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 발행연도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스케치코미디’의 숏폼콘텐츠 특성 연구

        윤지아(Ji-A Yun) 경희대학교 K-컬처·스토리콘텐츠연구소 2023 스토리콘텐츠 Vol.- No.3

        본 연구는 미국 스케치코미디의 개념과 특성을 분석하고 유튜브 채널 ‘숏박스’, ‘너덜트’를 통해 한국 스케치코미디의 재개념화와 특성, 공감 유도방식을 알아본다. 1950년대 후반에 시작된 미국 스케치코미디는 TV, 영화, 희극, 라이브 공연 등 다양한 매체를 통해 나타났다. 주제는 정치 풍자, 정체성, 이념, 패러디 등이 주를 이뤘다. 미국 스케치코미디의 특성은 ‘간결성’, ‘단속성’, ‘완결성’, ‘다양성’, ‘재귀성’, ‘가단성’으로 정리할 수 있다. 호모모빌리쿠스, 호모텔레포니쿠스로 정의되는 현대인들의 콘텐츠 소비변화는 모빌리티 문화와 함께 변화하고 있다. 따라서 미국 스케치코미디를 맹아로 한 한국 스케치코미디는 향유방식과 구성방식에 변화가 있었다. 이를 통해 한국 스케치코미디는 ‘SNS에서만 소비되는 숏폼 콘텐츠 형식의 코미디’로 재개념화 할 수 있다. 또한 한국 스케치코미디의 특성은 ‘자율성’, ‘단축성’, ‘가시성’, ‘휘발성’, ‘한정성’, ‘일상성’이 있다. 간결성과 단속성은 미국 스케치코미디와 공통점으로 볼 수 있으며, SNS 매체로 한정하는 것은 가장 큰 차이점이다. 한국 스케미코미디의 특징인 공감 유도방식은 두 가지로 나눌 수 있었다. 채널 ‘너덜트’는 일상의 시현을 통해 캐릭터 설정보다는 상황 설정과 묘사에 더욱 중점을 두고 있다. 채널 ‘숏박스’는 캐릭터의 언어적⸳비언어적 내용과 상황 묘사를 통해 일상의 사소함을 표현하는 방식을 사용하고 있다. This study analyzes the concepts and characteristics of American sketch comedy and examines the re-conceptualization, characteristics, and empathy of Korean sketch comedy through YouTube channels “Shortbox” and “Nerdult.” The American sketch comedy, which began in the late 1950s, appeared through various media such as TV, movies, comedies, and live performances. The themes were mainly political satire, identity, ideology, and parody. The characteristics of the American sketch comedy can be summarized into 'simplicity', 'restrictiveness', 'completeness', 'diversity', 'recursivity', and 'tendency'. The change in content consumption of modern people, defined as Homo Mobilicus and Homo Telephonicus, is changing along with the mobility culture. Therefore, there was a change in the method of enjoyment and composition of Korean sketch comedy with American sketch comedy as a blind child. Through this, Korean sketch comedy can be reconceptualized as a “comedy in the form of short form content consumed only on SNS.” In addition, the characteristics of Korean sketch comedy include 'autonomy', 'shortening', 'visibility', 'volatile', 'limited', and 'daily'. Simplicity and crackdownability can be seen in common with US sketch comedy, and limiting them to SNS media is the biggest difference. The method of inducing empathy, which is a characteristic of Korean schema comedy, could be divided into two. The channel “Nerdult” focuses more on setting and describing situations than setting characters through daily expressions. The channel “Shortbox” uses a method of expressing the triviality of everyday life through the verbal and non-verbal content of the character and the description of the situation.

