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중국 신형도시화의 전환적 함의: ‘사람의 도시화’와 모빌리티 패러다임

        윤종석 ( Yoon Jongseok ) 성균관대학교 성균중국연구소 2020 중국사회과학논총 Vol.2 No.2

        이 글은 개혁개방 이후 중국 사회의 변화를 모빌리티에 주목하여 검토한다. 특히 2014년 신형도시화규획을 중심으로, 기존 도시화 방식과의 전환적 함의를 도출하고, ‘사람의 도시화’가 모빌리티에 기반한 사회체제로의 전환되고 있는지를 검토한다. 중국의 새로운 도시화 정책은 거대한 모빌리티의 적극적인 활용과 더불어, 정책 목표 하의 일정 방향으로 모빌리티를 유도하는 주요한 실험을 진행 중이다. 특히, 중국 정부는 복지혜택을 활용하여 인구의 이동을 자신의 목표에 따라 촉진하고자 하는 ‘사람의 도시화’정책을 추진해왔고, 호구제도는 이러한 모빌리티를 추동하는데 주요한 기반으로 여전히 활용되고 있다. 하지만, 현재의 도시화 정책은 과거와 다른 개선적 효과에도 불구하고, 여전히 실용주의적 성격을 강하게 띠면서 근본적인 한계를 노정하고 있다. 중장기적인 사회체제 개혁을 위한 모멘텀을 어떻게 찾아나갈지에 주목하는 동시에, 중국의 사회적 공간이 대내외적으로 연결되고 복합적인 글로벌 공간으로 전환됨에 주목하여, 중국 사회의 중장기적인 변화를 주목해볼 필요가 있다 This study examines the changes in Chinese society since the reform and opening-up, paying attention to mobilities. In particular, focusing on the new-type urbanization plan in 2014, it will draw transformative implications different from the existing urbanization methods and examine whether “human-centered urbanization” leads to transition to the social system based on mobilities. China’s new urbanization policy, coupled with the active use of enormous mobility, is conducting major experiments to induce mobilities in a certain direction under its policy objectives. In particular, the Chinese government has pursued a policy of ‘human-centered urbanization’ that aims to promote the movement of the population according to its own goals by utilizing welfare benefits, and the hukou system is still used as a major foundation for driving this mobility. However, the current urbanization policy, despite its different remedial effects from the past, still has a strong pragmatist character and is on the road to fundamental limitations. It is necessary to note how to find momentum for mid- to long-term social system reform, while also noting that China’s social space is connected internally and externally and transformed into a complex global space.

      • KCI등재

        ‘지역’으로서의 ‘동아시아’: 메가아시아적 접근의 함의

        윤종석(Jongseok Yoon),최경희(Kyungee Choi),이주현(Joohyun Lee) 서울대학교 아시아연구소 2021 아시아리뷰 Vol.11 No.2

