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펼치기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유아의 자아존중감과 학업준비도 관계에서 사회적 기술의 매개효과

        윤수정(Yoon, Soo-Jung),이예진(Yi, Ye-Jin) 한국영유아보육학회 2018 한국영유아보육학 Vol.0 No.111

        본 연구는 유아의 자아존중감과 사회적 기술, 그리고 학업준비도 간의 관계에서 관련성과 영향력을 살펴보면서 사회적 기술의 매개효과가 어떠한지 분석해보고자 하였다. 연구대상은 육아정책연구소의 한국아동패널 자료 중 초등학교 입학직전 연령인 2014년(7차년도) 조사에서 어린이집 또는 유치원에 다니는 만 6세 남아 786명과 여아 755명, 총 1,541명이었다. 연구방법은 변인 간 매개효과를 검증하기 위하여 AMOS 20.0 Program으로 매개모형 분석을 실시하였으며, 매개효과는 Sobel 검증을 통해 유의성을 점검하였다. 연구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유아의 자아존중감, 사회적 기술, 그리고 학업준비도 간의 유의미한 정적인 상관관계를 보였다. 둘째, 유아의 자아존중감은 사회적 기술의 매개변인을 통해서 학업준비도에 직․간접적인 영향력을 보여 완전 매개효과가 있는 것으로 조사되었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investigate the mediating effects of social competence between child’s self-esteem and academic readiness. A total of 1,541 children (755 girls, 786 boys) participated in the study. The 4-year-old children either attended kindergarten or day care centers. The data were collected from the 7th Panel Study on Korean Children (PSKC) in the Korean Institute of Child and Education in 2014. The collected data were analyzed using SPSS 18.0 and AMOS. The findings are as follows. First, the child’s self-esteem, social competence, and academic readiness showed a significant correlation. Second, the findings showed a mediating effect of social competence between child’s self-esteem and academic readiness. This results suggests the important of academic readiness based on early childhood and the correlation and influence of the study variables.

      • KCI등재

        Fisetin에 의한 비만세포 Th2 사이토카인 발현 하향 조절

        윤수정(Soo Jeong Yoon),표명윤(Myoung Yun Pyo) 대한약학회 2012 약학회지 Vol.56 No.5

        Mast cells play pivotal pathologic roles in allergic disease involving T helper 2 (Th2) cytokine such as interleukin (IL)-4 and IL-13. Fisetin has been known as an anti-allergic agent having inhibitory effects on the IL-4 and IL-13 gene expressions in inflammatory immune cells. However, its molecular mechanisms for suppressive effects of fisetin on IL-4 and IL-13 in activated mast cells have been incompletely elucidated. In this study we found that fisetin significantly inhibited the phorbol 12-myristate 13-acetate (PMA) and ionomycin (PI)-induced production of IL-4 and IL-13 in mast cells. The levels of mRNA were dramatically decreased by fisetin, indicating the suppression might be regulated at the transcriptional levels. Western blot analysis of the nuclear expression of various transcription factors involved in the promoter activation indicated that suppression of c-Fos was prominent together with significant down-regulation of nuclear factor of activated T-cell (NF-AT) and NF-κB, but not c-Jun. Furthermore, the nuclear expression of GATA binding protein 2 (GATA-2) transcription factor was significantly down-regulated by fisetin. Taken together, our study indicated fisetin has suppressive effects on IL-4 and IL-13 gene expression through the regulation of selective transcription factors.

