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재일 한인 문학의 탈경계성과 수행성 연구

        윤송아(Yoon, Song-Ah) 동남어문학회 2014 동남어문논집 Vol.1 No.38

        This study aims at looking into literary reproduction aspects of ‘trans- boundary’ and ‘performativity’ together with practical semantic network shown in Korean-Japanese literature. This study was progressed by dividing Korean-Japanese literature into trans-boundary consideration and performativity one largely. In ‘trans-boundary consideration on Korean- Japanese literature’: First, the study clarified ‘trans-boundary’ by analyzing works that implemented trans-nationalism, post-nationalism, post- ideological ideal based on ‘trans-boundary imagination’. Second, this study closely examined creating process of hybrid junction and transfiguration centering on language, culture, and regions, and lightened up a fact that such reproduction of hybridity composed multinational, multicultural, ‘trans-boundary’ identity. Thirdly, the study looked into a fact that contemporary Korean-Japanese literature triggered positive awareness of issues on multicultural, multiracial society by overturning the notion like inferior physicality of Korean-Japanese that made colonial, imperial gazes solidified through trans-boundary, hybrid ideas. In ‘performativity consideration on Korean-Japanese literature,’ this study looked at a fact that Korean-Japanese literature was awakening ethnical responsibility and duties that would prepare universal field of hospitality on oppressive others after overcoming colonial history by means of divulging violent origins of imperialistic colony policy and on-sites of human right abuses together with performing literary reproduction on historical others, minority, ‘Homo Sacer’ after Korean-Japanese literature turned others viewpoints directed to inside toward outside. Moreover, the study intended to clarify another fact that Korean-Japanese literature devised the rise of ethnical subject that went into practical steps by making solidarity with others exceeding the reproduction of others. 본고는 재일 한인 문학에 나타나는 ‘탈경계성’ 및 ‘수행성’의 문학적 재현 양상과 실천적 의미망을 고찰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먼저 ‘재일 한인 문학의 탈경계성 고찰’에서는 첫째, ‘탈경계적 상상력’을 바탕으로 초국가, 탈민족, 탈이데올로기의 이상을 구현하고 있는 작품들을 분석함으로써 재일 한인 문학의 ‘탈경계성’을 규명하였으며, 둘째, 언어, 문화, 지역을 중심으로 혼종적 접합과 변용이 생성되는 과정을 고찰하고 이러한 혼종성의 발현이 다국가적이고 다문화적인 ‘탈경계적’ 정체성을 구성함을 밝혔다. 마지막으로 식민주의적, 제국주의적 시선이 구획해온 재일 한인의 열등한 신체성이라는 관념을 현 세대 재일 한인 문학이 탈경계적, 혼종적 발상과 기획을 통해 전복하면서 다문화, 다인종 사회에 대한 긍정적 문제의식을 촉발하고 있음을 고찰하였다. ‘재일 한인 문학의 수행성 고찰’에서는 재일 한인 문학이 자기 내부로 향하던 타자적 시선을 외부로 돌려 제국주의적 식민 정책의 폭력적 기원과 인권 유린의 현장을 폭로하고 역사적 타자들, 소수자들, ‘호모 사케르’에 대한 문학적 재현을 수행함으로써, 식민의 역사를 극복하고 억압적 타자들에 대한 보편적 환대의 장을 마련할 윤리적 책무를 환기하고 있음을 고찰하였다. 또한 타자의 재현을 넘어 그러한 타자와 연대함으로써 실천적 단계로까지 진입하는 윤리적 주체의 발흥을 도모하고 있음도 더불어 밝히고자 하였다.