        본 연구는 ‘동아시아 지역’이 한반도를 중심으로 한 동북아시아 지역을 넘어 동남아시아 지역으로 확장될 필요를 제기하면서, ‘동아시아 지역’의 수평적 외연·내포와 역내외의 상호 관계(정치적, 경제적, 사회문화적 등)를 통해 재구성되는 동아시아의 함의와 과제를 보다 적극적으로 검토해 볼 필요를 제기한다. 메가아시아적 접근방식은 기존 동아시아담론과 동아시아공동체론의 비판과 대안으로 제시되기보다는, ‘동아시아’란 질문을 아시아와 세계 차원으로 확장할 필요와 가능성을 제기한다. 아세안적 방식으로 지역형성을 해 온 동남아시아 국가들의 경험을 플랫폼으로 활용하여 등장한 ASEAN+N 전략을 통해 한국을 포함한 역내 국가들이 자기구성하는 ‘동아시아 지역’과, 다른 지역과의 상호작동을 통한 ‘지역’의 활용에 대한 연구를 본격적으로 시작할 필요를 제시한다. 그 과정에서, 사회적으로 구성되는 ‘동아시아 지역’에 대한 연구가, 국가단위뿐만 아니라 지역 단위와 다양한 행위자들을 포함한 네트워크적 접근의 필요를 제기하면서, 지역과 지역이 연동하는 아시아로서 메가아시아적 접근방식의 과제와 함의를 도출한다. This study raises the need to expand the ‘East Asia’ concept beyond Northeast Asia centered on the Korean Peninsula to Southeast Asia, and to more actively examine the implications and tasks of East Asia, which are reconstructed through horizontal and external interactions (political, economic, and socio-cultural). Rather than being presented as a criticism and alternative to existing East Asian discourse and East Asian community perspective, the Mega-Asian approach raises the need and possibility of expanding the question of ‘East Asia’ to the Asian and global dimensions. The ASEAN+N strategy, which emerged through experiences of Southeast Asian countries that have formed regions in an ASEAN way, as a platform, suggests the need to start researching the use of ‘East Asian regions’, and ‘regions’ unit/concept through interaction with other regions. In the process, studies of socially constructed ‘East Asian regions’ derive challenges and implications of the Mega-Asian approach as a networked whole region, raising the need for a network perspective, including regional units and various actors.

      • KCI등재

        중국의 급속한 도시화

        윤종석(Yoon, Jongseok) 역사비평사 2016 역사비평 Vol.- No.115

        Shenzhen SEZ’s experience has a number of implications for rapid urbanization in China. Policy autonomy as in SEZ will create rapid economic growth and urbanization of Shenzhen with the help of HongKong in providing external access and rural-to-urban migration as cheap labor. Shenzhen’s rapid development, which is often called ‘Shenzhen Speed’, has led to an industrial upsurge centered on electronics and communications and Metropolitan urbanization connected with Hong Kong, the Pearl River Delta, Dongguan, and Huizhou. However, Shenzhen’s experience shows numerous drawbacks related to the qualitative level of urbanization, especially ‘urbanization of the human population.’ Although Hukou and residence permit reform have improvedsome injustices and inequalities, the uneven and unequal distribution of risk and opportunity of groups and individuals is not easy to adjust and coordinate.