      • KCI등재

        24시간 어린이집 영아의 자율성 및 또래 상호작용이 정서지능과 영아-교사 상호작용에 미치는 영향

        윤수정(Yoon Soo Jung),박희숙(Park Hee Sook) 한국육아지원학회 2016 육아지원연구 Vol.11 No.2

        본 연구는 만 2세 영아의 자율성 및 또래 상호작용이 영아의 정서지능 및 영아-교사 상호작용에 미치 는 영향력과 관련성을 분석하는 데 목적이 있다. 연구대상은 수도권에 위치한 24시간 운영 어린이집에 다 니는 만 2세 남아 44명과 여아 38명을 포함한 총 82명의 영아와 교사 12명이다. 연구도구와 자료수집 방 법으로 자율성과 또래 상호작용 측정을 위해 Doll(1965)의 바인랜드 사회성숙척도, Jiao와 Ji(1986)의 사 회적 능력검사를 김숙경(1988)이 수정 보완한 도구를 사용하였다. 정서지능은 Salovey와 Mayer(1996)의 모형을 문용린(1996)이 제작한 도구를 사용하였다. 영아-교사 상호작용은 The Assessment Profile for Early Childhood Program 평가척도를 이정숙(2003) 연구에서 사용한 도구를 담임교사가 평정하였다. 연 구자료 분석방법은 Pearson의 상관분석과 중다회귀분석을 시행하였다. 연구결과, 영아의 자율성 및 또래 상호작용은 영아의 정서지능 및 영아-교사 상호작용과 밀접한 관련성이 있었으며, 정서지능과 영아-교사 상호작용에 직접적인 영향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본 연구결과는 영아가 자율성을 높이고 또래와 빈번한 상호작용을 통한 호혜적인 관계를 가짐으로써 정서지능이 향상되고 교사와 질 높은 상호작용으로 영아의 전인적인 발달을 예측할 수 있음을 시사한다. This study analyzed the statistical correlations between autonomy of toddler and peer interactions and emotional intelligence and toddler-teacher interactions in the 24-hour child care centers. Subjects were 82 toddler (38 girls and 44 boys), and 12 teachers in 24-hour child care centers. These teachers measured the toddler’s autonomy and peer interactions using the questionnaire adapted by Kim (1988) from the source of the Vineland Social Maturity Scale (Doll, 1965) and the Social Competence Evaluation (Jiao and Ji, 1986), and also emotional intelligence of using the questionnaire adjusted by Moon (1996) from the model (Salovey and Mayer, 1996), and the toddler-teacher interactions according to the questionnaire adapted by Lee (2003) from the source of the Assessment Profile for Early Childhood Program. For data analysis, Pearson's Correlation and Multiple-Regression Analysis were performed. The results of this study were as follows:First, autonomy of toddler and peer interactions had a positive relation with emotional intelligence and toddler-teacher interactions. Second, autonomy of toddler and peer interactions had a significant impact on the emotional intelligence of toddler and toddler-teacher interactions. The results of this study suggest that the emotional intelligence of toddler and the quality of toddler-teacher interactions can be improved by improving the autonomy of toddler and increasing the frequency of peer interactions.

      • KCI등재

        영아기질과 어머니 양육스트레스 간의 결혼만족도와 부부갈등의 매개 및 중재효과

        윤수정(Yoon, Soo-Jung) 한국영유아보육학회 2015 한국영유아보육학 Vol.0 No.95

        본 연구는 영아기질과 어머니 양육스트레스 간의 관계에서 결혼만족도와 부부갈등의 매개 및 중재효과를 알아보는데 그 목적을 두었다. 연구대상은 육아정책연구소에서 2009년에 시행했던 한국아동패널의 대상자로 조사한 전국의 생후 14개월 영아와 그 부모이다. 연구방법은 영아기질과 양육스트레스 간의 관계에서 결혼만족도와 부부관계의 매개 및 중재효과를 알아보기 위하여 AMOS 7.0 프로그램과 SPSS-WIN 15.0 프로그램을 사용하여 시행하였다. 연구결과를 살펴보면, 정서성 기질과 양육스트레스 간의 관계에서 결혼만족도와 부부갈등은 부분매개효과를 보였다. 또한 활동성 기질과 양육스트레스 간의 관계에서 부부갈등은 중재효과를 보이지 않았으나, 결혼만족도는 중재효과가 나타났다. 결혼만족도 수준을 상․하 집단으로 비교해본 결과, 상 집단의 활동성기질은 양육스트레스에 영향을 미치지 않았으나, 하 집단의 활동성 기질이 양육스트레스에 직접적인 영향력을 보이는 것으로 조사되었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the mediating effects of the marital satisfaction and marital conflict relations which could indirectly affect between the active and, emotional temperament of infant and maternal parenting stress. In addition, the moderating effects on the marital satisfaction and marital conflict relations which could directly regulate between the active and, emotional temperament of infant and maternal parenting stress were investigated. The data used in this study come from the Panel Study of Korean Children in the Korea Institute of Child Care & Education, which carried out an investigation of infants aged fourteen months and their parents nationwide in 2009. The data were analyzed by using the AMOS 7.0 program and SPSS-WIN 15.0 program. The result indicated the partial mediating effects of marital satisfaction and, marital conflict between infant emotional temperament and maternal parenting stress. Moreover, the partial moderating effect of marital satisfaction between infant active temperament and parenting stress was shown. Conclusively, it was found that when the father perceived a high level of marital satisfaction, the level of infant active temperament could not effect maternal parenting stress; but in the case of a low level of marital satisfaction, the level of infant active temperament could affect maternal parenting stress.