      • KCI등재

        『대한매일신보』에 나타난 동양삼국(東洋三國) 인식과 계몽시가에서의 의미화 방식

        윤지아 ( Yoon Ji-a ) 우리어문학회 2017 우리어문연구 Vol.57 No.-

        본고에서는 근대계몽기에 나타난 東洋三國 인식이 어떻게 문학적으로 형상화되고 매체를 통해 소통되었는지에 대해 논하고자 한다. 동양삼국 인식을 다루었던 기존 연구에서 『대한매일신보』는 동양연대를 비판하는 입장의 언론으로 다루어졌다. 그리고 이 과정에서 그 상당수가 『대한매일신보』에 수록되어있는 계몽시가와 같은 문학양식은 자료 대상으로 고려되지 않았다. 이에 본고에서는 두 가지 측면에 착안하여 『대한매일신보』에 나타난 동양삼국 인식을 재고하였다. 첫째로, 『대한매일신보』에서는 논설 뿐 아니라 계몽시가라는 문학양식에서 동양삼국의 의미화가 동시에 이루어지고 있으며, 양식에 따라 동양삼국에 대한 입장차를 보이고 있다는 점이다. 두 번째로는 매체가 갖는 소통 능력의 측면에서 『대한매일신보』의 계몽시가는 동시대의 어떠한 장르보다 유리한 입지였기에, 이 작품들에 나타난 동양삼국 인식은 당시 대중들의 일반적인 이해도와 깊은 상관관계를 맺는다고 볼 수 있다는 점이다. 『대한매일신보』 논설들의 주된 논조와는 달리, 계몽시가에서는 동양삼국의 평화와 연대를 염원하는 동양주의를 강조하는 발화가 두드러진다. 이는 매체의 소통을 의식한 계몽지식인들의 전략적 양식 선택의 일환으로 볼 수 있다. 양식의 선택에 따라 동양삼국은 대중들과의 공감영역 속에서 다시 한 번 의미화되는 것이다. 이처럼 동양삼국에 대한 인식이 적극적인 연대 및 화해의 수사와 함께 인기리에 불리던 민요·잡가 등의 양식과 결합되어 나타나는 것은, 외세에 대한 대중들의 두려움과 공포를 지면에 반영하여 대중과의 소통·공감의 장을 만들어 가고자 하였던 계몽지식인들의 의도적 양식 선택의 결과라고 할 수 있다. This article aims at the poetry which is called Gyemong-siga(The song of enlightenment) in Daehanmaeilshinbo, based on the perception of East Asia in Daehanmaeilshinbo,and also the media communication of that time. The former studies usually referred Daehanmaeilshinbo as oppoiste side of the East Asian solidarity. However, the litarature in the same paper shows the evidence that the meaning of East Asia solidarity can be changed by the literal form. In the rhetorical writing, East Asia was written as the group of regional, ethnical homogeneity. However in the literature they are way more support the idea of East Asia solidarity. And the literal form was adapted from Minyo which has many possibilities of singing. In this study, I examined that the recognition of East Asia in literature was very closed to the Korean people who were suffering from the Japanese colonialism. The Gyemong-siga reveal the unjustice of japanese empire, and abolition of old customs. On the view of Reception aesthetics, these were deeply linking with people`s feeling. This is due to the fact that media of that time was used as the Enlightenment movement, and media signifying the idea differently for the people of that time.

      • 그림책과 멀티미디어 동화를 활용한 독서교육에서 유아의 반응연구 -언어적 반응과 비언어적 반응을 중심으로-

        윤지아 ( Yoon Ji A ) 한국독서아카고라학회 2021 독서아카고라연구 Vol.3 No.-

        본 연구에서는 그림책과 멀티미디어 그림책에 대한 영유아의 반응을 연구하고, 이를 통해 두 매체를 비교해 유아 독서교육에 적합한 매체를 찾는 것을 목적으로 하였다. 그림책을 읽는 활동은 읽어주는 교사 또는 학부모와 감정을 교류하고, 다양한 방식의 상호작용을 통하여 생각을 확장하고, 내용을 이해하는 과정이라고 할 수 있다. 또한 멀티미디어를 활용하는 것은 유아와 교사, 유아와 부모의 언어적 상호작용이 읽기 능력과 쓰기 능력 증진 및 유아의 문제해결 능력과 분석적 기능 등 사고력에 중요한 요소 중 하나라고 할 수 있다. 이러한 차이를 고려해서 어떤 정보, 어떤 이야기를 유아들에게 전할 것인지에 따라 전달 매체를 선택해야만 장단점을 살린 바람직한 효과를 기대할 수 있다. 또한 정확한 사실 전달과 학습 지도, 응용력의 조화를 위해서는 교사의 현명한 판단이 필요하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study the responses of infants and toddlers to picture books and multimedia picture books, and to compare the two media to find media suitable for early childhood reading education. The activity of reading picture books can be said to be a process of interacting with emotions with teachers or parents who read them, expanding their thoughts through various ways of interaction, and understanding the contents. In addition, the use of multimedia can be said to be one of the important factors in thinking skills, such as improving reading and writing skills, problem-solving skills, and analytical functions of infants. Considering these differences, a desirable effect of utilizing the advantages and disadvantages can be expected only by selecting a delivery medium according to what information and story to convey to infants. In addition, in order to accurately convey facts, harmonize learning guidance, and application skills, wise judgment of teachers is necessary.