      • KCI등재

        선전의 꿈과 발전담론의 전환: 2000년대 사회적 논쟁을 통해 본 선전 경제특구의 새로운 위상정립

        윤종석 ( Jongseok Yoon ) 현대중국학회 2015 現代中國硏究 Vol.17 No.1

        2000년대 선전에서 벌어진 발전전략 및 발전담론의 전환은 경제특구로서의 새로운 위상정립과 긴밀하게 맞물려 이루어졌다. 도시간 경쟁이 치열해지면서 선전에서는 내외부적으로 매력적인 공간으로 거듭나기 위한 새로운 시도들이 이루어졌다. 그 결과, 선전시 핵심표어가 ‘속도의 선전’에서 ‘효익이 높은 선전’, ‘조화로운 선전’으로 바뀐 데서 알 수 있듯 커다란 질적인 변화가 이루어졌다. 양적 발전에서 질적 발전으로 발전전략이 전환되는 가운데, 선전은 첨단과학기술의 도시이자, 디자인의 도시, 창업의 도시로 새롭게 도시브랜딩되었다. 선전위기론의 사회적 확산은 발전담론을 사회문화적인 측면까지 확장하도록 이끌었다. 즉, ‘특별한 것’으로서 경제특구의 새로운 위상을 정립하려는 시도는 선전의 핵심적인 도시정신을 개혁과 혁신, 개방으로 재구성하였다. 선전 10대관념에서 드러나듯, 개방과 포용, 관용의 모습은 선전을 대내외적으로 더욱 매력적인 공간으로 만들고 있으며, 실제 ‘선전인’은 매력적인 공간의 전환과 발전의 주체로서 자리매김하였다. 좋은 학력과 기술을 갖추어 안정적인 직장을 얻을 수 있거나, 창업을 통해서 성공을 꿈꾸는 젊은 청년들은 바로 ‘선전인’의 핵심동력으로 설정되었다. 그러나 선전인구의 대부분을 차지하고 있는 농민공들에게 이러한 ‘선전의 꿈’이란 현실로 이루어내기 결코 만만한 것이 아니었다. 결국 선전의 포용과 관용은 농민공들이 선전에서 생활하기에 불편함이 없을 정도의 수준으로만 한정되어 있는 것이다. The transformation of developmental strategy and developmental discourse in Shenzhen, 2000s engaged with new positioning of Shenzhen as SEZ. As intercity competition has increased, Shenzhen have tried to make itself an attractive space in 2000s. As a result, Shenzhen city government changed its own core slogan from ‘Speedy Shenzhen’ to ‘Quality Shenzhen’, ‘Harmonious Shenzhen’. While the developmental strategy has been changed from quantative one to qualitative one, Shenzhen‘city brand has also been changed to ‘High-Tech city’, ‘Design City’, and ‘Creative City.’ Aa widely recognized perception and awareness on Shenzhen crisis helped to push the developmental discourse into socio-cultural dimensions. And, endeavor to a new position as ‘Special’ SEZ restructured its city spirit to reform, innovation and openness. As seen in Shenzhen 10-point Ideas, openness, incorporation and tolerance make Shenzhen more attrative space both internally and externally. In line with that, ‘Shenzhen citizen’ is rerresented as the subject of transformation and development in that space. But tht subject is not rural migrant worker, who makes up the majority of Shenzhen residents, but a competent young people. ‘The Shenzhen Dream’ means tolerance and limitations at the same time to rural migrant workers.

      • 장기 코로나 시대, 중국 사회는 어떠한 교훈을 얻을 수 있을까 ―향후 연구작업을 위한 시론적 접근

        윤종석(Yoon Jongseok) 동서대학교(동아시아연구원) 2023 동아시아와 시민 Vol.4 No.-

        본 글은 ‘장기 코로나 시대’란 문제설정을 통해 지난 3년여간의 중국 코로나 경험을 되짚어보고 중국 사회가 어떠한 교훈을 얻을 수 있을까에 대해 탐색한다. 전세계 모든 국가에 상대적인 실패와 더 나쁜 실패만 있을 뿐이란 점에서, 2020년 초반과 2022년 말에 벌어졌던 두 차례의 코로나 대응 위기를 살펴보고, 그 속에서 드러났던 중국 체제의 ‘민낯’과 장점과 관련된 다양한 이슈들을 검토한다. 아울러, ‘장기 코로나 시대’에 방역의 성공뿐 아니라 경제적 불황, 사회적 스트레스 등을 오래 견뎌낼 수 있는 ‘사회의 지구력’을 검토하면서, 중국 체제의 강고함과 회복탄력성 차원에서 관련된 이슈들을 검토하고 후속 연구과제를 제기한다. 이를 통해, 향후 뉴 노멀로의 진전을 위해 중국 사회는 어떠한 교훈을 얻을 수 있을지를 탐색하고 향후 연구가능성을 열어놓는다. This paper explores the lessons that Chinese society can draw from its experiences with the COVID-19 pandemic over the past three years, framed within the context of the ‘Long-Term COVID Era.’ While acknowledging that all nations have faced relative failures and, at times, grave failures, we examine the two crises in the early 2020s and late 2022 that unfolded in China in response to the COVID-19 pandemic. Within these crises, we scrutinize various issues related to the ‘genuine face’ and strengths of the Chinese system. Additionally, we assess the ‘societal resilience’ to endure not only the success in disease control but also economic downturns, social stress, and other challenges in the ‘Long-Term COVID Era,’ exploring issues related to the strength and recovery resilience of the Chinese system. By doing so, we aim to investigate what lessons Chinese society can draw for future progress in the ‘New Normal’ and propose potential avenues for future research.