      • KCI등재

        만 2세 영아의 또래 상호작용이 사회적 능력 및 정서지능에 미치는 영향

        윤수정(Yoon, Soo-Jung) 한국영유아보육학회 2016 한국영유아보육학 Vol.0 No.96

        본 연구는 영아의 또래 상호작용이 사회적 능력 및 정서지능에 미치는 영향력과 관련성에 대해서 분석하는데 그 목적을 두었다. 연구대상은 수도권에 위치한 어린이집에 다니는 만 2세 남아 56명, 여아 56명을 포함한 총 112명의 영아와 교사 14명이었다. 연구방법은 Pearson의 correlation을 사용하여 분석하였으며, SPSS-WIN 21.0 Program과 AMOS 18.0 Program을 이용하여 중다회귀분석을 시행하였다. 연구결과는 첫째, 영아의 긍정적인 또래 상호작용은 사회적 능력 및 정서지능과 깊은 관련성이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부정적인 또래 상호작용과 사회적 능력은 관련성이 있으나, 정서지능과는 아무런 관련성이 없는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긍정적인 또래 상호작용은 사회적 능력 및 정서지능에 직접적인 영향력을 보였으며, 부정적인 또래 상호작용은 사회적 능력과 정서지능의 정서표현에는 직접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으나, 정서인식에는 영향을 미치지 않는 것으로 분석되었다. 본 연구는 영아기의 또래상호작용이 사회·정서발달과 밀접한 관련성의 의의를 두고 연구논의 지속성을 시사하고 있다. This study establishes and analyzes statistical correlations between toddlers’ peer interactions and their social competence and emotional intelligence. Also, this study analyzes the statistical effects of toddlers’ peer interactions on their social competence and emotional intelligence. The 126 participants consisted of 56 girls and 56 boys, all of whom were two years of age and attending day-care centers, and 14 of their teachers. The collected data were analyzed by descriptive statistics, and Pearson"s correlation by using the SPSS 21.0 and AMOS 18.0 programs. The findings indicate that first, toddlers’ positive peer interactions have statistically significant correlations with their social competence and emotional intelligence. However, toddlers’ negative peer interactions have statistically significant correlations with their social competence only. Second, specifically the effects of toddlers’ positive peer interactions on their social competence and emotional intelligence. And the effects of toddlers’ negative peer interactions on their social competence and emotional expression of emotional intelligence. The study suggests the association between toddlers’ interactions and their socio-emotional development (social competence and emotional intelligence) in infancy.

      • KCI등재

        교사-영유아관계가 또래선호와 또래 괴롭힘에 미치는 영향

        윤수정 ( Soo Jung Yoon ) 한국유아교육학회 2013 유아교육연구 Vol.33 No.1

        본 연구는 교사-영유아관계가 또래선호와 또래 괴롭힘에 미치는 영향력과 관련성에 대해서 분석해 보고자 하였다. 연구대상은 3세, 4세 남아 55명과 여아 47명을 포함한 총 102명의 영유아와 담임교사 10명이다. 교사는 교사-영유아관계와 영유아의 또래 괴롭힘을 보고하였고, 영유아는 또래의 긍정적 지명과 부정적 지명으로 또래선호를 보고하였다. 연구방법은 교사-영유아관계와 영유아의 또래선호, 그리고 또래 괴롭힘과의 관련성을 확인하기 위하여 Pearson의 correlation을 산출하였다. 또한 교사-영유아관계가 영유아의 또래선호와 또래 괴롭힘 피해에 미치는 영향력을 검증하기 위하여 AMOS 18.0 Program을 이용하여 중다회귀분석(Multiple Regression Analysis)을 시행하였다. 연구결과를 살펴보면, 교사-영유아관계의 친밀감은 또래선호와 정적상관관계, 또래 괴롭힘과는 부적상관관계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갈등적인 교사-영유아관계는 또래선호와 부적상관관계, 또래 괴롭힘과는 정적상관관계를 보였다. 또한 영유아의 또래선호는 또래 괴롭힘과 부적상관관계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친밀한 교사-영유아관계는 영유아의 또래 괴롭힘에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갈등적인 교사-영유아관계는 또래선호와 또래 괴롭힘에 유의미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조사되었다. This study establishes and analyzes the statistical correlations between individual teacher-child relationships and children`s peer preference and peer victimization. Subjects were 102 children (47 girls and 55 boys), all three and four years of age and attending day care centers and kindergartens, and 10 of their teachers. The teachers completed rating scales to measure their perceptions of teacher-child relationships, peer victimization and the children reported on peer preference through positive and negative peer nominations. Pearson`s correlation analysis was used to examine the relationships among the three categories. Additionally, the effects of teacher-child relationships on children`s peer preference and peer victimization were analyzed according to multiple regression analysis, using the AMOS 18.0 Program. Findings indicate that 1) teacher-child relationships characterized by closeness have positive and statistically significant correlations with children`s peer preference but have negative correlations with peer victimization; 2) teacher-child relationships characterized by conflict for the child have negative correlations with children`s peer preference but have positive significant correlations with peer victimization; 3) negative correlations are also found between children`s peer preference and peer victimization. Specifically, the effects on the teacher-child relationships of closeness to children`s peer victimization and the teacher-child relationships of conflict to children`s peer preference and victimization. In sum, the character of individual teacher-child relationships has an influential role in classroom peer preferences and peer victimization.