      • KCI등재

        일반논문 : 문학텍스트의 인성교육적 활용 가능성 -"교육연극"적 방법론의 글쓰기 수업 적용 사례를 중심으로

        윤송아 ( Song Ah Yoon ),차성연 ( Seong Yeon Cha ) 한민족문화학회 2015 한민족문화연구 Vol.48 No.-

        본고는 최근의 대학글쓰기교육에서 각광받고 있는 테마인 ‘자기서사’ 글쓰기가 타자성을 수용함으로써 윤리적 주체 구성의 과정으로 나아가야 한다고 본다. 이는 글쓰기교육이 인성교육의 장이 될 수 있음을 함의한다. 여기서 말하는 인성교육은 체제 내적 규범을 준수하는 올바른 시민 양성의 차원을 넘어서 ‘공감적 이해’와 ‘타자적 상상력’에 기반한 통합적 주체구성의 과정을 말한다. 개인을 넘어 타자 및 공동체로 확장된 인성교육에의 요구는 ‘공감’이라는 덕목을 주요 키워드로 제시하게 된다. ‘공감’은 타자의 입장, 경험, 정서적 반응 등을 ‘상상’하여 그 안에 자신을 투여하는 인식과정이자 행동방식이기 때문이다. 이는 또 문학예술의 근본원리인 ‘상상력’과 연동한다. 상상력이란 우리 마음을 최대한 폭넓게 확장시켜 대상에 작동시키는 능력으로서 ‘나’와 타자 간의 상호침투와 교류를 전제하는, 공감의 과정이다. ‘공감’과 ‘상상’은 문학의 기본 원리이자 현 시대가 요구하는 인성교육의 핵심 덕목으로서 문학텍스트를 인성교육에 활용할 수 있는 근거는 충분하다고 하겠다. 문학텍스트를 활용한 ‘가상 글쓰기’를 위해 본고는 ‘교육연극’적 방법론을 활용하였다. ‘교육연극(Education drama/theatre)’은 ‘만약 ~라면(what if~, magic if~)’ 하는 창의적 가정에서 시작한다. 창의적 가정은 허구적인세계를 ‘지금 그리고 여기(here and now)’의 시공간으로 옮겨와서, 참여자가 직접 말과 몸짓으로 상상한 허구적 세계를 구체화함으로써 타자를 자기로서 재구성하는 데 유효한 방법적 전략을 제공한다. 이러한 ‘상상하여 ~ 되어보기’라는 가상적 맥락을 ‘소설공동창작’에 도입하여 새로운 ‘상상’과 ‘공감’의 글쓰기가 될 수 있는 수업운영방안을 마련해보았다. 이러한 수업활동은 함께 읽은 텍스트의 구조적 틀을 활용하여, 한 인물의 이야기를 각조의 구성원이 맡아 ‘상상’하여 서술함으로써 ‘소설 속 인물-타자’에 공감하는 과정이 됨과 동시에 함께 창작을 진행하는 수업 구성원들에게도 공감하는 과정이 될 수 있었다. 물론 이러한 효과는 향후 지속적인 수업을 진행하면서 설문조사 등의 방법을 통해 심층적으로 검증되어야 할 것이다. 본고는 인성교육에 대한 제안과 ‘교육연극’적 방법론의 소개, 그리고 이를 적용한 사례 제시로 그 소임을 다하고자 한다. This paper deems that ``selfnarrative`` writing, the theme popular in writing education in a university, must advance in the process of composing ethical subject by accepting otherness. This implies that writing education can be utilized for character education. The character education as stated inhere means the process of composing integrated subject based on ``sympathetic understanding`` and ``other``s imagination``, escaping from the scope of cultivating proper citizens who observe internal norms of a system. The demand for character education that escape from an individual and was expanded to others and community proposes major virtue named``Sympathy`` as major key words. Because ‘Sympathy’ is an recognition process and a behavior mode of projecting self by imagining the situation, experience, emotional reaction, etc. of others. This is also connected to ``Imagination``, the basic principle of literary art. Imagination is ability enabling our mind to expand as wide as possible and applying to the subject, and the process of sympathy on the basis mutual penetration and interchange between ``Self`` and ``Others``. ``Sympathy`` and ``Imagination`` is basic principles and essential virtue required by the present times, and it can be said that there are enough grounds for utilizing literary texts for character education. For ``virtual writing`` of utilizing literary texts, this paper, used ``educational theatre`` methodology. ‘Education drama/theatre’ starts from creative assumption, such as "what if~, magic if~’. Creative assumption makes fictional world to the space and time of ``here and now``, and provides methodological strategy effective for re-composing others as self by giving shape to the fictional world imagined by the participant with words and gesture. This paper devised a class-operating method which can become a piece of writing of new ``imagination`` and ``sympathy`` by introducing virtual contexts titled ``to become by imagination`` in ``joint novel creation``. By utilizing a structural frame of the texts which were together read, and by a member of each team taking charge of and describing by imagination, it can become a process of sympathizing with ``figures-others in a novel`` and simultaneously can become a process of sympathizing class members together studying. Of course, such effects are required to be verifiedthrough a method of carrying out a survey, etc. as many classes progress in the future semesters. This paper was intended to describe a proposal of character education, introduction of ``educational theatre`` methodology and presentation of cases in which they applied.

