크게 달라서가 아니라, 그들이 생각하는 “실재”라는 개념 차이에서 오는 것이라고 필자는 말한다. 맥키는 도덕가치 형성의 출발을 내부적 욕망과 바램 등에 두고 있으므로 도덕가치가 객관적 실재성이 없다고 본다. 반면, 자연주의 실재주의자들이 욕망과 바램 이익을 위한 도덕가치의 도구성을 인정하면서도 도덕가치가 객관적으로 통용되고 존재함에 초점을 맞추어 실재주의를 제시한다는 것이다. 이들 모두가 사실은 흄의 경험론 전통을 수용하는 입장으로 서로 비슷할 수밖에 없고, 이들과 대칭이 되는 이론은 맥키의 객관주의 즉 플라톤이나 칸트의 이론인 것이라고 필자는 말한다. This paper tries to figure out the anti-objectivist John Mackie’s and realistic naturalists’ theoretical position by contrasting their concepts of moral value. According to the author, all of them believe that m oral values are instrumental, relativistic, and have truth values--that is, they are all cognitivists. Also both camps can accommodate, the author says, supervenience and projection with regard to making moral judgments. Of course, there are differences between them. In particular, their metaphysical positions are different. Mackie does not pretend to be a realist, or he cannot be regarded as such. This metaphysical difference comes from, according to the author, their difference of the concept “reality.” Mackie believes that moral values cannot have reality since they originate from internal desire or wish. On the other hand, although the realists admit this aspect--i.e., the instrumentality of moral values, they argue for the reality of m oral values by focusing on the fact that the values are being used and existent in society. According to the author, Mackie and the realists are in the same Humean tradition, so that it is not strange that they look similar to each other. And their opposite camp is rationalists or what Mackie calls objectivists like Plato and Kant.

      • KCI등재

        존 맥키의 “기이함에 근거한 논변” 비판

        윤화영(Hoayoung Youn) 한국분석철학회 2006 철학적 분석 Vol.0 No.14

        존 맥키는 객관적 도덕가치라는 것을 부정하고, 따라서 도덕적 객관주의는 잘못된 이론이라고 주장한다. 그는 자신의 주장을 증명하기 위해 “기이함에 근거한 논변”을 제시하였다. 즉 객관적 도덕가 ” . 치가 존재한다고 주장하는 것은 기이한 일이라는 것이다. 그의 “기이함에 근거한 논변”은 필자가 이름 붙인 “도덕적 동기유발에 근거한 논쟁”에 의존하고 있다. 다시 말하면 객관적 도덕가치라는 것이 우리의 일상적 도덕 행위의 동기를 유발하는 데 전혀 영향을 미치지 못하므로, 객관적인 도덕가치란 존재하지 않는다는 것이다. 필자는 이 “도덕적 동기유발에 근거한 논쟁”과 오류이론 사이에 하나의 딜레마 있을 수 있거나 맥키가상정하는 도덕 주체에 일관성이 결여되어 있을 수 있다고 비판한다. 이에 연관해서 데이비드 브링크와 리차드 가너의 주장도 살펴보았다. John Mackie argues against the objective moral values and, accordingly, moral objectivism. To demonstrate his argument, he proposes the argument from queerness. That is, it is a queer thing to say that there exist objective moral values. Mackie's argument from queerness is actually based on what the author calls "argument from moral motivation." This argument holds that since so-called objective moral values has no influence on people's motivation for moral actions, the values virtually cannot exist. The author's criticism goes as follows: Mackie's theory may be trapped by a dilemma caused by his error theory and his argument from moral motivaltion, or commit an inconsistency in explaining the moral agents' behavior. In relation to this, the author examines the theories of David Brink and Richard Garner.

