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학위유형
        • 주제분류
          펼치기
        • 수여기관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지도교수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라파엘 모네오의 건축구성 고찰

        윤영일 전남대학교 대학원 2007 국내석사

        RANK : 248655

        시대를 주도하는 건축가들은 자신만의 개념을 통해 건축체계를 구축한다. 이와 달리 역사를 포함한 선례나 기존의 건축개념 어휘를 참조하고 조합하여 자신의 건축개념을 만들어가는 건축가들이 있다. 현대건축의 근본적 속성인 ‘다양성’은 이와 같은 상호 참조 혹은 복제의 가능성을 높인다. 이들은 선례의 개념과 이론을 직접적으로 연구하고, 이에 대한 영향을 숨기지 않는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현 시대의 패러다임이나 다양한 흐름 속에서 그들만의 독특한 의미와 위치를 가지게 된다. 라파엘 모네오(Rafael Moneo)는 그 대표적 건축가로 교육자로서의 경력과 실제 건축 작업을 병행하며 이론적 작업의 결과들을 작품에서 쉽게 찾아볼 수 있다. 본 연구는 라파엘 모네오의 건축에서 보이는 스페인 건축의 지역적, 사회적 관계와 인문적 영향의 관계를 통한 디자인의 사상적 배경을 찾고 그의 90년대 전․후반의 작품에서 보이는 역사적 건축으로부터의 영향과 그의 건축문법에 대해 알아보고자 한다. 이를 통해 라파엘 모네오의 건축구성방법이 현대건축의 경향에서 어떠한 위치를 차지하는지를 알아보고자 하는데 그 목적이 있으며, 연구결과 다음과 같은 결론을 얻을 수 있다. 1. 라파엘 모네오는 스페인 지역주의 건축의 영향과 근대 건축의 영향을 통한 건축적 배경을 보이고 있다. 이는 모더니즘 건축을 인정하고 지역적 건축의 특성을 보완하고 변화시키는 형태로 그의 작품을 이해할 수 있다. 2. 라파엘 모네오 작품의 주축이 되는 기본적인 요소는 과거의 사례를 현대적으로 재해석하는 방식으로 설명할 수 있다. 그것은 공간의 개념, 입면의 특징 그리고 그 건축물이 가지고 있는 장소와 맥락에 대한 변용으로서 그의 작품에 나타나고 있다. 3. 라파엘 모네오는 건축은 서로 다른 두 가지 형식을 취하고 있다. 대지가 가지고 있은 장소성과 그가 가지고 있는 건축문법과 아이디어를 더하여 장소가 가지고 있는 이벤트의 요소를 부각시킨다. 그러한 방법의 한계 시에는 장소나 대지가 아닌 건물 자체의 특징을 이용한 조형성과 사용자가 체험하는 질서를 풍부하게 하는 요소로서 그의 작품을 특징짓고 있다. 4. 라파엘 모네오의 작품에서는 동 시대 작가들의 작품에서 보여 지는 건축적 개념이나 형태적 어휘들이 나타나고 있다. 이는 라파엘 모네오가 교육자로서 강의 하였던 영향과 동 시대 작가들에 대한 비평작업의 영향을 받고 있다. 5. 라파엘 모네에게 있어 건축문법의 개념은 근대건축의 기본적인 재료였던 콘크리트와 유리의 현대적인 재해석으로 나타나고 있다. 과거 건축물의 물성과 느낌을 살리면서도 상세한 부분은 현대적 표현의 변화에 적절히 대응하고 있다. 본 연구를 통해서 본 라파엘 모네오의 건축에서 활용 가능한 부분은 공간 구축의 방법과 외피의 표현방법을 통한 역사적 건축의 요소의 도입에 대한 관심을 들 수 있다. 하지만 그러한 건축의 기저에는 지역적, 인문적 배경이 밀접한 관계를 맺고 있음을 알 수 있다. 이는 그의 작품이 단순한 과거의 건축개념을 차용하는 것이 아니라 그가 가지고 있는 역사적 건축물에 대한 이해와 동시대 작가들에 대한 분석이 그의 건축 구성의 기반이 되고 있다는 것을 알 수 있다. 이는 곳 현 시대의 패러다임이나 다양한 흐름 속에서 그의 건축만의 독특한 의미와 위치를 확보하고 있는 것이다.