      • KCI등재

        직업계고 교사의 갈등관리 유형에 따른 직무만족도 분석

        공시현(Si-Hyun Gong),윤지아(Ji-A Yoon),이창훈(Chang-hoon Lee) 대한공업교육학회 2021 대한공업교육학회지 Vol.46 No.3

        본 연구는 직업계고 교사의 갈등관리 유형에 따른 직무만족도의 차이를 분석함으로써 효율적인 갈등 관리 방법을 찾고 직무만족도를 높여 성공적인 교직생활을 영위하게 하는 데에 그 목적이 있다. 전국 직업계고 교사 수를 기준으로 비례유층표집 방식으로 784명에게 배부, 590부를 분석에 사용하였다. 연구 결과를 바탕으로 도출된 결론은 다음과 같다. 첫째, 직업계고 교사들은 서로 대화하고 타협하며 때로는 수용적인 자세로 갈등에 대해서 최선의 대안을 찾으려 하는 경향을 보였다. 많은 업무와 그에 따른 낮은 보상을 받고 있지만 교육에 대한 소명감 및 자부심을 느끼고 있었다. 둘째, 경쟁형과 회피형으로 나타난 교사는 자신의 목표를 상대방과의 관계보다 우선시하는 유형이기 때문에 상대방과의 관계에 대한 관심을 높일 수 있는 역량 신장프로그램 지원이 필요하다. 셋째, 대체로 보상과 업무 부담에 있어서는 낮은 만족도를 보이고 있다. 업무 부담에 대한 만족도가 높을수록 보상에 대한 만족도가 높아지므로 업무를 덜어주기 위한 인원의 보충이나 개선된 보상체계를 마련하는 것이 시급할 것으로 보인다. 넷째, 직업계고 교사의 직무만족도 향상을 위해서는 자신의 의견만을 고집하고 내세우기보다 이해와 타협 그리고 협력적인 자세를 갖도록 할 필요가 있다. 교사들에게 갈등관리 관련 프로그램이나 상대방과의 의사소통방법 등을 교육 내용으로 하는 연수를 제공하여 직무만족도 질 관리를 통해 성공적인 교직 환경 구축이 필요하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find an efficient conflict management method and increase job satisfaction to lead a successful teaching life by analyzing the difference in job satisfaction according to the type of conflict management of vocational high school teachers. Proportional sampling was conducted based on the number of vocational high school teachers nationwide, distributed to 784 people, and 590 copies were used for analysis. The conclusions drawn based on the results so far are as follows. First, they tended to talk and compromise with each other, and sometimes try to find the best alternative to conflict in an receptive manner. Although they received a lot of work and low compensation, they felt a sense of vocation and pride in education. Second, teachers who appear as competitive and evasive are the type that prioritizes their goals over relationships with others, so they need support for competency development programs to increase interest in relationships with others. Third, generally, it shows low satisfaction in terms of compensation and work burden. The higher the satisfaction with the work burden, the higher the satisfaction with the compensation, so it is urgent to supplement the number of people or prepare an improved compensation system to ease the work. Fourth, in order to improve job satisfaction of vocational high school teachers, it is necessary to have an understanding, compromise, and cooperative attitude rather than sticking to and presenting only their opinions. It is necessary to establish a successful teaching environment through job satisfaction quality management by providing teachers with training programs related to conflict management or communication methods with the other party.