      • KCI등재

        유아의 사회적 행동과 또래선호 간의 관계에서 교사-유아관계의 매개 및 중재 효과

        윤수정 ( Soo Jung Yoon ),신유림 ( Yoo Lim Shin ) 대한가정학회 2012 Human Ecology Research(HER) Vol.50 No.5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the mediating and moderating effects of teacher-child relationships on children`s social behavior and peer preference. The participants were 508 children and 28 head teachers of their classes. Teachers measured the children`s social behavior and the teacher-child relationships. Peer preference was measured by peer nomination. The association between prosocial behavior and peer preference was partially mediated by teacher-child conflict. The association between withdrawal, aggression and peer preference was fully mediated by teacher-child conflict. The moderating effects of teacher-child conflict were found between prosocial behavior and peer preference. In addition, teacher-child conflict moderated the association between physical aggression and peer preference.

      • KCI등재후보

        보육교사의 직무만족도, 직무스트레스 및 자기효능감이 심리적 소진에 미치는 영향

        윤수정(Yoon, Soojung),김현미(Kim, Hyunmi) 협성대학교 교양학연구소 2021 교양학연구 Vol.8 No.1

        본 연구의 목적은 보육교사의 직무만족도와 직무스트레스, 자기효능감이 심리적 소진에 미치는 영향을 탐색하는 데 있다. 연구 대상은 경기 지역에 소재하는 어린이집에 종사하고 있는 보육교사 179명이었다. 수집된 자료는 SPSS 23.0 프로그램을 활용하여 상관관계, t-검증, F-검증 및 다중회귀분석을 실시하였다. 본 연구의 주요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보육교사의 학력이 높을수록 과제 난이도와 자기효능감이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직무만족도(가치적 요인, 내재적 요인, 외재적 요인)와 직무스트레스, 자기효능감, 심리적 소진은 부적 상관이, 직무스트레스와 자기효능감(자신감, 자기조절)과는 정적 상관이, 자기효능감(과제난이도)과는 부적 상관이 있었다. 셋째, 보육교사의 소진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은 직무만족도(가치요인), 직무스트레스(행정요인, 활동요인), 자기효능감(자신감)으로 나타났다. 이와 같은 연구 결과를 바탕으로 보육교사의 소진에 대처하기 위한 함의를 논의하였다. This study aims to find a way to prevent burnout of childcare teachers by examining the effects of job satisfaction, job stress, and self-efficacy of childcare teachers on psychological burnout. The subjects of this study were 179 child care teachers working in day care centers located in the Gyeonggi area. To this end, correlation, t-test, F-test and multiple regression analysis were performed using the SPSS 23.0 program for data analysis. The main results of this study are as follows. First, the higher the education level of the childcare teacher, the higher the difficulty and self-efficacy of the task. Second, job satisfaction (value factor, intrinsic factor, external factor) and job stress, self-efficacy, and psychological burnout had a negative co-rrelation, job stress and self-efficacy (confidence, self-regulation) had a positive correlation, and self-efficacy ( Task difficulty) had a negative correlation. Third, the factors affecting the burnout of childcare teachers were administrative factors, confidence, value factors, and activity factors. Based on these findings, the implications for coping with the burnout of childcare teachers were discussed.