      • 교과 통합을 통한 고전 소설 지도 방안 연구 : <최척전>을 중심으로

        윤영일 인하대학교 교육대학원 2011 국내석사

        RANK : 248639

        <국문 요약> 문학의 성격에 비추어 문학 교육은 ‘인간은 문학 활동으로 무엇을 할 수 있는가?’라는 물음에 대한 답을 탐색하고 그 실천 방안을 모색하는 것이어야 한다. 이를 위해서는 문학의 심층적 이해를 통한 수용과 문학을 자신의 삶과 직결되어 있음을 인식하고 내면화 하는 과정이 선행되어야 하는 것은 당연하다. 그러나 고등학교 교육과정 내에서의 문학 교육은 문학 교육의 성격과 목표에 비추어 보았을 때, 학습자의 자기 주도적 탐구 활동은 물론이거니와 대학 입시와 맞물려 주입식 교육이 주를 이루고 문제풀이식의 학습 전략을 문학 교육이라고 하는 등 파행을 거듭하고 있음은 주지의 사실이다. 특히, 고전 소설은 생소한 어휘와 고리타분한 고전이라는 선입견으로 인해 학습자들에게는 흥미는 차치하고라도 접하기 조차 꺼리는 문학 장르로 인식되어 있다. 본고에서는 사실주의적 고전 소설 <최척전>을 통해 학습자의 고전 소설에 대한 거부감을 해소하고 흥미를 유발하며, 고전 소설과 학습자의 삶이 서로 밀접한 관계가 있음을 깨달아 실천적 문학 활동으로 발전할 수 있도록 타 교과와의 통합 교육을 통한 지도 방안을 모색하였다. 우선 <최척전>의 시대적, 공간적 배경을 바탕으로 역사 교과와의 통합 교육을 통한 지도 방안을 제시하였다. <최척전>의 시대적 공간적 배경을 역사 교과의 16~17세기 동아시아 전란과 동아시아 각국과의 관계 속에서 이해할 수 있도록 <국사>교과서와 <역사부도>를 살펴보고 이를 통합하여 수업을 설계하고 지도 계획을 제시하였다. 또한 <최척전>에서 보여주고 있는 고난 극복과 희망의 구심점으로서 가족과 가족애, 사회 문제로까지 이해할 만한 자살 문제를 학습자의 삶과 현실 문제에 연계하여 작품을 수용하고 내면화하는 과정이 될 수 있도록 사회 교과와의 통합을 통한 지도 방안을 모색하였다. 마지막으로 <최척전>의 주제 의식인 ‘가족이산의 문제’는 우리의 현실 속에서도 재현되고 있기 때문에 창의적 체험활동에서의 ‘학술활동, 지역사회 봉사활동, 진로탐색 및 진로 체험 활동’과 연계하여 실천적인 문학 활동과 더불어 자율성과 다양성에 기초한 창의․인성 교육이 가능하도록 작품과 연계하여 지도하는 방안을 모색하였다. 그러나 본고에서는 실제 교과를 통합하여 지도함으로써 얻어 지는 효과에 대한 실증적 검증, 교사 간 의사소통의 유형과 방법, 수업 설계에 있어서의 구체적이고 세밀한 계획, 학생의 문학 활동 유형의 다양화 등에 대한 연구가 부족하다는 한계가 있다. 문학 교육을 지도하는 교사는 실제로 학습자와 소통이 이루어지는 학교 현장에서의 문학 교육이 주입식 입시 교육이라는 비판을 겸허히 수용하고 반성하여야 한다. 학습자 스스로 자기 주도적 탐구활동을 통해 자신의 삶을 성찰하고 내면화하여 평생토록 실천적 문학 활동이 이루어질 수 있는 바탕을 마련하는 방향으로 문학 교육의 일대 전환이 필요하다. 학교 현장에서 부딪히는 다양한 문제가 존재하지만, 이를 해결하고 바람직한 문학 교육이 이루어질 수 있도록 다양한 연구와 방안들이 모색되어야 할 것이다. Abstract A Study on Teaching Method for Classic Novels through Curriculum Integration -Centering around Choi Cheok Jeon- Yun Young Il Department of Korean Language, The Graduate School of Education Inha University. In light of the characteristics of literature, a literature education requires to explore an answer to such question as 'what can humans achieve with literary activities?' and, at the same time, literature education should seek its action plan. To accomplish this, it needs to accept literature through in-depth understanding thereof, and to recognize the fact that literature is directly connected to one's own life, so then there is every reason to have the process of internalization preceded in literature education. Meanwhile, however, literature education in high school curriculum has been carried out mainly by means of cramming education with a focus on college entrance examination not catering to the needs of self-regulated exploratory activity of learners when considering the characteristics and goals of literature education. Everyone knows the repeated malfunction of education in high school that the strategy of learning and teaching only through problem solving method has been applied to literature education. Classic novels, in particular, have been recognized as a literary genre which is avoided by the learners to access, apart from arousing their interests, because of unfamiliar vocabularies and the learners preconceived notion about classic literature that the books are boring and old-fashioned. In this paper, the writer tried to relieve aversion among students toward classic novels, and to arouse their interests through studying the realistic classic novel, <Choi Cheok Jeon> and also to seek a teaching method through integrated education in collaboration with other curriculums which will help learners realize the fact that the classic novels are closely related to their lives, with a hope that study of classic novels could be developed as a practical literary activity. First, this paper proposed a teaching method through integrated education in collaboration with history curriculum based on the background of the time and space of <Choi Cheok Jeon>. Also, to help learners understand the background of the time and space of <Choi Cheok Jeon> amid East Asian wars during the 16th to 17th century as described in the history textbook, and relationships with each East Asean country, the writer examined <Korean History> textbook and the <historical maps>, then by combining the two, the writer designed a training course and presented an instructional plan. In addition, having accepted and internalized the literary work by combining family and family love, which is a pivotal element to give hope and overcome hardship, and a suicidal issue, which could be considered as a social issue, depicted in <Choi Cheok Jeon> with the learners' lives and their real world problems, the writer tried to seek a teaching method through integration with social curriculum. Lastly, since 'the issue of family separation' which is the main concept of <Choi Cheok Jeon> is revived even in our real world, the writer tried to find an instructional method by combining such issue with 'academic activity, service activity in community, career search and experience activity' which are included in the creative hands-on experience activities. Also, the writer tried to discover a method to instruct the learners by combining relevant concept with the literary work so that the learners can carry out their practical literary activities. However, this paper is required to supplement in terms of practical verification on the effect of curriculum integration; types and methods of communication between teachers; specific and detailed plans for class; and study on a variety of students' literary activities. Literature teachers shall humbly accept that literature education in the locale of setting of a school where a teacher and students really communicate with each other is college-centered cramming education. A drastic transformation in literature education is necessary in order to lay the foundation which will enable learners to carry out their practical literary activities for all their lives by looking back their own lives and internalizing it through self-regulated exploratory activities. There are varied issues which may be adverse to the reality in the school education. However, efforts for diverse kinds of research and to seek methods so much as to be able to resolve such issues and to turn it into a desirable literature education should be exerted.