      • KCI등재
      • KCI등재

        재일조선인 문학에 나타난 민족교육의 역사와 탈식민성

        윤송 동남어문학회 2019 동남어문논집 Vol.1 No.47

        Focusing on 『Bokuranohata : Our flag』, the long novel of Park Gi-suk who is the 2nd Generation Korean Japanese, this study examined the reproduction patterns of the early history of Korean Japanese national education under the context of education struggle and postcolonial practice. In this paper, I first examined the history of national education of Korean residents in Japan from liberation in 1945 to the 1970s under the correlation with the education policy of the Japanese government. Next, I examined the reproduction patterns and post-colonialization of national education of Korean residents in Japan focusing on historical events of Tokyo Provincial Korean Middle and High School, the spatial background of 『Bokuranohata』. The specific reproduction patterns are as follows: First, Protection of national education against the provincial school system and implementation of the national language through the Korean common use movement. Second, participation in the national tribulation through anti-war signing movement during the Korean War and school defense struggle against violence against the violent oppression by the Japanese government. Third, the systematic solidarity struggle of Korean teachers, students, parents, and Japanese teachers against the closure of the provincial school. As shown above, Park Gi-suk’s 『Bokuranohata』 focuses on the theme patterns of Korean Japanese Literature which have not been highlighted by vividly and emotionally testifying the early history of ‘Chosun School’- the Cradle of national education for Korean residents in Japan which has over 70 years of history against Japanese assimilation and discrimination policy which has been committed to date after liberation. 본 연구는 재일조선인 2세 작가인 박기석의 장편소설 『보쿠라노하타 : 우리들의 깃발』을 중심으로, 재일조선인 민족교육의 초창기 역사의 재현양상을 교육투쟁과 탈식민적 실천이라는 맥락 아래 살펴보았다. 본고에서는 먼저 일본정부의 교육정책과의 상관성 아래 1945년 해방 이후부터 1970년대까지의 재일조선인 민족교육의 역사를 고찰하였다. 다음으로 『보쿠라노하타』의 공간적 배경인 도쿄도립조선인중고등학교(東京都立朝鮮人中高等學校)의 역사적 사건들을 중심으로 재일조선인 민족교육의 재현양상과 탈식민성을 고찰하였다. 그 구체적인 재현양상은 첫째, 도립학교 제도에 맞선 민족교육의 수호와 우리말 상용화 운동을 통한 민족 언어의 구현, 둘째, 한국전쟁기 반전서명운동(反戰署名運動)을 통한 민족고난에의 동참과 일본정부의 폭력적 탄압에 맞선 학교사수투쟁, 셋째, 도립학교 폐교에 조직적으로 대항한 조선인 교사, 학생, 학부모, 일본인 교사들의 연대투쟁이다. 이와 같이 박기석의 『보쿠라노하타』는 해방 이후 현재까지 지속적으로 자행되고 있는 일본의 동화·차별정책에 맞서 70여 년의 역사를 이어온 재일조선인 민족교육의 산실-‘조선학교’의 초창기 역사를 생생하고 감동적으로 증언함으로써 그동안 조명되지 못한 재일조선인 문학의 한 주제양상을 집중적으로 구현해내고 있다.