      • KCI등재

        과정평가형 자격제도에 대한 직업계고 담당 교사의 관심수준 분석

        이지민(Jee-Min Lee),윤지아(Ji-A Yoon),이창훈(Chang-hoon Lee) 대한공업교육학회 2021 대한공업교육학회지 Vol.46 No.3

        본 연구는 관심기반수용모형(CBAM)을 기반으로 과정평가형 자격제도에 대한 직업계고등학교 자격 담당 교사의 관심수준을 분석하고자 281명의 과정평가형 자격 과정 운영 교사를 대상으로 조사연구를 실시하였다. 연구의 결론은 다음과 같다. 첫째, 자격 제도 전반의 이해, 목표에 대한 공유의 장이 마련되어야 하고, 준비 과정과 교육 및 훈련 내용, 제도를 학교 현장에 도입함으로써 기대되는 결과, 필요한 지원 방법 등에 대한 세세한 정보를 제공해주어야 한다. 둘째, 부장교사가 평교사에 비해 과정평가형 자격제도가 미치는 영향과 보다 나은 결과를 도출하기 위해 제도에 대한 발전적인 사고를 갖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에 부장교사는 평교사에 비해 학교 수준에서 과정평가형 자격과정이 적용되면서 발생하는 문제에 대해 고민하고, 학생들에게 미칠 영향에 대해 관심이 높은 것이라고 해석할 수 있다. 셋째, 중간경력 교사가 과정평가형 자격 과정을 운영함으로써 발생하는 개인적 갈등 가능성, 개인적 이득 등에 대해 갖게 되는 관심수준이 높으며, 효율적으로 과정을 운영하고자 함을 의미한다. 또한 제도의 보다 높은 성과와 효과를 얻기 위해 다른 교사와 협동적인 관계를 갖고 싶어 하는 것을 알 수 있다. 넷째, 교사의 과정평가형 자격 과정 운영 경력에 따른 제도에 대한 관심수준을 분석한 결과, 6단계(강화적 단계)에서 4년 이상 운영해본 교사가 1년 이하의 운영 경력을 가진 교사보다 관심수준이 높게 나타났다. 4년 이상의 경력교사는 제도에 대한 무관심도와 운영적 관심수준은 낮게, 협력적 관심수준은 높게 나타났다. 이는 높은 관심에 기초한 이행 노력의 이상적인 형태를 나타내며, 학교 교육의 본질적인 목표에 부합하는 유형이라고 할 수 있다. This study conducted a survey using the Stages of Interest Questionnaire (SoCQ) for 281 vocational high school teachers to analyze the level of interest of vocational high school teachers in the course evaluation-type qualification system based on the interest-based acceptance model(CBAM). The conclusions of the study are as follows. First, a place to understand the overall qualification system and share goals should be provided, and detailed information on the expected results and necessary support methods should be provided by introducing the preparation process, education and training contents, and system to the school site. Second, It was found that the senior teacher had developmental thinking about the system in order to derive better results and the impact of the course evaluation qualification system compared to the regular teacher. Therefore, it can be interpreted that compared to regular teachers, senior teachers are more interested in the impact on students and think about the problems arising from the application of course evaluation-type qualification courses at the school level. Third, the analysis results according to educational experience are as follows. This means that intermediate-career teachers have a high level of interest in the possibility of personal conflict and personal benefits arising from running a course evaluation-type qualification course, and they want to run the course efficiently. In addition, it can be seen that they want to have a cooperative relationship with other teachers to achieve higher performance and effectiveness of the system. Fourth, as a result of analyzing the level of interest in the system according to the teacher"s course evaluation-type qualification system course operation experience, teachers who have operated for more than 4 years in 6 stages (reinforced stages) showed higher levels of interest than teachers with less than 1 year of experience. For teachers with more than 4 years of experience, the level of indifference to the system and operational interest was low, and the level of cooperative interest was high. This represents the ideal form of implementation efforts based on high interest, and can be said to be a type that meets the essential goals of school education.