      • 초등학교 사회과 수업에서 IPTV 활용 및 시청노트 작성이 학습몰입과 학업성취도에 미치는 효과

        윤영일 仁川大學校 2011 국내석사

        RANK : 248639

        이 연구는 초등학교 5학년 2학기 사회과 1단원을 중심으로 IPTV 활용수업과 일반 ICT 활용수업에서 학습몰입과 학업성취도의 차이와 IPTV 활용수업에서 시청노트의 작성이 학습자의 학습몰입과 학업성취도에 미치는 차이가 나타나는지 알아보는데 있다. 이러한 연구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선행 연구를 바탕으로 시청노트를 개발하고 IPTV의 활용과 시청노트기록을 독립변인으로, 학습몰입과 학업성취도를 종속변인으로 설정하였다. 이와 같은 연구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구체적으로 설정된 연구문제는 다음과 같다. 연구문제 가. 초등학교 사회과 수업에서 IPTV 활용 수업집단과 IPTV를 활용하지 않은 집단간에는 학습몰입에 있어서 차이가 있는가? 연구문제 나. 초등학교 사회과 수업에서 IPTV 활용 수업집단과 IPTV를 활용하지 않은 집단간에는 학습자의 학업성취도에 있어서 차이가 있는가? 연구문제 다. 초등학교 사회과 IPTV 활용 수업에서 시청노트를 기록한 집단과 시청노트를 기록하지 않은 집단간에 학습몰입에 있어서 차이가 있는가? 연구문제 라. 초등학교 사회과 IPTV 활용 수업에서 시청노트를 기록한 집단과 시청노트를 기록하지 않은 집단간에 학업성취도에 있어서 차이가 있는가? 이 연구의 문제를 검증하기 위해 실시한 실험결과를 t-검증하여 분석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IPTV 활용 수업집단과 IPTV를 활용하지 않은 수업집단 사이에 학습몰입에서 집단 간에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차이를 보이지 않았다(t=1.381, p>.05). 둘째, IPTV 활용 수업집단과 IPTV를 활용하지 않은 수업집단 사이에 학업성취도에 있어서는 유의미한 차이가 나타났다(t=-2.216, p<.05). 셋째, IPTV 활용수업에서 시청노트를 기록한 수업집단과 시청노트를 기록하지 않은 수업집단간에 학습몰입에는 유의미한 차이가 없는 것으로 나타났다(t=.788, p>.05). 넷째, IPTV 활용 수업에서 시청노트를 기록한 집단과 시청노트를 기록하지 않은 집단간에 학업성취도에는 유의미한 차이가 있다는 것을 알 수 있다(t=-2.073, p<.05). 결론적으로 IPTV 활용수업은 일반 ICT 활용수업과 비교해 볼 때 학습몰입에는 영향을 미치지 않으나 학업성취도 향상에 효과적인 것으로 확인되었으며, IPTV 활용수업에서 시청노트의 기록은 학습몰입에는 영향을 미치지 않으나 학업성취도에는 긍정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을 알 수 있었다. 연구의 결과를 바탕으로 추후 연구에서는 IPTV 활용에 대한 다각적인 교육적 측면의 효과성 연구가 지속되어야 할 것이며, 앞으로 교수학습 모형의 개발과 보급 및 정선된 콘텐츠를 확보, 고화질의 수업을 위한 시스템이 구축된 뒤 몰입도 조사에 대한 후속 연구가 계속되어질 필요가 있다.