      • KCI등재

        중국 전기자동차 산업발전과 전망: 중국 정부의 산업육성정책 평가를 중심으로

        박준기 ( Park Jun-ki ),윤종석 ( Yoon Jongseok ),이현태 ( Lee Hyuntai ) 현대중국학회 2017 現代中國硏究 Vol.18 No.4

        이 논문은 산업혁신체제 관점에서 중국 전기차산업의 발전 상황을 개괄하고 전기차로의 패러다임 전환을 활용한 중국 자동차산업의 추격 성공가능성에 대해 고찰한다. 최근 중국 전기차산업에서는 정부의 강력한 육성 정책과 로컬브랜드들의 혁신 노력, 소비자들의 수요 증가라는 차원에서 혁신시스템이 진전되고 있다. 로컬브랜드들이 핵심기술을 빠르게 내재화하고 있고, 정부도 차세대 자동차산업의 주도권 확보와 에너지 및 환경문제 해결이라는 목표를 위해 전폭적 지원을 하고 있기 때문이다. 중국 정부의 전기차 육성 정책은 시장 수요 확대와 기술개발 지원 역할로 구분된다. 시장 수요 창출을 위해서 정부는 공공기관의 우선구매, 면세 및 보조금 혜택, 충전 인프라 확충 등 정책을 펴고 있다. 기술개발을 위해서는 주요 국가급 정책에서 전략산업으로 규정하여 시기별 혁신능력고도화 방안 및 목표를 지정하였다. 그러나 여전히 중국이 전기차 주도로 자동차산업 주도권을 획득하기는 간단하지 않다. 우선 전기차는 내연기관차에 비해 상당히 구조가 간단함에도 불구하고 기술주기가 길고 산업구조가 복잡한 자동차산업 특성을 변화시키기에는 상당한 시간을 요한다. 아직 글로벌 완성차업체나 배터리업체에 미치지 못하는 기술력도 문제다. 향후 보조금이 줄고 외국브랜드와의 경쟁이 격화되면 중국기업들이 고전할 가능성이 높다. 브랜드 가치 축적에도 시간이 필요하다. 다만 최근 전기차 외에도 스마트카 등 혁신들이 빈번해지고 있음을 고려할 때, 중국 자동차산업의 의미 있는 주도권 획득여부는 이들 혁신기회를 얼마나 종합적으로 활용하느냐에 따라 달려있다. This study examines the recent development of China`s electric vehicle(EV) industry from the viewpoint of the Sectoral Innovation System and the prospect of China`s auto industry to catch-up successfully by using a paradigm shift to EV. Recently, the innovation system in China`s EV industry has advanced along with strong upbringing industry policies, innovation efforts of local brands, and increases of consumer demand. Local brands are rapidly internalizing key technologies, and the government is fully supporting initiatives for leading the next-generation auto industry to solve energy and environmental problems. The Chinese government`s policies to nurture EV industry are divided into market demand expansions and technology development supports. The government is implementing policies such as priority purchase of public institutions, tax exemption and subsidy benefits, and expansion of the charging infrastructure to create market demand. China has designated EV as the strategic industry to develop technology in its major national policies. However, taking the lead in the auto industry with EVs is still difficult for China. First of all, even though the structure of EV is relatively simple, considerable time is still required to completely change the characteristics of the automobile industry, which has a long technology cycle and a complicated industrial structure. The technological competitiveness of Chinese companies that do not reach the level of global competitors is a problem as well. In the foreseeable future, if the subsidies decline and competition with foreign brands intensifies, then Chinese players are likely to struggle. Accumulating brand value is also a constraint on Chinese companies. However, considering the more frequent innovations in recent years, such as smart cars and sharing economic models, successful catch-up of China in the automobile industry depends on how Chinese companies synthetically utilize these opportunities.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