      • KCI등재

        지역사회와의 연계를 통한 직업계고 교육 운영 방안

        강경균(Kyoung-Kyoon, Kang),윤지아(Ji-A, Yoon),홍영지(Young-ji, Hong),백민정(Min-jung, Baek) 학습자중심교과교육학회 2021 학습자중심교과교육연구 Vol.21 No.3

        이 연구의 목적은 지역사회 기반의 직업계고 운영 사례를 탐색하여 직업계고가 지역사회와의 소통과 협력을 통해 혁신적인 성장을 할 수 있는 방안을 탐색 및 도출 하는 것이다. 이러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사례 연구(Case study)를 실시하였으 며, 사례 내 주제 분석과 사례 간 비교 분석을 통하여 지역사회 기반의 직업계고 운영 방안을 도출하였다. 그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직업계고는 지역사회와 지속 적인 소통과 협력을 통해 상생할 필요가 있다. 특히 직업계고는 학교의 유휴시 설을 이용하여, 창업지원센터, 직업교육센터, 지역나눔 배움터를 지역 주민과 공유하고, 지역사회의 지역기업, 대학 및 학교, 공공기관, 첨단 장비 보유기관에서 직업교육을 함께 협력할 수 있다. 둘째, 지역사회와 연계하여 직업계고를 운영할수 있는 유형으로 진정한 성장형, 숙련기술 함양형, 가치 창출형이 도출되었다. 셋째, 지역사회 기반 직업계고 운영을 위해 지역사회의 소통과 직업계고 협력의 주요 원리로서 학교(학생, 교원)의 주도성, 교육과정 연계성, 교육활동의 역동성, 교육 여건의 효율성이 요구됨을 알 수 있었다. 마지막으로, 직업계고에서 효율적 운영을 위한 실천 전략으로서 다음과 같은 전략을 제안할 수 있다. 초·중·고·대 학교의 성장을 위한 협력, 지역 주민과 학교, 기업 등의 지역구성과의 멘토링 실시, 지역의 평생교육센터로서 주민과의 평생교육 운영, 지역 전문가를 활용한 프로젝트 수업, 지역사회와 연계한 맞춤형 프로젝트를 통한 실무 능력 향상 및 기술에 대한 전문성 강화 등 다양한 전략을 연계 적용함으로써 직업교육의 교육 운영 활성화를 기대할 수 있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develop a community-based vocational management model to provide a way for vocational high schools to achieve innovative growth through communication and cooperation with local communities. To achieve the purpose of the study, a case study was conducted among qualitative research methodologies, and a community-based vocational management model was developed through intra-case subject analysis and comparative analysis between cases. The results are as follow. First, vocational high schools are required to win-win through communication and cooperation with local communities. Vocational high schools use the school s idle facilities, share entrepreneurship support centers, vocational education centers, and community sharing learning centers with local residents, and vocational education at local companies, colleges and schools, public institutions, and attached equipment in local communities. Second, the real growth type, skill cultivation type, and value creation type were derived as the community-based vocational high school operation type. Third, for the operation of community-based vocational education, it can be seen that as the main principles of community communication and vocational cooperation, leadership of schools, curriculum linkage, dynamics of educational activities, and efficiency of educational conditions are required. Lastly, as a strategy for efficient operation in vocational high schools, cooperation for the growth of local schools, mentoring with local constituents such as schools and businesses, and local residents as lifelong education centers You can practice improving life skills and strengthening your expertise in technology through lifelong education management, project lessons using local experts, and customized projects linked to the community.

      • KCI등재

        직업계고 학점제 연구·선도학교 학생의 과목 선택기준 인식 분석

        김신은(Sin-Eun Kim),윤지아(Ji-A Yoon),이창훈(Chang-hoon Lee) 대한공업교육학회 2021 대한공업교육학회지 Vol.46 No.3