      • 호텔광고에 대한 소비자의 태도가 호텔브랜드자산에 미치는 영향 : 정보원천을 중심으로

        윤영일 계명대학교 대학원 2009 국내박사

        RANK : 248639

        브랜드자산은 모든 호텔기업이 가장 우선순위를 두는 분야이며, 강력한 브랜드자산을 형성하는 것을 최우선 과제로 삼고 있다. 호텔기업들은 브랜드자산을 강화하는 수단으로 광고를 활용하며, 소비자의 호텔광고에 대한태도에 따라 호텔 브랜드자산도 영향을 받게 된다. 광고를 집행하는데 어떠한 정보원천을 사용하는 것이 소비자들의 태도변화에 영향을 미칠 것인가에 대해 관심이 증가하며, 소비자들은 다양한 미디어와 많은 정보원천으로부터 수많은 광고를 접하기에 정보원천을 통한 광고의 효율적인 전달은 중요한 관심사가 되고 있다. 이에 본 연구는 광고태도를 정보원천별로 구분하여 호텔광고에 대한 소비자의 태도가 브랜드자산의 형성에 어떠한 방식으로 관계하는지에 대한 연구의 필요성을 인식하고 실증분석을 통해 규명하고자 한다. 이러한 연구목적을 효율적으로 수행하기 위해 선행연구를 고찰하여 광고태도를 감정적 광고태도와 행동적 광고태도로 구분하여 제시하였다. 정보원천은 인쇄매체, 방송매체, 인터넷매체, 옥외광고, 구전으로 구분하였다. 실증조사를 위하여 예비조사와 모의조사 후 완성된 설문지를 2009년 2월12일부터 3월8일까지 25일간 서울, 부산, 경주, 제주에 위치한 특급호텔에서 1000부의 설문지를 배포하였다. 설문지 중 정보원천을 통해 호텔을 이용한 이용객이 작성한 설문지 962를 회수하여 유효설문지 854부의 표본을 최종 분석의 대상으로 삼았다. 수집된 자료는 SPSS 11.5, AMOS 4.0을 활용하여 빈도분석, 요인분석, 신뢰성분석, 타당성분석, 구조방정식모형분석 등을 실시하였다. 본 연구에서 제시한 연구가설에 대한 실증분석 결과는 다음과 같이 요약할 수 있다. 첫째, 선호하는 정보원천은 인터넷매체, 구전, 인쇄매체, 방송매체, 옥외광고의 순으로 나타났고, 선택한 정보원천은 인터넷매체, 구전, 옥외광고, 인쇄매체, 방송매체의 순으로 나타났다. 선호하는 정보원천과 선택한 정보원천은 약간의 차이를 보였다. 옥외광고의 경우 선호하는 정보원천 중에서 가장 낮은 빈도인 53명이 응답하였지만, 선택한 정보원천에서는 127명으로 응답해 선호도는 낮지만 선택하는 경우는 훨씬 많은 것으로 나타났다. 옥외광고는 고객의 거주지에서 접하기 보다는 관광지에서 접하는 경우가 대부분이다. 옥외광고를 선택한 대부분은 관광지에 도착한 후 호텔을 선택한 경우에 해당하는데, 거주지에서 정보탐색을 하는 경우에 비해 제한된 정보탐색으로 인해 선호도는 낮지만 옥외광고를 선택을 하는 경우가 생기게 된다고 볼 수 있다. 둘째, 전체적인 호텔 이용객의 광고태도에 있어서 감정적 광고태도와 행동적 광고태도가 브랜드자산에 미치는 영향 관계를 분석한 결과, 감정적 광고태도와 행동적 광고태도는 브랜드자산에 유의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전체모형으로 파악한 광고태도와 브랜드자산과의 관계와 인쇄매체, 방송매체, 인터넷매체, 옥외광고, 구전의 5가지 정보원천 별 집단 간의 브랜드자산과의 관계는 상이하게 나타났다. 호텔기업의 브랜드자산의 제고를 위해서는 정보원천 별로 다른 광고 전략을 사용하는 것이 보다 효과적임을 나타내는 결과라고 할 것이다. 셋째, 정보원천별로 살펴보면 인쇄매체를 선택한 이용객의 경우 감정적 광고태도는 브랜드자산에 영향을 주지 않으며, 행동적 광고태도는 브랜드인지, 지각된 품질, 브랜드연상에만 영향을 주는 것으로 나타났다. 호텔 브랜드자산 제고를 위해서 인쇄매체를 이용하여 광고 전략을 수립 하는 경우, 소비자의 감정을 자극하는 광고는 브랜드자산 제고에 효과적이지 않으며, 행동을 자극하는 광고의 경우 브랜드의 상징물, 우수한 품질과 매력성 등을 부각시키는 광고가 효과적인 것을 알 수 있다. 넷째, 방송매체를 선택한 이용객의 경우 감정적 광고태도는 브랜드인지, 지각된 품질, 브랜드연상에 유의한 영향을 미치며, 행동적 광고태도는 브랜드이미지와 지각된 품질에 영향을 주는 것으로 나타났다. 호텔의 브랜드자산 제고를 위해서 방송매체를 이용하여 광고 전략을 수립 하는 경우, 소비자의 감정을 자극하는 광고는 브랜드이미지보다는 우수한 품질과 특징적인 연상체, 상징물 등을 부각시키는 광고가 효과적이며, 행동을 자극하는 광고의 경우 브랜드의 독특함, 명성, 우수한 품질과 매력성 등을 부각시키는 광고가 효과적임을 시사한다. 다섯째, 인터넷매체는 호텔 이용객이 가장 선호하는 정보원천으로 조사되었으며, 현재 가장 중요한 정보원천 중의 하나이다. 감정적 광고태도는 브랜드자산에 모두 영향을 미치며, 행동적 광고태도는 브랜드이미지를 제외한 브랜드인지, 지각된 품질, 브랜드연상에 영향을 주는 것으로 나타났다. 인터넷매체를 이용한 광고 전략을 수립 할 경우 소비자의 감정을 자극하는 광고는 매우 유용하며, 행동을 자극하는 광고의 경우 브랜드의 상징물, 우수한 품질과 매력성 등을 부각시키는 광고가 효과적임을 나타낸다. 여섯째, 옥외광고를 선택한 이용객의 경우 감정적 광고태도는 브랜드연상을 제외한 브랜드이미지, 브랜드인지, 지각된 품질에 유의한 영향을 미치며, 행동적 광고태도는 지각된 품질에만 유의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옥외광고를 이용한 광고 전략을 수립 할 경우 브랜드자산의 강화를 위해서는 소비자의 감정을 자극하는 광고가 유용할 것이며, 행동을 자극하는 광고의 경우 우수한 품질과 깨끗함, 매력성을 부각시키는 광고가 효과적이다. 일곱 번째, 구전을 통해 호텔을 이용하는 경우 호텔 이용객들이 인터넷매체 다음으로 선호하는 정보원천으로 조사되었다. 구전의 경우 감정적 광고태도는 브랜드자산에 유의한 영향을 미치며, 행동적 광고태도는 브랜드연상에만 유의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행동을 자극하는 광고는 우수한 품질과 깨끗함, 매력성을 부각시키는 광고가 효과적이고, 감정을 자극하는 광고는 브랜드자산 강화에 효과적임을 나타내는 결과이다. 정보원천은 광고태도와 브랜드자산에 인과적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나 광고를 통해서 우호적인 브랜드자산을 형성할 수 있음을 보여주었다. Brand equity is the field on which all hotel enterprises put the highest priority and consider establishment of powerful brand equity as their highest priority task. Hotel enterprises utilize advertisement as a means of reinforcing their brand equity, and hotel brand equity is affected in accordance with the attitude of consumers toward hotel advertising. With the increase in the interest on utilization of which information source in executing advertisement will impart influence on the changes in the attitudes of customers, the efficient conveyance of