      • KCI등재

        경계를 와해하는 ‘무국적자’의 레토릭― 金城一紀, 『GO』를 중심으로 ―

        윤송 한국일본학회 2012 日本學報 Vol.91 No.-

        This article is a study, centered on 『GO』(2000) by Kaneshiro Kazuki which clearly shows the overall life conditions of the Korean-Japanese and actively crumbles such boundary of exceptional life, that carefully considers the reappearances and overcoming possibility of the oppressive boundary of ‘nationality’, ‘name’, ‘physical body’ which consistently runs through the Korean-Japanese literature. First of all, Kaneshiro Kazuki intends to emerge from national exclusivism and the boundary by disturbing and breaking the frame of a nation-state symbolized as ‘nationality’ and actively attempts to discover the new identity as the Korean-Japanese, which suddenly rises from outside the boundary, by insisting the right of the ‘statelessness’ exclusively possessed as a signpost of self-liberation and cognitive overpassing. Secondly, the author expresses the willingness to resist the oppressive binding force the ‘name’ has and to escape from the district of discriminating boundary, by revealing the symbolization of a nation or a group through ‘name’ within the work and by re-defining the meaning of the distorted or consciously broken name. Lastly, the author overthrows the fabrication of the discriminative boundary, so called, ‘body-bloodline-ethnic race’ and disintegrates the point of the layered boundary that binds up the Korean-Japanese, through the idea of the strategic ‘mixed-blood’ which mixes and scatters the boundary. In this way, Kaneshiro Kazuki, by questioning from a viewpoint of a fictional formation ‘nationality’, ‘name’, ‘physicality’ realized as a definite category which differentiates and characterizes one individual, suggests the literary possibility that will crush the discriminative and biased logic produced from such unfair ‘boundary’.

      • KCI등재

        총련 결성과 재일조선인 민족교육 - 박종상의 『봄비』와 량우직의 『서곡』에 나타난 총련 결성 시기 ‘조선학교’의 재현양상을 중심으로 -

        윤송아 ( Yoon Song-ah ) 경희대학교 비교문화연구소 2019 비교문화연구 Vol.57 No.-

        재일본조선인총연합회(총련)가 결성된 1955년은 재일조선인 운동과 민족교육의 전환에 있어서 새로운 분기점이 되는 시기이다. 북한의 해외공민으로서의 자각과 직접적인 연계를 기반으로 조직적이고 체계적인 민족교육의 물리적, 사상적 토대가 마련되고 교육체제의 개편이 이루어지며, ‘조선학교’가 뚜렷한 방향성을 담보로 민족적 정체성을 구현, 표출하기 시작한다. 본고에서는 이러한 총련결성의 의의와 변별점에 주목하여, 1955년 총련 결성 직후의 조선학교를 배경으로 민족교육의 현실을 그려낸 장편소설인 박종상의 『봄비』와 량우직의 『서곡』을 중심으로, 재일조선인 문학에 나타난 총련 결성 시기 ‘조선학교’의 재현양상에 대해 고찰하였다. 두 작품에는 학교건설사업이라는 동일한 주제 아래, 민족교원의 지칠 줄 모르는 헌신과 도전, 학생들에 대한 사랑과 실천적 교육활동이 다각적으로 형상화되어 있다. 또한 ‘민단’을 주축으로 한 적대세력의 끊임없는 방해공작으로, 계획한 교육사업들이 번번이 수포로 돌아가는 절망적인 상황 속에서도, 조선학교를 둘러싼 교원과 지역동포들의 조직적인 단합, 그리고 북한 조국으로부터 전달된 교육원조비로 말미암아 학교건설사업의 당면과제가 마침내 성취되는 희망의 서사가 나란히 전개되고 있다. 본고에서는 두 소설에 나타나는 공통된 주제의식과 인물의 전형성, 사건의 추이 등을 중점적으로 고찰함으로써 총련 결성과 민족교육의 상관성, 당대를 다룬 ‘조선학교’ 주제 작품의 일관된 서사구조와 성격창조의 과정, 민족교육을 둘러싼 재일조선인의 고난과 투쟁, 극복의 역사를 전경화하였다. The organization of Chongryon in 1955 is the period of a new branch point for the movement of Korean residents in Japan and the change of racial education. Based on North Korean awareness and direct connection as overseas citizen, the physical and ideological base of organizational and systematic racial education was prepared, the educational system was reorganized, and the ‘Chosun School’ started to embody and express racial identity as security for certain directivity. This thesis considered the reappearance aspect of the ‘Chosun School’ in the period of the Chongryon organization period that appeared in the literature of Korean residents in Japan, by focusing on long novels showing the realities of racial education under the background of the Chosun School right after the Chongryon organization in 1995, 『Bombi』 of Park, Jong-sang and 『Seogok』 of Ryang, U-jik, in consideration of significances and differentiations of the Chongryon organization. In two works, under the same subject of the school establishment project, sacrifice, and the challenge of racial education that are not tired, love for students and practical education activities are formed in multiple angles. Also, due to the continual hindrance of the enemies of ‘mindan’, the planned education projects often failed. In the depressed situation, because of the organizational union of teaching staff and regional people around the school and educational supporting funds delivered from North Korea, the hopeful situation that was achieved facing the assignment, the school establishment project, is jointly displayed. This thesis examines the correlations between the Chongryon organization and racial education, certain narrative structure of ‘Chosun School’ treating the period, the hardship and struggle of Korean residents in Japan around racial education, and the history of overcoming by considering the intensively joint subjects of two novels, prototypicality of people, tendency of accidents, etc.