      • KCI등재

        도덕행위자 이론의 문제점

        윤화영 ( Youn Hoayoung ) 고려대학교 철학연구소 2017 철학연구 Vol.0 No.56

        본 논문은 도덕행위자 이론이 갖고 있는 문제점을 진단한다. 도덕행위자 이론이란, 도덕행위자의 성향, 반응, 선택 등의 분석에 주안점을 두고, 도덕가치나 규범의 본질을 탐구하는 이론이다. 행위자 분석은 자연적 가치나 존재 등을 논할 때 보통 쓰이는 방법이다. 즉 인식론적 접근을 통해 형이상학적 존재에 대한 연구를 하는 것이다. 그러나 필자는 이런 방법이 도덕가치의 본질을 규명하는 메타윤리학에는 별로 설득력이 없다고 주장한다. 왜냐하면 도덕행위자의 행위를 설명하는 “행위논리”가 일반적 또는 중립적인 것이라면, 특정한 메타윤리적 입장을 옹호할 수 없다고 보기 때문이다. 일반적이거나 중립적 행위논리는 도덕실재론적 행위자나 반실재론적 행위자 모두에게 적용될 수 있다. 그런데 도덕실재론자나 반실재론자들이 도덕 현실 또는 현상을 이해하는 것에서는 별 차이가 없다. 그들의 차이는 도덕가치의 본질 또는 위상을 어떻게 보는가에 따라 달라진다. 그래서 도덕가치의 본질을 논할 적에는 가치자체에 대한 논의가 주가 되어야 하며, 도덕행위자 이론은 보조적 수단으로 써야 한다는 주장을 필자는 하고 있다. 필자는 도덕행위자 이론의 예로써 존 맥키의 “도덕적 동기유발에 근거한 논쟁”, 도덕현상학자들의 감수성 이론과 메튜에반스와 니시 샤의 도덕행위자 이론 등을 검토하며, 이들 이론이 상기한 이유 때문에 소기의 목적을 달성하기 어렵다는 비판을 한다. This paper diagnoses what problem the moral-agent theories may have. Moral agent-theories try to find out the nature of moral or normative values by focusing on moral agents` attitude, response, choice, etc. The analysis of agents `response is frequently adopted to probe the nature of natural values or things. It is an epistemic approach for metaphysical inquiry. However, the author argues that this method is not effective at all in searching the nature of moral values. For if a behavioral logic that is designed to explain the agent`s behavior is neutral or comprehensive, a specific metaethical position would not be advocated. Neutral or comprehensive logic of moral agents` behavior can be applied to both the moral realist and moral antirealist. Both of them do not show difference in understanding moral actuality or phenomena. Their difference consists in how to evaluate the nature or the status moral values and norms. So in sponsoring a metaethical position, the discussion of values themselves should be the main topic while that of moral agents should be a subsidiary one, according to the author. The author examines some typical moral-agent theories, such as John Mackie`s “argument from moral motivation,” Moral Phenomenologists` Sensibility Theory, and a moral-agent theory by Matthew Evans and Nishi Shah, which tries to advocate moral realism. The author concludes that these moral-agent theories hardly achieve their goals because of the reason the author proposed.

      • KCI등재후보

        실재주의적 도덕 자연주의와 반실재주의적 도덕 자연주의

        윤화영 ( Hoayoung Youn ) 한국윤리학회 2016 윤리학 Vol.5 No.1

        이 논문은 도덕 자연주의를 확실히 도덕 실재주의로 볼 수 있는가 하는 점을 분석한다 필자는 도덕 자연주의를 우선 두 가지로 분류한다. 그것은 방법론적 자연주의와 내용적 자연주의이다. 리차드 보이드와 피터 레일톤의 자연주의는 첫 번째 부류에 해당한다. 찰스 다윈, 허버트 스펜서, 피터 크롭트킨, 그리고 아리스토텔레스는 두 번째 부류에 포함될 수 있다. 필자는 도덕 실재주의를 구성하는 두 가지 기본요건을 제시하고 상기한 자연주의들이 그 요건을 만족하는가를 따져본다. 도덕 자연주의자들은 자신들의 이론이 도덕 실재주의라고 주장하지만, 필자는 크롭트킨과 아리스토텔레스의 이론만이 도덕 실재주의에 포함될 수 있다고 주장한다. This paper is to examine whether ethical naturalism is certainly realism. The author classifies naturalism into two: methodological and substantive naturalism. Richard Boyd and Peter Railton are included in the first group. And evolutionary ethics by Charles Darwin, Hebert Spencer, and Peter Kropotkin, as well as Aristotle’s teleological eudaimonism, belong to the second. The author articulates two conditions or requirements for moral realism, and tests each group of naturalism whether to pass the conditions. Ethical naturalists proclaim that they are m oral realists. But the author argues that only Peter Kropotkin’s view and Aristotle’s can be m oral realism.

      • KCI우수등재

        존 맥키는 도덕 실재주의자가 될 수 있는가?