        이 연구는 직업계고 학점제에서 학생의 과목 선택기준 인식과 과목 선택 경험에 대한 인식을 분석하여, 직업계고 학점제를 운영하는 학교에서 교육과정 편성에 도움이 될 만한 기초자료를 제공하는 데 목적이 있다. 이를 위해 학생의 과목 선택기준과 관련된 선행연구를 분석하여 16개 과목 선택기준을 도출하였으며, 직업계고 학점제연구·선도학교 21개교 2, 3학년 585명을 대상으로 설문 조사를 하였다. 주요 연구 결과로는 첫째, 직업계고 학생들은 과목을 선택하는 데 있어 주변에 영향을 받는 것보다 자신의 진로에 따른 취업과 직업과 관련된 과목을 가장 고려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학생 배경변인별 몇 가지 과목 선택기준 인식에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를 보였으며, 특히, 취업이나 진학 등 목표가 있는 학생들이 진로를 결정하지 못한 학생들보다 자신의 목표에 따른 과목을 선택하려는 경향성을 보였다. 셋째, 직업계고 학점제와 과목 선택 경험에 대한 학생의 인식 결과를 살펴보면, 학점제에 대해 아는 정도가 보통보다 약간 높은 정도(M=3.45)로 나타났으며, 학생선택 교육과정이 학생의 진로에 어느 정도 도움(M=3.95)이 되는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자신이 선택한 과목에 대한 수업 만족도는 보통보다 약간 높은 정도(M=3.77)로 나타났으며, 선택한 과목을 변경하고 싶은 이유로 취업과 관련 전공 변경(42.5%), 진학으로 변경(14.4%)이 약 57%의 비중을 차지하였고, 과목의 어려움(28.8%)으로 나타났다. 연구 결과를 종합해보면, 학생들은 과목 선택에 있어 우선적으로 자신의 진로를 고려하며, 학생 특성에 따라 과목 선택기준의 인식에 대한 차이가 있다는 것을 알 수 있었다. 또한, 많은 학생들이 직업계고 학점제에 대해 알고 있으며, 학점제가 자신의 진로에 도움이 된다고 생각한다. 하지만, 진로를 명확하게 파악하지 못하였거나, 진로변경과 과목의 어려움으로 인한 과목 변경 희망, 희망하는 과목이 개설되지 않은 학생들도 있다는 것을 알 수 있었다. 이러한 연구 결과를 토대로 학교에서는 학생들의 진로 역량 증진, 학과별 분석을 통한 학생 맞춤형 진로지도, 전공 교과와 진로지도의 병행, 수업의 질 향상, 학교 간·밖 교육과정 활성화 등 학생들이 진로와 관련하여 다양한 과목을 이수할 수 있도록 할 수 있는 노력이 필요하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analyze students" perceptions of subject selection criteria and subject selection experience in the vocational high school credit system, and provide basic data that can be helpful in organizing the curriculum in schools that operate the vocational high school credit system. Summarizing the research results, it can be seen that students give priority to their own career path in selecting subjects, and that there are differences in their perception of subject selection criteria according to student characteristics, such as gender, region, and desired career path after graduation. Also, many students are aware of the vocational high school credit system and think that the credit system is helpful for their career path. However, it can be seen that there are students who did not clearly understand their career path, wish to change their course due to the change of course or the difficulty of the subject, or that the desired subject was not opened. Based on the results of this study, the school provides students with career guidance, customized career guidance through analysis by school and department, parallelism between major subjects and career guidance, improvement of class quality, and activation of inter-school and out-of-school curriculum operation. Efforts are needed to open a variety of subjects related to the career path of students.