      • KCI등재

        재일조선인 문학을 호명하는 한국문학의 지형도

        윤송아 ( Song Ah Yoon ) 우리어문학회 2013 우리어문연구 Vol.45 No.-

        본고는 재일조선인 문학이 한국문학의 영역 안에 통합적으로 범주화되는 과정(시도)과 그 시대사적 맥락을 추출하고 그에 따른 한국문학 연구자들의 연구 동향을 개괄적으로 고찰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1988년 해금조치 이후 ‘한민족 문학’ 혹은 ‘한국문학의 세계화’ 논의와 연동하여 한국문학 내에서는 남북한 문학 및 재외 한인 문학을 아우르는 통합적 한국문학사 서술의 당위성이 제기된다. 국적, 언어, 세대, 이데올로기를 뛰어넘은 보편적 세계문학으로서의 ‘한민족 문학’의 구상은 홍기삼, 김종회, 장사선 등의 연구 작업을 통해 다양한 접근 통로가 모색됨으로써 점진적으로 새로운 한국문학 지형도를 조성할 단초를 마련한다. 이러한 시대사적 맥락과 조응하여 한국문학계 안에서는 우선적으로 ‘조선어’ 문학을 중심으로 한 재일조선인 문학 연구 작업들이 이루어진다. 숭실대 공동 연구팀의 연구서(한승옥 외, 『재일동포 한국어문학의 민족문학적 성격 연구』, 국학자료원, 2007; 김학렬 외, 『재일동포 한국어문학의 전개양상과 특징 연구』, 국학자료원, 2007)와 하상일, 최종환 등의 재일조선인 시문학 연구는 지금까지 재일조선인 문학 내부에서 공백으로 남겨졌던 재일조선인 ‘조선어 문학’의 위상을 재조명하고 그 총체적 맥락을 살피는 선행 연구로서 주목할 만하다. ‘한민족 문학사’ 서술이라는 한국문학의 거시적 목표는 일차적으로 ‘통합적 재일조선인 문학사’ 서술로부터 가능할 것이다. 언어와 이데올로기 혹은 남북 한과의 차등적 관계를 극복한 지점에 재일조선인 문학 및 연구의 출발점을 두고 재일조선인의 실존적 삶의 형태에 기반하여 재일조선인 문학을 바라봄으로써 우리는 통합적이고 균형 잡힌 재일조선인 문학사 및 세계문학으로서의 ‘한민족 문학’을 전망해볼 수 있을 것이다. This thesis aims to extract the process (attempt) of the Korean Japanese Literature being integrated and categorized into the boundary of Korean Literature and the historical context, and to generally consider the study trend of Korean Literature researchers accordingly. Since the action to lift the ban in 1988, interlocked with discussion on ``Korean Race Literature``, or ‘Globalization of Korean Literature``, the rightfulness of description on Korean Literature history, which embraces the South and North Korean Literature and the Literature of overseas Koreans has been raised within Korean Literature. The plan of ``Korean Race Literature`` as the universal global literature which surpasses nationality, language, generation, and ideology gradually prepares the root stage to form the geography of Korean Literature,as the various pathways to approach are discovered through the study process of Hong, Gi-Sam, Kim, Jong-Hoi, Chang, Sa-Sun, etc. Corresponding to this historical context, research work on Korean Japanese Literature centered preferentially on ``Chosun Language`` Literature is being performed within the Korean Literature world. A Research Report of the SoongShil University`s Joint Research Team (by Han, Seung-Ok et al., “Study on characteristics of the Korean Literature by the Korean Japanese as national literature”, National Culture and Heritage Reference Center, 2007; by Kim, Hak-Ryul et al., “ Study on the Changing Process and characters of the Korean Literature by the Korean Japanese”, National Culture and Heritage Reference Center, 2007) and the study on the Korean Japanese Poetry by Ha, Sang-Il, Choi, Jong-Hwan, etc. is worthy of notice as the advanced research which sheds new light on the status of ``Chosun Language Literature`` of the Korean Japanese that was left as a gap inside Korean Japanese Literature until now and observes the overall context. The macroscopic goal of Korean Literature, the depiction of the ``Korean Race Literature History`` would be enabled primarily from the depiction of the ‘Integrated History of the Korean Japanese Literature``. Through the view on the Korean Japanese Literature based on the existential life form of the Korean Japanese with the starting point of the Korean Japanese Literature and Study where the language and ideology, or the graded relationship between South and North Koreas are overcome, we will be able to foresee the integrated and balanced Korean Japanese Literature History, and the ``Korean Race Literature`` as the global literature.

