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펼치기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경작유구를 통해 본 중·근세 농업의 경지이용방식 연구

        윤호필(Ho-pil Yun) 중앙문화재연구원 2012 중앙고고연구 Vol.0 No.10

        본 연구는 문헌사학 중심으로 이루어지고 있는 중·근세 농업연구를 고고자료(물질자 료)를 통한 고고학적 관점에서 검토한 것이다. 먼저 중·근세 경작유적과 유구에 대한 현황을 정리하고, 이에 대한 세부적인 속성분석을 통해 중·근세 농업의 흐름을 대략적으로 살펴보았다. 또한 이를 바탕으로 한국농업사의 주요쟁점인 ‘경지이용방식(휴한법과 연작법)’에 대해 고고학적인 관점에서 검토하였다. 하지만 현재의 고고학적 조사사례나 연구성과 만으로는 문헌사료에 대한 구체적인 접근에 어려움이 있다. 따라서 이를 위해서는 중·근세 경작유적에 대한 조사사례가 활성화 되어야 하며, 이와 더불어 새로운 조사방법 및 자연과학적 분석 등도 적극적으로 도입되어야 한다. 중·근세 농업연구의 고고학적 접근은 현재 첫 걸음을 내딛는 시점으로 부족한 점이 많지만, 중·근세 경작유구에 대한 인식전환과 함께 문헌사학과의 보다 적극적인 상호보완적인 연구가 이루어진다면, 농사기술에 대한 보다 구체적인 양상을 파악할 수 있으며, 이와 함께 다양한 관점에서 중·근세 농업연구가 이루어질 것으로 기대한다. This study examines the research on agriculture in the Middle and Modern ages centering around philological history from the aspects of archaeology based on archaeological materials (or material data). To attain the goal, this paper arranges the current status of cultivation remains and relics from the Middle and Modern ages first and then studies briefly the flow of agriculture in the Middle and Modern ages through detailed attribute analysis. Also, based on that, this research studies the ‘farmland use’ which is the chief issue of Korean agricultural history from the aspects of Archaeology, and it investigates the applicability of archaeological examination regarding Hyuhan method and Yeonjak method (Sanggyeong method). However, only with the current Archaeological research cases or research results, it is difficult to make a concrete approach to the philological historic data. Therefore, it is needed to activate the research cases on the cultivation remains from the Middle and Modern ages. Furthermore, it is necessary to apply the analysis methods of natural science more positively. Archaeological approaches to research into agriculture in the Middle and Modern ages are at the point to take its first step now so lack in many ways. However, along with the changes of recognition on the cultivation remains from the Middle and Modern ages, if complementary research is more actively conducted in cooperation with philological history, it is possible to figure out more concrete aspects of farming techniques, and along with that, research on agriculture in the Middle and Modern ages will be conducted from more diverse viewpoints.