advertisement through information source is becoming an important issue of interest as consumers are perpetually exposed to countless number of advertisement from diverse range of media and numerous information sources. Accordingly, this Study, having recognized the need of research on the format through which the attitude of customers towards hotel advertisement influences the establishment of brand equity, aims to closely examine such influence through empirical analysis by categorizing the attitude towards advertisement for each source of information. Attitudes towards advertisement were presented by dividing them into affective advertising attitude and behavioral advertising attitude through consideration of preceding researches in order to efficiently carry out such research goals. Information source was categorized into printed media, broadcast media, Internet media, out-door advertising media and word-of-mouth. 1,000 copies of survey questionnaire produced through preliminary investigations and mock survey was distributed to customers of five-star hotels situated in Seoul, Pusan, Kyongju and Jeju over 25-day period from February 12 to March 8 for the empirical examination. Among the 962 questionnaires completed by the customers who used aforementioned hotels through information sources, 854 valid questionnaires were subjected to final analysis. Frequency analysis, factor analysis, reliability analysis, validity analysis and structural equation model analysis, etc was carried out on the collected data by using SPSS 11.5 and AMOS 4.0. Results of empirical analysis on the research hypothesis presented in this Study can be summarized as follows. Firstly, customers preferred the information source in the order of Internet media, word-of-mouth, printed media, broadcast media and outdoor advertising media, and selected the information source in the order of Internet media, word-of-mouth, outdoor advertising media, print media and broadcast media. There was a slight difference between the preferred information source and the selected information source. Although outdoor advertising media was preferred by only 53 respondents, the lowest number among all the information sources, it was selected by 127, displaying higher extent of being chosen in spite of its lowest preference. Customers more often find the outdoor advertisement in the tourist destinations than where they live. Majority of those who selected outdoor advertisement decided on the hotel to use after they have arrived at the tourist destination. It is deemed that selection of outdoor advertisement, as information source is higher than its level of preference due to incidences of limitations in information search at the tourist destination in comparison to the information search at the place of residence of customers. Secondly, the results of analysis of relationship between the effects of affective advertising attitude and behavioral advertising attitude on the brand equity, in terms of overall attitude of the hotel users towards advertisement, illustrated that affective advertising attitude and behavioral advertising attitude impart significant effect on the brand equity. Relationship between the attitude towards advertisement and brand equity, and relationship of the brand equity amongst each group for each of the 5 information sources, namely, printed media, broadcast media, Internet media, outdoor advertising and word-of-mouse, which were assessed through total matrix model were found to be different. This illustrates that it is more effective to use different advertisement strategy for each information source in order to enhance brand equity of hotel enterprises. Thirdly, examination