        윤화영(Hoayoung Youn) 한국철학회 2014 철학 Vol.0 No.119

        제임스 드라이어는 잘 알려진 오류이론가이자 주관주의자인 존 맥키를 실재주의자로 해석할 수 있다고 주장한다. 그는 맥키가 있는 그대로 실재주의자라고 하지는 않지만, 맥키의 이론에서 실재주의적 특징들을 끌어낸다. 실재주의는 외부적인 도덕적 사실과 속성이 있으며 그것들이 도덕적 판단의 기준이 된다는 것이 기본 주장이다. 드라이어는 맥키가 수반에 관한 설명을 하면서, 객관적 사실과 속성을 인정한다고 주장한다. 또 객관적 가치를 부정하는 맥키의 “기이함에 근거한 논변”을 드라이어는 약간 변형시켜 맥키를 실재주의자로 해석하는 시도의 걸림돌을 제거한다. 필자는 드라이어의 해석이 맥키의 형이상학적 입장을 왜곡할 수도 있고, 지나치게 많은 이론이 실재주의로 해석될 수 있는 소지를 남긴다고 비판한다. 그러나 드라이어의 시도가 아주 틀린 것은 아닌바, 실재주의자들과 맥키가 모두 경험론자들로 도덕에 관한 기본적 시각을 공유하는 부분이 많다는 것을 설명한다. James Drier argues that John Mackie, the well-known error theorist and subjectivist, can be regarded as a realist. Although Drier does not say that Mackie’s view is realism at its face value, he believes that realism’s features can be drawn from Mackie’s theory. Realism holds that external moral facts and properties exist, that must be standards of moral judgments. Drier argues that when Mackie explained supervenience between moral facts and responses, he endorsed by implication the existence of moral facts and properties. Moreover, Drier tries to modify Mackie’s Argument from Queerness to clear away an obstacle standing in his new interpretation of Mackie. The author argues that Drier’s attempt not only distorts Mackie’s metaphysical stance, but also allows too many theories to be included in realism. But there is something right in Drier’s perspective, according to the author. That is, Mackie and current realists are basically empiricists, so that they share with each other some important perspectives on morals.

      • KCI우수등재

        오류이론, 허구론, 그리고 도덕체계의 객관성

        윤화영(Hoayoung Youn) 한국철학회 2017 철학 Vol.0 No.133

        이 논문은 존 맥키의 오류이론과 그 이론에 근거한 리차드 조이스의 허구론이 갖는 문제에 대해 논의한다. 맥키는 오류이론에서 모든 “객관적” 가치를 부정하고 있지만, 현실의 도덕생활에서는 객관성을 가진 도덕체계, 즉 도덕인지론이 가능한 체계가 존재할 수 있음을 주장한다. 리차드 조이스는 맥키의 오류이론을 발전시켜 허구론을 제시하는데, 이것에 의하면, 우리가 경험하는 모든 도덕규범과 도덕체계는 단지 허상일 뿐이다. 모든 도덕적 판단은 “잘못된” 것이고 도덕적 믿음도 가져서는 안 된다고 말한다. 그럼에도 현실생활의 도덕체계는 유용하므로 유지할 필요가 있다고 주장한다. 필자는 각 이론의 특징을 설명하고, 문제점을 지적한다. 허구론에 따르면, 도덕체계가 허상이므로 이 체계 자체에 사람들로 하여금 도덕적 행동을 하게하는 권위나 설득력이 없다고 할 수 있다. 따라서 각 도덕행위자들이 도덕규범을 저버리고 자신들의 이익을 추구할 때에, 도덕체계는 완전히 무기력하다고 할 수 있다. 또 사람들 간에 도덕적 이견이 생겼을 때, 이것을 도덕적 힘으로 중재하기도 어렵다. 그래서 허구론에서는 객관성 있는 도덕체계가 존속해나갈 수 있음을 보여주기 어렵다는 것이 필자의 주장이다. 맥키의 경우에는 주관적인 도덕 감성을 인정하므로, 조이스의 경우보다 좀 나을 수도 있지만, 가치판단의 객관화를 부정하고 모든 “객관적” 가치를 배제하려는 오류이론 때문에 역시 조이스의 허구론과 비슷한 문제에 빠진다고 필자는 주장한다. This article discusses problems with John Mackie’s error theory and Richard Joyce’s fictionalism which is grounded in the former theory. Although Mackie denies all the “objective” moral values, he admits that a human society can have a moral institution, by which moral cognitivism is actually possible. Richard Joyce proposes fictionalism, according to which, all moral values and institution in our moral experiences are not real; all moral judgments are “false,” and moral belief should be abandoned. Nevertheless moral institution in actual life should be maintained, he argues, because it gives us some benefit. The author explains and criticizes each theory. According to the fictionalism, moral institution is an illusion. It can mean that it has no authority or persuasiveness to exhort people to carry out moral conducts. So it would be completely incompetent when people prefer chasing their own interests to observing moral norms. Similarly, it cannot mediate moral disagreements. For these reasons, the fictionalism hardly shows, the author argues, that moral institution stands on a stable ground. Mackie’s theory would be a bit better in showing the institution’s stability, thanks to the notion of subjective moral sentiment. But since the error theory rejects moral objectivity and all “objective” values, the author argues, Mackie’s theory would be caught in the same problem.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