      • KCI등재

        초·중등 수송 기술 교육 관련 연구 동향 분석

        김성인(Sung-In Kim),윤지아(Ji-A Yoon) 대한공업교육학회 2022 대한공업교육학회지 Vol.47 No.3

        이 연구의 목적은 초․중등 수송 기술 교육에 관련된 연구 논문을 수집 및 분석하여 연구 동향을 파악하고, 향후 연구가 필요한 분야와 방향을 제시하는 것이다. 이를 위해 ‘연구 시기’, ‘연구 대상’, ‘연구 주제’, ‘연구 방법’, ‘연구자 특성’ 의 5개 항목으로 관련 논문을 분석하였으며, 연구의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수송 기술 교육 관련 연구는 2002년부터 2022년 2월까지 총 81편의 연구가 이루어졌는데, 이는 생명 기술이나 발명 등 다른 분야에 비해 연구물이 적은 편이다. 둘째, 수송 기술 교육 관련 연구는 주로 초·중·고등학생과 문헌을 대상으로 이루어졌으며, 교사 및 예비 교사를 대상으로 이루어진 연구는 부족한 편이다. 셋째, 수송 기술 교육 관련 연구의 주제는 교수·학습 자료 개발과 교육과정, 교과서가 대부분이었고 교육 평가, 시설 및 설비, 태도와 인식, 교육 철학에 대한 연구는 저조하였다. 교수·학습 자료 개발의 하위 주제를 살펴보면 육상 수송 기술과 신재생에너지에 관한 연구가 많았고 해상 수송 기술과 우주항공 수송 기술, 동력 기관에 관한 연구는 비교적 적은 편이었다. 넷째, 수송 기술 교육 관련 연구의 방법은 문헌 연구와 양적 연구가 대부분이었다. 혼합 연구가 수행된 논문도 일부 있었지만 질적 연구를 활용한 논문은 전무하였다. 다섯째, 수송 기술 교육 관련 연구는 단독 연구자에 의한 논문이 가장 많았으며 2인이 연구한 논문이 그 뒤를 이었다. 연구자는 관련학과 교수와 현직 교사가 대부분이었으며 연구소 소속은 매우 적었고 산업 현장의 전문가는 전무하였다. 이상의 연구 결과를 토대로 향후 초·중등 수송 기술 교육 연구에서는 연구 대상, 연구 주제, 연구 방법의 측면에서 다양성을 추구하여 수송 기술 교육의 개선을 도모해야 할 것이다. 또 급변하는 기술 발전을 반영하기 위해 산업 현장의 전문가, 교사, 교수 등 다양한 연구자가 함께 연구를 이어나갈 필요가 있을 것이다. 나아가 2022 개정 교육과정이 추후 확정되어 개정·고시되면 이 연구의 결과를 토대로 새로운 교육과정에서 수송 기술 교육 연구는 어떤 방향으로 이루어져야 할지 고민할 필요도 있을 것이다. This research is aimed at collecting and analyzing research papers on transportation technology education in elementary and secondary schools, to analyze research trends, and to present the fields that require research in the future and the directions of such researches. The results were as follows: First, a total of 81 researches on transportation technology education were conducted from 2002 to February 2022, which indicated that the outcomes were less than those in biotechnology, invention, and other fields. Second, the research on transportation technology education was carried out on both elementary, middle and high school students, and literature. Meanwhile, less research was conducted on teachers and pre-service teachers. Third, the research was fully conducted on the development of teaching and learning materials, curriculums, and textbooks as its theme, but was poorly conducted on educational evaluation, facility and equipment, attitude and perception, and educational philosophy. Fourth, the research extensively employed literature reviews and quantitative research. Some papers used mixed-method research; however, no paper utilized qualitative research. Fifth, in the research on transportation technology education, most papers were compiled solely by one researcher, and then followed by two researchers. Researchers engaged fully with the relevant department professors and in-service teachers. Based on the above results, more research on transportation technology education in elementary and secondary schools is needed to improve the education on transportation technology by enhancing diversity in the aspects of research subject, theme, and methods. To reflect rapid advances in technology, it is also necessary to continue conducting research along with various researchers, such as professionals in industrial sites, teachers, professors, etc.

      • KCI등재

        임상에서 분리한 Streptococcus pneumoniae에서 Levofloxacin 내성유전자의 비교 연구

        최재민 ( Jae Min Choi ),박선희 ( Seon Hui Park ),윤지아 ( Ji A Yoon ),한양금 ( Yang Keum Han ),이인수 ( In Soo Lee ) 한국치위생과학회 2012 치위생과학회지 Vol.12 No.2

        One hundred seventy four Streptococcus pneumoniae clinical isolates were categorized depending on the types of specimens, the age and the gender, respectively. All isolates were analyzed the characteristics of the multi-drug resistance including levofloxacin antibiotics. In the results of analysis depending on the type of samples, it had been confirmed that sputum was the main source of pneumonia infection because 156 of 174 strains (89.7%) were isolated in sputum samples. The opportunity for isolating the S. pneumoniae that had tolerance to levofloxacin was increased in over 51 age patients group compared with other age and male group. Eight strains of isolates were evaluated higher resistant to levofloxacin, and those also showed multi-drug resistant including penicillin, tetracycline, erythromycin, clindamycin and trimethoprim-sulfamethoxazole. In the results of sequence analysis of quinolone resistance determining region in SP32 (MIC 64 μg/mL) and SP96 (MIC 8 μg/mL) which were levofloxacin resistant strains, an amino acid substitutions were found Ser-81→Phe in both GyrA of SP32 and SP96, and Ser-11→Gly in only SP96. A Ser-79→Phe substitution of ParC was found in both.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