of each information source illustrates that, in the case of customers who selected printed media, affective advertising attitude does not affect brand equity, while behavioral advertising attitude affects only brand recognition, perceived quality and brand association. In the case of establishing advertisement strategy by using the printed media for enhancement of hotel brand equity, it can be seen that the advertisement that stimulates the emotions of the consumers is not effective in enhancement of brand equity and that, in the case of advertisement that stimulates behavior of the consumers, advertisement that highlights the symbols of brand, excellent quality and attractiveness is effective. Fourthly, in the case of users who selected the broadcast media, affective advertising attitude imparts significant influence on the brand recognition, perceived quality and brand association, while the behavioral advertising attitude affects brand image and perceived quality. It suggests that, in the event of establishment of advertisement strategy by using broadcast media for enhancement of brand equity of hotel, advertisement that stimulates emotion of consumers is more effective if it were to highlight the excellent quality and specific object of association and symbols rather than focusing on the brand image, while in the case of advertisement that stimulates behavior, advertisement that highlights the uniqueness, renown, excellent quality and attractiveness is effective. Fifthly, the Internet media was found to the most preferred information source by the hotel customers, and is currently one of the most important information sources. It was found that the affective advertising attitude affects all the brand equities, while the behavioral advertising attitude affects brand awareness, perceived quality and brand association with the exception of the brand image. When establishing advertisement strategy using Internet media, it was found that advertisement that stimulates the emotions of the consumers are highly useful, while, in the case of advertisement that stimulates the behavior of the consumers, advertisements that highlight symbol of brand, excellent quality and attractiveness, etc are effective. Sixthly, in the case of users who selected the outdoor advertising media, affective advertising attitude impart significant influence on brand image, brand recognition and perceived quality with the exception of brand association, while the behavioral advertising attitude only affects the perceived quality. When establishing advertisement strategy using outdoor advertising media, utilization of advertisement that stimulates emotions of the consumers would be useful, while in the case of advertisement, advertisement that that highlights excellent quality, cleanliness and attractiveness is effective in order to reinforce brand equity. Seventhly, choosing hotel through word-of-mouth was found to be the second source of information followed by the Internet media. In the case of word-of-mouth, it was discovered that the affective advertising attitude imparts significant effect on the brand equity while the behavioral advertisement impart significant effect only on the brand association. This result illustrate that, in the case of advertisement that stimulates behavior of customers, advertisement that highlights outstanding quality, cleanliness and attractiveness is effective, while the advertisement that stimulates the emotion is effective in reinforcement of brand equity. It was illustrated that friendly brand equity can be established through advertisement as information source was found to impart causal effect on the advertising attitude and brand equity.