      • KCI등재

        유아의 위축적인 사회행동과 또래 괴롭힘 및 또래관계 간의 관계에서 교사-유아관계성의 중재효과

        윤수정(Yoon, Soo-Jung) 한국영유아보육학회 2013 한국영유아보육학 Vol.0 No.80

        본 연구는 위축적인 사회행동과 또래 괴롭힘 간의 관계, 그리고 위축적인 사회행동과 또래관계 간의 관계에서 교사-유아관계의 중재효과에 대해서 분석해 보고자 하였다. 이를 위하여 만 3-5세 남아 48명과 여아 53명을 포함한 총 101명의 유아와 이들의 담임교사를 연구대상으로 하여 자료를 수집하였다. 연구결과를 살펴보면, 위축적인 사회행동은 또래 괴롭힘과 조력적인 또래관계, 그리고 갈등적인 교사-유아관계와는 정적상관관계, 친밀한 교사-유아관계와는 부적상관관계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위축적인 사회행동과 또래 괴롭힘 간의 관계에서 교사-유아관계의 갈등이 중재효과를 보였으며, 위축적인 사회행동과 조력적인 또래관계 간의 관계에서 교사-유아관계의 친밀은 중재효과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The objective of this study is to investigate the moderating effects of the teacher-child relationships on child"s withdrawn social behavior and peer victimization, and also withdrawn social behavior and peer relationships. Participants 101 include 53 girls and 48 boys, all from five to seven years of age and all attending kindergartens and day care centers, and 6 of their teachers. Teachers completed rating scales to measure their perceptions of teacher-child relationships, child"s withdrawn social behavior, and peer victimization and child reported on peer relationships through the interview with each other in a pair after peer nominate each other. The collected data were analyzed by descriptive statistics, Pearson"s correlation using SPSS 18.0 and AMOS 18.0 program. Finding indicate that child"s withdrawn behavior have positive and statistically significant correlations with peer victimization, aid of peer relationships, and teacher-child relationships by conflict but have negative correlations with teacher-child relationships by closeness. Specifically, the moderating effects on the teacher-child relationships by conflict between child"s withdrawn behavior and peer victimization, and teacher-child relationships by closeness between child"s withdrawn behavior and aid of peer relationships.

      • KCI등재

        그릿의 영역 일반성과 영역 특수성에 대한 탐색적 연구

        윤수정 ( Su Jung Yoon ),임효진 ( Hyo Jin Lim ) 한국초등교육학회 2021 초등교육연구 Vol.34 No.2

        본 연구는 초등학생을 대상으로 그릿의 영역성을 탐색하는데 목적이 있으며, 이를 위해 이론에 근거하여 그릿의 영역성 모형을 영역 일반성 모형, 2단계 위계적 영역 일반성 모형, 영역 특수성 모형, 영역 복합성 모형으로 설정하여 비교하였다. 연구대상은 서울시 소재 초등학생 5, 6학년 354명이며 이들에게 기존의 일반 그릿과 학업, 예술, 운동 영역별 그릿 설문을 실시하였다. 연구방법으로는 영역 특수적 그릿과 영역 특수적 자기개념과의 상관분석 및 반복측정 분산분석을 실시하였고, 확인적 요인 분석을 실시한 뒤 적합도 지수를 종합적으로 고려하여 모형들을 비교하여 최종 모형을 결정하였다. 연구결과에 따르면 모형 중 영역 일반성과 영역 특수성이 공존하는 영역 복합성 모형의 수정모형이 자료에 가장 부합하는 것으로 확인되었으며, 분산분석 결과 역시 그릿의 영역 복합성을 지지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xplore the grit’s domain-generality and domain-specificity among elementary school students. We hypothesized a domain generality model, a two-stage hierarchical domain generality model, a domain specificity model, and a domain complexity model based on previous studies. A total of 354 5th and 6th grade elementary school students in Seoul were collected and Grit-S and self-concept questionnaires in academic work, art, and sport were administered. We tested the statistical significance of the differences among correlation coefficients in terms of the domain-specific grit and domain-specific self-concept. A repeated measure one-way analysis of variance (rANOVA) was conducted in order to examine whether students with domain-specific grit had the domain-specific self-concept in academic, art, and sport area. Finally, a confirmatory factor analysis (CFA) with various fit indices was utilized to determine the best model that explained data. Results of correlation analysis and rANOVA also demonstrated that in general, the evidence of grit’s domain-complexity was supported. Additionally, CFA results showed that the modified domain-complexity model revealed the best fit indices, meaning that domain-generality and domain-specificity co-exist in grit.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