      • KCI등재

        재일여성문학을 읽는 몇 가지 키워드― 이산과 식민체험, 가부장제, 마이너리티 ―

        윤송 한국일본학회 2020 日本學報 Vol.0 No.123

        The current work aims to study the appearance and aspects of authors of major Zainichi women's literature during the period from liberation till now. The features and trends of the Zainichi women's literature was also examined focusing on the keywords of separation and colonial experiences, patriarchy, and minority. The Zainichi women's literature from liberation to 1960s started with the crusade against illiteracy, education for women, and was developed by second generation poets, such as Lee Geum Ok, Yoon Young Ja, Ahn Hukiko and Yoo Myo dal, authors, and female poets of Jindalrae, a Zainichi poetry journal from Osaka. The Zainichi women’s literature observed further expansion and variation based on active creative activities of famous authors of Zainichi women's literature such as Jong Chu Wol, Lee Jeong Ja, Lee Yang Ji, Kim Chang Saeng and Yoo Mi Ri, and publication of several female literature journals in Japan. This flow of Zainichi women's literature continued after liberation to express women and families who suffered amid colonial national violence and were the victims of separation and division. The Zainichi women’s literature also suggested the possibility of solidarity with the independence of women who broke the patriarchal family system, Furthermore, the Zainichi women’s literature also shows the characteristics of the strategy of the female minority against ethnic, racial, class discrimination and hatred. 본고는 해방 이후부터 현재에 이르기까지의 주요 재일여성문학자들의 등장과 면모를 일별함으로써 재일여성문학의 사적 흐름을 개괄하고, ‘이산과 식민체험’, ‘가부장제’, ‘마이너리티’라는 키워드를 중심으로 재일여성문학의 특징과 경향을 살펴보았다. 해방 이후부터 1960년대까지의 재일여성문학은 여성들의 ‘문맹퇴치’, 문해(文解)교육으로부터 시작하여 이금옥, 윤영자, 안후키코, 유묘달 등의 재일 2세 시인, 작가들 및 오사카 재일조선인 시지(詩誌) 『진달래』의 여성시인, 문필가들을 중심으로 전개되었으며, 1970년대부터 현재까지의 재일여성문학은 종추월, 이정자, 이양지, 김창생, 유미리 등을 위시한 유수한 재일여성문학자들의 활발한 창작활동과 여러 재일여성문예지 발간 등을 발판으로 다채로운 확장과 변용을 이루어나갔다. 이러한 재일여성문학의 흐름은 첫째, 해방 이후에도 지속되어 온 식민주의 국가폭력과 이산・분단의 재생산 구도 속에서 고통 받는 재일조선인 여성 및 가족의 재현, 둘째, 가부장적 가족제도에 균열을 내는 여성의 자립과 연대의 가능성 제시, 셋째, 민족・인종・계급차별 및 혐오에 맞서는 여성 마이너리티의 전략이라는 주제의식을 통해 그 특징을 변별해볼 수 있다. 현재까지 재일여성문학은 ‘재일’, ‘여성’, ‘마이너리티’라는 복합적 존재성을 바탕으로, 개별적 해방 추구의 단계를 뛰어넘어 역사적 고난과 유린당한 타자에 주목하고 전쟁과 문명의 이기에 저항하며 혐오와 차별의 구조를 타개하는 투쟁의 현장에 적극적으로 동참하고 있다. 따라서 재일여성문학을 천착하는 일은 동아시아의 해방과 평화의 서사를 완성해나가는 이 시대의 윤리적 책무와 맞닿아 있다고 할 수 있다.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