      • 전통한옥의 공간구성에 관한 특성과 현대한옥의 지속성에 관한 연구 : 연구자 참여 한옥을 중심으로 연구

        윤영일 동신대학교 대학원 2010 국내석사

        RANK : 248639

        국문요지 우리의 전통가옥인 한옥이 도시의 경제발전이 급속히 진행되어 가면서 서로의 무관심속에 오늘날까지 유지되어 왔다. 정치 지도자들은 새로운 세상을 국민에게 보여주고자 과거의 전통마을을 정리하며 새로운 건축물을 들여와 마을마다 서구식 주거형태를 건설했다. 결국 우리의 전통가옥은 구시대의 유물로 치부되며 하나하나 사라지고 일부 마을에 보물처럼 살아남았다. 그나마 유지되고 있던 우리의 전통한옥은 전쟁을 치루며 다 부서지고 전쟁이 끝나고 힘겨운 시절에 부족한 목재들로 전통가옥을 짓다보니 춥고 좁은 가옥의 형태를 유지할 수밖에 없었을 것이다. 현재 이 시대를 살아가는 중·장년층들은 이러한 불편한 한옥에서 어린 시절을 보낸 세대들이다 또한 이러한 세대들이 이 시대에 한옥을 새롭게 짓고 살고자 하는 세대이기도 하다. 그러기에 한옥에 대한 부정적인 생각이 가득한 현대인들이 한옥에서 살고자 자신의 생각을 주거공간에 표현하면서 불편함을 개선하고 필요한 현대식 공간을 선호하다보니 국적불명의 한옥이 우리의 전통마을에 보급되어 지고 있는 것이다. 또한 한옥을 시공하는 숙련공의 부족으로 연장만 다루면 눈대중으로 한옥 집을 짓는 사례가 빈번하면서 한옥의 전통 결구방식이나 구조가 전통에서 벗어나는 형식의 한옥들이 난무하는 것을 우려 훗날 이렇게 지어진 한옥들이 지금 자라나는 아이들에게 한옥의 진정한 구조나 멋을 제대로 전할 수 없다고 생각한다. 결국 전쟁 직후 세대처럼 다시 한옥은 현대주택에 비하여 특별할 게 없는 주택으로 남게 될 것이다. 이 연구를 통하여 한옥의 공간구성과 현대인들이 선호하는 실내구조를 제시하면서 전통한옥의 필요한 공간구성을 통하여 도시인들도 편안한 한옥의 전통가옥에서 생활하며 현대식 생활에 불편함이 없고 전통가옥의 참맛을 느끼며 한옥의 기본구성을 그대로 유지할 수 있도록 그동안의 시공 경험을 토대로 현대인들이 선호하는 공간구성들을 연구하였다. ABSTRACT Han-ok, which is Korean traditional housing, has been maintained with indifference as the economic growth of Korean cities has proceeded rapidly. Politicians demolished traditional village of the past to show the new world to the public and built western style housing in every village. Eventually, our traditional houses which were treated as a relic of another age disappeared and only a few of them remained like treasure in some village. A few remaining Korean traditional Han-ok was destroyed by the Korean War. After the war, there was no other way but to maintain cold and small house structure because of wood shortage. The middle-aged and the old generation lived in uncomfortable Han-ok during their childhood. Also, they want to build renovated Han-ok and to live in there. The contemporary men who are full of negative recognition want to live in Han-ok and reflect their thinking in the residential space to improve their way of life. That is the reason why Han-ok of unknown nationality has been spread out in our traditional village. On account of the lack of skilled workers who are able to build Han-ok, there are several cases about building Han-ok by eye measurement. As a result, many houses were built out of the traditional frame formation or structure of Han-ok. The growing children may not feel the true beauty or structure of Han-ok because of transformed Han-ok. In conclusion, Han-ok will remain nothing special compared to modern housing. By this study, the spatial composition of Han-ok and the interior structure which is preferred by contemporary men will be presented. The researcher has studied the spatial composition which can make the modern residents feel comfortable living in traditional Han-ok.

      • 첨성대 원형보전을 위한 지진거동 특성에 관한 연구

        윤영일 한양대학교 공학대학원 2020 국내석사

        RANK : 248639

        조적식 석조 건축물인 경주첨성대가 천년이 넘는 세월동안 수많은 지진에도 현재까지 안전했던 이유는 무엇일가? 기록에 따르면, 경주지역은 수차례 지진이 발생하였으며, 경주 첨성대 완공 이후 서기 779년과 1036년에도 중, 소규모의 지진피해 기록이 남아있다. 이러한 지진에도 조적식 석조 건축물인 경주 첨성대가 천년이 넘는 세월을 버텨오고 현재까지 안전했던 이유는 무엇인지 의문을 갖게 된다. 본 연구를 통해 첨성대 주변에 대한 지반조사 연구자료를 바탕으로 지반의 특성을 검토한 결과를 보면 첨성대 주변 지반은 지진 발생 시 지반의 증폭 가능성이 크며, 첨성대 구조물의 공진 가능성도 큰 것으로 판단되고 있다. 역사적으로도 경주에 발생했던 지진기록을 봤을 때, 첨성대라는 조적 식 석조 구조물이 현대까지 그 모습을 온전하게 가지고 있다는 사실은 놀라운 일이다. 이에 경주 첨성대에 대한 3D 모델링을 하고 Ansys simulation을 통해 동적시험을 수행하여 첨성대 원형, 그리고 정자석과 비녀석 하부적심, 정자석 등이 첨성대의 내진성능에 어떠한 거동을 하는지 실험하고, 내부 채움재의 유무와 종류에 따라 어떻게 거동하는지 실험하고자 한다. 이를 통해 선조들의 “내진설계” 기술을 검증하여 그 우수성을 일깨우고, 나아가 첨성대 및 적층문화재의 내진연구와 보존을 위한 방안을 모색하는데 기초 자료로 사용될 수 있기를 바란다.