      • KCI등재
      • KCI등재
      • KCI등재
      • KCI등재

        시민교육을 위한 현대시 교육 연구-김수영 시를 중심으로-

        윤호경 ( Yun Ho-gyeong ) 한국문학교육학회 2017 문학교육학 Vol.0 No.55

        시민은 자유를 추구하되 타인과의 공존을 도모하고, 인권 획득과 공공선 추구를 위해 연대함으로써 민주시민사회를 유지하고 발전시키는 동력이 된다. 본 고에서는 학교교육에서 다루어야 할 시민의 핵심적인 자질로 자유롭고 비판적인 사고, 타인에 대한 사랑과 연대의식을 제안하고자 한다. 특히 문학교육은 시민성을 지식으로 전수하는 것이 아니라 감성과 상상력을 바탕으로 경험하고 가치관으로 내면화하도록 한다는 점에서 대체하기 어려운 교육적 의의를 가진다. 국민과 민족이 개인을 주체로 호명하면서 시민의 가치가 외면 받았던 우리사회에서 김수영의 문학은 민주주의와 시민성에 대한 의미 있는 통찰을 제공해 왔다. 김수영은 획일주의에 대한 날선 비판, 타인에 대한 사랑과 연대의식을 치열한 반성과 성찰을 통해 보여준 바 있다. 그는 사회에서 부여한 규범과 척도에 거리를 둠으로써 자유롭고 비판적인 사고를 지향하는 동시에 타자에 대한 사랑을 통해서 열리는 새로운 세계를 모색하였고, 연대를 통해서 세계보다 `먼저 울고 웃는` 주체들의 모습을 발견하는 데까지 나아갔다. 김수영의 문학은 시민성에 대한 대중적인 논의가 활발하게 지속되지 못한 우리 사회에 여전히 유효한 반성과 성찰을 제공하고 있다. 학습자는 시민교육을 통해서 타자에 대한 사랑을 변하지 않는 가치로 삼으면서 정해진 규범과 척도에 대한 비판적 성찰을 지속하고 연대의 가능성을 모색할 수 있다. 다만, 시민교육은 학교 안팎에서 시민성을 실천할 수 있는 환경을 조성하려는 노력과 병행되어야 한다. 토론 문화의 활성화, 학생 자치의 실현을 비롯한 다양한 노력을 기반으로 학교가 시민성을 학습하는 곳이자 실천하는 장이 될 때 시민교육은 현실성을 가지고 이루어질 수 있을 것이다. The citizens have been the motive power of developing democratic societies. They pursue liberty, coexistence with others and protection of human rights and common good. This article suggests two key qualities that should be prepared for students to be democratic citizens. The first quality is critical thinking and the second one is love for people and solidarity with them. Literature education could make students learn citizenship as experiences of feeling emotion, using imagination and internalizing values not just as the acquisition of knowledge. In Korean Society, the value of `nation` and `ethnicity` was emphasized but the worth of `citizen` has been ignored for a long time. But Kim Su-Young`s poems provided us with meaningful insights about democracy and citizenship. Kim showed criticism on standardization, love for people and solidarity with them through his fierce self-reflection and self-examination. He aimed at unconstrained and critical thinking by putting the distance from standard orders and norms. At the same time, he showed the new world that was opened by loving others and prospects for solidarity with them. His self-reflection and self-examination provide effective reflection for Korean society that didn `t continue enough public discussion about citizenship. Citizenship education should be paralleled with efforts to make environments for students to practice citizenship in and out of schools. Teaching citizenship without tries to create the democratic culture for students has no choice but to face inner inconsistency. When efforts for activating the democratic debate and student councils are made to make schools the field of learning and practicing citizenship, practical citizenship education would be truly realized.

      • KCI등재

        문학교육을 위한 창의성 실현의 조건과 방법 연구

        윤호경 ( Yun Ho-gyeong ) 한국문학교육학회 2020 문학교육학 Vol.0 No.68

        본 연구는 문학적 창의성을 ‘관습에 대한 영향과 모방을 바탕으로 문학이라는 상징영역을 변화시키는 과정’으로 정의하고, 문학적 창의성의 구성 요소로 문학적 지식 및 관습, 작품을 창작하는 저자, 작품을 해석하는 독자를 제안하였다. 그리고 문학적 창의성이란 구성 요소들의 상호작용으로 이루어진다고 보고, 이를 시문학사의 구체적인 사례를 통해 규명하고자 하였다. 또한 창의성을 실현하는 방법을 구체화하기 위해서 독창적 개인으로서의 저자가 전대에 크게 유행했던 이미지의 상투성을 극복하는 방법을 분석하였다. 그 결과 창의성 실현의 방법으로 첫째, 이미지의 패러디, 둘째 이미지에 새로운 의미 부여, 셋째, 새로운 이미지 제시 이렇게 세 가지를 도출하였다. 상투성의 극복을 반복하면서 공동체 내에서 이미지의 상징성은 깊고 풍요로워진다. 이러한 논의를 통해 본 연구는 창의적인 아이디어를 제시하는 방법을 구체화하고, 창의성이 다양한 요소의 상호작용임을 규명하여 창의성 교육의 가능성과 필요성을 강조하며, 창의성이 관습에 대한 이해를 필요로 한다는 점을 통해서 창의성 교육이 기존에 이루어져 왔던 지식 교육과 연계되도록 하고자 하였다. 또한 창의성 논의에서 독자의 역할을 강조하고자 했다. This study defines literary creativity as a process of changing literary culture based on influence and imitation of customs and proposes understanding of literature, the author, and the reader as components of literary creativity. Literary creativity is achieved through the process of producing and accepting works by authors and readers with understandings of literary culture and tradition. Also, this study suggests three methods of realizing creativity by analyzing works that overcame the cliché of widely used images. The methods are parody of images, giving new meanings to images and presenting new images. Through these methods, images of the poems may not be stereotyped. Through this discussion, this study embodies how to present unique ideas, emphasizes the possibility and necessity of creativity education by showing that creativity is an interaction of various factors, links creativity education to existing education through the fact that creativity requires understanding of customs and emphasizes the role of readers in the discussion of creativity.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