      • 오스카 뉴먼의 방어공간이론을 적용한 학교시설 복합화 계획

        윤영일 홍익대학교 대학원 2021 국내석사

        RANK : 248639

        In 2020, South Korea announced the Korean New Deal policy in preparation for the post-Coronavirus era. Accordingly, the Seoul Metropolitan Office of Education is carrying out the Green Smart Future School project, a new deal policy to modernize schools, in response to the need to create a flexible space and secure facilities that can actively cope with the changing future curriculum such as the 4th industrial revolution and new teaching and learning methods. Based on the four keywords of spatial innovation, smart environment, green school, and school complex building, the Green Smart Future School aims to provide an educational environment that can reflect creative and innovative educational philosophy by renovating or remodeling aging school facilities. Among them, school complex building is a plan to enable idle school facility space to be used with residents; thus, it can be a policy that can solve various problems of schools and local areas. Building a school facility complex was promoted to expand the role of school facilities as a place for local residents’ open education and lifelong education, not just space for education, along with the 7th curriculum (1997) revision. The continued decline in the fertility rate caused an increase in the vacancy rate of school facilities due to a decrease in the school-age population, and the overcrowded urban structure due to rapid growth led to a shortage of local community facilities and difficulties in securing a site. Even though school facility complex can solve the above problems, however, schools have been avoiding the plan due to safety concerns and operating system issues caused by the intervention of residents in private spaces for education. School facilities have the characteristics of a private space for students, and building a complex is to develop a shared space by using a part of the private space. This emphasizes planning not to infringe on the existing private space as well as the role of the intermediary space (semi-private, semi-public), along with the clear division of private and public spaces. Newman's Defensible Space Theory planned the change of underlying environmental structure through the hierarchy of the private and public space domains, which allowed the occupants to have the independence of space through the four elements, public, semi-public, semi-private, and private’ spaces. This becomes a basic method for planning the separation and integration of private and public spaces, and it is applied as a basic theory of the physical design elements of defensible spaces. The physical design elements of the defensible space proposed by Newman are divided into territoriality, natural surveillance, image, and environment. Accordingly, this study will select the territorial hierarchy of private and public spaces through the Theory of Defensible Space by Oscar Newman and plan school facility complex building by applying the physical design elements of the defensible space. 2020년 우리나라는 포스트 코로나 시대를 준비하여 한국형 뉴딜 정책을 발표하였다. 이에 발맞추어 서울시교육청은 4차 산업혁명, 새로운 교수학습 등 변화하는 미래교육과정에 능동적 대처 가능한 유연한 공간 구성 및 시설확보 필요성에 따른 학교현대화 뉴딜정책인 그린스마트 미래학교 사업을 추진하고 있다. 그린스마트 미래학교는 공간혁신, 스마트환경, 그린학교, 학교 복합화라는 네 가지 키워드를 핵심으로 노후화된 학교시설을 개축 또는 리모델링하여 창의적, 혁신적인 교육철학을 담아낼 수 있는 교육환경을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그 중 학교 복합화는 학교시설의 유휴공간을 주민과 함께 사용할 수 있도록 계획하는 것으로, 학교와 지역이 가지는 다양한 문제점을 해결할 수 있는 정책이 될 수 있다. 학교시설 복합화는 제7차 교육과정(1997년) 개편과 함께 학교시설이 단순 교육의 공간이 아닌 지역주민의 열린 교육의 장, 평생교육의 장으로써의 역할 확대를 목표로 추진되었다. 지속적인 출산율 저하는 학령인구의 감소로 인한 학교시설의 공실률 증가라는 문제를 도래하였으며, 급격한 성장으로 인한 과밀화된 도시구조는 지역 커뮤니티시설의 부족 및 부지 확보의 어려움을 가져왔다. 그러나, 학교시설 복합화는 앞선 문제들을 해결할 수 있는 방안임에도 불구하고 학교 측은 교육을 위한 사적인 공간에 주민의 개입으로 인한 안전 및 운영체계의 문제로 기피하고 있는 현실이다. 학교시설은 학생을 위한 공간으로 사적 공간의 성격을 가지며, 복합화는 사적 공간의 일부분을 사용해 공유공간을 형성하는 것이다. 이는 기존의 사적 공간을 침해하지 않도록 계획하고 명확한 사적, 공적공간의 구분과 함께 매개공간(준사적, 준공적)의 역할이 중요시된다. 뉴먼의 방어공간이론은 공간의 사적, 공적 영역위계를 통한 근원적인 환경구조의 변화를 계획하였으며, 이는‘공적, 반공적, 반사적, 사적’ 4가지 공간의 영역 구성을 통해 거주자로 하여금 공간의 주체성을 가지게 한다. 이는 사적, 공적 공간의 분리 및 통합을 계획하는 기본적인 방법이 되며, 방어공간의 물리적 디자인 요소의 기초적 이론으로 적용한다. 뉴먼이 제시한 방어공간의 물리적 디자인 요소는 영역성, 자연적 감시, 이미지, 환경으로 구분한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오스카 뉴먼의 방어공간이론을 통해 사적·공적 공간의 영역적 위계를 선정하고, 방어공간의 물리적 디자인 요소를 적용한 학교시설 복합화를 계획하고자 한다.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